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899Y1 -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899Y1
KR200394899Y1 KR20-2005-0018791U KR20050018791U KR200394899Y1 KR 200394899 Y1 KR200394899 Y1 KR 200394899Y1 KR 20050018791 U KR20050018791 U KR 20050018791U KR 200394899 Y1 KR200394899 Y1 KR 200394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inyl house
insertion groove
hous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김안철
Original Assignee
김인철
김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철, 김안철 filed Critical 김인철
Priority to KR20-2005-0018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우천시 빗물이 비닐하우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를 개시한다. 비닐하우스 골조 파이프의 측부영역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에 있어서, 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 파이프를 복개하는 비닐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중간영역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재 및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원호형상의 삽입홈의 입구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비닐하우스 처마의 간격을 조절하여 우천시 비닐하우스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고정부에는 골조파이프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원호형상의 보조 삽입홈과 상기 보조 삽입홈의 양측에 형성되어 골조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삽입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조고정구를 더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지름의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EAVES SUPPORTER FOR A VINYL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의 통풍 및 환기 등을 위하여 골조파이프에 복개된 비닐을 상방으로 말아 올려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의 외측에 처마 형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처마지지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지름의 골조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는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의 측부영역에 설치되어 골조파이프에 복개된 측방비닐을 상부로 말아 올려서 처마처럼 외측으로 돌출시켜 통풍 및 환기를 시키고, 우천시에는 빗물이 비닐하우스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종래의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는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부(200)와 각 고정부(200)를 연결하는 지지부(300)로 구성된다.
고정부(200)는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에 양단이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원호형상의 삽입홈(220)이 형성되며 골조파이프(P)의 외경에 끼워지며 삽입홈(220)의 양측이 외측으로 확개되어 삽입되고, 동시에 복원되어 고정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300)는 각 고정부(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는 비닐하우스 내의 환기 및 통풍 등을 위하여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에 복개된 비닐(V)을 상부로 말아 올리게 되면 비닐(V)의 단부가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에 설치된 처마 지지구에 의해 처마 형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비닐하우스는 양측이 개방되어 비닐하우스 내의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우천시 처마 지지구의 외측으로 말아 올려진 비닐(V)은 처마 역할을 하여 빗물이 비닐하우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와 비닐(V) 사이에 설치되는 비닐하우스 처마 지지구는 처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바람을 동반한 우천시에는 비닐하우스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이루는 골조파이프(P)의 다양한 지름에 따라 골조파이프(P)의 지름과 일치하는 각각의 비닐하우스 처마 지지구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처마의 간격을 조절하여 우천시 비닐하우스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지름의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처마 지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골조 파이프의 측부영역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 파이프를 복개하는 비닐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중간영역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재 및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원호형상의 삽입홈의 입구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골조파이프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원호형상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양측에 형성되어 골조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삽입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조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와 골조파이프를 복개하는 비닐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어 빗물이 비닐하우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다양한 지름의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는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부(20)와 각 고정부(20)를 연결하는 지지부(30)와 지지부(30)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4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정부(20)는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의 외경에 끼워지도록 원호형상의 삽입홈(22)이 형성되며, 그 내경은 골조파이프(P)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삽입홈(22)의 입구 양측에는 끼워진 골조파이프(P)가 빠지지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24)이 형성된다. 고정부의 양단은 탄성을 갖는다. 이는, 골조파이프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30)는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와 복개되는 비닐(V)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사다리꼴로 형성되며 각 고정부(20)와 연결된다. 지지부(30)의 중앙영역에는 간격조절부재(40)가 끼워지기 위한 삽입공(32)이 형성된다.
간격조절부재(40)는 지지부(30)와 처마역할을 하는 비닐(V) 사이에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지지부(30)의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삽입공(32)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돌기(42)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처마지지구의 고정부(20)에 형성된 삽입홈(22)을 골조파이프(P)의 길이방향과 일치되도록 밀착시킨 후 압력을 가하게 되면, 고정부(20) 삽입홈(22)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4)은 골조파이프(P)의 외경을 따라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확개되고, 이어서 고정부(20)의 내경은 골조파이프(P)의 외경과 일치되며 삽입된다. 동시에 삽입홈(22)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4)은 탄성에 의해 다시 복원되며 골조파이프(P)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삽입홈(22)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4)에 의해 골조파이프(P)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비닐하우스에 환기 및 통풍 등을 위해 비닐하우스 양측의 비닐(V)을 상부로 말아 올려 처마형태를 이루도록 지지부(30)의 외측에 고정시키면 비닐하우스의 양측이 개방되어 환기 및 통풍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환기 및 통풍시 비가 내리더라도 비닐하우스 양측 상부로 말아 올려진 비닐(V)의 단부가 처마역할을 하여 빗물이 비닐하우스 내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비닐하우스 처마의 간격을 넓혀야 할 경우 즉, 바람을 동반하여 비가 내려 비닐하우스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골조파이프(P)에 설치된 처마 지지구의 지지부(30)와 처마역할을 하는 비닐(V)의 단부 사이에 간격조절부재(40)를 끼워넣어 처마의 간격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즉, 간격조절부재(40)의 돌출형성된 고정돌기(42)를 지지부(30)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삽입공(32)에 끼워 처마의 간격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간격조절부재(40)에 의해 비닐하우스 처마의 간격을 가변시킴으로써, 바람을 동반한 우천시에도 비닐하우스 내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조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는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에 끼워지는 고정부(20)의 내경에 보조고정구(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고정구(50)는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의 다양한 지름에 따라 처마 지지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골조파이프(P)가 삽입되기 위한 보조 삽입홈(52)이 형성된다. 보조 삽입홈(52)의 양측에는 골조파이프(P)가 이탈되지 않도록 보조 걸림턱(54)이 형성된다. 보조고정구(50)의 외경은 고정부(20)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그 내경은 골조파이프(P)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골조파이프(P)의 다양한 지름과 일치하도록 보조고정구(50)의 내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0)의 삽입홈(22)에 보조고정구(50)를 삽입시키게 되면, 삽입홈(22)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4)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확개되며 보조고정구(50)의 외경이 고정부(20)의 내경에 삽입되어 밀착되고, 동시에 확개된 삽입홈(22)의 양측 걸림턱(24)은 탄성에 의해 다시 복원되며 보조고정구(50)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20)의 삽입홈(22)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4)은 보조고정구(50)가 이탈되지 않도록 보조고정구(5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고정구(50)가 고정부(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에 삽입되면 보조고정구(50)의 보조 삽입홈(52) 양측에 형성된 보조 걸림턱(54)은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확개되고, 보조고정구(50)의 외측에 밀착 고정된 고정부(20)의 걸림턱(24) 또한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확개되며 골조파이프(P)에 삽입된다. 골조파이프(P)의 외경에 보조고정구(50)의 내경이 끼워짐과 동시에 고정부(20) 삽입홈(22)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4)과 보조고정구(50)의 보조 삽입홈(52) 양측에 형성된 보조 걸림턱(54)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며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고정구(50)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지름의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에 상관없이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P)에 처마 지지구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는 골조파이프와 복개되는 비닐 사이에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처마의 간격을 가변시켜 빗물이 비닐하우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지름의 골조파이프에 삽입 고정되도록 다양한 내경을 갖는 보조고정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지름의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의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고정부 22 : 삽입홈
24 : 걸림턱 30 : 지지부
32 : 삽입공 40 : 간격조절부재
42 : 고정돌기 50 : 보조고정구
52 : 보조 삽입홈 54 : 보조 걸림턱

Claims (3)

  1.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의 측부영역에 설치되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골조파이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를 복개하는 비닐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중간영역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재; 및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원호형상의 삽입홈의 입구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골조파이프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원호형상의 보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삽입홈의 양측에 형성되어 골조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삽입홈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보조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KR20-2005-0018791U 2005-06-29 2005-06-29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KR200394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91U KR200394899Y1 (ko) 2005-06-29 2005-06-29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91U KR200394899Y1 (ko) 2005-06-29 2005-06-29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899Y1 true KR200394899Y1 (ko) 2005-09-06

Family

ID=4369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791U KR200394899Y1 (ko) 2005-06-29 2005-06-29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8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652B1 (ko) * 2006-12-29 2007-06-07 주식회사에프아이디 비닐하우스용 골조파이프 지지장치
KR101939922B1 (ko) * 2017-11-23 2019-01-17 김홍민 비닐하우스용 개폐비닐 보호클립
KR20190136477A (ko) * 2018-05-31 2019-12-10 김홍민 비닐하우스용 개폐비닐보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652B1 (ko) * 2006-12-29 2007-06-07 주식회사에프아이디 비닐하우스용 골조파이프 지지장치
KR101939922B1 (ko) * 2017-11-23 2019-01-17 김홍민 비닐하우스용 개폐비닐 보호클립
WO2019103303A1 (ko) * 2017-11-23 2019-05-31 김홍민 비닐하우스용 개폐비닐 보호클립
KR20190136477A (ko) * 2018-05-31 2019-12-10 김홍민 비닐하우스용 개폐비닐보호장치
KR102059267B1 (ko) 2018-05-31 2019-12-24 김홍민 비닐하우스용 개폐비닐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5406B2 (en) Vent sealing device and system
US9851115B2 (en) Vent sealing device and system
WO2007024750A1 (en) Hybrid metal-plastic roof vent
US8117785B2 (en) Gutter system
KR200394899Y1 (ko)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JP2008115662A (ja) 建造物の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KR101965405B1 (ko) 비닐하우스 환기용 용마루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프레임 어셈블리
US20060179725A1 (en) Cover secured around a pipe passed through a building for ornamental and leakage-preventing purposes
KR200388543Y1 (ko) 온실용 지붕 환풍기
DK1118731T3 (da) Ledarmsmarkise med overdækning, især en kassettemarkise
JP3657108B2 (ja) 雨垂れ防止具
JP5097033B2 (ja) 片流れ屋根の棟換気構造
KR200406921Y1 (ko) 텐트
KR102636198B1 (ko) 온실 골조 환기 시스템
JP2005061089A (ja) 防水用シール具および防水用シール具を用いた防水装置
JPH1030382A (ja) 排水弁
JP3041417U (ja) ビニールハウス用結露水排水装置
KR100926581B1 (ko) 창틀 시스템
KR200309753Y1 (ko) 비닐하우스의 환기구 결로물받이
JP2005009197A (ja) 換気棟
JP2006194066A (ja) 換気棟
JPH0410765Y2 (ko)
KR200359243Y1 (ko)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KR100497469B1 (ko) 비닐하우스용 환기창
JP4575113B2 (ja) 排水管飾り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