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205Y1 -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 Google Patents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205Y1
KR200395205Y1 KR20-2005-0018272U KR20050018272U KR200395205Y1 KR 200395205 Y1 KR200395205 Y1 KR 200395205Y1 KR 20050018272 U KR20050018272 U KR 20050018272U KR 200395205 Y1 KR200395205 Y1 KR 200395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oupling rod
fixed
support leg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재
Original Assignee
이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재 filed Critical 이천재
Priority to KR20-2005-0018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2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2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8Chair or stool bases for uneven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지지다리를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는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기중구는 부체의 보조파이프의 외면으로 삽입고정되는 제1결합봉과; 상기 제1결합봉의 일측에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로프를 권취시키는 로프권취수단과; 부체의 지지다리 하단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로프권취수단에 의해 권취되는 로프가 고정되는 제2결합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로프권취수단의 회전에 의해 로프가 권취됨에 따라 제2결합봉과 결합된 부체의 지지다리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HOIST FOR SUPPORTING LEG OF FISHING BOAT}
본 고안은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다리를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는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료낚시터에에서는 조사(釣師)가 편리하게 낚시할 수 있도록 그리고 낚시포인트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좌대가 제공되며, 이러한 좌대는 낚시터의 수중에 띄워 이동할 수 있는 수중좌대와 연안에서 뭍에 근접하여 낚시할 수 있는 연안좌대로 구분되는 데, 본 고안은 이 중 수중좌대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중좌대를 도시하고 있는 데, 이를 참고하면 수중좌대는 조사가 낚시를 할 수 있도록 수중에 떠 있도록 목재등으로 마련된 부체(11)와, 상기 부체(11)의 각 모서리에 장착된 고정파이프(13)내에 상하방향으로 삽입설치되어 지면에 박히는 지지다리(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대를 이동할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정파이프(13)의 고정볼트(13-1)를 풀어 지지다리(12)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린 후 고정파이프의 고정볼트(13-1)를 감아 지지다리(12)를 고정시킨 후 소정거리 이동한 후 다시 고정볼트를 풀게 되면 고정파이프내에 삽입된 지지다리(12)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지면에 박혀 좌대가 고정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지지다리를 기중하는 구조는 지지다리를 들어올리는 것이 쉽지 않아 다수의 사람이 지지다리를 잡고 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좌대용 지지다리를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는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부체의 보조파이프의 외면으로 삽입고정되는 제1결합봉과; 상기 제1결합봉의 일측에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로프를 권취시키는 로프권취수단과; 부체의 지지다리 하단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로프권취수단에 의해 권취되는 로프가 고정되는 제2결합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로프권취수단의 회전에 의해 로프가 권취됨에 따라 제2결합봉과 결합된 부체의 지지다리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기 제1결합봉의 하단에는 상기 로프권취수단에 의해 권취되는 로프가 흔들리지 않고 권취되도록 안내하는 권취안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권취수단은 상기 제1결합봉에 연결된 상판과, 상기 상판 양측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측판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각 측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로프의 일단이 감겨 고정되는 로프고정공이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양단에 마련된 회전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가 수중좌대에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가 수중좌대에 설치된 측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의 로프권취수단의 단면도이며, 도6 및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서 대해서는 편의를 용이한 동일한 참보부호가 부여된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는 제1결합봉(110), 로프권취수단(120) 및 제2결합봉(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봉(110)은 좌대의 보조파이프(140)의 외면으로 삽입고정된다. 수중좌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체(11)의 모서리에는 지지다리(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파이프(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파이프에 인접하게 상기 제1결합봉(110)이 삽입되는 보조파이프(14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파이프(13)에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다리(12)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볼트(1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봉(110)에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보조파이프(140)에 제1결합봉을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볼트(111)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결합봉(110)을 좌대의 보조파이프(140) 외면으로 삽입고정한 후 제2고정볼트(111)를 조여 제1결합봉(110)을 보조파이프(14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제1결합봉의 하단에는 후술할 로프권취수단에 의해 권취되는 로프가 흔들리지 않고 권취되도록 안내하는 권취안내구(1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프권취수단(120)은 후술할 지지다리의 하단에 장착된 제2결합봉(130)에 감겨진 로프를 끌어 올리는 수단으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21), 보빈(122) 및 회전편(123)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21)은 상판(121-1)과 상기 상판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측판(12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21-1)은 전술한 제1결합봉(110)에 용접등으로 연결되며, 상기 측판(121-2)에는 보빈이 관통되는 관통공(1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122)은 로프(L)가 감겨지는 것으로, 로프의 일단이 감겨 고정되는 로프고정공(122-1)이 형성되며 상기 로프고정공 양측으로는 감겨지는 로프가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보빈휠(1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의 양단은 상기 프레임의 측판의 관통공(121-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관통된다. 바람직하게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의 관통공(121-3)과 보빈(120) 사이에는 보빈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124)이 삽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 양단, 즉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양단에는 보빈을 공구를 통해 보빈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편(123)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편은 육각 내지 팔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더 나아가, 상기 보빈의 상기 일측 측판(121-1)과 보빈의 회전편(123) 사이에는 톱니부(1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판의 측면에는 상기 톱니부의 톱니와 톱니 사이에 치합하여 보빈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동레버(126)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톱니부(125)는 세레이션 톱니로 일측으로 기울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레버(126)에는 상기 톱니와 톱니 사이에 걸리는 레버돌기(126-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편(123)을 통해 보빈을 회전시키다가 회전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회동레버(126)를 회동시켜 레버돌기(126-1)가 톱니부(125)의 톱니 사이에 치합되게 하여 보빈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미설명한 참조부호 127은 회동레버(12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여 톱니부와 간섭을 피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상기 제2결합봉(130)은 수중좌대의 지지다리(12)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을 위한 제3고정볼트(13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봉의 상단 외면에는 로프(L)의 타단이 감겨 고정되는 고정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구는 지지다리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로프가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지지다리와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의 지지다리 기중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의 지지다리 기중구의 장착방법은 먼저, 좌대의 보조파이프(140) 외면으로 제1결합봉(110)을 삽입시켜 제2고정볼트(111)를 통해 고정시키고, 좌대의 지지다리 하단에는 제2결합봉(130)을 삽입시켜 제3고정볼트(131)를 통해 고정시킨다. 그리고, 로프(L)는 그 일측을 상기 보빈의 로프고정공(122-1)에 감아 고정하고 타측은 상기 제2결합봉의 고정부(132)에 감아 고정한다. 이 때, 로프는 상기 제1결합봉의 권취안내구(112)를 통과되게 한다. 한편, 좌대의 지지다리는 고정파이프(13) 내에 삽입되어 제1고정볼트(13-1)를 통해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장착되어, 좌대를 수중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할 경우에는 먼저 제1고정볼트(13-1)를 푼다. 그러면 지지다리(12)는 자중에 의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 박혀 좌대가 고정된다.
그리고, 좌대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로프권취수단(120)을 통해 좌대의 지지다리(12)를 기중하게 되는 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구를 통해 회전편(123)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보빈(122)이 회전하면서 보빈의 로프고정공(122-1)에 일단이 고정된 로프가 보빈(122)에 권취되게 된다.
로프가 권취됨에 따라 로프의 타단이 고정된 제2결합봉(130)이 상측으로 힘을 받게 되어 이에 결합된 지지다리(12)가 지면에서 뽑히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다리(12)가 들어 올려져 지면에서 소정거리 뽑히면 회동레버(126)를 회동시켜 레버 돌기(126-1)가 톱니부(125)에 치합되게 하여 보빈이 역방향으로 풀리는 것을 제한되게 한다. 그 후, 다시 제1고정볼트(13-1)를 조여 지지다리(12)가 고정파이프(13)에 고정되게 한다. 그러면, 지지다리가 지면에서 뽑혀 수중에 있는 상태가 되고, 각 모서리에 있는 지지다리를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들어올린다.
그리고, 이동하고자 하는 장소까지 좌대를 저어 이동한 후 다시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고정볼트(13-1)를 풀어 지지다리(12)가 고정파이프(13)에 안내가능하게 한 후, 회동레버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레버와 톱니부의 치합이 해제되면서 지지다리는 자중에 의해 다시 지면으로 박혀 고정된다.
이제까지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제1결합봉이 보조파이프의 외면으로 삽입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보조파이프 없이 제1결합봉 자체를 좌대에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는 좌대용 지지다리를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들어 올려 이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수중좌대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도1에 따른 기중구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가 수중좌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가 수중좌대에 설치된 측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의 로프권취수단의 단면도이며,
도6 및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결합봉 121: 프레임
122: 보빈 123: 회전편
124: 베어링 125: 톱니부
126: 회동레버 127: 스토퍼
130: 제2결합봉 140: 보조파이프

Claims (5)

  1. 부체의 보조파이프의 외면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1결합봉과;
    상기 제1결합봉의 일측에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로프를 권취시키는 로프권취수단과;
    부체의 지지다리 하단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로프권취수단에 의해 권취되는 로프가 고정되는 제2결합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로프권취수단의 회전에 의해 로프가 권취됨에 따라 제2결합봉과 결합된 부체의 지지다리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봉의 하단에는 상기 로프권취수단에 의해 권취되는 로프가 흔들리지 않고 권취되도록 안내하는 권취안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권취수단은
    상기 제1결합봉에 연결된 상판과, 상기 상판 양측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측판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각 측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로프의 일단이 감겨 고정되는 로프고정공이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양단에 마련된 회전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측판 보빈의 회전편 사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 측면에는 상기 톱니부에 걸려 보빈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동레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봉의 상단 외면에는 로프가 감겨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KR20-2005-0018272U 2005-06-24 2005-06-24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KR200395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72U KR200395205Y1 (ko) 2005-06-24 2005-06-24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72U KR200395205Y1 (ko) 2005-06-24 2005-06-24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205Y1 true KR200395205Y1 (ko) 2005-09-07

Family

ID=4369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72U KR200395205Y1 (ko) 2005-06-24 2005-06-24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2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452B1 (ko) 2008-03-26 2010-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특수 족장 설비 빅 거더 해체용 지그
KR200495248Y1 (ko) * 2021-05-03 2022-04-08 허영웅 방갈로용 수상 좌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452B1 (ko) 2008-03-26 2010-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특수 족장 설비 빅 거더 해체용 지그
KR200495248Y1 (ko) * 2021-05-03 2022-04-08 허영웅 방갈로용 수상 좌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883B1 (en) Manual storage lift system
KR200395205Y1 (ko) 수중좌대용 지지다리의 기중구
US6976806B2 (en) Boatlift and movable canopy assembly
KR101657224B1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WO2012060070A1 (ja) 水流発電設備
KR20100006767A (ko)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JP7151236B2 (ja) ブレード取り付け装置
CN112352721A (zh) 一种可抗风浪的深海养殖网箱
KR20160142423A (ko) 갱웨이 지지용 개선된 페데스탈을 구비한 선박
KR200263045Y1 (ko) 양망기
KR101400008B1 (ko)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JP2002125887A (ja) 洋風便器設備
EP1528030B1 (en) Hoist for quickly lifting and positioning an object to a suitable height
JPH0310983A (ja) 浮遊ごみ回収装置
KR101773075B1 (ko) 선박의 옆질 방지장치
KR102530964B1 (ko) 낚싯배용 돛 장치
JP2507863B2 (ja) 昇降型スパッド櫓
KR101964216B1 (ko) 볼라드구조물
KR102092510B1 (ko) 연승기의 위치제어장치
JP4079700B2 (ja) マンホールの構造
KR200311435Y1 (ko) 조명탑의 안전걸쇠장치
KR102550478B1 (ko) 낚시용 수상 좌대의 승강장치
KR200360850Y1 (ko) 돔 또는 장어 낚시용 낚시 줄 인양기
JPH0733074A (ja) 海上作業台の係留方法
CN215878500U (zh) 一种花洒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