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925Y1 -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925Y1
KR200387925Y1 KR20-2005-0008108U KR20050008108U KR200387925Y1 KR 200387925 Y1 KR200387925 Y1 KR 200387925Y1 KR 20050008108 U KR20050008108 U KR 20050008108U KR 200387925 Y1 KR200387925 Y1 KR 200387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bstrate
connection
view
protrus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준
Original Assignee
유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준 filed Critical 유기준
Priority to KR20-2005-0008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엠피쓰리(MP3) 플레이어에 설치되는 조글 스위치(joggle Switch)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조글 스위치의 구성을 견고히 함과 아울러 조글 스위치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갖도록 한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이다.

Description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a joggle switch}
본 고안은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이하,'MP3'라 합니다.)에 설치되는 조글 스위치(joggle Switch)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조글 스위치의 구성을 견고히 함과 아울러 조글 스위치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갖도록 한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이다.
일반적으로 MP3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음악 파일을 저장한 후 이를 휴대하면서 그 저장된 음악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로서, 이러한 MP3에는 기기의 소형화를 위해 하나의 버튼에 의해 5가기 기능을 조작될 수 있는 조글 스위치(joggle switch)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글 스위치는 하나의 버튼으로 상/하/좌/우/클릭에 의한 5가지 정도의 기능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조글 스위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조립이 어렵고 매우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어 약간의 충격에 의해서도 파손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MP3에 설치되는 조글 스위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불량을 방지하고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한 음향기기의 조글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향기기에 설치되는 조글 스위치에 있어서, 상부만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지고 내부 바닥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각 측벽에는 고정홈들과 결합구멍들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어느 일측이 결합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중앙에는 개구공을 갖는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소재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개구공 상단에 위치되게 안착 설치되는 금속소재의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연결편과 상기 케이스의 고정홈들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어 베이스기판의 십자형상 가장자리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며 그 저면으로는 엠보싱 형태의 접속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제4접속단자들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개구공에 위치되어 탄성연결편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느 일측이 결합구멍을 통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5접속단자로 이루어진 단자접속부; 및 상기 단자접속부의 제1~제4접속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베이스기판에 전기적 신호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을 갖는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십자형상의 가장자리 부위의 하부면에는 작동돌기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그 작동돌기와 대응하는 상부면에는 상부돌기가 돌출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결합공을 통해 관통 설치되어 그 작동부재를 조작하며 상기 제5접속단자를 베이스기판에 전기적 신호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작동부재의 상부돌기에 대응하는 부위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텐션부재로 이루어진 단자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가 설치된 음향기기의 일예를 나타낸 MP3의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MP3(10)는 어느 일면으로 재생 음악 등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 표시창(12)이 구비되고 어느 일측으로는 각종 기능버튼들(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MP3(10)에는 하나의 버튼에 의해 5가지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게 한 조글 스위치(16)가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부품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조글 스위치(16)는 크게 몸체(100)와 단자 접속부(200)와 단자 조절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는 케이스(110)와 커버(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 접속부(200)는 베이스기판(210)과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과 제5접속단자(230) 및 탄성 연결편(2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 조작부(300)는 작동부재(310)와 작동바(320) 및 텐션부재(33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글 스위치(16)는 상부만이 개구된 사각 형상의 케이스(110) 내부 바닥면에 베이스기판(210)이 설치되고, 이 베이스기판(210)과는 분리되게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 및 제5접속단자(230)가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기판(210)과 접속단자들(220a~220d,230)의 선택적인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5접속단자(230)를 베이스기판(210)과 전기적 회로연결을 위해 탄성연결편(240)을 베이스기판(210)의 중앙에 안착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과 제5접속단자(230)를 선택적으로 베이스기판(210)과 전기적 회로연결을 위한 작동부재(310)가 설치되고, 이 작동부재(310)에는 작동바(320)가 결합되어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작동부재(310)의 상부에는 텐션부재(330)가 설치되어 작동바(320)의 조작에 의해 작동부재(310)가 상기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을 작동시켜 베이스기판(210)과 전기적 회로연결를 연결되게 하는 상태를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각 구성부품들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면 최종적으로 커버(120)를 결합하여 조글 스위치(16)를 완성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10)에 커버(1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각 접속단자들(220a~220d,230) 및 베이스기판(210)의 어느 일측이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MP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작동바(320)는 케이스(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도 5a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5c는 도 5b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는 상부만이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바닥면에는 베이스기판(210)이 설치되며 이 베이스기판(210)의 중앙 상면에 안착되는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12)들이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각 측벽에는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들(114a~114d)이 구비됨과 아울러 베이스기판(210)과 제5접속단자(230)의 일단부를 외부로 돌출되게 하기 위한 결합구멍들(116a,11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의 외벽에는 경사면을 갖는 고정돌기(118)가 형성되어 커버(120)를 결합시 그 커버(120)가 분리되게 않게 하며, 그 케이스(120)의 저면으로는 셋팅돌기(119)가 돌출 형성되어 MP3(10)에 내장되는 회로기판(미도시)에 설치시 그 위치를 간단하게 셋팅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6a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커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는 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6d는 도 6a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커버(120)는 케이스(110)를 덮어씌우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 후 최종적으로 그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120)의 측벽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벽에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고정돌기(118)와 결합되는 결합구멍(124)이 형성되고, 또 상기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각 접속단자들(220a~220d,230) 및 베이스기판(210)에 영향력을 미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하부만이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120)의 상부에는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작동바(320)를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a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베이스기판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a는 베이스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베이스기판의 정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베이스기판(210)은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어느 일측단이 그 케이스(110)의 측벽에 형성된 결합구멍(118b)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베이스기판(210)의 돌출되는 부위는 단차지게 절곡 형성함이 좋은데, 이는 케이스(110)를 회로기판에 설치시 표면실장에 의해 상기 베이스기판(210)이 회로기판과 간단하게 전기적 신호를 연결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베이스기판(210)은 전기적 신호의 연결이 가능한 금속 소재의 판재로서 중앙부에 개구공(212)을 갖는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베이스기판(210)에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 및 제5접속단자(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한다.
도 8a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돔(dome) 형상의 탄성연결편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a는 탄성연결편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탄성연결편의 평면도이고, 도 8c는 도 8b의 V-V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은 상기 베이스기판(210)의 중앙부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112)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탄성연결편(240)은 상기 베이스기판(210)에 안착되어 그 베이스기판(210)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기판(210)의 중앙 개구공(212)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제5접속단자(230)와는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작동바(3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과 제5접속단자(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5접속단자(230)를 베이스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은 그 형상에 의해 작동후의 복원력이 우수하며 작동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연결편(240)이 돔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작동시 "딸깍"하는 소리를 나게 함과 아울러 이를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도 9a ~도 9d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제1~제4접속단자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제1~제4접속단자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제1~제4접속단자의 평면도이고, 도 9c는 제1~제4접속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9d는 도 9b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은 어느 일측단이 절곡된 형상을 이루어 상기 케이스(110)의 고정홈들(114a~114d)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 역시 전기적 신호를 연결할 수 있는 금속 소재의 판재로서 소정의 텐션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의 절곡된 부위에는 고정편(224)이 돌출되는데 이 고정편(224)에 의해 케이스(110)의 고정홈들(114a~114d)에 설치 후 유동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의 상면에는 접속돌기(222)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돌기(222)는 엠보싱 형태를 취하여 작동부재(310)에 의해 베이스기판(210)과 쉽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상기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은 케이스(110)의 각 측벽의 일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즉 4개의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이 사각형상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접속돌기(222)가 베이스기판(210)의 십자형상의 각 단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도 10a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제5접속단자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a는 제5접속단자의 정면도이고, 도 10b는 제5접속단자의 평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5접속단자(230)는 베이스기판(2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공(212)에 위치되어 케이스(110)의 결합구멍(118a)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개구공(212)에 위치하는 제5접속단자(230)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접속돌기(2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제5접속단자(230)와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은 초기에 베이스기판(210)과는 떨어지게 설치되어 작동부재(320)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가 상기 베이스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를 구성한다.
도 11a ~도 11d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작동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1a는 작동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1b는 작동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1c는 작동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11d는 도 11b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310)는 제1~제5접속단자들(220a~220d,230)의 상부에 위치되게 십자형상을 이루게 형성되고 그 저면으로 작동돌기(312)가 돌출 형성되어 이 작동돌기(312)가 상기 제1~제4접속단자(220a~220d)에 형성된 엠보싱 형태의 접속돌기(222)에 안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돌기(312)는 반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310)의 중앙부에는 결합공(314)이 형성되어 작동바(320)가 결합되는데, 이 작동바(320)는 도 12a ~도 12b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바(32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작동바(320)를 좌우상하로 조작하면서 십자형상의 각 단부를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상기 작동부재(31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부재(310)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312)에 대응하는 상면에는 상부돌기(316)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310)의 조작을 사용자로 하여금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는 도 13a ~도 13c에 나타낸 텐션부재(330)에 의해 가능하다.
도 12a ~도 12b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작동바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a는 작동바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작동바의 저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작동바(320)는 작동부재(310)의 결합공(314)에 결합되어 작동부재(310)를 좌우상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부로 눌러 제5접속단자(2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작동바(320)의 저면으로는 작동돌기(322)가 돌출 형성된다. 이 작동돌기(322)에 의해 상기 작동바(320)를 하부로 눌러주게 되면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을 눌러주게 되어 상기 제5접속단자(230)와 탄성연결편(24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므로 상기 베이스기판(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안착된 탄성연결편(240)을 매개체로 하여 제5접속단자(230)와 베이스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도 16b참조)
이와 같이 조작된 후에는 상기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기 작동바(3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면서 제5접속단자(230)의 전기적 신호연결을 해제한다. 또한, 상기 작동바(320)의 하부 조작에 의해 제5접속단자(230)를 전기적 회로를 연결할 때에는 그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이 가지고 있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는 그 느낌을 알 수 있다.
도 13a ~도 13c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텐션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3a는 텐션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3b는 텐션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3c는 도 13b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텐션부재(330)는 작동바(320)를 좌우상하로 조작하여 작동부재(310)에 의한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가 베이스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그 작동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동된 후의 복원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작동상태는 도 16a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텐션부재(330)는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동부재(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부돌기(316)에 위치하는 부위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32)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332)는 작동바(320)의 조작에 의해 작동부재(310)에 형성된 상부돌기(316)가 상기 돌출부(332)를 상부로 가압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감각적으로 전달하고 또 작동된 상태의 복원을 돕는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작동바(320)를 어느 일측으로 조작하면 그 작동바(320)에 결합된 작동부재(31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작동부재(310)의 저부로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312)가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가 하부로 눌러져 베이스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부재(310)의 반대측은 상대적으로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띠라서 상부로 올라가는 측의 상부돌기(316)가 상기 텐션부재(330)의 돌출부(332)를 상부로 가압함에 의해 이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게 하고, 또 상기 돌출부(332)의 복원으로 작동부재(310)의 복원을 도와준다.
도 14a ~도 14c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에 대한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상기 케이스(110)에 베이스기판(210)과 제1~제5접속단자들(220a~220d,230) 및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이 설치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a는 케이스(110)에 베이스기판(21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케이스(110)에 베이스기판(210)이 설치된 후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 및 제5접속단자(23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c는 이 상태에서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을 설치한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설치한 후 작동부재(310)와 작동바(320)를 결합하여 상기 각 접속단자들(220a~220d,230)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하고 텐션부재(330)를 설치한 후 커버(120)를 결합함으로서, 도 15에 나타낸 상태로 결합된다.
도 15a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바닥면에 십자 형상의 베이스기판(210)이 설치되고, 그 베이스기판(210)의 십자 형상 가장자리부에는 상부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제1~제4접속단자(220a~220d)들이 위치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기판(210)의 중앙부에는 제5접속단자(2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기판(210)의 중앙 상부에는 돔 형상의 탄성연결편(240)이 안착되어 베이스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5접속단자(230)와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작동부재(310)가 설치되며 그 작동부재(310)에는 작동바(320)가 결합되어 탄성연결편(240)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310)의 상측으로 텐션부재(3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320)를 좌우상하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310)에 의해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과 베이스기판(210)을 전기적으로 회로연결 함과 아울러 그 작동바(320)를 눌러 조작함에 의해 제5접속단자(230)와 베이스기판(210)을 전기적으로 회로연결 하여 5가지 기능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6a ~도 16b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a는 작동바(320)를 좌우상하 중에서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조작함에 의해 작동부재(310)가 작동되어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와 베이스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작동바(320)를 어느 일측(도 16a에서 우측)으로 작동시키면, 작동부재(31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작동되어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가 하부로 눌러지게 되어 베이스기판(2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작동될 때 작동부재(310)가 기울어지면서 하부로 내려가는 반대측단은 상부로 올라가게 되므로 그 상부에 위치된 텐션부재(330)의 돌출부(332)는 작동부재(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부돌기(316)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를 사용자로 하여금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즉, 상기 텐션부재(330)의 돌출부(332)가 상부돌기(316)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가압될 때 "딸깍"하는 소리를 내게 함과 동시에 이를 감각적으로 사용자는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바(320)의 조작에 의한 작동부재(310)의 원위치 복원은 상기 접속단자들(220a~220d)이 가진 자체 탄성력과 함께 텐션부재(330)의 돌출부(33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도 16b는 작동바(320)를 하부로 눌러 제5접속단자(230)와 베이스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작동바(320)를 눌러주게 되면 그 작동바(320)의 하부에 위치한 탄성연결편(240)이 눌려지면서 제5접속단자(23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연결편(240)은 베이스기판(210)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제5접속단자(230)는 탄성연결편(240)을 통해 베이스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복원은 작동바(32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연결편(24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작동바(320)를 복원시켜 전기적인 연결을 해제한다.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베이스기판과 각 접속단자들이 전기적 신호연결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①은 베이스기판(210)의 회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베이스기판(210)의 회로는 MP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②는 제5접속단자(230)를 나타낸 것이고, ③~⑥은 제1~제4접속단자들(220a~220d)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제1~제5접속단자들(220a~220d,230) 역시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1~제5접속단자들(220a~220d,230)들은 초기에 베이스기판(210)과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가 떨어져 있다가 상기 작동바(320)의 조작에 의해 작동부재(310)가 작동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가 베이스기판(210)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르면, MP3(10)에 설치되는 조글 스위치(16)의 접속단자들이 견고하게 설치되고 안정적으로 작동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의 목적은 MP3에 설치되는 조글 스위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불량을 방지함에 의해 신뢰성을 확보하고,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가 설치된 음향기기의 일예를 나타낸 MP3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부품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a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5c는 도 5b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6a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커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는 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6d는 도 6a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베이스기판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a는 베이스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베이스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8a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돔(dome) 형상의 탄성연결편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a는 탄성연결편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탄성연결편의 평면도이고,
도 8c는 도 8b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9a ~도 9d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제1~제4접속단자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제1~제4접속단자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제1~제4접속단자의 평면도이고,
도 9c는 제1~제4접속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9d는 도 9b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제5접속단자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a는 제5접속단자의 정면도이고,
도 10b는 제5접속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11a ~도 11d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작동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1a는 작동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1b는 작동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1c는 작동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11d는 도 11b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12a ~도 12b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작동바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a는 작동바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작동바의 저면도이다.
도 13a ~도 13c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구성 부품인 텐션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3a는 텐션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3b는 텐션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3c는 도 13b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14a ~도 14c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에 대한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a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6a ~도 16b는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조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베이스기판과 각 접속단자들이 전기적 신호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케이스
120 - 커버 200 - 단자 접속부
210 - 베이스기판 220a~220d - 제1~제4접속단자
230 - 제5접속단자 240 - 탄성연결편
300 - 단자 조작부 310 - 작동부재
320 - 작동바 330 - 텐션부재

Claims (1)

  1. 음향기기에 설치되는 조글 스위치에 있어서,
    상부만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지고 내부 바닥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각 측벽에는 고정홈들과 결합구멍들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어느 일측이 결합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중앙에는 개구공을 갖는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소재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개구공 상단에 위치되게 안착 설치되는 금속소재의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연결편과 상기 케이스의 고정홈들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어 베이스기판의 십자형상 가장자리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며 그 저면으로는 엠보싱 형태의 접속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제4접속단자들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개구공에 위치되어 탄성연결편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느 일측이 결합구멍을 통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5접속단자로 이루어진 단자접속부; 및
    상기 단자접속부의 제1~제4접속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베이스기판에 전기적 신호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을 갖는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십자형상의 가장자리 부위의 하부면에는 작동돌기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그 작동돌기와 대응하는 상부면에는 상부돌기가 돌출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결합공을 통해 관통 설치되어 그 작동부재를 조작하며 상기 제5접속단자를 베이스기판에 전기적 신호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작동부재의 상부돌기에 대응하는 부위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텐션부재로 이루어진 단자 조작부를 포함하는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
KR20-2005-0008108U 2005-03-24 2005-03-24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 KR200387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08U KR200387925Y1 (ko) 2005-03-24 2005-03-24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08U KR200387925Y1 (ko) 2005-03-24 2005-03-24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925Y1 true KR200387925Y1 (ko) 2005-06-28

Family

ID=4368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108U KR200387925Y1 (ko) 2005-03-24 2005-03-24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9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5678B2 (ja) 小型スイッチ
JP4687232B2 (ja) スイッチ
JP3944975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3968944B2 (ja) 車載用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操作ユニット
JP2012109204A (ja) スイッチ装置
KR200387925Y1 (ko) 음향기기용 조글 스위치
JP4169983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783935B2 (ja) 電子機器のためのキーボード
JP2770962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JP2003007168A (ja) 押釦スイッチ
TWM577587U (zh) 按鍵組件
JP3916892B2 (ja) 押釦スイッチ
KR200416016Y1 (ko) 조글 스위치용 조작레버 장치
JP2001351479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H0119297Y2 (ko)
JP4449541B2 (ja) キーユニット、キー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1250450A (ja) 押釦スイッチ
KR200423561Y1 (ko) 조글 스위치용 조작레버 장치
JPS6230744Y2 (ko)
JP2004303716A (ja) 押釦スイッチ
KR200295555Y1 (ko)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장치
KR200346436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KR200351476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JPH01221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