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522Y1 -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522Y1
KR200388522Y1 KR20-2005-0010137U KR20050010137U KR200388522Y1 KR 200388522 Y1 KR200388522 Y1 KR 200388522Y1 KR 20050010137 U KR20050010137 U KR 20050010137U KR 200388522 Y1 KR200388522 Y1 KR 200388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eet
panel
unit
sheet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택
Original Assignee
(주)세진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티에스 filed Critical (주)세진티에스
Priority to KR20-2005-0010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시트 제조장치에서 절단, 제조된 후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를 한 장씩 이송시켜 패널시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10)과, 소정 치수로 절단된 패널시트(P)가 적층되어 있는 적재 플레이트(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패널시트 적층 유닛과, 상기 패널시트 적층 유닛으로부터 패널시트(P)를 한 장씩 흡착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흡착 이송 유닛과,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서 이송되는 패널시트(P)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 유닛과, 상기 정전기 제거 유닛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상태의 패널시트(P) 표면에 부착된 먼지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는,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가 정확하게 한 장씩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 흡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를 향하여 바람을 불어줌으로써 패널시트(P)가 들뜨게 하는 블로워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Panel sheet cleaning apparatus}
본 고안은 LCD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패널시트를 청소하기 위한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시트 제조장치에서 절단, 제조된 후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를 한 장씩 이송시켜 패널시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모니터, 액정 텔레비전(TV)과 같은 표시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액정디스플레이(이하 LCD라 함)는 다른 화상표시기구인 음극선관(CRT)에 비해 경박단소화 및 저소비전력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LCD는 음극선관과는 달리 스스로 빛을 내는 소자가 아니라 수광소자이므로 액정화면 외에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LCD의 백라이트 유닛은 패널 전체에 고르게 빛을 전달하는 조광장치로서 사용되며, LCD 패널에서는 투과되는 빛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통상의 LCD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이 프레임 내에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통상의 백라이트 유닛은 냉음극형광램프(CCFL)와 같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산란시켜 균일화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배치되는 확산시트, 보호시트, 프리즘시트 등의 패널시트와,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나의 백라이트 유닛에는 여러 장의 패널시트가 적층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패널시트는 패널시트 제조장치에 의해서 원지로부터 일정한 크기를 가지도록 절단되어 만들어진다.
패널시트 제조장치의 절단금형에 의해 원지를 절단하여 소정 치수의 패널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패널시트 상에 미세 먼지가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먼지는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시 불량의 원인이 되므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패널시트를 사용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제조하기 전에 클리닝 장치에 의해 패널시트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 스택(stack)으로부터 패널시트를 한 장씩 집어 클리닝 장치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패널시트 이송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적층 상태의 패널시트는 소재의 특성상 정전기 등에 의해 한 장씩 분리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종래의 패널시트 이송장치로 패널시트를 이송할 때 두세장의 패널시트가 한꺼번에 이송되거나 한꺼번에 딸려온 패널시트가 이송도중에 분리되어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패널시트 상에 부착된 먼지는 단순히 패널시트 상에 올려져 있는 것이 아니라 정전기에 의해 소정의 전기적 결합력을 가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닝 작업에 의해서 확실하게 제거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시트 제조장치에서 절단, 제조된 후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를 클리닝 장치에 한 장씩 정확하게 이송시켜 공급시킬 수 있는 동시에 패널시트 상에 정전기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메인 프레임과, 소정 치수로 절단된 패널시트가 적층되어 있는 적재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패널시트 적층 유닛과, 상기 패널시트 적층 유닛으로부터 패널시트를 한 장씩 흡착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흡착 이송 유닛과,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서 이송되는 패널시트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 유닛과, 상기 정전기 제거 유닛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상태의 패널시트 표면에 부착된 먼지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는,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가 정확하게 한 장씩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 흡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를 향하여 바람을 불어줌으로써 패널시트(P)가 들뜨게 하는 블로워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소정 치수로 절단된 패널시트(P)가 적층되는 적재 플레이트(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패널시트 적층 유닛과, 상기 패널시트 적층 유닛으로부터 패널시트(P)를 한 장씩 흡착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흡착 이송 유닛과,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서 이송되는 패널시트(P)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 유닛과, 상기 정전기 제거 유닛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상태의 패널시트(P) 표면에 부착된 먼지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패널시트(P)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입자를 클리닝 유닛에 의해 제거하기 전에 정전기 제거 유닛에 의해 패널시트(P)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해 패널시트(P) 상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입자들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는,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가 정확하게 한 장씩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 흡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를 향하여 바람을 불어줌으로써 패널시트(P)가 들뜨게 하는 블로워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시트 적층 유닛은, 소정 치수로 절단된 패널시트(P)가 적층되는 적재 플레이트(11)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재 플레이트(11)의 높낮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패널시트 적층 유닛은, 상기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적재 플레이트(11)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봉(17)과, 상기 적재 플레이트(11)에 적층된 패널시트(P)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 고정부재(1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패널시트(P)가 이송됨에 따라 낮아진 패널시트 스택의 높이 감소분만큼 상기 적재 플레이트(11)의 높이를 높여줌으로써 가장 최상층에 적층된 패널시트(P)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패널시트 스택의 높이 감소를 검출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 감지기가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다. 이 높이 감지기는, 연결봉(21)을 통해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된 센서(22)와, 이 센서(22)로부터 뻗어있는 연장부재(23)의 말단에 장착된 접촉부재(24)로 이루어진다.
이 접촉부재(24)는 적층된 패널시트(P) 상에 얹혀 있으며, 패널시트(P)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형의 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접촉부재(24)는 연장부재(23)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에 따라 패널시트(P)가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 흡착되어 이송될 때, 이송되는 패널시트(P)의 움직임에 따라 접촉부재(24)가 회전됨으로써 접촉부재(24)가 패널시트(P)의 표면을 긁어 상처가 나게 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패널시트(P)가 이송되어 적층된 패널시트 스택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접촉부재(24)의 위치도 점차 낮아진다. 이 때 센서(22)는 연결봉(23)을 통하여 메인 프레임(10)에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재(24)의 위치가 낮아지면 이 접촉부재(24)가 장착된 연장부재(23)가 선회되고, 이를 센서(22)가 감지함으로써 패널시트 스택의 높이가 낮아진 것을 검출해 낼 수 있다.
센서(22)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패널시트 스택의 높이가 낮아졌음을 알리고, 제어부는 상기 높이 조절장치를 구동시켜 적재 플레이트(11)의 높이를 패널시트 스택의 높이 감소분만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적재 플레이트(1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된 구동장치(도시생략)와, 이 구동장치를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킷(12a, 12b)과, 종동 스프로킷(13a, 13b)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2a, 12b) 및 상기 종동 스프로킷(13a, 13b)의 사이에 감겨있는 체인(14)과, 상기 적재 플레이트(11)를 상기 체인(14)의 움직임에 연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연결부재(1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14)은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모터의 회전력은 일측의 구동 스프로킷(12a)으로만 전달되고, 타측의 구동 스프로킷(12b)은 일측의 종동 스프로킷(13a)의 축으로부터 일체로 뻗어있는 축 부재(16)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재번호 13b는 타측의 구동 스프로킷(12b)과 협력하여 체인(14)이 감겨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타측의 종동 스프로킷이다.
도 7에는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가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비하여 랙과 피니언에 의해 구동된다는 점만이 서로 상이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이한 구조에 대한 설명만이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는, 체인 전동수단을 이용하는 대신에, 랙(71)과 피니언(72)을 이용하여, 높이 감지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구동장치가 구동되면 하우징(73) 내에서 상기 피니언(72)이 회전하면서 랙(7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랙(7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적재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변형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11)의 상하이동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가이드 봉(7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 플레이트(11) 상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봉(17)이 마련되어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서 적재 플레이트(1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 적재 플레이트(11)가 흔들림 없이 직선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봉(17)은 상기 위치 고정부재(17)와 함께 협력하여 적재 플레이트(11)에 적층된 패널시트(P)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재(18)는 패널시트(P)의 크기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게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위치 고정부재(18)는 조임나사(18a)를 풀어 패널시트에 대하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이송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착 프레임(31)과, 상기 흡착 프레임(3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흡착빨판(32)과, 진공을 발생시켜 상기 흡착빨판(32)이 패널시트(P)를 흡착하도록 하는 진공 발생기(36)와, 상기 흡착빨판(32)에 의해 흡착된 패널시트(P)를 상기 클리닝 유닛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이송롤러(33, 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흡착 프레임(31)은, 패널시트(P) 측으로 하강되어 흡착빨판(32)이 패널시트(P)의 상면에 닿아 패널시트(P)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하강위치와, 제1 및 제2 이송롤러(33, 34) 측으로 상승되어 흡착된 패널시트(P)를 제1 및 제2 이송롤러(33, 34)에 전달하는 상승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흡착 프레임(31)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실린더 장치나 링크수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롤러(33)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며 하나의 원통형 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 이송롤러(33)의 상방에는 소정 개수의 제2 이송롤러(34)가 제1 이송롤러(33)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맞닿아 있다.
제1 및 제2 이송롤러(33, 34)의 후방, 즉 흡착 이송 유닛과 정전기 제거 유닛과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33, 34)에 의해서 전달되는 패널시트(P)가 정전기 제거 유닛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 판(35; 도 4 참조)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판(35)으로 인하여, 제1 및 제2 이송롤러(33, 34)의 회전에 의해 패널시트(P)가 이송되는 속도와, 상기 클리닝 유닛의 제1 컨베이어 장치(52)의 이송 속도가 서로 동일하지 않더라도, 패널시트(P)는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전기 제거 유닛은, 고전압 발생기(41)와 전극(42)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이오나이저(ionizer)를 사용한다. 상기 정전기 제거 유닛은 상기 흡착 이송 유닛의 미끄럼 판(35)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오나이저는 고전압 발생기(41)에서 발생된 고전압을 전극(42)에 걸어 이 전극(42) 주위에 야기되는 강한 자기장에 의해 분자를 이온화시키는 장치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오나이저의 전극(42) 주위에 발생된 음이온과 양이온을, 이 전극(42) 주위에 송풍기(64)에 의해서 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흡착 이송 유닛으로부터 상기 클리닝 유닛으로 이송되어 가는 패널시트(P) 주위로 공급해 준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패널시트(P) 주위에 음이온과 양이온을 공급함으로써 패널시트(P)의 표면에 먼지입자를 부착시키고 있는 정전기력이 중화되어, 먼지입자가 패널시트(P)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유닛은, 점착성 재료에 의해 먼지입자를 패널시트(P)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점착롤러들이 내장되는 본체(51)와,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 흡착되어 이송되는 패널시트(P)를 상기 본체(51)에 공급하는 제1 컨베이어 장치(52)와, 클리닝 작업이 완료된 패널시트(P)를 상기 본체(51)로부터 수납통(56)으로 배출시키는 제2 컨베이어 장치(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51)에 내장된 점착롤러들은 상하 대칭으로 배열되며, 패널시트(P)의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패널시트(P)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입자를 분리해 내는 1차 점착롤러(54)와, 패널시트(P)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1차 점착롤러(54)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입자를 다시 분리해 내는 2차 점착롤러(5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패널시트(P)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입자는 1차 점착롤러(54)를 거쳐 최종적으로 2차 점착롤러(55)에 부착된다. 이를 위하여 2차 점착롤러(55)의 점착력은 1차 점착롤러(54)의 점착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유닛은, 상기 흡착 이송 유닛의 제1 및 제2 이송롤러(33, 34)의 하방에 배치되어, 적재 플레이트(11) 상에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의 전면(즉, 적재 플레이트(11) 상에 적층된 패널시트(P)에 있어서 클리닝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도 1에서는 패널시트 스택의 우측면)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패널시트(P)가 들뜨게 하는 메인 블로워(61)와, 적재 플레이트(11) 상에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의 좌우측면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제1 및 제2 측면 블로워(62, 63)와, 상기 메인 블로워(61), 상기 제1 및 제2 측면 블로워(62, 63)에 대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블로워(6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기다란 중공 막대 형상을 가지며, 그 양쪽 끝 부분은 폐쇄되어 있다. 이 메인 블로워(61)는 패널시트 스택의 가장 위쪽부분에 배치된다.
메인 블로워(61)의 일측 표면, 즉 적재 플레이트(11)에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를 향하는 쪽 표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a, 61b)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탄성편(65)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65)은 흡착빨판(32)을 이용하여 패널시트를 흡착하여 들어올릴 때 또 다른 패널시트가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블로워(61)의 내부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분리부재(61c)에 의해 2개의 상하부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메인 블로워(61)의 상부 공간에 형성된 관통구멍(61a)은 2열로 배열되어 있는 반면, 하부 공간에 형성된 관통구멍(61b)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사선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1 측면 블로워(62)는 관통구멍이 일렬로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패널시트 스택의 가장 위쪽 후방부분의 좌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패널시트 스택이 2개인 경우, 상기 제1 측면 블로워(62)가 2개의 패널시트 스택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 그리고 2개의 패널시트 스택의 사이에 하나 등 모두 3군데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시된 제1 측면 블로워(62)의 경우에는 적층된 패널시트(P)와 평행하게 뻗어있는 아래쪽의 직선형상 부분에만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측면 블로워(63)는 패널시트 스택의 상부 전방에 가까운 측면위치에 공기를 불어주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패널시트 스택의 후방 측면에는 제1 측면 블로워(62)가, 그리고 패널시트 스택의 전방 측면에는 제2 측면 블로워(63)가 공기를 불어주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시트 스택의 전후방에 대한 바람의 세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송풍기(64)로부터의 공기는 상기 흡착 이송 유닛의 흡착 프레임(3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메인 블로워(61)의 상하부 공간 중 어느 한 쪽의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흡착 프레임(31)이 하강되어 흡착빨판(32)이 패널시트(P)에 접촉되는 순간에는 메인 블로워(61)의 하부공간으로 공기가 공급되고, 흡착 프레임(31)이 상승되어 감에 따라 메인 블로워(61)의 상부공간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흡착 프레임(31)이 하강되어 흡착빨판(32)이 패널시트(P)에 접촉되는 순간에는 메인 블로워(61)의 하부공간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측면 블로워(62, 63)에도 공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흡착 프레임(31)이 하강될 때에는 메인 블로워(61)의 하부공간과 제1 및 제2 측면 블로워(62, 63)로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적재 플레이트(11)에 적층된 패널시트(P) 스택 중 가장 위쪽 부분에 적층된 패널시트(P)들이 서로 분리되어 들뜨게 된다. 그에 따라 흡착빨판(32)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흡착된 패널시트(P)만이 흡착 프레임(31)이 상승됨에 따라 이 흡착 프레임(31)과 함께 상승될 수 있다.
계속해서 흡착 프레임(31)이 상승될 때에는 메인 블로워(61)의 상부공간으로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흡착빨판(32)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흡착된 패널시트(P) 이외에 이 패널시트와 정전기에 의해 부착되어 함께 상승되는 또 다른 패널시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러한 또 다른 패널시트가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패널시트 제조장치에서 절단, 제조된 후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를 클리닝 장치에 한 장씩 정확하게 이송시켜 공급시킬 수 있는 동시에 패널시트 상에 정전기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상기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를 정면 우측 상방에서 본 일부 사시도,
도 3은 상기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를 정면 좌측 상방에서 본 일부 사시도,
도 4는 상기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를 배면 우측 상방에서 본 일부 사시도,
도 5는 상기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상에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 스택의 높이 감지기의 측면도,
도 6은 상기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의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상기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의 높이 조절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상기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에 구비된 메인 블로워의 일부 사시도이다.

Claims (5)

  1. 메인 프레임(10)과,
    소정 치수로 절단된 패널시트(P)가 적층되어 있는 적재 플레이트(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패널시트 적층 유닛과,
    상기 패널시트 적층 유닛으로부터 패널시트(P)를 한 장씩 흡착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흡착 이송 유닛과,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서 이송되는 패널시트(P)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 유닛과,
    상기 정전기 제거 유닛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상태의 패널시트(P) 표면에 부착된 먼지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시트 적층 유닛은, 소정 치수로 절단된 패널시트(P)가 적층되는 적재 플레이트(11)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재 플레이트(11)의 높낮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 이송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착 프레임(31)과, 상기 흡착 프레임(3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흡착빨판(32)과, 진공을 발생시켜 상기 흡착빨판(32)이 패널시트(P)를 흡착하도록 하는 진공 발생기(36)와, 상기 흡착빨판(32)에 의해 흡착된 패널시트(P)를 상기 클리닝 유닛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이송롤러(33, 34)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33, 34)에 의해서 정전기 제거 유닛으로 전달되는 패널시트(P)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 판(35)을 포함하며,
    상기 정전기 제거 유닛은, 고전압 발생기(41)와 전극(42)을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 유닛은, 점착성 재료에 의해 먼지입자를 패널시트(P)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점착롤러들이 내장되는 본체(51)와,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 흡착되어 이송되는 패널시트(P)를 상기 본체(51)에 공급하는 제1 컨베이어 장치(52)와, 클리닝 작업이 완료된 패널시트(P)를 상기 본체(51)로부터 수납통(56)으로 배출시키는 제2 컨베이어 장치(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가 정확하게 한 장씩 상기 흡착 이송 유닛에 의해 흡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를 향하여 바람을 불어줌으로써 패널시트(P)가 들뜨게 하는 블로워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유닛은, 적재 플레이트(11) 상에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의 전면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패널시트(P)가 들뜨게 하는 메인 블로워(61)와, 적재 플레이트(11) 상에 적층되어 있는 패널시트(P)의 좌우측면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제1 및 제2 측면 블로워(62, 63)와, 상기 메인 블로워(61), 상기 제1 및 제2 측면 블로워(62, 63)에 대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64)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블로워(61)의 내부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분리부재(61c)에 의해 2개의 상하부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흡착 이송 유닛의 흡착 프레임(3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송풍기(64)로부터의 공기가 메인 블로워(61)의 상하부 공간 중 어느 한 쪽의 공간으로 공급되고, 메인 블로워(61)의 패널시트(P)를 향하는 쪽 표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a, 61b)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복수개의 탄성편(65)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측면 블로워(62)는 패널시트 스택의 후방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면 블로워(63)는 패널시트 스택의 전방 측면에 배치되어 패널시트 스택의 전후방에 대한 바람의 세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패널시트 스택의 높이 감소를 검출하여 적재 플레이트(11)의 높이를 패널시트 스택의 높이 감소분만큼 상승시키기 위해서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높이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높이 감지기는, 연결봉(21)을 통해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된 센서(22)와, 이 센서(22)로부터 뻗어있는 연장부재(23)의 말단에 장착된 접촉부재(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KR20-2005-0010137U 2005-04-13 2005-04-13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KR200388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137U KR200388522Y1 (ko) 2005-04-13 2005-04-13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137U KR200388522Y1 (ko) 2005-04-13 2005-04-13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522Y1 true KR200388522Y1 (ko) 2005-06-29

Family

ID=4368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137U KR200388522Y1 (ko) 2005-04-13 2005-04-13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5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39A (ko)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아이엔티 광학필름 클리닝장치
CN109225980A (zh) * 2018-10-12 2019-01-18 合肥泰沃达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镭射导光板清洁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39A (ko)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아이엔티 광학필름 클리닝장치
CN109225980A (zh) * 2018-10-12 2019-01-18 合肥泰沃达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镭射导光板清洁机
CN109225980B (zh) * 2018-10-12 2024-03-19 合肥泰沃达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镭射导光板清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09B1 (ko) 자기부상방식 판유리 이송장치
KR101929527B1 (ko) 필름 박리 장치
US20080011420A1 (en) Film Stripp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9029078A1 (zh) 显示面板的检查设备和显示面板检测方法
KR20070092648A (ko)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JP4612516B2 (ja) スパッタ装置およびスパッタ装置用キャリア
JP2008254918A (ja) 薄板状材料搬送用ローラユニット及び薄板状材料搬送装置
KR200394276Y1 (ko) 블로워를 갖춘 패널시트 이송장치
KR101400676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KR101765297B1 (ko) 보호필름 박리 장치
KR102059827B1 (ko) 기판 분리 장치 및 기판 분리 방법
JP5035499B2 (ja) スパッタ装置および基板搬送用キャリア
KR200388522Y1 (ko)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KR100554182B1 (ko) 패널시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31105B1 (ko)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KR20190078798A (ko) 간지 공급 시스템
KR20140120582A (ko) 표시 패널용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0210630A (ja) 基板用搬送除塵装置
KR100626546B1 (ko) 패널시트 제조장치의 원지 이송장치
CN207046264U (zh) 显示面板检查设备
CN105242421A (zh) 可除静电的手机偏光片自动贴合机
KR102431793B1 (ko) 초박형 유리용 합착시트 정렬장치
KR100953087B1 (ko) 광학시트 적층장치
KR100769692B1 (ko) 층간 리프트
KR20100128572A (ko) 판유리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