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361B1 -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361B1
KR102540361B1 KR1020210025297A KR20210025297A KR102540361B1 KR 102540361 B1 KR102540361 B1 KR 102540361B1 KR 1020210025297 A KR1020210025297 A KR 1020210025297A KR 20210025297 A KR20210025297 A KR 20210025297A KR 102540361 B1 KR102540361 B1 KR 10254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fabric
roll
uni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351A (ko
Inventor
이윤우
Original Assignee
효원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원기계(주) filed Critical 효원기계(주)
Priority to KR102021002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3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6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rolled-up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 B65B11/08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 B65B11/10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to fold the wrappers in tubular form about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9/00Devices for folding or bending wrappers around contents
    • B65B49/0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관에 원단이 감겨져 형성되는 롤형원단을 비닐로 포장할 때 비닐의 양 끝단을 열접착한 후 지관에 밀어넣음으로써 포장된 제품의 외관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롤형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롤형원단을 감싸도록 원단공급부의 전방에 비닐을 공급한 후 비닐절단기를 이용하여 롤형원단으로 공급된 비닐의 후방을 절단하는 비닐공급부; 및 롤형원단을 감싸고 있는 비닐의 측면을 접어 융착시킨 후 롤형원단의 지관 내부로 비닐을 밀어 넣어줌으로써 롤형원단에 비닐을 밀착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는 롤형원단이 안착되는 원단안착부; 안착된 롤형원단의 측면으로 돌출된 비닐을 상하방향에서 접어주도록 원단안착부의 상부와 하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비닐 상하접이부;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을 전후방향에서 밀어 접어준 후 융착시키도록 원단안착부의 원단 진행방향 앞쪽과 뒤쪽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비닐융착부; 및 원단안착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융착된 비닐을 롤형원단의 지관 내부로 밀어넣어주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Vinyl Packing Machine for Roll type Textile}
본 발명은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관에 원단이 감겨져 형성되는 롤형원단을 비닐로 포장할 때 비닐의 양 끝단을 열접착한 후 지관에 밀어넣음으로써 포장된 제품의 외관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원단의 경우에는 원단을 지관에 감아서 원통 형상으로 만든 후 비닐 등으로 포장하여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통 형상의 원단을 롤형원단이라 한다.
이러한 롤형원단을 포장할 경우에는 원통형상의 비닐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의 원단포장은 작업자가 원통형 비닐에 원단을 집어 넣고 좌우측 단부를 묶거나 접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작업으로 인해 번거러움과 불편함이 있으면서 비능률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롤형원단을 기계적으로 포장하는 원단포장기가 다수 개발된 바 있지만, 기계식 원단포장기는 원단의 위치에 대응하여 비닐을 정확하게 공급하기가 쉽지 않고, 비닐이 롤형원단에 밀착되지 않아 포장이 간결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계식 원단포장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다른 문제점도 있다.
한편, 공개특허 제10-1999-0080549호에는 본체의 원단진입구 앞쪽에 원단공급부와 윗쪽에는 비닐공급부를 설치하고 센타접착 및 절단부를 구성하며, 아랫쪽에는 사이드접착 및 절단부, 스톱퍼를 구비하여 원단이 콘베어벨트를 통해 오면 길이를 측정하여 원단폭과 비닐폭을 맞추고, 승강판이 원단을 들어올려 원단진입구로 굴려주고 원단이 비닐을 안고 경사받침대에 올려지는 과정에서 지름을 측정하여 경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며, 원단의 중심과 받침판의 높이를 맞추도록하여 센타접착을 하고 나면 원단이 스스로 굴러서 이동해 사이드접착 및 절단부에 의해 포장이 종료되고 스톱퍼의 승하강으로 원단이 본체의 격판 위로 들어올려져 운반함에 실려지도록 함으로써, 센타접착 및 사이드접착을 간결하게 하고, 또 작업공정에 따른 원단이동을 원단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롤형 원단포장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6962호에는, 프레임의 상면에 몸체를 고정시킨후 양단에 장력판을 설치하되 몸체의 양측단에 지지구멍을 형성하여 내부에 스프링을 삽입한 다음 중앙에 가이드핀을 삽입·고정시키고 장력판에는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게 하며, 몸체의 상면에는 중앙에 공간을 둔 상태로 2줄의 니크롬선을 설치하여 양단을 장력판에 고정시키고 니크롬을 감싸도록 히팅테이프를 씌운다음 몸체 측면에 요부를 형성하여 요부내에서 볼트로 히팅테이프를 고정시키며, 히팅테이프의 상부 중앙에는 히팅테이프와 조금 간격을 두고 스텐재질의 봉에 테프론 코팅하여서 된 절단용와이어를 설치하되 양단을 장력판에 고정시켜 구성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비닐의 두께나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한 접착이 가능하며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원단포장기의 포장비닐 절단 및 접착장치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354059호에는 원단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한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포장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원단을 받쳐주기 위한 제1 받침대와, 상기한 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한 제1 받침대의 위에 놓여진 원단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이송하기 위한 제1 실린더와, 비닐에 의해 원단이 감싸여진 후 원단을 감싸고 있는 비닐이 받침판과 히터플레이트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접착이 되고 나면 이를 받쳐 주기 위한 제2 받침대와, 상기한 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한 제2 받침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제2 실린더와, 상기한 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한 제2 받침대의 위에 놓여진 원단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측면 포장기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3 실린더를 포함하며, 원단을 이송시키는 경우에 원단의 자체 무게를 이용하여 굴려보내지 않고 실린더를 이용하여 일정한 힘을 가압하여 이송함으로써 이송에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센터포장기용 가압식 원단이송장치를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80549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696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0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관에 원단이 감겨져 형성되는 롤형원단을 비닐로 포장할 때 비닐의 양 끝단을 열접착한 후 지관에 밀어넣음으로써 포장된 제품의 외관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비닐포장이 진행되는 동안 롤러원단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롤형원단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비닐을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접어 융착함으로써 비닐이 펄럭이지 않도록 한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푸셔를 이용하여 비닐을 롤형원단의 지관 내부로 밀어넣을 때 푸셔가 비닐에 접촉하기 전에 비닐이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비닐을 고정하는 지지부재와 푸셔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는, 지관에 원단이 감겨 형성되는 롤형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롤형원단을 감싸도록 원단공급부의 전방에 비닐을 공급한 후 비닐절단기를 이용하여 롤형원단으로 공급된 비닐의 후방을 절단하는 비닐공급부; 및 비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롤형원단이 정지된 상태에서 롤형원단을 감싸고 있는 비닐의 측면을 접어 융착시킨 후 롤형원단의 지관 내부로 비닐을 밀어 넣어 위치하게 함으로써 롤형원단에 비닐을 밀착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는 롤형원단이 안착되는 원단안착부; 안착된 롤형원단의 측면으로 돌출된 비닐을 상하방향에서 접어주도록 원단안착부의 상부와 하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비닐 상하접이부;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을 전후방향에서 밀어 접어준 후 융착시키도록 원단안착부의 원단 진행방향 앞쪽과 뒤쪽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비닐융착부; 및 원단안착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융착된 비닐을 롤형원단의 지관 내부로 밀어넣어주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원단안착부는 비닐이 감긴 롤형원단이 상부에 안착되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안착블록과, 비닐이 감긴 롤형원단을 상부에서 압착하도록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가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안착블록의 상부면과 가압블록의 하부면에는 각각 안착홈이 구비되고, 안착홈은 전후 방향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닐 상하접이부는 비닐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밀어주는 밀판과, 밀판을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닐융착부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을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서 밀어주는 가압부재과, 공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며 가압부재에 의해 접힌 비닐을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히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부재는 푸싱부에 구비된 푸셔가 통과하도록 전면에 세모꼴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푸싱부는 전후실린더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는 포장부의 롤러안착부에 비닐이 감긴 롤형원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롤형원단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비닐을 비닐상하접이부가 상하방향에서 접어준 후 비닐융착부가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을 전후방향에서 밀어 재차 접은 상태에서 융착시키고 푸셔를 이용하여 롤형원단의 지관 내부로 비닐을 밀어넣음에 따라 롤형원단의 외주면과 측면에 비닐이 밀착되어 포장 품질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단안착부를 구성하는 안착블록과 가압블록에 각각 안착홈이 구비됨에 따라 비닐포장이 진행되는 동안 롤러원단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원단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비닐을 상하방향에서밀어 접은 후 전후방향에서 밀어 접은 상태에서 융착시키게 되므로 비닐이 펄럭이지 않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융착부의 가압부재에 삽입홈이 구비됨에 따라 가압부재가 비닐을 고정한 상태에서 푸셔가 두 삽입홈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비닐을 밀어줌에 따라 비닐이 안정적으로 롤형원단의 지관 내부로 삽입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의 포장부를 진행방향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의 포장부를 나타낸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의 포장부를 구성하는 각부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의 포장부를 구성하는 각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를 이용하여 롤형원단에 비닐을 포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를 이용하여 롤형원단에 비닐을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공급부(210)와 비닐공급부(310) 및 포장부(100)를 포함하며, 열수축부와 공기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공급부(210)는 지관에 화장지나 섬유 등의 원단이 감겨 형성되는 롤형원단(200)을 포장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롤형원단(200)을 밀어주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닐공급부(310)는 롤형원단(200)을 감싸 보호하는 비닐(300)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원단공급부(210)의 전방으로 비닐(300)을 공급하여 원단공급부(200)에 의해 롤형원단(200)이 이동되어 비닐(300)이 롤형원단(200)을 감싸게 되면 롤형원단(200)으로 공급된 비닐(300)의 후방을 절단하는 비닐절단기(320)를 포함한다.
포장부(100)는 롤형원단(200)에 비닐(300)을 밀착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비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롤형원단이 정지된 상태, 즉 롤형원단이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롤형원단(200)을 감싸고 있는 비닐(300)의 측면을 접어 융착시킨 후 롤형원단(200)의 지관 내부로 비닐(300)을 밀어 넣어주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장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형원단(200)이 안착되는 원단안착부(110)와, 안착된 롤형원단(200)의 측면으로 돌출된 비닐(300)을 상하방향에서 접어주도록 원단안착부(110)의 상부와 하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비닐 상하접이부(120)와,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300)을 전후방향에서 밀어 접어준 후 융착시키도록 원단안착부(110)의 원단 진행방향 앞쪽과 뒤쪽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비닐융착부(130)과, 원단안착부(1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융착된 비닐(300)을 롤형원단(200)의 지관 내부로 밀어넣어주는 푸싱부(140) 및 포장부(100) 내부에서 롤형원단(200)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어를 포함한다.
즉, 포장부(100)는 원단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롤형원단(200)을 원단안착부(1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롤형원단(200)을 감싸고 있는 비닐(300)의 측면을 상하방향에서 접어준 후 전후방향에서 다시 접어 융착시키고, 융착된 비닐(300)을 롤형원단(200)의 지관 내부로 밀어넣어 줌으로써 롤형원단(200)의 측면에 비닐(300)이 밀착되도록 포장하게 된다.
상기 원단안착부(11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300)이 감긴 롤형원단(200)이 상부에 안착되며 승강실린더(112)에 의해 승강되는 안착블록(111)과, 비닐(300)이 감긴 롤형원단(200)을 상부에서 압착하도록 승강실린더(114)에 의해 승강되는 가압블록(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착블록(111)의 상부면과 가압블록(113)의 하부면에는 각각 전후 방향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111', 113')이 구비되어 안착된 롤형원단(20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컨베어에 의해 원단안측부(110)로 이송된 롤형원단(200)이 안착블록(111)의 안착홈(111')에 안착되면 승강실린더(112)가 안착블록(111)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승강실린더(114)가 가압블록(113)을 하강시킴으로써, 롤형원단(200)이 안착블록(111)과 가압블록(113)의 안착홈(111', 11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비닐 상하접이부(12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안착부(110)의 상부와 하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롤형원단(200)의 측면으로 돌출된 비닐(300)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밀어주는 밀판(121)과, 밀판(121)을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122)를 포함하며, 4개소의 비닐 상하접이부(120)가 동시에 작동되어 롤형원단(200)의 측면에 위치한 비닐(300)을 상측과 하측에서 밀어줌으로써 비닐(300)을 상하방향으로 접어주게 된다.
비닐융착부(130)는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300)을 전후방향에서 밀어 접어준 후 융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단안착부(110)의 원단 진행방향 앞쪽과 뒤쪽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비닐융착부(130)는 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132)에 의해 작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300)을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서 밀어주는 가압부재(131)과, 공압실린더(134)에 의해 작동되며 가압부재(131)에 의해 접힌 비닐(300)을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히팅부재(133)를 포함한다.
이때, 가압부재(131)의 전면에는 푸싱부(140)에 구비된 푸셔(141)가 통과하도록 세모꼴 삽입홈(131')이 형성됨으로써 전방측과 후방측의 가압부재(131)에 의해 마름모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비닐 상하접이부(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300)을 가압부재(131)가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밀어 접어준 상태에서 히팅부재(133)가 접힌 비닐(300)을 가열하여 융착시킬 수 있게 된다.
푸싱부(140)는 비닐융착부(130)에 의해 융착된 비닐(300)을 롤형원단(200)의 지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부재(131)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비닐(300)을 밀어주는 푸셔(141)와, 푸셔(141)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실린더(142)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를 이용하여 롤형원단을 비닐로 포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a)와 같이 원단공급부(210)의 전방에 롤러원단(200)을 배치하고, 그 앞쪽에 비닐공급부(310)에서 공급된 비닐(300)을 위치시킨다.
이어, 도 6의 (b)와 같이, 원단공급부(210)를 이용하여 롤러원단(200)을 밀어주게 되면, 롤러원단(200)이 비닐(300)을 밀치면서 포장부(100)로 이동하게 되고, 롤러공급부(310)의 비닐절단기(320)가 하강하여 롤러원단(200) 후방의 비닐(300)을 절단하게 된다.
포장부(100)로 공급된 롤러원단(200)은 컨베어에 의해 롤러안착부(110)로 이동하고, 롤러원단(200)이 롤러안착부(110)의 안착블록(111)에 도달하게 되면, 도 7의 (c)와 같이, 하부의 승강실린더(112)에 의해 안착블록(111)이 상승됨과 아울러 상부의 승강실린더(114)에 의해 가압블록(113)이 하강하여 안착블록(111)에 안착된 롤러원단(200)을 가압 고정하게 된다.
롤러안착부(110)에 의해 롤러원단(200)이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도 7의 (d)와 같이 비닐 상하접이부(120)를 구성하는 밀판(121)이 하강 또는 상승함으로써 롤러원단(200)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비닐(300)을 상측과 하측에서 밀어 상하방향으로 접어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융착부(130)의 가압부재(131)가 공압실린더(132)에 의해 전진하여 상하방향으로 접혀진 비닐(300)을 각각 이동방향 전방과 후방에서 밀어 접어주게 된다.
이어, 도 8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용착부(130)의 히팅부재(133)가 공압실린더(134)에 의해 전진하여 접혀진 비닐(300)을 융착시키게 된다.
비닐(300)의 융착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융착부(130)의 히팅부재(131)가 후퇴함과 아울러 비닐 상하접이부(120)의 밀판(121)이 각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후퇴하여 비닐융착부(130)의 가압부재(131)만 남아 비닐(300)을 잡아주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푸싱부(140)가 작동하여, 구체적으로는 전후실린더(142)에 의해 푸셔(141)가 전진 이동하여 비닐(300)을 밀어줌으로써 비닐(300)이 롤러원단(200)의 지관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푸셔(141)가 전진을 시작하게 되면 가압부재(131) 역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비닐(300)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비닐(300)이 롤러원단(200)의 측면에 밀착된다.
이후, 푸셔(141)가 후퇴함과 아울러 상기 롤러안착부(110)의 안착블록(111)과 가압블록(113)이 초기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비닐(300)에 의해 감싸진 롤러원단(200)이 컨베어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컨베어에 의해 이동된 롤러원단(200)은 열수축부를 통과하면서 비닐(300)이 열에 의해 수축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배출부에 의해 비닐(300) 내부의 공기가 모두 배출되어 비닐(300)이 롤러원단(20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비닐(300)이 롤러원단(200)의 양 측면은 물론 외측면에 밀착되어 펄럭이지 않게 되는 등 포장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포장부 110 : 롤러안착부
111 : 안착블록 111' : 안착홈
112 : 승강실린더 113 : 가압블록
113' : 안착홈 114 : 승강실린더
120 : 비닐 상하접이부 121 : 밀판
122 : 공압실린더 130 : 비닐융착부
131 : 가압부재 132 : 공압실린더
133 : 히팅부재 134 : 공압실린더
140 : 푸싱부 141 : 푸셔
142 : 전후실린더 200 : 롤러원단
210 : 원단공급부 300 : 비닐
310 : 비닐공급부 320 : 비닐절단기

Claims (7)

  1. 지관에 원단이 감겨져 형성되는 롤형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롤형원단을 감싸도록 원단공급부의 전방에 비닐을 공급한 후 비닐절단기를 이용하여 롤형원단으로 공급된 비닐의 후방을 절단하는 비닐공급부; 및
    비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롤형원단이 정지된 상태에서 롤형원단을 감싸고 있는 비닐의 측면을 접어 융착시킨 후 롤형원단의 지관 내부로 비닐을 밀어 넣어 위치하게 함으로써 롤형원단에 비닐을 밀착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는,
    롤형원단이 안착되는 원단안착부;
    안착된 롤형원단의 측면으로 돌출된 비닐을 상하방향에서 접어주도록 원단안착부의 상부와 하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비닐 상하접이부;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을 전후방향에서 밀어 접어준 후 융착시키도록 원단안착부의 원단 진행방향 앞쪽과 뒤쪽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비닐융착부; 및
    원단안착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융착된 비닐을 롤형원단의 지관 내부로 밀어넣어주는 푸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닐 상하접이부는,
    비닐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밀어주는 밀판과, 밀판을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비닐융착부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힌 비닐을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서 밀어주는 가압부재과, 공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며 가압부재에 의해 접힌 비닐을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히팅부재를 포함하고,
    가압부재는 푸싱부에 구비된 푸셔가 통과하도록 전면에 세모꼴 삽입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푸싱부는, 전후실린더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안착부는 비닐이 감긴 롤형원단이 상부에 안착되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안착블록과, 비닐이 감긴 롤형원단을 상부에서 압착하도록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가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블록의 상부면과 가압블록의 하부면에는 각각 안착홈이 구비되고, 안착홈은 전후 방향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25297A 2021-02-25 2021-02-25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KR102540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297A KR102540361B1 (ko) 2021-02-25 2021-02-25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297A KR102540361B1 (ko) 2021-02-25 2021-02-25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351A KR20220121351A (ko) 2022-09-01
KR102540361B1 true KR102540361B1 (ko) 2023-06-07

Family

ID=8328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297A KR102540361B1 (ko) 2021-02-25 2021-02-25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2964B (zh) * 2023-12-11 2024-02-02 江苏百择高分子有限公司 一种聚四氟乙烯成品包装机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18Y1 (ko) * 2001-10-19 2002-01-23 주식회사 크레텍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측면 포장기
JP2004244072A (ja) * 2003-02-14 2004-09-02 Fuji Photo Film Co Ltd 脱気包装方法及び脱気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801B1 (ko) 1998-04-14 2001-11-30 정자영 롤형원단포장기
KR200238090Y1 (ko) 1999-02-11 2001-09-25 이진술 원단포장기의 포장비닐 절단 및 접착장치
KR200354059Y1 (ko) 2004-03-30 2004-06-23 화인기계전자(주)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센터포장기용 가압식 원단이송장치
KR20150098327A (ko) * 2014-02-20 2015-08-28 주식회사 상동 원단 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원단 비닐 포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18Y1 (ko) * 2001-10-19 2002-01-23 주식회사 크레텍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측면 포장기
JP2004244072A (ja) * 2003-02-14 2004-09-02 Fuji Photo Film Co Ltd 脱気包装方法及び脱気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351A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06060A (ja) 複数のロール状テープの連続巻戻し装置
JP3271807B2 (ja) フィルムスプライサ
US11136154B2 (en) Packaging machine for bedding products
KR102540361B1 (ko) 롤형원단의 비닐포장장치
CA2850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folding folded plastic film for use in forming a packaging tube
KR100488143B1 (ko) 테이프에 의한 결속기
KR102417792B1 (ko) 비닐포장지 손잡이 부착 장치
FI92670B (fi) Pakkauskone kirjojen tai vastaavien pakkaamiseksi
JPH1170600A (ja) 箱状容器の底部に熱収縮性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を自動的に糊付けする方法と装置
US3866389A (en) Roll wrapping machine
WO2013059052A1 (en) Apparatus for joining overlapped side edges of plastic film sheet formed into elongate tube
ITMI20010094A1 (it) Macchina per l'avvolgimento in rotoli e/o l'imballaggio di rotoli di tessuti e simili
IT9021788A1 (it) Macchina automatica di fasciatura periferica di rotoli di materiale in striscia, quale tessuto.
JP2832484B2 (ja) 封筒製袋機
KR200390998Y1 (ko) 자동포장기용 절단로울러
IT202000017641A1 (it) Apparato per l’avvolgimento di materassi o tappeti e relativo procedimento
KR19990080549A (ko) 롤형 원단포장기
JPS6113470Y2 (ko)
JPH0725361B2 (ja) プラスチックボビン等の自動包装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38008Y1 (ko) 포장망 제조장치용 포장망펼침안내구
FI101953B (fi) Menetelmä ja laite umpinaisen vaipan muodostamiseksi esineen ympärille
KR102263923B1 (ko) 포장용 밴드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KR101442581B1 (ko) 포장지 열접착 자동 연결장치
JP4950430B2 (ja) フィルム包装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69562Y1 (ko) 래핑머신용 포장지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