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998Y1 -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 Google Patents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998Y1
KR200390998Y1 KR20-2005-0013764U KR20050013764U KR200390998Y1 KR 200390998 Y1 KR200390998 Y1 KR 200390998Y1 KR 20050013764 U KR20050013764 U KR 20050013764U KR 200390998 Y1 KR200390998 Y1 KR 200390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fusion
cutting blade
wrapping paper
cut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섭
Original Assignee
박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922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9099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완섭 filed Critical 박완섭
Priority to KR20-2005-0013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rotary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8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revolving, e.g. cylinder,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3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포장기의 융착포장유닛을 구성하는 절단로울러에 관한 것으로, 절단날 삽입홈(1a)이 형성되어진 절단로울러 본체(1)와 ; 별도의 체결부재(51)를 매개로 절단날 삽입홈(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절단날(2)로 이루어지되, 절단로울러 본체(1)에 요철 모양으로 표면처리된 성형부(3)가 보강되어서, 절단날(2)에 의한 횡방향 융착면의 절단시에 횡방향 융착면이 성형부(3)에 의해서 요철 성형되는 구조로 되어,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의 융착면 성형로울러(230,2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포장지(P)의 횡방향 융착면을 요철 성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Cutting roller for an automatic packing machine}
본 고안은 자동포장기의 융착포장유닛을 구성하는 절단로울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포장기는 취급되는 제품의 특질·포장방법·포장재료 등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는데, 근래에는 합성수지재질의 포장지를 열융착방식으로 접착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자동포장기가 차츰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종래 융착식 자동포장기는, 융착포장유닛을 매개로 전면 포장지와 후면 포장지를 열융착시켜서 밀폐된 봉지를 만들도록 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의 경우에는, 포장지(P1,P2)의 양쪽 측면을 종방향으로 융착하는 제1융착유닛과, 포장지(P1,P2)를 횡방향으로 융착하는 제2융착유닛, 포장지(P1,P2)의 횡방향 융착면을 요철 성형하는 성형유닛 및, 요철 성형된 포장지(P1,P2)의 횡방향 융착면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융착포장유닛으로 적용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구성에서 성형유닛이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융착유닛은 한 쌍을 이루는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로 구성되며, 각각의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는 히터(212)와, 포장지(P1,P2)의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융착부(211)가 구비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2융착유닛은 한 쌍을 이루는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로 구성되며, 각각의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는 히터(222)와, 포장지(P1,P2)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융착부(221)가 구비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성형유닛은 한 쌍을 이루는 융착면 성형로울러(230,230')로 구성되며, 각각의 융착면 성형로울러(230,230')는 요철 모양으로 표면처리되어서 포장지(P1,P2)의 횡방향 융착면을 가압하는 성형부(231)가 구비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절단유닛은 본체(1)에 절단날(2)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진 절단로울러(241)와, 절단날(2)에 근접되는 도마부(242a)를 갖춘 도마로울러(242)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절단유닛의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도마로울러(242)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1·2융착유닛이나 성형유닛과 같이 한 쌍의 절단로울러(241)를 절단유닛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포장지(P1)와 후면 포장지(P2)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양쪽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의 융착부(211) 사이에 포장지(P1,P2)의 양쪽 측면이 소정 압력으로 끼워눌려진 상태에서,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가 회동되면, 양쪽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의 융착부(211)가 포장지(P1,P2)의 양쪽 측면에 소정 압력가하면서 전·후면 포장지(P1,P2)를 잡아당기게 된다. 한편, 상기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는 히터(212)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호 맞대어진 포장지(P1,P2)가 양쪽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에 의해 잡아당겨지면서, 포장지(P1,P2)의 양쪽 측면이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융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222)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진 양쪽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가 회동되어서, 양쪽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의 융착부(221)가 포장지(P1,P2)를 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전면 포장지(P1)와 후면 포장지(P2)의 중간부분이 맞대어지면서 횡방향으로 융착된다. 이 상태에서, 포장지(P1,P2)는 상부만이 개구된 용기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노즐(20)로부터 포장지(P1,P2)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서 포장물이 투입되는데, 적정량의 포장물이 포장지(P1,P2)에 투입되면 양쪽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에 의한 횡방향으로의 융착이 이루어져서 포장물이 포장지(P1,P2)에 정량 투입된 상태에서 완전 밀봉 포장된다.
이후, 상기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에 의해 융착되어진 포장지(P1,P2)의 횡방향 융착면은 양쪽 융착면 성형로울러(230,230')의 성형부(231)에 의해서 요철 모양으로 표면처리된다. 이와같이, 상기 융착면 성형로울러(230,230')를 매개로 포장지(P1,P2)의 횡방향 융착면을 가압해서 요철 성형하면, 전·후면 포장지(P1,P2)간의 상호 결속력이 보다 크게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상기 성형부(231)의 요철 모양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요철 성형된 포장지(P1,P2)의 횡방향 융착면은 절단로울러(241)와 도마로울러(242) 사이로 투입된 후, 절단로울러(241)의 절단날(2)과 도마로울러(242)의 도마부(242a) 사이에 끼워진 채로 횡방향으로 2등분 절단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절단로울러(2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날(2)이 별도의 체결부재(51)를 매개로 절단로울러 본체(1)의 절단날 삽입홈(1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진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포장지(P1,P2)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융착면 성형로울러(230,230')를 별도로 설치해서 횡방향 융착면이 융착면 성형로울러(230,230')에 의해 가압되어서 요철 성형되도록 해야만 하므로, 부품수의 증가되어, 융착포장유닛(200)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자동포장기의 제품비용이 증가되며, 보수 및 유지 관리가 불리하게 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다기능을 갖춘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절단날 삽입홈이 형성되어진 절단로울러 본체와 ;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절단날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절단날로 이루어진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에 있어서, 상기 절단로울러 본체에 요철 모양으로 표면처리된 성형부가 보강되어서, 절단날에 의한 횡방향 융착면의 절단시에 횡방향 융착면이 성형부에 의해서 요철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241)는, 절단날 삽입홈(1a)이 형성되어진 절단로울러 본체(1)와 ; 별도의 체결부재(51)를 매개로 절단날 삽입홈(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절단날(2)로 이루어지되, 절단로울러 본체(1)에 요철 모양으로 표면처리된 성형부(3)가 보강되어서, 절단날(2)에 의한 횡방향 융착면의 절단시에 횡방향 융착면이 성형부(3)에 의해서 요철 성형되는 구조를 이룬다.
본 고안에 따른 절단로울러(241)를 이용하게 되면,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은 융착면 성형로울러(230,2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포장지(P)의 횡방향 융착면을 요철 성형하면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절단로울러(241)가 적용되어진 자동포장기의 융착포장유닛(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에 따르면, 상기 융착포장유닛(200)은, 포장지(P)의 양쪽 측면을 종방향으로 융착하는 제1융착유닛(210,210')과, 포장지(P)를 횡방향으로 융착하는 제2융착유닛(220,220') 및, 포장지(P)의 횡방향 융착면을 절단하는 절단유닛(241,2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유닛의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도마로울러(242)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1·2융착유닛이나 성형유닛과 같이 한 쌍의 절단로울러(241)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포장지드럼 고정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단일 포장지(P)가 포장지 가이드유닛(500)에 의해서 반으로 접힌 상태로 융착포장유닛(200)으로 공급되어 융착 포장되는 방식의 자동포장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포장지드럼 고정유닛(100)으로는, 한쪽 선단이 자동포장기의 본체 구조물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포장지드럼 지지대(110)와, 포장지드럼 지지대(110)에 삽입 고정되어서 포장지드럼(PD)의 한쪽 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브래킷(121), 포장지드럼 지지대(110)에 삽탈 가능하게 끼워져서 포장지드럼(PD)의 다른 한쪽 측면을 지지하는 이동 브래킷(122) 및, 포장지드럼 지지대(1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동 브래킷(122)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130)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였다.
또한, 상기 포장지 가이드유닛(500)으로는, 양쪽 측면에 포장지 측선단 삽입부("ㄷ"자 형태로 굴곡되어진 형태임)가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의 포장지(P)가 접혀진 상태가 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본체(510)와 ; 가이드본체(5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서, 펼쳐진 상태의 포장지(P)가 투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며 포장지(P)의 이탈을 방지하는 입구측 가이드(520) 및; 가이드본체(52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서, 접혀진 상태의 포장지(P)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며 포장지(P)의 이탈을 방지하는 출구측 가이드(530)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였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0"은 융착포장유닛(200)과 포장지 가이드유닛(500) 사이에 배치되어서 포장지(P)로 포장물을 투입하는 노즐이다.
미설명부호 "30"은 포장지(P)에 인쇄되어진 포장지 구획라인을 감지하는 포장지 구획라인 감지센서로서, 포장지 구획라인 감지센서(30)에 의한 포장지 구획라인 감지신호는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와, 절단로울러(241)와 도마로울러(242)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로 활용된다. 즉, 포장지 구획라인 감지센서(30)에 포장지 구획라인이 감지되면,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와, 절단로울러(241)와 도마로울러(242)가 구동되어서 포장물을 낱개 포장한다. 참고로, 상기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는 이와는 별개로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미설명부호 "40"은 포장지 가이드유닛(500)의 출구(g2)를 통해서 배출되는 접혀진 상태의 포장지(P)를 보조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40)로서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절단로울러가 적용된 자동포장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포장지(P)가 권취되어진 포장지드럼(PD)을 포장지드럼 고정유닛(1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포장지드럼(PD)에 권취되어진 포장지(P)의 자유단을 장력조절용 로울러(도시안됨)에 걸쳐서 포장지 가이드유닛(500)의 상단부에 위치한 입구로 투입한 후, 가이드유닛(500)의 입구로 투입된 포장지(P)의 자유단을 포장지 가이드유닛(500)의 하단부에 위치한 출구로 빼내는데, 이때 포장지(P)의 양쪽 측선단을 가이드본체(510)의 포장지 측선단 삽입부에 끼워넣어서, 포장지(P)가 펼쳐진 상태로 포장지 가이드유닛(500)의 입구로 투입된 후에 접혀진 상태로 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포장지 가이드유닛(500)의 출구를 통해서 배출되어진 접혀진 상태의 포장지(P)를 융착포장유닛(2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포장기를 가동하게 되면,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가 회동되어서, 접혀진 포장지(P)의 양쪽 측선단이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에 의해 하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서 연속적으로 융착된다.
상기 종방향 융착로울러(210,210')에 의해 양쪽 측선단이 융착되어진 포장지(P)는 이후 한 쌍의 횡방향 융착로울러(210,210') 사이로 투입되며, 양쪽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가 가동되어서 이의 융착부(221)가 포장지(P1,P2)를 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포장지(P)의 중간부분이 맞대어지면서 횡방향으로 융착된다. 이 상태에서, 포장지(P1,P2)는 상부만이 개구된 용기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포장물 보관용기(도시안됨)에 보관되어진 포장물은 노즐(20)을 통해서 포장지(P) 내부로 투입되며, 적정량의 포장물이 포장지(P)에 투입되면 양쪽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에 의한 횡방향으로의 융착이 이루어져서 포장물이 완전 밀봉 포장된다.
상기 횡방향 융착로울러(220,220')에 의해 융착되어진 포장지(P1,P2)의 횡방향 융착면은 이후 절단로울러(241)와 도마로울러(242) 사이로 투입되어서, 횡방향으로 절단되면서 요철 모양으로 표면처리된다.
상기 절단날(2)과 성형부(3) 간의 상호 위치관계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날 삽입홈(1a)이 성형부(3)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서, 절단날(2)이 성형부(3)의 중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절단로울러(241)의 경우에는, 성형부(3)로부터의 절단날(4)의 노출길이가 상당히 중요하다. 이는, 절단날(4)이 과도하게 외부로 노출되면 성형부(3)에 의한 횡방향 융착면의 요철 성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절단날(4)이 너무 작게 노출되면 성형부(3)에 의한 횡방향 융착면의 요철 성형이 너무 과도하게 이루어지면서 횡방향 융착면의 절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로울러 본체(1)에 절단날 길이조절부재(4)를 보강 설치해서, 절단날 삽입홈(1a)으로의 절단날(2)의 삽입길이가 절단날 길이조절부재(4)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절단날(4)의 노출길이를 보다 정확하면서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로울러 본체(1)의 성형부(3)에 표식블럭 삽입홈(1b)을 형성하고, 별도의 체결부재(52)를 매개로 표시블럭(5)을 표식블럭 삽입홈(1b)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해서, 유통기간이나 제조년월일 등과 같은 표시를 횡방향 융착면에 표기할 수도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절단날 삽입홈(1a)이 형성되어진 절단로울러 본체(1)와 ; 별도의 체결부재(51)를 매개로 절단날 삽입홈(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절단날(2)로 이루어지되, 절단로울러 본체(1)에 요철 모양으로 표면처리된 성형부(3)가 보강되어서, 절단날(2)에 의한 횡방향 융착면의 절단시에 횡방향 융착면이 성형부(3)에 의해서 요철 성형되는 구조로 되어,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의 융착면 성형로울러(230,2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포장지(P)의 횡방향 융착면을 요철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기능화된 본 고안에 따른 절단로울러(241)를 이용하게 되면, 부품수가 절감되어 융착포장유닛(200)의 구조가 단순화되므로, 자동포장기의 제품비용이 절감되고, 보수 및 유지 관리가 유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절단로울러의 정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절단로울러를 갖춘 자동포장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단로울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절단로울러의 정단면도로서, 도 1에 대한 대응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로울러를 갖춘 자동포장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 ; 절단로울러 본체, 1a ; 절단날 삽입홈,
1b ; 표식블럭 삽입홈, 2 ; 절단날,
3 ; 성형부, 4 ; 절단날 길이조절부재,
5 ; 표식블럭, 20 ; 노즐,
30 ; 포장지 구획라인 감지센서, 40 ; 보조 가이드,
51,52 ; 체결부재, 100 ; 포장지드럼 고정유닛,
110 ; 포장지드럼 지지대, 121,122 ; 브래킷,
130 ; 고정부재, 200 ; 융착포장유닛,
210,210' ; 종방향 융착로울러, 211 ; 융착부,
212 ; 히터, 220,220' ; 횡방향 융착로울러,
221 ; 융착부, 222 ; 히터,
230,230' ; 융착면 성형로울러, 231 ; 성형부,
241 ; 절단로울러, 242 ; 도마로울러,
242a ; 도마부, 500 ; 포장지 가이드유닛,
510 ; 가이드본체, 520 ; 입구측 가이드,
521 ; 보조 가이드, 530 ; 출구측 가이드,
P,P1,P2 ; 포장지, PD ; 포장지드럼.

Claims (4)

  1. 절단날 삽입홈(1a)이 형성되어진 절단로울러 본체(1)와 ; 별도의 체결부재(51)를 매개로 절단날 삽입홈(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절단날(2)로 이루어진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에 있어서,
    상기 절단로울러 본체(1)에 요철 모양으로 표면처리된 성형부(3)가 보강되어서, 절단날(2)에 의한 횡방향 융착면의 절단시에 횡방향 융착면이 성형부(3)에 의해서 요철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 삽입홈(1a)이 성형부(3)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서, 절단날(2)이 성형부(3)의 중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로울러 본체(1)에 절단날 길이조절부재(4)가 보강되어서, 절단날 삽입홈(1a)으로의 절단날(2)의 삽입길이가 절단날 길이조절부재(4)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로울러 본체(1)의 성형부(3)에 표식블럭 삽입홈(1b)이 형성되고, 표식블럭 삽입홈(1b)에 삽입되어 별도의 체결부재(52)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표식블럭(5)이 보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KR20-2005-0013764U 2005-05-16 2005-05-16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KR200390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764U KR200390998Y1 (ko) 2005-05-16 2005-05-16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764U KR200390998Y1 (ko) 2005-05-16 2005-05-16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804A Division KR20060118229A (ko) 2005-05-16 2005-05-16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998Y1 true KR200390998Y1 (ko) 2005-07-29

Family

ID=4369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764U KR200390998Y1 (ko) 2005-05-16 2005-05-16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9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93B1 (ko) * 2009-02-25 2010-07-06 노한래 자동포장기의 롤러 구조
KR200458494Y1 (ko) * 2009-04-10 2012-02-22 전순희 파우치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93B1 (ko) * 2009-02-25 2010-07-06 노한래 자동포장기의 롤러 구조
KR200458494Y1 (ko) * 2009-04-10 2012-02-22 전순희 파우치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8608B2 (ja) 充填包装機におけるフィルム折返し案内装置
KR200390998Y1 (ko)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KR102417792B1 (ko) 비닐포장지 손잡이 부착 장치
KR100991459B1 (ko) 제본용 스프링 포장장치
KR20060118229A (ko)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KR100791548B1 (ko) 자동포장기
ITMI20012454A1 (it) Dispositivo per l'immagazzinamento e lo svolgimento di rulli di materiale in macchine per legatoria
KR100943369B1 (ko)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
ITMI972833A1 (it) Procedimento e mezzi per la sagomatura di un elemento a nastro in una forma tubolare in un processo di formatura-riempimento
KR102540361B1 (ko)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EP1273521B1 (en) Binding machine with tape
WO2005037650A1 (ja) フイルム自動切換装置
JP7289120B2 (ja) 包装機用の包装材供給装置及びその包装材供給装置を備えた横ピロー包装機
JP7134392B2 (ja) 製袋充填包装機
KR100369740B1 (ko) 포장용 상자 접합기
ITBO20070028A1 (it) Dispositivo per la predisposizione di una confezione di prodotto.
FR2508020A1 (fr) Sac en matiere plastique pour usage domestique et procede de realisation
JP4301886B2 (ja) 包装フィルム誘導補助具及び該誘導補助具を備えた自動包装機
US20060018570A1 (en) Plastic bag with integral tie strip
KR102486543B1 (ko) 액상포장 2d/3d 제품 자동포장 원격 멀티 제어 시스템
JP2004502606A (ja) 巻タバコを軟質小包体に包装する方法、及び得られる小包体
KR200408258Y1 (ko) 한약 포장기
JP6674758B2 (ja) 易開封袋包装体用の縦型製袋充填包装機
JP4263956B2 (ja) 包装フィルム誘導補助具及び該誘導補助具を備えた自動包装機
JP2002302105A (ja) 被包装品の包装機およびその包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414

Effective date: 201012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609

Effective date: 201012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416

Effective date: 2011012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412

Effective date: 20110121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416

Effective date: 20110121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412

Effective date: 201101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201

Effective date: 2011100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201

Effective date: 20001007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01

Effective date: 2012020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01

Effective date: 201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