KR101401791B1 -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791B1
KR101401791B1 KR1020140031524A KR20140031524A KR101401791B1 KR 101401791 B1 KR101401791 B1 KR 101401791B1 KR 1020140031524 A KR1020140031524 A KR 1020140031524A KR 20140031524 A KR20140031524 A KR 20140031524A KR 101401791 B1 KR101401791 B1 KR 10140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ushroom
nutrient solution
present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호
장현유
Original Assignee
백성호
농업회사법인 참뜨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호, 농업회사법인 참뜨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성호
Priority to KR102014003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침을 배지에 삽입함으로써 수확량 및 수확 주기를 늘릴 수 있고, 목침에 사용되는 영양액으로 목초액을 사용함으로써, 표고버섯의 재배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제공함과 동시에, 푸른 곰팡이와 같은 잡균의 번식을 막고 살균할 수 있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고버섯의 재배방법{Cultivation method of shiitake mushrooms}
본 발명은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침을 배지에 삽입함으로써 수확량 및 수확 주기를 늘릴 수 있고, 목침에 사용되는 영양액으로 목초액을 사용함으로써, 표고버섯의 재배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제공함과 동시에, 푸른 곰팡이와 같은 잡균의 번식을 막고 살균할 수 있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섯류는 고단백 식품으로서 미래의 육류대용 식품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의 각종 연구보고에 의하면 버섯류에 함유된 글루칸(glucan)및 그 유도체가 항암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버섯류(담자균류)는 그 종류마다 재배방법 내지 재배조건이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버섯종균을 원목이나 버섯배지에 접종하여 버섯을 재배하게 된다.
버섯종균(spawn)은 버섯재배용 종자로 순수 배양한 균체와 배지를 포함하여 종균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된 배지의 재료나 그 형태에 따라 고체 형태와 액체 형태로 구분되며, 고체형태의 종균으로는 곡립종균, 톱밥종균 등이 있으며, 액체형태로의 액체 종균이 있다.
톱밥종균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뽕나무버섯등을 재배할때, 액체종균은 느타리버섯이나, 각종종균을 배양제조할 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버섯종균은 버섯씨에 해당하므로 종은 우량 종균의 제조 및 사용은 버섯 재배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고체 종균인 톱밥 종균의 제조는 톱밥과 쌀겨(미강) 및 기타 첨가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배지에 60-65%로 수분 조절한 것을 PP나 PE병에 주입하고 고압살균기에서 121℃ 고온에서 50-60분 살균한다음 상온 25℃로 냉각한 후, 병당 5~10g 정도의 종균을 투입하고 이를 배양실에서 20-25일 배양하여 톱밥종균을 생산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7184호에는 한쪽 끝을 뾰족하게 가공한 길이(L) 50-150mm 직경(D) 5-15mm 봉형태의 목침(11)에 버섯액체종균을 침투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목침종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등록실용의 목침은 배지를 용기에 입봉한 후, 종균 접종시에만 사용하는 내용만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배지의 수확 주기를 늘리거나, 수확량을 증대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기재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침을 배지에 삽입함으로써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침에 의해 배지에 영양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지의 사용기간 내지 수확 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침에 사용되는 영양액으로 목초액을 사용함으로써, 표고버섯의 재배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제공함과 동시에, 푸른 곰팡이와 같은 잡균의 번식을 막고 살균할 수 있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은 생식성장을 반복하면서 복수 주기에 걸쳐 표고버섯을 수확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1주기의 수확을 마친 배지에 목침을 삽입하여 영양 성분을 공급하되, 상기 목침은 바 형상의 나무를 영양액에 침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의 목침은 상기 나무를 상기 영양액에 12시간 내지 2일 동안 침지시킨 것이고, 상기 영양액은 목초액을 물에 희석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의 나무는 직경이 2mm~2cm이고, 길이가 2~20cm이며, 일단이 뾰족하게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의 영양액은 목초액과 물의 중량비가 1/250~1/1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의 배지는 상기 생식성장을 마친 후 소정 기간의 휴양기간이 주어지고, 상기 목침은 상기 휴양기간마다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의 목침은 3주기 내지 5주기의 수확을 마친 배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의 영양액은 질소, 인산 및 칼륨을 포함하는 식물 영양제를 물에 희석시킨 것이며, 상기 영양액은 식물 영양제와 물의 중량비가 1/600~1/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의하면 목침을 배지에 삽입함으로써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의하면 목침에 의해 배지에 영양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지의 사용기간 내지 수확 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의하면 목침에 사용되는 영양액으로 목초액을 사용함으로써, 표고버섯의 재배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제공함과 동시에, 푸른 곰팡이와 같은 잡균의 번식을 막고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에 목침을 삽입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배지에 목침이 삽입된 상태로 표고버섯이 재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배지에 목침이 삽입된 상태로 표고버섯이 재배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침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에 목침을 삽입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배지에 목침이 삽입된 상태로 표고버섯이 재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은 적어도 1주기의 수확을 마친 배지에 목침을 삽입하여 영양 성분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은 배지를 조성하고, 상기 배지에 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온도, 습도, 환기 등의 외부조건을 조절하는 용기재배방식에 적용된다.
이때, 배지를 병, 상자 비닐 봉지 등에 넣고 살균 및 냉각을 한 상태에서 버섯 종균을 접종하며, 배양실에서 90~120일 동안 균사배양(영양생장)을 한다. 균사 배양을 마치면 생장실에서 표고버섯의 생식생장(버섯생육)이 이루어져 1주기 수확을 하게 된다. 1주기 수확을 한 이후에는 생식생장을 반복하면서 표고버섯을 수확하게 된다.
해당 주기에서 수확을 한 배지는 영양분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소정 시간 동안 휴양기간이 주어진다.
그리고 상기 휴양기간 동안 배지에 목침을 삽입하게 된다.
상기 휴양기간이 경과하면 배지를 물에 침수시켜 수분을 제공하고, 충격을 주어 다시 생식생장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표고버섯의 배지는 생식생장, 수확 및 휴양기간을 반복하면서 4~6주기에 걸쳐 수확을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따르면 목침을 이용하여 배지에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10주기 이상의 수확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목침은 바 형상의 나무를 영양액에 침지시킨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나무는 참나무를 예시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나무는 직경이 2mm~2cm이고, 길이가 2~20cm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배지의 크기 및 삽입되는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무는 딱딱해진 배지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을 뾰족하게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영양액은 목초액을 물에 희석시킨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목초액은 버섯생장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것은 물론, 항균 내지 살균 효과가 있어 잡균의 번식을 제어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영양액은 목초액과 물의 중량비가 1/250~1/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초액과 물의 중량비가 1/250 미만인 경우에는 목초액 함유에 따른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1/150보다 큰 경우에는 오히려 버섯의 생식생장을 방해하여 수확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영양액은 질소, 인산 및 칼륨 등을 포함하는 식물 영양제, 예를 들어 하이포넥스(제조사 : (주)하이포넥스)를 물에 희석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영양액은 식물 영양제와 물의 중량비가 1/800~1/200, 바람직하게는 1/600~1/400이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목침은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a)종방향 (b)사선 방향, (c)횡방향 및 이들의 조합된 구조로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목침은 종균 접종과 같이 배지의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표고버섯이 균사배양과 (a)제1생식생장을 마치고, 1주기 수확을 하게 된다.
(b) 제1휴양기간 동안 목침을 배지에 삽입하게 되고, (c) 목침에서 배지로 영양 성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상태에서 제2생식생장이 이루어진다.
(d) 2주기 수확을 마치고 제2휴양기간 동안 목침을 추가적으로 배지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휴양기간 마다 적절한 개수의 목침을 배지에 삽입하기 때문에, 생식생장 과정 동안 부족해진 영양 성분을 보충할 수 있다.
도 5는 배지에 목침이 삽입된 상태로 표고버섯이 재배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a) 제3생식생장을 하여 적어도 3주기의 수확을 마친 후, (b) 휴양기간에 적어도 4~6개의 목침을 배지에 동시에 삽입하고, (c) 생식생장을 반복하면서 재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휴양기간마다 목침을 삽입하지 않고, 3주기 내지 5주기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목침을 삽입한 후, 주기 마다 수확량 등을 체크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목침을 추가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주기가 반복되더라도 표고버섯의 수확량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이 목침을 휴양기간 마다 삽입하거나, 제2실시예와 같이 필요한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목침을 삽입함으로써, 배지의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고, 종래의 4~6의 수확 주기를 10 주기 이상으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각 주기의 수확량을 늘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나무 톱밥과 쌀겨(미강)을 8:2의 중량비로 배합된 배지를 마련하고, 상기 배지를 봉지에 입봉한다. 그리고 배지를 120℃에서 90분간 살균처리한다. 이때 배지의 중량은 1.5kg이다.
다음으로, 살균처리된 배지를 냉각하고 종균을 접종하고, 120일 동안 배양한다.
그 다음으로, 배지를 18~20℃에서 90일 동안 암배양하고, 30일 동안 명배양을 하여 갈변 숙성이 이루어진 후, 표고버섯이 생육되면 1주기 수확을 한다.
그 다음으로, 1주기 수확 후 50일 간의 휴양기간 내에 목침 4개를 배지에 삽입한다. 이때 목침은 참나무 끝을 뾰족하게 깍고, 지름이 0.7cm, 길이가 20cm로 가공한 것이고, 목초액과 물을 1 : 200의 중량비로 혼합한 영양액에 하루 동안 침지시켜 만든다.
그 다음으로, 목침이 삽입된 배지를 침지시킨 후, 충격을 주어 제2생식생장을 진행하고, 2주기 수확을 한다.
이후에는, 해당 휴양기간마다 하나의 목침을 배지에 추가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표고버섯을 재배한다.
참고로 도 6은 실시예 1의 재배방법으로 목침을 삽입한 배지에서 표고버섯이 성장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3주기 수확할 때까지 목침을 사용하지 않고, 3주기 수확 후 휴양기간에 4개의 목침을 배지에 삽입하고, 이 후의 휴양기간에 목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표고버섯을 재배한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목침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표고버섯을 재배한다.
아래 표 1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각 주기에서의 표고버섯 수확량을 나타낸 것이다.
[배지1.5kg 1개 기준]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실시예 1 97(g) 96 95 93 88 87 81 75 69 66 56 52
실시예 2 98 84 75 85 83 75 72 64 55 51 - -
비교예 1 96 85 73 63 52 44 - - - - -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는 1 내지 6주기까지 표고버섯의 수확량이 일정하고, 7주기부터 점차 수확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총 12주기까지 표고버섯을 수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는 3주기까지는 수확량이 감소하다가, 목침을 삽입한 4주기에 수확량이 회복되었으며, 그 이후 주기부터 수확량의 감소율 또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총 10주기 동안 표고버섯을 수확할 수 있었다.
그에 반해, 비교예 1에서는 매 주기마다 수확량이 줄어들고, 총 6주기 동안만 표고버섯을 수확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재배방법에 따르면, 목침을 삽입함으로써 총 수확 주기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주기별 수확량도 늘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생식생장을 반복하면서 복수 주기에 걸쳐 표고버섯을 수확하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1주기의 수확을 마친 배지에 목침을 삽입하여 영양 성분을 공급하되,
    상기 목침은 바 형상의 나무를 영양액에 침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침은 상기 나무를 상기 영양액에 12시간 내지 2일 동안 침지시킨 것이고,
    상기 영양액은 목초액을 물에 희석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는 직경이 2mm~2cm이고, 길이가 2~20cm이며, 일단이 뾰족하게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액은 목초액과 물의 중량비가 1/250~1/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상기 생식생장을 마친 후 소정 기간의 휴양기간이 주어지고,
    상기 목침은 상기 휴양기간마다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침은 3주기 내지 5주기의 수확을 마친 배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액은 질소, 인산 및 칼륨을 포함하는 식물 영양제를 물에 희석시킨 것이며,
    상기 영양액은 식물 영양제와 물의 중량비가 1/600~1/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KR1020140031524A 2014-03-18 2014-03-18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KR10140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24A KR101401791B1 (ko) 2014-03-18 2014-03-18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24A KR101401791B1 (ko) 2014-03-18 2014-03-18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791B1 true KR101401791B1 (ko) 2014-05-30

Family

ID=5089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524A KR101401791B1 (ko) 2014-03-18 2014-03-18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7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325B1 (ko) 2015-10-30 2017-02-03 주식회사 에너틱스 백화고 수득을 위한 표고의 생육방법 및 자동화시스템
KR20170001280U (ko) 2015-10-05 2017-04-13 최충선 표고버섯 재배 장치
KR20190002829U (ko) 2018-05-04 2019-11-13 최충선 표고버섯 재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45A (ja) * 1995-07-10 1997-01-28 Yoshiaki Yamanashi 棒種菌並びにこれを用いた接種方法
KR200397184Y1 (ko) 2005-05-17 2005-09-30 최찬규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
KR100702270B1 (ko) 2005-07-05 2007-05-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침종균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45A (ja) * 1995-07-10 1997-01-28 Yoshiaki Yamanashi 棒種菌並びにこれを用いた接種方法
KR200397184Y1 (ko) 2005-05-17 2005-09-30 최찬규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
KR100702270B1 (ko) 2005-07-05 2007-05-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침종균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80U (ko) 2015-10-05 2017-04-13 최충선 표고버섯 재배 장치
KR101702325B1 (ko) 2015-10-30 2017-02-03 주식회사 에너틱스 백화고 수득을 위한 표고의 생육방법 및 자동화시스템
KR20190002829U (ko) 2018-05-04 2019-11-13 최충선 표고버섯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8475B (zh) 秀珍菇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秀珍菇的培养基
CN103907478B (zh) 平菇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平菇的培养基
KR101479209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KR101401791B1 (ko)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CN103907476A (zh) 鸡腿菇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鸡腿菇的培养基
KR101239711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KR20190040536A (ko) 표고버섯 및 그 재배방법
KR101634857B1 (ko)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CN110720352A (zh) 桃树木屑香菇培养组合物、培养料的制备方法,及香菇的栽培方法
KR20060045093A (ko) 팽이버섯 재배방법
KR20080109466A (ko) 느타리버섯 재배용 침공 멀칭비닐백 및 이를 이용한버섯재배방법
KR102183105B1 (ko) 미세기공이 형성된 버섯 배양용 봉지를 이용한 버섯의 제조방법
CN112931049A (zh) 一种红托竹荪菌棒及红托竹荪的工厂化栽培方法
KR20160087512A (ko) 목이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KR101650873B1 (ko) 병뚜껑을 이용한 버섯의 병재배 방법
KR101599699B1 (ko) 항산화제, 아미노산 및 비타민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배양용 배지 조제 방법
KR20200137620A (ko)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101589093B1 (ko) 바나듐을 함유한 버섯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KR102498902B1 (ko) 표고버섯 참나무톱밥배지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방제방법
KR101870566B1 (ko) 측,하면 버섯발생이 억제된 표고버섯 재배방법
CN114532141B (zh) 一种提高榆黄蘑菇柄中总糖含量的方法
KR102076412B1 (ko)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062898B1 (ko) 균사결합 및 흑변조작에 의한 표고버섯 개량 신품종 참송이버섯의 재배방법
CN104920226B (zh) 一种快速高效诱导滨梅组培苗生根的方法
KR20010048394A (ko) 무기영양원첨가에 의한 느타리버섯 재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