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113Y1 - 포장용 상자 접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접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113Y1
KR200228113Y1 KR2020010000664U KR20010000664U KR200228113Y1 KR 200228113 Y1 KR200228113 Y1 KR 200228113Y1 KR 2020010000664 U KR2020010000664 U KR 2020010000664U KR 20010000664 U KR20010000664 U KR 20010000664U KR 200228113 Y1 KR200228113 Y1 KR 200228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ckaging box
moving
packing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엔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엔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엔엠.이엔지
Priority to KR2020010000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113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와 덮개로 형성되어 전개된 포장용 상자를 접착부로 고정하는 포장용 상자의 접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 접합기의 특징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가 놓여지는 급지공급수단과, 포장용 상자를 본체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급지로울러와, 본체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획이송수단과, 포장용 상자를 급지공급수단이 형성된 본체의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과, 포장용 상자의 앙쪽 측면에서 포장용 상자를 안내하는 안내판과, 포장용 상자를 본체의 중간부분부터 본체의 일측단부까지 진행시키는 제2 이동수단과, 제1 이동수단과 제2 이동수단에 의해서 본체의 일측으로 진행되는 포장용 상자를 정렬시키면서 이동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과, 제1 실린더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과, 구획이송수단에서 포장용 상자가 진행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구와, 상기 접착제 도포구에 의해서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용 상자를 압착 고정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 접합기{A joining apparatus for wrapping box}
본 고안은 몸체와 덮개로 형성되어 전개된 포장용 상자를 접착부로 고정하는 포장용 상자의 접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포장용 상자의 접합기는 전개된 포장용 상자의 접착부(미미)를 포장용 상자의 몸체와 밀착시킨후 스티처(Sticher)를 이용하여 금속 철침으로 고정하여 포장용 상자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속 철침으로 고정되는 포장용 상자는 제품을 상기 포장용 상자에 보관하여 장시간 유통되거나 시간이 많이 흐르면 금속 철침이 산화되어 녹이 발생해 소비자가 제품의 구입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사용이 끝난 포장용 상자를 분리수거나 재활용 하기 위해서는 몸체와 접착부를 분리하여 전개된 상태로 분리수거 및 재활용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금속 철침을 분리해야 하지만 금속 철침을 쉽게 분리할 수 없으며, 철침을 사람이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많이 소모되며, 금속 철침을 분리하면서 분리하는 사람에 상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철침으로 포장용 상자를 접착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인 핫 멜트(Hot melt adhesive)를 포장용 상자의 몸체나 접착부에 도포하여 포장용 상자를 접착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는 한쪽만을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2 및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작은 포장용 상자 한개의 전개된 몸체와 접착부를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크기가 커 두 개의 전개된 상태로 형성되는 포장용 상자를 접합할때는 한쪽면을 먼저 접합시킨뒤 다른쪽을 접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같은 작업공정을 두 번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포장용 상자의 몸체와 접착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시켜 고정할 때 포장용 상자의 몸체와 접착부가 어긋나면서 포장용 상자가 뒤틀어지며 고정되어 포장용 상자의 불량율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 개로 나뉘어져 전개된 포장용 상자를 한번에 부착시키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의 몸체에 고정되는 접착부를 몸체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압착될 때 포장용 상자를 고정하여 몸체와 접합부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용 접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 접합기의 특징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가 놓여지는 급지공급수단과,
급지공급수단이 형성된 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급지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포장용 상자를 본체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급지로울러와,
급지로울러에 의해서 본체의 안쪽으로 이동되는 포장용 상자의 몸체와 접합부를 구획하며 본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획이송수단과,
구획이송수단에 의해 구획된 상기 포장용 상자를 급지공급수단이 형성된 본체의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과,
상기 제1 이동수단에 의해서 이동되는 포장용 상자의 앙쪽 측면에서 포장용 상자를 안내하는 안내판과,
안내판을 따라 이동하는 포장용 상자를 본체의 중간부분부터 본체의 일측단부까지 진행시키는 제2 이동수단과,
제1 이동수단과 제2 이동수단에 의해서 본체의 일측으로 진행되는 포장용 상자를 정렬시키면서 이동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과,
제1 실린더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과,
구획이송수단에서 포장용 상자가 진행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구와,
상기 접착제 도포구에 의해서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용 상자를 압착 고정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 접합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 접합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포장용 상자 제1 이송수단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 1.
도 4는 도 3에 연속되어 작동되는 작동상태도 2.
도 5는 도 4에 연속되어 작동되는 작동상태도 3.
도 6은 도 5에 연속되어 작동되는 작동상태도 4.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포장용 상자 구획이송수단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획이송수단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가 진행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8의 구획이송수단에 의해서 생산되는 포장용 상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포장용 상자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획이송수단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가 진행되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구획이송수단에 의해서 생산되는 포장용 상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포장용 상자의 평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획이송수단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가 진행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구획이송수단에 의해서 생산되는 포장용 상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포장용 상자의 평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획이송수단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가 진행되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구획이송구에 의해서 생산되는 포장용 상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포장용 상자의 평단면도.
도 16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착수단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를 압착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압착수단 사용상태도.
도 17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토퍼와 압착로울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 접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 접합기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일측에는 포장용 상자(2)가 놓여져 상기 포장용 상자(2)가 공급되면 소정의 높이로 상승되는 급지공급수단(8)을 형성한다.
상기 포장용 상자(2)를 공급하는 급지공급수단(8)은 포장용 상자(2)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센서에 의해서 회전되는 모터로 작동되는 밸트(82)에 포장용 상자(2)가 놓여지는 급지공급기(81)를 고정하여 모터가 회전할때마다 밸트(82)가 이동되면서 급지공급기(81)가 상승되게 형성한다.
급지공급수단(8)의 급지공급기(81)가 일측에 형성된 본체(1)의 상부에는 상기 급지공급기(81)에 놓여지는 포장용 상자(2)를 본체(1)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급지로울러(3)를 형성한다.
상기 급지로울러(3)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로울러가 맞물리게 형성되어 상기 급지로울러(3)의 회전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2)가 본체(1)의 안쪽으로 물려 들어간다.
급지로울러(3)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으로 유입된 포장용 상자(2)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이송수단(4)의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2)의 몸체(21)와 접착부(22)가 구획된다.
포장용 상자(2)의 몸체(21)와 접착부(22)를 구획하는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로울러(3)가 형성된 본체(1) 일측단부에 본체(1)의 중간부분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는 포장용 상자(2)의 접착부(22)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의 바깥쪽에 붙이거나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의 안쪽에 붙이기 위하여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중 아래쪽에 고정되는 제1 구획이송구(41)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하여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접착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2)를 접합할 때 하부로 하강하여 포장용 상자(2)와 접촉되지 않게한다.
상기와 같이 구획이송수단(4)의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에 의해서 구획된 포장용 상자(2)는 급지공급수단(8)의 급지공급기(81)가 일측에 형성된 본체(1)에서 반대쪽 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제1 이송수단(5)에 의해서 본체(1)에서 이송된다.
포장용 상자(2)를 본체(1) 일측에서 반대쪽 단부까지 이송시키는 제1 이송수단(5)은 모터와 스프로킷에 의해서 이동되는 체인(51)에 다수개의 이송구(52)를 고정하여 상기 이송구(52)가 체인(51)과 함께 이동될 때 포장용 상자(2)를 정렬시키면서 밀어 본체(1)의 일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 이송수단(5)에 의해서 본체(1)의 일측으로 진행되는 포장용 상자(2)는 이송도중 몸체(21)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의 양쪽면에 안내판(44)을 고정한다.
상기 안내판(44)은 포장용 상자(2) 몸체(21)의 폭에 따라 조절가능하도록 본체(1)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한다.
안내판(44)이 형성된 본체(1)의 양쪽면에는 본체(1)의 중간부분에서 포장용 상자(2)가 진행되는 본체(1)의 일측단부까지 포장용 상자(2)가 진행되도록 제2 이송수단(6)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이송수단(6)은 이송밸트(62)를 본체(1)에 고정되는 안내로울러(61)에 고정하여 형성한다.
본체(1)의 양쪽에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2)를 본체(1)의 중간부분에서 일측단부까지 이동시키는 이송밸트(62)는 연질을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포장용 상자(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이송수단(5)의 이송구(52)와 안내로울러(61)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송밸트(62)에 의해서 급지공급수단(8)의 급지공급기(81)가 형성된 본체(1) 일측에서 반대쪽 단부로 진행되는 포장용 상자(2)는 상기 포장용 상자(2)의 몸체(21)와 접착부(22)를 구획하는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의 단부에는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수단(5)과 제2 이송수단(6)의 이송밸트(62)에 의해서 본체(1)의 일측으로 진행되는 포장용 상자(2)의 몸체(21)와 접착부(22)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구(43)를 형성한다.
상기 접착제 도포구(43)가 일측단부에 형성된 구획이송수단(4)의 일측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구(43)에 의해서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용 상자(2)의 몸체(21)와 접착부(22)를 압착고정하는 압착수단(7)을 형성한다.
상기 압착수단(7)은 다수개의 압착로울러(71)로 형성하고 하부에 형성되는 압착로울러(71)은 압착밸트(72)로 연결하여 상하 밀착되게 고정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용 상자(2)의 몸체(21)와 접착부(22)가 다수개의 압착로울러(71)와 압착밸트(72)를 통과할 때 압착시켜 고정한다.
구획이송수단(4)과 압착수단(7)의 사이에는 제1 이송수단(5)의 이송구(52)에 의해서 밀려 이송되는 포장용 상자(2)를 고정하는 스토퍼(9)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9)에 제1 이송수단(5)의 이송구(52)에 의해서 밀려 포장용 상자(2)가 고정될 때 스토퍼(9)와 이송구(52)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2)가 정확하게 정렬하면서 이동된다.
포장용 상자(2)를 정렬하는 스토퍼(9)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이송수단(4)과 압착수단(7)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실린더(91)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다.
스토퍼(9)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91)는 본체(1)에 고정되는 제2 실린더(92)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실린더(92)의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급지공급수단(8)의 급지공급기(81)에 놓여지는 포장용 상자(2)를 급지로울러(3)쪽으로 밀어 넣는다.
급지로울러(3)에 포장용 상자(2)가 공급되면 회전하는 급지로울러(3)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2)가 본체(1)의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급지공급수단(8)의 급지공급기(81)는 포장용 상자(2)가 빠진만큼 센서에 의해서 작동하는 모터와 밸트(82)에 의해 상승하여 포장용 상자(2)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다.
급지공급기(81)에서 급지로울러(3)를 통해 본체(1)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포장용 상자(2)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전개되어 형성되는 포장용 상자(2)의 접착부(22)를 몸체(21)의 바깥쪽에 고정할때는 구획이송수단(4)의 제1 구획이송구(41) 상부와 제2 구획이송구(42)의 하부에 포장용 상자(2)의 접착부(22)가 놓여지게 하여 상기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에 의해서 구획되면서 본체(1)의 안쪽으로 상기 급지로울러(3)에 의해서 밀려 들어간다.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에 의해서 구획되어 본체(1)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포장용 상자(2)는 제1 이송수단(5)의 체인(51)에 형성된 이송구(52)가 상기 포장용 상자(2)의 끝단을 지지하면서 체인(51)의 회전방향으로 포장용 상자(2)를 진행시킨다.
제1 이송수단(5)의 이송구(52)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2)가 본체(1)의 안쪽으로 진행될 때 포장용 상자(2)의 양쪽 단부는 본체(1)의 양쪽에 형성된 안내판(44)에 밀착되어 이동된다.
상기 안내판(44)은 포장용 상자(2)의 폭에 따라 본체(1)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용 상자(2)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안내판(44)을 조절하여 포장용 상자(2)의 양측 단부를 밀착시킬 수 있다.
제1 이송수단(5)의 이송구(52)에 지지되어 밀리면서 본체(1)의 일측으로 진행되는 포장용 상자(2)는 제2 이송수단(6)의 이송밸트(62)에 올려져 상기 포장용 상자(2)가 손상되지않게 이송된다.
안내판(44)에 밀착되어 제1 이송수단(5)과 제2 이송수단(6)에 의해서 이동되며, 구획이송수단(4)의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에 의해서 구획되어 본체(1)의 일측으로 진행되는 포장용 상자(2)는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의 단부에 형성된 접착제 도포구(43)에 의해서 몸체(21)와 접착부(22)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접착제 도포구(43)에 의해서 접착제가 도포되는 포장용 상자(2)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수단(5)의 체인(51)에 고정된 이송구(52)에 의해서 밀려 이송되는 포장용 상자(2)는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압착수단(7)으로 유입되기 전에 제1 실린더(91)과 제2 실린더(92)에 의해서 이동되는 스토퍼(9)에 의해서 정렬되어 이동된다.
스토퍼(9)에 의해서 정렬되면서 이동되는 포장용 상자(2)의 양옆은 안내판(44)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부와 하부는 제1 이송수단(5)의 이송구(52)와 스토퍼(9)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하게 틀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어긋나지 않고 정확하게 틀이 유지된 포장용 상자(2)는 제1 이송수단(5)의 이송구(52)와 제2 실린더(92)에 의해서 제1 실린더(91)에 고정된 스토퍼(9)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수단(7)쪽으로 이동되면서 포장용 상자(2)를 이송시킨다.
이때,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9)는 압착수단(7)의 압착로울러(71)와 접촉되지 않도록 압착로울러(71)를 제외한 공간으로 유입도록 U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압착수단(7)의 압착로울러(71)로 안내판(44)을 따라 제1 이송수단(5)의 이송구(52)와 스토퍼(9)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2)가 유입되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9)가 제1 실린더(91)에 의해서 압착수단(7)의 압착로울러(71) 하부로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압착수단(7)의 압착로울러(71)에 포장용 상자(2)가 유입되면서 스토퍼(9)가 하강하기 때문에 접착제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2)의 몸체(21)와 접착부(22)가 붙은 상태에서 하강하므로 포장용 상자(2)가 어긋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1 실린더(91)에 의해서 하강된 스토퍼(9)는 다시 제2 실린더(92)에 의해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당겨진다.
압착수단(7)의 하부로 제2 실린더(92)에 의해서 당겨진 스토퍼(9)는 제1 이송수단(5)과 제2 이송수단(6)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2)가 다시 진입하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91)에 의해서 다시 상승하여 포장용 상자(2)를 정렬시키며, 상기와 같은 작동은 연속 반복된다.
압착수단(7)의 압착밸트(72)에서 포장용 상자(2)를 고정하던 스토퍼(9)가 하부로 하강해도 상기 압착수단(7)의 압착로울러(71)와 압착밸트(72) 및 제1 이송수단(5)의 이송구(52)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2)는 몸체(21)와 접착부(22)가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본체(1)의 일측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출된 포장용 상자(2)는 접착부(22)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의 바깥쪽에 포장용 상자(2)의 안쪽에 걸리는 부분이 없어 제품을 자동포장시 제품과 포장용 상자(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두 개로 전개된 포장용 상자(2)의 접착부(22)를 몸체(21)의 안쪽에 접착시킬때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이송수단(4)의 제1 구획이송구(41)와 제2 구획이송구(42)를 이동시켜 포장용 상자(2)의 접착부(22)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획이송구(41)의 상부와 제2 구획이송구(42)의 하부에 접착부(22)를 위치시켜 이송하여 압착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착고정되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2)가 포장용 상자(2)의 몸체(21) 안쪽에 고정되어 일반 포장용 상자(2)와 동일하게 사용한다.
상기에서는 크기가 큰 포장용 상자(2)를 두 개로 나누어 고정하는 방법이지만, 크기가 작아 한 개로 전개된 포장용 상자(2)는 구획이송수단(4)의 제1 구획이송구(41)를 하부로 하강시킨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획이송구(41)가 하부로 하강되면 제2 구획이송구(42)에 포장용 상자(2)의 접착부(22)와 몸체(21)를 올려놓고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착고정되는 포장용 상자(2)는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2)를 바깥쪽에 고정할 수 있으며,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획이송구(42)를 이동시켜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2)를 포장용 상자(2)의 몸체(21) 안쪽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 접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본 고안은 두 개로 나뉘어져 전개된 포장용 상자를 한번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제작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의 몸체에 고정되는 접착부를 몸체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용 상자의 접합부를 본체의 바깥쪽에 고정하여 제품을 자동포장할 때 접착부에 제품이 걸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압착되는 포장용 상자를 정렬하여 압착고정 시키기 때문에 몸체와 접합부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6)

  1.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가 놓여지는 급지공급수단과,
    급지공급수단이 형성된 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급지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포장용 상자를 본체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급지로울러와,
    급지로울러에 의해서 본체의 안쪽으로 이동되는 포장용 상자의 몸체와 접합부를 구획하며 본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획이송수단과,
    구획이송수단에 의해 구획된 상기 포장용 상자를 급지공급수단이 형성된 본체의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과,
    상기 제1 이동수단에 의해서 이동되는 포장용 상자의 앙쪽 측면에서 포장용 상자를 안내하는 안내판과,
    안내판을 따라 이동하는 포장용 상자를 본체의 중간부분부터 본체의 일측단부까지 진행시키는 제2 이동수단과,
    제1 이동수단과 제2 이동수단에 의해서 본체의 일측으로 진행되는 포장용 상자를 정렬시키면서 이동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과,
    제1 실린더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과,
    구획이송수단에서 포장용 상자가 진행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구와,
    상기 접착제 도포구에 의해서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용 상자를 압착 고정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구획이동수단은, 본체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두 개의 구획이송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3. 제 3항에 있어서; 본체에 형성되는 두 개의 구획이송구중 어느 한 개는 본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제1 이동수단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이 급지공급수단이 형성된 본체 일측에서 반대쪽 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인의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포장용 상자를 이동시키는 이송구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제2 이동수단은,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는 안내로울러에 이송밸트를 고정하여 상기 이송밸트가 포장지를 본체의 중간부분에서 일측단부까지 파손되지 않게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압착수단은, 급지공급수단이 형성된 본체의 반대쪽 단부 상측에 고정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하는 다수개의 압착로울러가 상하로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압착로울러는 압착밸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KR2020010000664U 2001-01-11 2001-01-11 포장용 상자 접합기 KR200228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64U KR200228113Y1 (ko) 2001-01-11 2001-01-11 포장용 상자 접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64U KR200228113Y1 (ko) 2001-01-11 2001-01-11 포장용 상자 접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316A Division KR100369740B1 (ko) 2001-01-10 2001-01-10 포장용 상자 접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113Y1 true KR200228113Y1 (ko) 2001-06-15

Family

ID=7305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664U KR200228113Y1 (ko) 2001-01-11 2001-01-11 포장용 상자 접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1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251B1 (ko) * 2001-08-22 2004-06-25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포장용 상자 접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251B1 (ko) * 2001-08-22 2004-06-25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포장용 상자 접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0400C (zh) 用于绑扎堆叠产品的绑扎系统和方法
KR100873908B1 (ko) 테이핑 및 밴딩장치
CN106005639A (zh) 全自动贴标机
KR102033737B1 (ko) 스테치와 풀접착시 폭 조정이 가능한 체인식 박스제작 기계장치
KR100369740B1 (ko) 포장용 상자 접합기
KR200228113Y1 (ko) 포장용 상자 접합기
US8056457B2 (en) Arrangement for covering a flat lying blank with a cover
CN210709940U (zh) 一种用于覆膜机的传输装置
US61869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olders
JPH0449046Y2 (ko)
US5288284A (en) Method for making bags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EP292141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euteln, insbesondere von Tabak-Beuteln
US5147270A (en) Equipment for folding and joining boxes made from flat or basically flat materials
KR100189467B1 (ko) 포장용 브리스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78274Y1 (ko) 책 보강 띠부재 접착장치
KR200390998Y1 (ko)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KR100475404B1 (ko) 젖은 우산 포장용 비닐봉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0135448B1 (ko) 타이어용 코드지의 자동접합장치
TWM568786U (zh) Folder forming machine
CN215660831U (zh) 一种封边机边带自动化输送装置
EP1147857B1 (en) Apparatus for joining closed-loop abrasive belts
CN211544105U (zh) 一种热熔胶半自动封装机
CN211544107U (zh) 一种木质板材封装用胶带粘接机
JP3342097B2 (ja) 差込み機械
CN116453995B (zh) 一种igbt全自动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