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605A -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605A
KR20210049605A KR1020190134107A KR20190134107A KR20210049605A KR 20210049605 A KR20210049605 A KR 20210049605A KR 1020190134107 A KR1020190134107 A KR 1020190134107A KR 20190134107 A KR20190134107 A KR 20190134107A KR 20210049605 A KR20210049605 A KR 20210049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ot
cooking
cooking appliance
low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125B1 (ko
Inventor
노익준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13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용기 형태를 가지고,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형태의 솥전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 및 상기 하부 구조 상에 접합되고 중공부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기 상부 구조는 서로 상이한 물질 조성을 가지는 조리기기용 내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INNER POT FOR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용 내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솥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전기 압력 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전기 압력 밥솥은 본체의 상부에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 뚜껑이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며, 이 내솥을 덮을 수 있도록 내솥 뚜껑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 내에는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 재료, 즉 쌀이나 잡곡, 기타 음식 재료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가열 방식 또는 열판 방식의 히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솥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용기 형태를 가지고,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형태의 솥전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 및 상기 하부 구조 상에 접합되고 중공부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기 상부 구조는 서로 상이한 물질 조성을 가지는 조리기기용 내솥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상부 구조의 열 전도율은 상기 하부 구조의 열 전도율보다 크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부 구조는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가 접합된 클래드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상부 구조의 내측면은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기기용 내솥의 내측면은 상기 솥전에 인접한 부분에서 단차부를 가진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하부 구조 및 상부 구조를 준비하는 제1 단계로서, 상기 하부 구조는 용기 형태를 가지고,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형태의 솥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는 중공부를 가지는,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하부 구조 상에 상기 상부 구조를 접합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기 상부 구조는 서로 상이한 물질 조성을 가지는 조리기기용 내솥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리기기의 취사 동작 또는 보온 동작 시 내솥의 상부의 열 전달 효율이 향상되므로, 내솥 내의 온도차로 인한 물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내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내솥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내솥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내솥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의 잠금 링을 이용한 잠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내솥(3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내솥(300)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조리기기용 내솥(300)은 조리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형태를 가지는 내솥 본체(310)와, 내솥 본체(310)의 외측면 상에 돌출 형성된 솥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솥전(320)은 내솥 본체(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솥전(320)은 내솥 본체(31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내솥 본체(310)의 높이의 대략 10% 내지 60% 사이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고리 형태의 솥전(320)을 포함하므로, 내솥(300)은 대략 가마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솥전(320)은 내솥(300)이 조리기기의 본체(도 5의 100 참조)에 수용될 때 조리기기의 본체(100)에 거치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솥전(320)이 본체(100)에 마련된 안착 턱에 안착됨에 따라, 내솥(300)은 본체(1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솥전(320)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로도 기능할 수 있다.
내솥 본체(310)는 솥전(320)을 기준으로 본체 하부(310L) 및 본체 상부(310U)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본체 하부(310L)는 솥전(320)보다 아래에 있는 부분으로서, 용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 상부(310U)는 솥전(320)보다 위에 있는 부분으로서, 중공부가 형성된 원형 실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하부(310L)의 물질 조성과 본체 상부(310U)의 물질 조성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본체 하부(310L)와 본체 상부(310U)는 서로 상이한 물질 또는 상이한 물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하부(310L)는 유도가열 방식의 가열이 가능한 물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또는 철제와 같은 자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하부(310L)는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가 접합된 클래드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상부(310U)는 본체 하부(310L)와는 다르게 유도 가열 방식의 가열이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 상부(310U)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상부(310U)는 본체 하부(310L)보다 큰 열 전도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상부(310U)를 구성하는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은 본체 하부(310L)를 구성하는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보다 높은 열 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상부(310U)의 알루미늄 함량은 본체 하부(310L)의 알루미늄 함량보다 클 수 있다. 본체 상부(310U)이 높은 열 전도율을 가지는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으로 형성됨에 따라, 조리기기의 취사 동작 또는 보온 동작 시에 본체 상부(310U)에서 열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상부(310U)는 본체 하부(310L)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 하부(310L)의 두께는 대체로 균일하지만, 본체 상부(310U)의 두께는 상방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 이후 다시 상방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본체 상부(310U)의 외측면은 대체로 평탄하지만, 본체 상부(310U)의 내측면은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상부(310U)가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므로, 조리기기의 취사 동작 또는 보온 동작 시에 본체 상부(310U)에서 열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반적인 조리기기의 경우, 조리기기의 취사 동작 또는 보온 동작 시에 내솥(300)에 형성된 공간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온도차로 인해서 물맺힘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물맺힘 현상은 밥의 맛 또는 색을 변하게 하고, 백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내솥(300)의 본체 상부(310U)에서 열 전달 효율이 향상되므로, 내솥(300) 내의 온도차로 인한 물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내솥(3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하부 구조(301) 및 상부 구조(302)를 준비한다.
하부 구조(301)는 내솥 본체(310)의 본체 하부(310L) 및 솥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 구조(301)는 바닥벽 및 측벽을 포함하여 용기 형태를 가지는 본체 하부(310L)와,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형태의 솥전(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구조(301)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가 접합된 클래드재 시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스 성형된 구조물에 대해서, 버핑(buffing) 가공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부 구조(301)는 프레스 성형을 통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하부(310L)와 솥전(320)은 프레스 성형에 함께 형성되므로, 동일한 물질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상부 구조(302)는 원형 실린더 형태를 가지며, 상부 구조(302)의 측벽에 의해 한정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조(302)는 내솥 본체(310)의 본체 상부(310U)를 구성할 수 있다.
상부 구조(30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물질을 이용한 주조(casting) 가공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조 가공 방법으로 형성된 구조물에 대해서, 버핑 가공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주조 가공을 통해 형성된 상부 구조(302)는 높이 방향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2b를 도 2a와 함께 참조하면, 상부 구조(302)와 하부 구조(301)를 정렬시키고, 상부 구조(302)와 하부 구조(301)를 상호 접합한다. 예를 들어, 상부 구조(302)와 하부 구조(301)는 용접 방식에 의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상부 구조(302)의 내측면의 하단의 수평 폭은 하부 구조(301)의 내측면의 상단의 수평 폭과 동일할 수 있고, 상부 구조(302)의 내측면과 하부 구조(301)의 내측면은 위 아래로 정렬된 상태로 상부 구조(302)와 하부 구조(301)가 접합될 수 있다. 상부 구조(302)와 하부 구조(301)를 접합한 후에, 선택적으로 상부 구조(302)와 하부 구조(301)의 접합면에 대한 연마 등의 표면 처리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2a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솥전(320)은 하부 구조(301)가 아닌 상부 구조(302)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2a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하부 구조(301) 및 상부 구조(302)는 각각 서브 솥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구조(301)와 상부 구조(302)를 상호 접합할 때, 하부 구조(301)의 서브 솥전(320)과 상부 구조(302)의 서브 솥전(320)을 상호 접합시켜 내솥(3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내솥(300a)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된 조리기기용 내솥(30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하부 구조(301a) 및 상부 구조(302a)를 준비한다. 이 때, 상부 구조(302a)의 내측면의 하단의 수평 폭은 하부 구조(301a)의 내측면의 상단의 수평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부 구조(302a)와 하부 구조(301a)를 정렬시키고, 상부 구조(302a)와 하부 구조(301a)를 상호 접합한다. 상부 구조(302a)와 하부 구조(301a)가 용접 방식으로 상호 접합될 때, 상부 구조(302a)의 내측면과 하부 구조(301a)의 내측면은 위 아래로 정렬되지 않으며, 상부 구조(302a)의 하단은 솥전(320)의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부 구조(302a)와 하부 구조(301a)가 접합된 결과, 본체 상부(301Ua)는 솥전(320)의 상면 상에 접합될 수 있다. 본체 상부(301Ua)의 내측면의 하단의 수평 폭은 본체 하부(301La)의 내측면의 상단의 수평 폭보다 크므로, 내솥(300a)의 내측면에는 단차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내솥(300b)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된 조리기기용 내솥(30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부 구조(301b) 및 상부 구조(302b)를 준비한다. 하부 구조(301b)는 본체 하부(310L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조(302b)는 본체 상부(310Ub)와, 본체 상부(310Ub)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솥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하부 구조(301b)의 내측면의 상단의 수평 폭은 상부 구조(302b)의 내측면의 하단의 수평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부 구조(302b)와 하부 구조(301b)를 정렬시키고, 상부 구조(302b)와 하부 구조(301b)를 상호 접합한다. 상부 구조(302b)와 하부 구조(301b)가 용접 방식으로 상호 접합될 때, 상부 구조(302b)의 내측면과 하부 구조(301b)의 내측면은 위 아래로 정렬되지 않으며, 하부 구조(301b)의 상단은 상부 구조(302b)의 솥전(320)의 하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부 구조(302b)와 하부 구조(301b)가 접합된 결과, 본체 하부(310Lb)는 솥전(320)의 하면 상에 접합될 수 있다. 본체 하부(301La)의 내측면의 상단의 수평 폭은 본체 상부(301Ub)의 내측면의 하단의 수평 폭보다 크므로, 내솥(300b)의 내측면에는 단차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1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조리 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본체 뚜껑(200)과, 상기 본체(100)의 조리 공간에 수용된 내솥(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조리기기(10)가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솥(3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리기기(10)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솥(300a), 또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솥(300b)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내솥(300)이 본체(100) 내에 수용되었을 때, 내솥(300)의 솥전(320)은 상기 본체(100)의 안착 턱(1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내솥(300)의 솥전(320)은 내솥(300)의 솥전(320) 보다 아래에 있는 내솥 본체(310)의 외측면의 하부와 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의 틈을 덮을 수 있다.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솥전(320)은 내솥 본체(310)의 외측면의 하부와 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의 상기 틈을 덮어 취사열 또는 보온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10)의 취사 효율 또는 보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체(100)는 내솥(300)에 수용된 조리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메인 히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히터(110)는 예를 들어 열판 방식의 히터 또는 유도가열 방식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인 히터(110)는 내솥 본체(310)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코일 베이스(111)와, 상기 코일 베이스(111)에 권취된 유도가열코일(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코일(113)은 전원을 인가받아 유도가열 방식으로 내솥(300)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뚜껑(200)은 조리 재료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조리 공간 내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본체(100)의 조리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뚜껑(200)은 본체(1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100)의 조리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뚜껑(200)은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 뚜껑(200)은 뚜껑 커버(210), 탑 플레이트(220), 잠금 링(230), 핸들(240), 내솥 커버(250), 및 내솥 패킹(251)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커버(210)는 본체(100)에 결합되고, 하부 커버(213) 및 하부 커버(213)를 덮는 상부 커버(2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213)에는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고, 상부 커버(211)에는 잠금 링(230)에 연결된 핸들(240)이 설치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20)는 하부 커버(213)의 하부에 결합되며, 본체(100)에 수용된 내솥(300)을 덮을 수 있다. 탑 플레이트(220)에는 조리 재료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취사가 완료된 후에 본체(100)의 조리 공간 내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소정의 배기 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조립체는 본체(100)의 조리 공간 내의 증기를 배출하여 본체(100)의 조리 공간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 공간의 압력을 취사에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기 조립체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포이즈 밸브(poise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뚜껑(200)의 상부 커버(211)에는 상기 배기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스팀 커버(20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탑 플레이트(220)는 내솥(300)의 상부를 덮고 있는 대략 원판 형상의 메인 바디(221)와, 상기 메인 바디(22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연장된 처마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처마부(223)는 내솥 본체(310)의 상단으로부터 내솥(300)의 솥전(320)에 인접한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솥(300)의 솥전(320)을 기준으로, 내솥(300)의 솥전(320) 보다 위에 있는 부분을 내솥 본체(310)의 외측면의 상부로 정의하고, 내솥(300)의 솥전(320) 보다 아래에 있는 부분을 내솥 본체(310)의 외측면의 하부로 정의할 때, 처마부(223)는 내솥 본체(310)의 외측면의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잠금 링(230)은 탑 플레이트(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링(230)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휠(wheel)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잠금 링(230)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됨으로써, 본체(100)의 잠금 플랜지(130)에 잠금되는 잠금 위치 및 본체(100)의 잠금 플랜지(130)에 대해 잠금되지 않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잠금 링(230)은 핸들(240)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잠금 링(230)과 핸들(240)은 잠금 레버(241)를 통해 연결되며, 잠금 레버(241)의 일단은 핸들(240)의 하부에 연결되고, 잠금 레버(241)의 타단은 잠금 링(230)의 연결 포스트(231)에 연결될 수 있다. 잠금 레버(241)는 핸들(240)과 연결된 상기 잠금 레버(241)의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핸들(240)이 회전되면, 상기 핸들(2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잠금 링(23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잠금 링(230)이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게 된다. 잠금 링(230)에 의한 잠금 방법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내솥 커버(250)는 탑 플레이트(220)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본체 뚜껑(200)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내솥(3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내솥 패킹(251)은 링 형상의 부재로서, 내솥 커버(250)의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 내솥 패킹(251)은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3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솥(300)과 탑 플레이트(220)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 뚜껑(200)은 탑 플레이트(220)의 메인 바디(221)에 장착된 탑 히터(2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히터(261)는 조리기기(10)의 취사 동작 또는 보온 동작 시 내솥(300)에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 히터(261)에 의해, 내솥(300)에 형성된 공간의 상기 상부는 취사 동작 또는 보온 동작 시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탑 히터(261)는, 예를 들어 저항 가열 방식의 히터, 유도 가열 방식의 히터, 적외선 가열 방식 등의 히터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 뚜껑(200)은 탑 플레이트(220)의 처마부(223)에 장착된 사이드 히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히터(260)는 내솥(300)의 외부의 온도, 보다 상세하게는 솥전(320) 위에 있는 공간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가열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사이드 히터(260)는 취사 동작 또는 보온 동작 시에 내솥(300)의 외부와 내솥(300)의 내부 사이의 온도차가 제거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히터(260)는 내솥(300)의 솥전(320) 위에 있는 공간을 가열함으로써, 내솥(300)의 솥전(320) 위에 있는 공간과 내솥(300)의 내부 공간 사이의 온도차를 제거할 수 있다. 사이드 히터(260)는, 예를 들어 저항 가열 방식의 히터, 유도 가열 방식의 히터, 적외선 가열 방식 등의 히터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기기(10)는 내솥(300)의 솥전(320)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내솥(300)의 솥전(320)을 직접 가열하도록 구성된 솥전 히터(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솥전 히터(115)는 내솥(300)의 솥전(320)이 안착되는 본체(100)의 안착 턱(120)에 설치되며, 내솥(300)의 솥전(320)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솥전 히터(115)는 솥전(320)과 내솥 본체(310) 사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솥전(320)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솥전 히터(115)는 사이드 히터(260)와 협력하여, 취사 동작 또는 보온 동작 시에 내솥(300)의 외부와 내솥(300)의 내부 사이의 온도차가 제거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솥전 히터(115)는, 예를 들어 저항 가열 방식의 히터, 유도 가열 방식의 히터, 적외선 가열 방식 등의 히터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뚜껑(200)은 탑 플레이트(220)의 처마부(223)를 둘러싸는 단열 커버(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커버(270)는 상기 처마부(223)와의 사이에 사이드 히터(26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220)에 장착될 수 있다. 단열 커버(270)는 조리기기(10)의 취사 동작 또는 보온 동작 시, 내솥(300)의 솥전(320) 상에 있는 공간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열 커버(270)는 복사열 에너지에 대한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솥(300)의 솥전(320) 상에 있는 공간은 내솥(300)의 내부 공간 사이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내솥(300)의 솥전(320) 위에 있는 공간에서 물맺힘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물맺힘 현상은 조리기기(10)의 전장 부품을 손상시키거나, 조리기기(10)의 취사 성능 및 보온 성능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상기 사이드 히터(260)는 종래에는 가열하기 어려운 내솥(300)의 솥전(320) 위에 있는 공간을 가열함으로써, 내솥(300)의 외부와 내솥(300)의 내부 사이의 온도차를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10)의 취사 성능 및 보온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10)의 잠금 링(230)을 이용한 잠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7a는 잠금 링(230)이 잠금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잠금 링(230)이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도 5 및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체(100)는 내솥(300)의 솥전(320)이 안착되는 안착 턱(120)에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잠금 플랜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잠금 플랜지(130)는 본체(100)에 수용된 내솥(30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잠금 링(230)은 탑 플레이트(220)의 처마부(223)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탑 플레이트(220)의 처마부(223) 보다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잠금 링(230)은 그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잠금 링(23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잠금 돌기(233)가 제공될 수 있다. 잠금 돌기(233)는 본체(100)의 잠금 플랜지(13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핸들(240)의 동작에 연동하여 잠금 링(230)이 수평 회전하게 되면, 잠금 돌기(233)는 잠금 플랜지(130)에 간섭 가능하게 위치되는 잠금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잠금 플랜지(130)에 간섭되지 않는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잠금 링(230)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잠금 링(230)의 잠금 돌기(233)는 본체(100)의 잠금 플랜지(130)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잠금 링(230)이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본체 뚜껑(200)이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를 향한 회동 운동이 제한되도록 잠금 링(230)의 잠금 돌기(233)는 본체(100)의 잠금 플랜지(130)에 간섭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링(230)이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잠금 링(230)의 잠금 돌기(233)는 본체(100)의 잠금 플랜지(130)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잠금 링(230)이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 링(230)의 잠금 돌기(233)는 본체(100)의 잠금 플랜지(130)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본체 뚜껑(200)은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잠금 플랜지(130)는 본체(100)의 프레임(101)에 결합된 고정 몸체(131), 잠금 링(230)의 잠금 돌기(233)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걸림 몸체(133), 및 고정 몸체(131)와 걸림 몸체(133) 사이에서 연장된 연결 몸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20)는 뚜껑 커버(210)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플레이트(220)의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는 내솥(300) 내의 압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취사가 완료된 직후와 같이, 내솥(300) 내의 공간이 고온 고압의 상태를 가지는 경우, 탑 플레이트(220)는 상방으로 상승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취사가 완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내솥(300) 내의 압력 낮아지면, 탑 플레이트(220)는 하방으로 하강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잠금 링(230)은 탑 플레이트(220)에 장착되므로, 내솥(300)의 압력에 따라 탑 플레이트(220)의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가 변하는 동안, 탑 플레이트(220)와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잠금 링(230)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내솥(300) 내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잠금 링(230)은 잠금 링(230)의 잠금 돌기(235)가 잠금 플랜지(130)에 접촉되는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링(230)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내솥(300) 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잠금 링(230)은 잠금 링(230)의 잠금 돌기(235)가 잠금 플랜지(13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
한편, 고정 몸체(131)와 걸림 몸체(133)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135)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몸체(135)는 고정 몸체(131)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다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300)의 높은 압력에 의해 탑 플레이트(220) 및 잠금 링(230)이 상승할 때, 잠금 링(230)의 잠금 돌기(233)는 상기 걸림 몸체(133)를 상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때, 잠금 돌기(233)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은 만곡된 형상의 연결 몸체(135)에 의해 분산되므로, 응력 집중에 의한 잠금 플랜지(130)의 손상 및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경우, 잠금 장치는 내솥의 상단에 제공된 내솥 플랜지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내솥 플랜지와 상기 잠금 장치 사이에서 발생된 마찰로 인하여 내솥이 손상되고, 상기 내솥 플랜지의 변형으로 인해 상기 잠금 장치에 의한 잠금 동작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잠금 링(230)은 본체(100)에 제공된 잠금 플랜지(130)에 맞물려 잠금되도록 구성되므로, 잠금 링(230)과 내솥(30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내솥(300)이 손상되는 문제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조리기기 100: 본체
110: 메인 히터 130: 잠금 플랜지
200: 본체 뚜껑 210: 뚜껑 커버
220: 탑 플레이트 223: 처마부
230: 잠금 링 260: 사이드 히터
261: 탑 히터 270: 단열 커버
300: 내솥 310: 내솥 본체
320: 솥전

Claims (6)

  1. 용기 형태를 가지고,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형태의 솥전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 및
    상기 하부 구조 상에 접합되고 중공부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기 상부 구조는 서로 상이한 물질 조성을 가지는 조리기기용 내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의 열 전도율은 상기 하부 구조의 열 전도율보다 큰 조리기기용 내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는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가 접합된 클래드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조리기기용 내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의 내측면은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조리기기용 내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용 내솥의 내측면은 상기 솥전에 인접한 부분에서 단차부를 가지는 조리기기용 내솥.
  6. 하부 구조 및 상부 구조를 준비하는 제1 단계로서,
    상기 하부 구조는 용기 형태를 가지고,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형태의 솥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는 중공부를 가지는,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하부 구조 상에 상기 상부 구조를 접합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기 상부 구조는 서로 상이한 물질 조성을 가지는 조리기기용 내솥의 제조 방법.
KR1020190134107A 2019-10-25 2019-10-25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07A KR102336125B1 (ko) 2019-10-25 2019-10-25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07A KR102336125B1 (ko) 2019-10-25 2019-10-25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05A true KR20210049605A (ko) 2021-05-06
KR102336125B1 KR102336125B1 (ko) 2021-12-08

Family

ID=7591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107A KR102336125B1 (ko) 2019-10-25 2019-10-25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287Y1 (ko) * 2005-05-18 2005-08-01 김진욱 조리용 솥
KR20100008194A (ko) * 2008-07-15 2010-01-25 서기원 유도가열용기의 바닥면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5226593A (ja) * 2014-05-30 2015-12-17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JP2016144668A (ja) * 2016-04-01 2016-08-12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287Y1 (ko) * 2005-05-18 2005-08-01 김진욱 조리용 솥
KR20100008194A (ko) * 2008-07-15 2010-01-25 서기원 유도가열용기의 바닥면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5226593A (ja) * 2014-05-30 2015-12-17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JP2016144668A (ja) * 2016-04-01 2016-08-12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125B1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2276A (ja) 飲料調理用温水器、電気温水器、及び飲料調理用ワイヤレス電気温水器
CN206443575U (zh) 内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210049605A (ko) 조리기기용 내솥 및 그 제조 방법
CN206080086U (zh) 一种辐射式加热的红外线盘电热食品加工器具
KR101381740B1 (ko) 압력밥솥
KR102187893B1 (ko) 조리 장치
JP2011244836A (ja) 炊飯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オーブン容器
KR20210048949A (ko) 조리 장치
CN109953640B (zh) 多功能电饭锅
JP4046640B2 (ja) 加熱調理装置および炊飯方法
JP2021053275A (ja) 保温調理器
KR100848868B1 (ko) 도자기 내솥
KR200340488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열림 방지장치
JP3342332B2 (ja) 電気調理器
CN201782575U (zh) 一种真空电热水壶
CN215937059U (zh) 一种蒸鸡蛋羹装置
KR200357125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
JP2012016397A (ja) 炊飯器
KR101956764B1 (ko) 자동 전열 스위치가 구비되는 전기압력솥
JPS5851844Y2 (ja) 電気炊飯器
KR200363750Y1 (ko) 취사용 솥
KR100948353B1 (ko) 압력밥솥
KR200357102Y1 (ko) 압력밥솥
JPS603763Y2 (ja) 炊飯器
JPS605293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