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287Y1 - 조리용 솥 - Google Patents

조리용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287Y1
KR200391287Y1 KR20-2005-0013995U KR20050013995U KR200391287Y1 KR 200391287 Y1 KR200391287 Y1 KR 200391287Y1 KR 20050013995 U KR20050013995 U KR 20050013995U KR 200391287 Y1 KR200391287 Y1 KR 200391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ange
cooking
cooking pot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김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욱 filed Critical 김진욱
Priority to KR20-2005-0013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 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물이 아닌 프레스 가공을 통해 솥의 본체와 플렌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솥을 이용하여 한 번에 두가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솥에 관한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플렌지가 형성된 조리용 솥에 있어서, 일정 높이에 내측으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 상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하부에는 스커트 형상으로 확관 형성된 플렌지; 및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찜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된 본체와 플렌지의 상부가 외측으로 동시에 말려 일체로 고정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조리용 솥{KETTLE FOR COOKING}
본 고안은 조리용 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물이 아닌 프레스 가공을 통해 솥의 본체와 플렌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솥을 이용하여 한 번에 두가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밥이나 국 등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용 솥은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외주연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렌지로 이루어지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조리용 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주형틀에 쇳물을 부은 후 일정시간을 경과하여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성형된 솥의 거친 표면에 대하여 그라인딩 공정을 거쳐 제품이 완성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조리용 솥을 형성하기 위하여 여러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이고, 그에 따른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리용 솥은 무쇠를 이용하여 주형 재작됨으로서 무거워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여 하나의 음식만을 조리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주물을 통해 생산되는 솥의 경우 그 본체에 다단의 구획턱을 형성하게 되면 주형시 절곡된 성형틀에 대하여 기포가 발생되거나 그로 인해 절곡부의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는 등 여러 불량의 요인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형에 의해 생산되는 솥의 경우 그 내부에 다단의 구획턱을 형성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획턱이 형성된 솥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주물이 아닌 프레스 가공을 통해 솥의 본체와 플렌지를 일체로 결합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솥을 이용하여 한 번에 두가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솥의 본체와 플렌지를 각 용도에 적합한 다른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플렌지가 형성된 조리용 솥에 있어서,
일정 높이에 내측으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 상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하부에는 스커트 형상으로 확관 형성된 플렌지; 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된 본체와 플렌지의 상부가 외측으로 동시에 말려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본체는 프레스 가공이 용이하면서 열전도율이 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는 프레스 가공이 용이하면서 긁힘에 대한 내구성이 크고 광택의 유지가 양호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걸림턱에 안착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찜판이 더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솥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솥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솥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조리용 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플렌지(20)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안착되는 찜판(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에 음식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조리공간을 갖되, 그 일정 높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의 걸림턱(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10)는 주형이 아닌 프레스 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프레스 성형이 용이하고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렌지(20)는 본체(10) 외주면에 형성되어 용이하게 파지하거나 별도의 주방시설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리시 하부의 열기가 본체(10)의 외면을 따라 빠르게 수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렌지(20)는 본체(10)와 밀착되는 상부와 스커트 형상으로 확관되는 하부로 구분되는데, 상기 스커트 형상의 하부 외주연은 내측으로 말린 상태로서 제공된다.
즉, 상기 플렌지(20)는 주형이 아닌 프레스 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프레스(20) 성형이 용이하며 긁힘에 대한 내구성이 크고 광택의 유지가 양호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외주면에 스커트의 상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프레스를 통해 그 상단을 동시에 외측으로 말아서 고정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와 플렌지(20)가 말린 정도는 상기 플렌지(20)가 말린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대략 360도 가량 말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찜판(30)은 하부에 조리되는 음식과는 달리 고온의 수증기열에 의해 익는 찜용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걸림턱(12)에 안착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면상에는 하부에서 발생된 열기가 순환되도록 다수개의 통공(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조리용 솥에 의하면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 재질에 의해 솥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보관이나 취급이 보다 간편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를 구성하는 금속의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열전도율이 크기 때문에 신속한 조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테인리스 재질의 플렌지(20)를 통해 상승되는 열기의 역순환 내지 잠열의 정체의 의해 열효율이 더욱 향상된 구성을 갖게 된다.
더욱이 찜판(30)을 이용하여 한 번에 조리와 찜의 두 가지 요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리용 솥에 의하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을 사용한 프레스 가공을 통해 솥의 본체와 플렌지를 일체로 결합 형성함에 따라 제품 생산에 따른 공정의 간소화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는 물론이고, 상기 솥 내부에 찜판을 안착시킴으로서 한 번에 조리와 찜이 가능하여 요리의 효율과 연료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솥의 본체와 플렌지를 각각의 용도에 맞게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형성함에 따라 조리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솥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솥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 솥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본체 12: 걸림턱
20: 플렌지 30: 찜판
32: 통공

Claims (3)

  1.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플렌지가 형성된 조리용 솥에 있어서,
    일정 높이에 내측으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 상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하부에는 스커트 형상으로 확관 형성된 플렌지; 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된 본체와 플렌지의 상부가 외측으로 동시에 말려 일체로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프레스 가공이 용이하면서 열전도율이 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는 프레스 가공이 용이하면서 긁힘에 대한 내구성이 크고 광택의 유지가 양호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솥.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걸림턱에 안착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찜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솥.
KR20-2005-0013995U 2005-05-18 2005-05-18 조리용 솥 KR200391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995U KR200391287Y1 (ko) 2005-05-18 2005-05-18 조리용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995U KR200391287Y1 (ko) 2005-05-18 2005-05-18 조리용 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287Y1 true KR200391287Y1 (ko) 2005-08-01

Family

ID=4369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995U KR200391287Y1 (ko) 2005-05-18 2005-05-18 조리용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2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605A (ko) * 2019-10-25 2021-05-06 (주)쿠첸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605A (ko) * 2019-10-25 2021-05-06 (주)쿠첸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6125B1 (ko) * 2019-10-25 2021-12-08 (주)쿠첸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3511A (en) Cooking vessel
KR100609247B1 (ko) 이중 가열식 냄비 구조
JP2010088868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底部およびフェライト系または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ボウルを有する食物調理機器
KR200391287Y1 (ko) 조리용 솥
CN203953359U (zh) 烹饪器具及其内锅
CN210354306U (zh) 一种集蒸、煮、炖一体的分体式结构锅
CN213309008U (zh) 蒸笼和烹饪器具
CN205457996U (zh) 一种家用隔热珐琅锅
CN201160762Y (zh) 一种蒸锅组结构
KR20180001912U (ko) 조리 공간이 구획된 냄비
GB2049400A (en) Cooking vessel
CN216060149U (zh) 一种蒸桶
CN220045574U (zh) 烹饪器具组件
KR200483587Y1 (ko) 조리 공간이 구획된 냄비
CN209995940U (zh) 内锅及烹饪器具
CN221083412U (zh) 干蒸组件及电蒸锅
CN219742491U (zh) 一种蒸烤盘
CN201015537Y (zh) 新型电饭煲内胆
CN218304504U (zh) 一种五层钢蒸锅
CN208957726U (zh) 养生壶
JP3013233U (ja) 調理用器具
CN210018942U (zh) 多功能组合式锅具
KR200350547Y1 (ko) 조리용기
KR200363750Y1 (ko) 취사용 솥
JPS5851844Y2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