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808Y1 - 교통 표지판 - Google Patents

교통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808Y1
KR200391808Y1 KR20-2005-0012474U KR20050012474U KR200391808Y1 KR 200391808 Y1 KR200391808 Y1 KR 200391808Y1 KR 20050012474 U KR20050012474 U KR 20050012474U KR 200391808 Y1 KR200391808 Y1 KR 200391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lamp
synthetic resin
fastening
traffic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순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2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8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판재의 일측 표면에 잔넬을 위치시키고, 상기 판재 및 잔넬을 감싸도록 상기 판재의 일부 또는 전체에 합성수지를 형성함으로서, 용접 등과 같은 접합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잔넬과 판재을 결합하여 무게가 가벼워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 가격이 저렵하다는 장점이 있는 교통 표지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 표지판{Traffic Sign}
본 고안은 교통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판제 전체 또는 일부에 합성수지를 덮도록 형성하여 무게를 가볍게할 뿐만 아니라 상기 판제와 합성수지사이에 잔넬을 인서트하여 용접 등과 같은 접합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교통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표지판은 도로의 중앙선 또는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도로의 상태 또는 방향 즉, 운행속도 제한 표시, 보행자 주의, 방향표시, 미끄럼 방지 표시, 오르막 또는 내리막 경사표시 및 교차로 형태 표시 등을 안내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가고자하는 목적지를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교통 표지판의 여러 종류 중에서 도로의 굴곡 또는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려주는 갈매기 표지판이 있다.
상기 갈매기 표지판은 크게 표시부와 지지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표지부는 알루미늄 판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지부를 지표 등에 고정하기 위해 철재 지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표지부의 앞면은 갈매기 형태의 표시가 부착되어 있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표지부의 뒷면에는 상기 지지부와 지주과 상기 표지부의 알루미늄 판재를 고정하기 위한 잔넬이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잔넬은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30cm 정도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지부의 알루미늄 판재는 왕복 차선에서 동시에 인식되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V-케팅을 통해 90도로 접어져있고, 알루미늄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자리를 15도 정도 절곡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갈매기 표지판은 절곡 또는 용접 공정을 이용함으로서 복잡한 공정으로 제조되고, 알루미늄 판재 및 지주를 이용함으로서 무게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판제 전체 또는 일부에 합성수지를 덮도록 형성하여 무게를 가볍게할 뿐만 아니라 상기 판제와 합성수지사이에 잔넬을 인서트하여 용접 등과 같은 접합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교통 표지판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판재; 상기 판재의 일측 표면의 소정 영역에 위치한 복수 개의 잔넬; 상기 판재 및 잔넬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고 있는 합성수지; 및 상기 판재의 타측 표면상에 위치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지주; 상기 지주의 일측 끝단을 중심으로 일측면의 중앙부가 소정의 곡율로 구부러져 있고 일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 및 상기 제2클램프의 끝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클램프의 소정 영역과 상기 제2클램프를 결합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램프의 끝단부와 상기 잔넬을 제2체결부로 체결하여 상기 표시부와 지지부를 결합하는 것로 이루어진 교통 표지판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인 교통 표지판의 일부부인 표시부의 앞면과 뒤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교통 표지판은 크게 표시부와 지지부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도 1a 및 도 1b는 각각 표시부의 앞면 및 뒷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출 또는 브로우 성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로 감싸아져 있다.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표시부의 앞면(100)의 소정 영역에 검정색의 씨트지(101)가 부착되어 있고, 그 주위를 초고휘도의 반사지(102)가 부착되어 있어 갈매기 모양이되도록 한다. 또한, 앞면(100)의 수직 이등분선(103a)을 중심으로 양쪽은 대칭이 되도록 다른 씨트지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앞면(100)의 가장자리 즉, 테두리는 다른 영역에 비해 돌출되어 있는 턱(104a)이 위치하고 있는데, 표지판을 쌓아 놓거나 이동할 때, 상기 씨트지(101) 또는 반사지(102)가 긁히거나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턱(104a) 안쪽에는 다른 영역에 비해 함몰된 제1홈(105a)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표지판이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수직 이등분선(103a)을 중심으로 일정한 폭은 다른 영역, 특히 씨트지(101))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에 비해 파여 있는데, 이 영역을 절곡 영역(106a)이라하고, 상기 절곡 영역(106a)이 다른 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은 것을 이용하여 상기 표지판을 뒷면 방향으로 둔각 이하, 바람직하게는 90도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턱(104a), 제1홈(105a), 씨트지(101) 또는 반사지(102)가 부착된 영역 및 절곡 영역(106a)의 두께는 상기 표시부의 표면을 덮고 있는 합성수지의 두께로 결정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턱(104a)은 상기 합성수지가 가장 두껍게 덮혀 있는 영역이고, 상기 제1홈(105a) 및 절곡 영역(106a)은 가장 얇게 덮혀 있는 영역인 반면, 상기 씨트지(101) 또는 반사지(102)가 부착된 영역은 중간의 두께로 덮혀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지(102)는 상기 턱(104a) 및 제1홈(105a)이 형성된 영역 및 씨트지(101)가 부착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표시부의 앞면(100)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데, 상기 표시부를 접었을 때, 상기 씨트지(101)가 갈라지거나 찌져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부착한다.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표시부의 뒷면(11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앞면(100)에 대응하는 위치에 뒤면(110)의 다른 영역에 비해 돌출된 턱(104b) 및 다른 영역에 비해 함몰된 제1홈(105b)이 상기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홈(105b)의 안쪽에는 상기 턱(104b)과 같은 높이거나 조금 낮은 리브(111)가 위치하고 있는데, 상기 리브(111)는 상기 표시부가 뒤틀리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표시부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브(111)의 안쪽에는 상기 제1홈(105a)과 동일한 형태 및 역할을 하는 제2홈(112b)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앞면(100)의 수직 이등분선(103a)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뒤면(111)의 수직 이등분선(103b)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이등분선(103b)을 중심으로 일정한 폭은 다른 영역, 브릿지(113) 및 잔넬(120)이 형성된 영역(이때, 이 영역은 상기 앞면(100)의 씨트지(101) 및 반사지(10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임)에 비해 파여 있는데, 이 영역을 절곡 영역(106b)(이때, 상기 절곡 영역(106b)는 앞면의 절곡 영역(106a)과 대응하고 있다.)이라하고, 상기 절곡 영역(106b)이 다른 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은 것을 이용하여 상기 표지판을 둔각 이하, 바람직하게는 90도로 접을 수 있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인 교통 표지판 중 표시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도 2a는 도 1a의 Ⅰ-Ⅰ'선의 단면도와 도 1b의 Ⅱ-Ⅱ'선의 단면도를 동시에 도시하여 표시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2c는 상기 도 1b의 Ⅲ-Ⅲ'선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표시부의 내부에는 알루미늄 판재(200)가 위치하고, 상기 알루미늄 판재(200)을 합성수지(201)가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고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201)는 사출 또는 블로우 성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 판재(200)의 소정 영역에는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브릿지(113)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알루미늄 판재(200)의 소정 영역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을 매우면서, 앞면(100)의 합성수지와 뒷면(110)의 합성수지(201)가 서로 접촉하여 결합함으로서 상기 합성수지(201)가 상기 알루미늄 판재(200)에 잘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곡 영역(106a, 106b)의 두께(T1)는 다른 영역의 두께(T2)에 비해 아주 얇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서는 상기 절곡 영역(106a, 106b)에 합성수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절곡 영역(106a, 106b)의 두께가 얇은 알루미늄 판재(200)을 이용하고, 이 영역에 얇은 합성수지를 덮도록 형성되나 전체의 두께는 얇게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절곡 영역(106a, 106b)의 두께(T1)이 다른 영역에서보다 얇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쉽게 접을 수 있고, 백화나 파단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 있다.
상기 표시부의 가장 자리를 자세히 도시하고 있는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h1의 두께로 가장 두꺼운 턱(104a, 104b)이 상기 표시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턱(104a, 104b)의 안쪽에는 h2의 두께를 갖는 제1홈(105a, 105b)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홈(105a, 105b)과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h3의 두께를 갖는 제2홈(112)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홈(105a, 105b)과 제2홈(112)사이에 적어도 턱(104a, 104b)의 두께에 비해 같거나 얇고, 제1홈(105a, 105b)과 제2홈(112)의 두께보다는 두꺼운 h4의 두께를 갖는 리브(111)가 위치하고 있다.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b에서 상술한 잔넬(120)이 상기 알루미늄 판재(200)에 결합되어 있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잔넬(120)의 바닥부(121)가 상기 알루미늄 판재(200) 상에 위치하고, 상기 합성수지(201)가 상기 잔넬(120)의 바닥부(121)와 알루미늄 판재(200)을 동시에 감싸고 있음으로서 상기 잔넬(120)이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잔넬(120)의 바닥부 자체가 상기 알루미늄 판재(200)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알루미늄 판재(200)가 잔넬(120)의 바닥부가 되어, 상기 잔넬(120)의 팔(122)이 상기 알루미늄 판재(200)의 소정 영역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넬(120)의 팔(122)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 영역에는 합성수지(201)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의해서는 상기 팔(122)의 일부를 덮는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잔넬(120)의 팔(122)의 높이(h5)는 상기 합성수지(201)의 높이(h6)와 같은 높이이거나 낮아야 하는데, 이는 상기 잔넬(120)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복수 개 적층하는 경우 다른 표시부에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교통 표지판 중 지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지주(300)의 일측 끝단이 지표 또는 콘크리트 등에 매립되어 있고, 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표시부를 체결하는 체결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체결 장치는 제1클램프(301), 제2클램프(302) 및 상기 제1클램프(301)와 제2클램프(302)를 고정하는 제1체결부(30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303)는 볼트(303a) 및 너트(30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클램프(301) 및 제2클램프(302)는 상기 지주(300)와 다른 곡률을 갖고 있어, 상기 지주(300)을 가운데 두고 상기 제1클램프(301) 및 제2클램프(302)가 서로 마주보도록 한 후, 상기 제1클램프(301)의 양 끝단에서 볼트(303a) 및 너트(303b)를 이용하여 제1클램프(301) 및 제2클램프(302)를 상기 지주(30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2클램프(302)는 상기 지주(30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되, 양 끝단의 소정 길이는 소정의 각도(θ)로 구부러져 있고, 상기 양끝단의 소정 영역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구멍(30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교통 표지판의 표시부 및 지지부를 체결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표시부의 뒷면(110) 방향으로 수직 이등분선(103a, 103b)을 중심으로 90도로 접혀있고, 상기 지지부의 제2클램프(302)의 양 끝단이 상기 표시부의 잔넬(120)과 제2체결부(310)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의 B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표시부와 지지부가 체결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잔넬(120)의 팔(122)사이로 상기 제2클램프(302)의 끝단을 삽입하고, 상기 제2체결부(310)의 볼트(310a) 및 너트(310b)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체결부(310)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5는 본 고안인 교통 표지판을 야외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갈매기 표지판을 야외에 설치한 것으로, 지주(300)의 끝단을 콘크리트(320)로 고정하여 지표에 묻음으로서 상기 갈매기 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통 표지판인 갈매기 표지판은 상기 표시부가 알루미늄 판재의 겉면에 합성수지를 덮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표시부가 알루미늄 판재로만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비해 상기 합성수지의 특성(변형에 대한 복원력, 충격 흡수력)에 의해 변형에 의한 복원이 쉽고, 외부에 의한 충격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서 재료비가 절감하고, 가벼워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잔넬을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지 않고, 합성수지를 덮어 부착하여 제작비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제작 공정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잇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명의 교통 표지판은 알루미늄 판재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비가 저렴하고, 그 무게가 가벼워 이동 및 설치 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변형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작은 변형은 쉽게 복원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인 교통 표지판의 일부부인 표시부의 앞면과 뒤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인 교통 표지판 중 표시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교통 표지판 중 지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교통 표지판의 표시부 및 지지부를 체결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B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표시부와 지지부가 체결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교통 표지판을 야외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a, 104b : 턱 111 : 리브
113 : 브릿지 120 : 잔넬
200 : 알루미늄 판재 201 : 합성수지
300 : 지주 303 : 제1체결부
310 : 제2체결부

Claims (10)

  1. 판재;
    상기 판재의 일측 표면의 소정 영역에 위치한 복수 개의 잔넬;
    상기 판재 및 잔넬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고 있는 합성수지; 및
    상기 판재의 타측 표면상에 위치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지주;
    상기 지주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 및
    상기 제2클램프의 끝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클램프의 소정 영역과 상기 제2클램프를 결합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램프의 끝단부와 상기 잔넬을 제2체결부로 체결하여 상기 표시부와 지지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수직 이등분을 중심선으로 일측 표면의 양쪽의 사이각이 둔각이 되도록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수직 이등분을 중심선으로 일측 표면의 양쪽의 사이각이 90도가 되도록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수직 절곡 영역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판재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두께가 다른 영역의 판재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두께에 비해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일측 표면 및 타측 표면의 가장자리에는 다른 영역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턱과는 안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턱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턱과 리브 사이에 상기 턱과 리브 보다 높이가 낮은 제1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소정 영역상에 완전히 관통하는 구멍을 더 포함하고 있어 상기 판재의 일측 표면과 타측 표면에 각각 감싸고 있는 합성수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넬의 높이는 상기 판재상의 합성수지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는 각각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KR20-2005-0012474U 2005-05-03 2005-05-03 교통 표지판 KR200391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474U KR200391808Y1 (ko) 2005-05-03 2005-05-03 교통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474U KR200391808Y1 (ko) 2005-05-03 2005-05-03 교통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808Y1 true KR200391808Y1 (ko) 2005-08-09

Family

ID=4369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474U KR200391808Y1 (ko) 2005-05-03 2005-05-03 교통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8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117B1 (ko) 2020-08-31 2021-06-03 김정호 부착기반 조명식 표지판 어셈블리
KR102274056B1 (ko) 2020-09-29 2021-07-06 김정호 스마트 도로경계석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117B1 (ko) 2020-08-31 2021-06-03 김정호 부착기반 조명식 표지판 어셈블리
KR102274056B1 (ko) 2020-09-29 2021-07-06 김정호 스마트 도로경계석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8320A (en) Reflective paving marker
US7473051B2 (en) Flexible route marker
KR200391808Y1 (ko) 교통 표지판
US5974712A (en) Traffic sign
US20140293421A1 (en) Three-sided reflector for use on sign post
US20040067105A1 (en) Highway guard rail warning and delineating device
EP0514466B1 (en) Reflector, especially for display signs and road signs, and a sign manufactured thereof
JP2674698B2 (ja) 道路用視線誘導標
KR101571817B1 (ko) 표지판의 각도 조정장치
JP3557451B2 (ja) 反射体付き柵およびこの柵に取り付けられる反射体付き継手
US5365372A (en) Reflector road sign
JPH11173319A (ja) 反射ボルト
CN213417617U (zh) 轮廓标
JP3594783B2 (ja) 道路鋲
KR102602809B1 (ko) 고휘도 특성을 가지며 모듈화 된 차선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6299661A (ja) 光再帰性反射標識物
KR200191507Y1 (ko) 차선표시용 도로표지병
KR200179546Y1 (ko)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JP3223345U (ja) 光反射具
JP4223974B2 (ja) 道路鋲
JPS6022088Y2 (ja) 視線誘導標
JP3576381B2 (ja) 反射体付き支柱及び防護柵
KR200336661Y1 (ko) 공사장용 안전콘
CA2569442C (en) Flexible route marker
KR200345527Y1 (ko) 도로용 안전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