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243Y1 -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9243Y1 KR200359243Y1 KR20-2004-0013937U KR20040013937U KR200359243Y1 KR 200359243 Y1 KR200359243 Y1 KR 200359243Y1 KR 20040013937 U KR20040013937 U KR 20040013937U KR 200359243 Y1 KR200359243 Y1 KR 2003592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lt
- tube
- connecting device
- pipe
- cros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관을 골조로 하는 포도 재배용 비가림 하우스, 작물 재배용 비닐하우스, 천막 등에 상호 교차되는 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는 서로가 교차되는 두개의 상, 하부관(5, 6)을 연결하는 것으로, 중간에는 상기 하부관(6)에 삽입되는 상부 개방홀(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상부 개방홀(11)의 양측에는 상단의 내측이 상기 상부관(5)에 걸리는 고리부(12)가 구비된 수직 장착판(1)과; 상기 수직 장착판(1)의 하단에서 상기 고리부(12)와 마주보게 절곡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 체결부(21)가 구비된 지지판(2); 상기 관통 체결부(21)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하부관(6)의 하부를 눌러 상, 하부관(5, 6)이 밀착 연결되게 하는 볼트(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관을 골조로 하는 포도 재배용 비가림 하우스, 작물 재배용 비닐하우스, 천막 등에 상호 교차되는 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도 재배용 비가림 하우스, 작물 재배용 비닐하우스, 천막 등에 사용되는 골조 등은 철사나 노끈 등을 사용하여 상호 교차되는 관을 연결한다.
즉 상호 교차되는 관을 연결할 경우 사용자가 상, 하부관이 상호 교차되는부분에 철사나 노끈을 사용하여 상, 하부관 둘레를 감아 상호 연결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호 연결된 관은 연결 부분이 취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철사나 노끈 등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한 관은 바람 등과 같은 외부의 힘을 받게 되면 관의 흔들림에 의해 철사나 노끈이 반복적으로 유동되게 된다.
그러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호 교차된 관을 연결하는 철사나 노끈 등이 헐거워짐으로써, 상, 하부관이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 하부관을 철사나 노끈 등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할 경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 앞서 서술한 철사나 노끈은 상호 교차된 관을 연결하고 남은 여유분을 절단하기 위해 펜치나 커터 등의 절단도구를 사용해야 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상호 교차되는 관의 연결부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볼트의 상단과 하부관의 사이에 구비된 이동 누름판 또는 유동 누름판을 통해 상기 볼트가 상부로 누르는 힘인 연결력을 좀더 증대시킬 수 있는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도 있다.
또 본 고안은 고리부가 상부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설치 후 외력으로 인하여 고리부가 상부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작동 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관통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 장착판
11 : 상부 개방홀
12 : 고리부
2 : 지지판
21 : 관통 체결부
211 : 탭홀, 212 : 관통홀, 213 : 너트
3 : 볼트
4 : 유동 누름판
5 : 상부관
6 : 하부관
7 : 벤딩홈부
8 : 이동 누름판
81 : 가이드 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는 서로가 교차되는 두개의 상, 하부관을 연결하는 것으로, 중간에는 상기 하부관에 삽입되는 상부 개방홀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상부 개방홀의 양측에는 상단의 내측이 상기 상부관에 걸리는 고리부가 구비된 수직 장착판과 상기 수직 장착판의 하단에서 상기 고리부와 마주보게 절곡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 체결부가 구비된 지지판 상기 관통 체결부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하부관의 하부를 눌러 상, 하부관이 밀착 연결되게 하는 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상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포도 재배용 비가림 골조, 비닐하우스, 천막 등에 본 고안이 사용될 수 있으나 후술하게 될 연결장치는 포도 재배용 비가림 골조에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 1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교차되는관의 연결장치는 서로가 교차되는 두개의 상, 하부관(5, 6)을 연결하는 것으로, 중간에는 상기 하부관(6)에 삽입되는 상부 개방홀(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상부 개방홀(11)의 양측에는 상단의 내측이 상기 상부관(5)에 걸리는 고리부(12)가 구비된 수직 장착판(1)과 상기 수직 장착판(1)의 하단에서 상기 고리부(12)와 마주보게 절곡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 체결부(21)가 구비된 지지판(2) 상기 관통 체결부(21)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하부관(6)의 하부를 눌러 상, 하부관(5, 6)이 밀착 연결되게 하는 볼트(3)로 구성된다.
즉 상호 교차되는 상, 하부관(5, 6)에 있어 상기 수직 장착판(1)의 상기 상부 개방홀(11)이 상기 하부관(6)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상부 개방홀(11)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고리부(12)가 상기 상부관(5)에 걸리게 되어 상기 수직 장착판(1)이 상기 상, 하부관(5, 6)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에 구비된 상기 관통 체결부(21)에 수직으로 체결된 상기 볼트(3)가 상부로 힘을 가할 경우 상기 하부관(6)의 하부를 누르게 되어 이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상, 하부관(5, 6)이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고안의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를 사용할 경우 먼저 상, 하부관(5, 6)이 상호 교차되는 상기 하부관(6)에 상기 수직 장착판(1)의 상기 상부 개방홀(11)을 상기 하부관(6)에 삽입 관통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상부 개방홀(11)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고리부(12)를 상기 상부관(5)에 밀착시켜 걸리게 하여 상기 수직 장착판(1)을 상기 상, 하부관(5, 6)에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고리부(12)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상부관(5)에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부(12)가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12)의 내측이 상기 상부관(5)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관(5)에 상기 고리부(12)가 밀착됨으로써, 설치 후 외력으로 인하여 상기 고리부(12)가 상기 상부관(5)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관통 체결부(21)에 수직으로 체결된 상기 볼트(3)를 회전시켜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이동된 상기 볼트(3)의 상단이 상기 하부관(6)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볼트(3)의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상, 하부관(5, 6)이 상호 밀착 연결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관통 체결부(21)는 상기 지지판(2)에 상기 볼트(3)가 체결되는 탭홀(211)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탭홀(211)에 상기 볼트(3)가 체결되고 상기 볼트(3)가 상기 탭홀(211)을 통해 상, 하부의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3)는 아이 볼트나 나비 볼트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3)의 머리 형상이 사각이나 육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제 2실시예로서, 상기 볼트(3)의 상단과 하부관(6)의 사이에는, 전방 양측에 가이드 홈(8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81)이 상부 개방홀(11)의 양측을 따라 상, 하로 이동되어 상기 볼트(3)의 상승시 상기 하부관(6)의 누르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이동 누름판(8)이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관통 체결부(21)에 체결된 상기 볼트(3)를 상부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볼트(3)의 상단이 상기 하부관(6)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이동 누름판(8)의 하면에 밀착 되면서 상기 이동 누름판(8)의 가이드 홈(81)이 상부 개방홀(11)의 양측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3)를 통해 상기 이동 누름판(8)의 상면이 상기 하부관(6)의 하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볼트(3)가 상부로 누르는 힘이 상기 이동 누름판(8)을 통해 상기 하부관(6)의 하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확장되어 상기 상, 하부관(5, 6)의 연결력이 좀더 증대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작동 후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의 제 3실시예로서, 상기 볼트(3)의 상단과 하부관(6)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개방홀(11)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관(6)과 간격을 두고 절곡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의 상승시 상기 하부관(6)의 누르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유동 누름판(4)이 더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관통 체결부(21)에 체결된 상기 볼트(3)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볼트(3)의 상단이 상기 하부관(6)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유동 누름판(4)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볼트(3)를 통해 상기 유동 누름판(4)의 상면이 상기 하부관(6)의 하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동 누름판(4)은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게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호 연결된 상, 하부관(5, 6)을 분리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볼트(3)를 회전시켜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하부관(6)을 누르고 있는 상기 유동 누름판(4)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관(6)에서 이탈된다.
또한,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관통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통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관통 체결부(21)는 상기 지지판(2)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3)가 관통되는 관통홀(212)과, 상기 볼트(3)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212)의 직경보다 작은 탭공을 가지는 너트(213)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2)에 고정 구비되는 상기 너트(213)는 상기 관통홀(212)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 구비될 수 있으나 후술하게 될 상기 너트(213)는 상기 관통홀(212)의 상면에 고정 구비된 예로서 설명한다.
즉 상기 볼트(3)의 지름은 상기 너트(213)의 탭공과 같이 때문에 상기 볼트(3)의 직경보다 큰 상기 관통홀(212)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볼트(3)가 상기 관통홀(212)에 삽입 관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2)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너트(213))에 상기 볼트(3)가 체결되어 상기 너트(213))를 통해 상기 볼트(3)가 상부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너트(213)는 상기 지지판(2)의 상면과 접촉되는 상기 너트(213)의 둘레에 용접을 통해 상기 너트(213)를 상기 지지판(2)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는 관통 체결부에 수직으로 체결된 볼트가 하부관의 하면을 상부로 눌러주는 힘에 의해 상, 하부관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이 연결력을 통해 상, 하부관이 견고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볼트 상단과 하부관 사이에 이동 누름판 또는 유동 누름판이 구비됨으로써, 볼트가 상부로 누르는 힘이 이동 누름판 또는 유동 누름판을 통해 하부관의 하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확장되어 상, 하부관의 연결력이 좀더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고리부가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관에 고리부의 내측이 밀착됨으로써, 설치 후 외력으로 인하여 고리부가 상부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 서로가 교차되는 두개의 상, 하부관(5, 6)을 연결하는 것으로,중간에는 상기 하부관(6)에 삽입되는 상부 개방홀(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상부 개방홀(11)의 양측에는 상단의 내측이 상기 상부관(5)에 걸리는 고리부(12)가 구비된 수직 장착판(1)과;상기 수직 장착판(1)의 하단에서 상기 고리부(12)와 마주보게 절곡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 체결부(21)가 구비된 지지판(2);상기 관통 체결부(21)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하부관(6)의 하부를 눌러 상, 하부관(5, 6)이 밀착 연결되게 하는 볼트(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의 상단과 하부관(6)의 사이에는,전방 양측에 가이드 홈(8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81)이 상부 개방홀(11)의 양측을 따라 상, 하로 이동되어 상기 볼트(3)의 상승시 상기 하부관(6)의 누르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이동 누름판(8)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의 상단과 하부관(6)의 사이에는,상기 상부 개방홀(11)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관(6)과 간격을 두고 절곡되게구비되어 상기 볼트(3)의 상승시 상기 하부관(6)의 누르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유동 누름판(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체결부(21)는,상기 지지판(2)에 상기 볼트(3)가 체결되는 탭홀(2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체결부(21)는,상기 지지판(2)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3)가 관통되는 관통홀(212)과, 상기 볼트(3)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212)의 직경보다 작은 탭공을 가지는 너트(2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12)는,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관(5)에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12062 | 2004-04-29 | ||
KR2020040012062 | 2004-04-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9243Y1 true KR200359243Y1 (ko) | 2004-08-16 |
Family
ID=4943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3937U KR200359243Y1 (ko) | 2004-04-29 | 2004-05-19 |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924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2914A (ko) * | 2016-04-28 | 2017-11-07 | 배응섭 |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
KR20190073713A (ko) * | 2017-12-19 | 2019-06-27 | 홍정 |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고정장치 |
-
2004
- 2004-05-19 KR KR20-2004-0013937U patent/KR20035924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2914A (ko) * | 2016-04-28 | 2017-11-07 | 배응섭 |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
KR101992938B1 (ko) | 2016-04-28 | 2019-06-25 | 배응섭 |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
KR20190073713A (ko) * | 2017-12-19 | 2019-06-27 | 홍정 |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고정장치 |
KR102002062B1 (ko) * | 2017-12-19 | 2019-10-21 | 홍정 |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고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5015906A (ja) | フィルム止め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露回収構造 | |
KR200359243Y1 (ko) | 교차되는 관의 연결장치 | |
KR20080075434A (ko) |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 |
KR100916185B1 (ko) | 앵커볼트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행거 | |
KR200394899Y1 (ko) |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 |
KR20190083705A (ko) | 패드 결합형 비닐하우스용 골조 | |
KR200413233Y1 (ko) | 비닐하우스용 형강 프레임 | |
KR20210136658A (ko) | 과실나무 가지용 지주 캡 | |
KR200255422Y1 (ko) | 포도재배용 철선유인구 | |
KR100854085B1 (ko) | 포도 재배용 와이어 연결구 | |
KR200394551Y1 (ko) | 농작물 재배용 가림막 지지대 설치부재 | |
CN210732668U (zh) | 一种便于对软带进行拉紧固定的软带打孔器 | |
KR101083692B1 (ko) | 비닐하우스의 서까래 보강장치 | |
JP2008082105A (ja) | 竪樋の支持装置 | |
KR200424551Y1 (ko) | 포도 비가림 프레임용 연결 고정구 | |
KR100806538B1 (ko) | 포도 비가림 프레임용 연결 고정구 | |
CN210641703U (zh) | 一种便于搭设的猕猴桃种植架 | |
CN220669559U (zh) | 一种安装稳固的组装基板 | |
CN219182188U (zh) | 一种挂墙式的园艺种植槽 | |
CN214229105U (zh) | 一种具有卡槽的温室大棚天沟结构 | |
CN216641116U (zh) | 一种拼接式铝扣板 | |
CN216314279U (zh) | 一种具有降低雨槽漏水功能的温室大棚雨槽 | |
JP3129996U (ja) | バンド無しタイプたて樋 | |
JP4841374B2 (ja) | クリーンルーム等の天井構造 | |
JP3112357U (ja) | 蔓性作物の支持ロープ支持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80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