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735Y1 -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 Google Patents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735Y1
KR200387735Y1 KR20-2005-0009324U KR20050009324U KR200387735Y1 KR 200387735 Y1 KR200387735 Y1 KR 200387735Y1 KR 20050009324 U KR20050009324 U KR 20050009324U KR 200387735 Y1 KR200387735 Y1 KR 200387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plate
main plate
yakiniku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20-2005-0009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돼지고기 등을 구을 때 고기구이판의 고열에 의하여 고기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이 공기 중으로 튀기는 현상으로부터 인체의 피부나 피복을 보호하기 위한 차단층을 구비하고, 고기가 지나치게 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고기와 고기구이판에 대한 살균성을 배가시킨 개량형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직화(直火)에 의한 구이와 황토판(黃土板)에 의한 구이가 모두 가능한 기술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A ROAST PLATE WITH A MEANS AGAINST OIL SPLASH}
본 고안은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돼지고기 등을 구을 때 고기구이판의 고열에 의하여 고기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이 공기 중으로 튀기는 현상으로부터 인체의 피부나 피복을 보호하기 위한 차단층을 구비하고, 고기가 지나치게 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고기와 고기구이판에 대한 살균성을 배가시킨 개량형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서 육류의 소비가 더욱 증가되고 있으며, 일반 가정집이나 음식점에서 육류를 고기구이판에 올려 놓고 구워먹는 것은 이제 대한민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음식문화가 되었다.
그런데 고기를 구워먹을 때 가장 큰 문제로서 가스버너 등에 의하여 가열된 고기구이판의 고열 때문에, 구워지고 있는 육류로부터 육류의 기름(특히 기름이 많은 돼지고기가 그러하다)이 공기중으로 튀는 현상이 지적되고 있다. 이렇게 튀는 고온의 고기기름이 인체에 닿는 경우에 화상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며, 식탁주변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의 옷에 묻는 경우에는 잘 지워지지 않는 얼룩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기구이판에 기름을 원할하게 배출시키는 수단이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튀는 기름으로부터 옷을 보호하기 위하여 앞치마를 입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방식으로도 고기기름이 근본적으로 없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의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된다고 볼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편, 고기의 영영분과 맛을 더욱 배가시키는 고기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을 기초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고기를 구을 때 고기기름이 사방으로 튀는 현상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고기구이판에 고기를 구을 때, 황토를 이용하여 고기를 익힐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황토로 음식을 익히면 소모되는 영양분이 최소한도로 줄어든다는 보고가 있는바, 이는 원적외선 작용 이외에 황토 속의 미네랄과 희귀 원소성분이 음식 속에 용출되고 황토속의 미생물(황토 1스푼 속에 5억 마리)들이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죽으면서 생물원자극소를 음식 속에 침투시키기 때문에 음식이 싱싱하고 제 영양가를 잃지 않으면서 맛이 뛰어나게 만드는 것이다. 이 경우 황토를 이용하여 고기를 익힐 수도 있으며, 직화(直火)에 의한 방식으로도 고기를 익히는 것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병행되도록 연구하였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은(銀)을 이용하여 익은 고기의 영양상태를 배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초강목에 의하면, 은(銀)은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오장(五臟)이 편안하고, 심신이 안정되며, 사기(邪氣)를 내쫓고 몸을 가볍게 하여 명(命)을 길 게 한다고 하며, 동의보감에 의하면 은(銀)은 간질 및 경기 등 정신질환과 내 대하와 같은 부인병 예방 및 치료에 효험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고, 은의 항균작용이나 살균작용의 뛰어난 효과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바 본 고안은 고기구이판에 이러한 은의 효능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내용 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이며, 본 고안의 특유한 효과에 대응될 것임을 첨언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름이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금속부재의 고기구이 본판;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나누며, 상기 고기구이 본판의 위쪽 끝에서 시작하여 아래 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20mm이상의 높이를 가지며 고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평평부를 가지는 중간차단부;
상기 고기구이 본판의 측면 양방향으로 점점 높아지면서 연장되며,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기준으로 연장된 끝부분의 높이가 상기 중간차단부의 높이보다 더 높은 측면 연장부;
상기 고기구이 본판의 아래 쪽 끝에 형성된 기름배출부; 및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위에 놓여지며,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가열수단의 불꽃을 안쪽으로 유도하고 공기의 출입을 보조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차단부가 2개가 구비되어,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도 동일한 특징을 유지한다.
나아가 상기 중간차단부의 상기 평평부 위에 은박(銀箔)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차단부에 의해 구분된 고기구이 본판위에 끼워 올려 놓는 것으로서, 착탈이 자유자재한 황토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보다 높은 가열효율을 올리기 위하여 상기 고기구이 본판에 형성된 다수의 화구(火口)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 등 이미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고기구이판 위에서 고기를 구었을 때 고기 기름이 튀는 상황에 대한 실험도면이다.
도 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열된 고기구이판 옆에 테스트 종이를 두었다. 고기기름은 고기구이판이 가열되면서 사방으로 튀기 시작하는 데 우선 도면의 실험예는 그 중 한쪽 방향에서만 테스트한 것이지만 실제로 고기기름은 다른쪽 방향으로도 튀게 된다. 도 1의 (b)는 (a)의 실험을 마치고 테스트 종이에 묻은 고기기름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테스트 종이에 점으로 표현되어 있는 고기기름의 튀는 위치의 분포도가 테스트 종이 하단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통해서, 고기기름의 튀기는 각도가 작거나 또는 최초 각도가 높은 경우에는 그 튀는 거리는 짧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통해서 고기구이판에 소정의 높이의 기름튐 방지용 차단막이 설치된다면 고기를 구워먹을 때 기름이 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도 2는 위와 같은 실험결과를 기초로 하여 소정의 기름튐 방지용 차닥막이 구비된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은 도 2에서와 같이 고기구이 본판(1), 평평부(3)를 가지는 중간차단부(2), 본판 양쪽의 본판 연장부(4), 중간차단부(2)에 나누어지며 고기들이 구워지는 영역들(5), 고기기름 배출부(6), 본판 지지부(7), 환기수단(8), 본판 하단연장부(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먼저 고기구이 본판(1)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경사지게 구성된다. 경사지게 구성된 이유는 기름이 밑으로 잘 흐르게 하기 위함이며, 경사를 만드는 원리는 고기구이 본판(1) 자체에 의한 것이 아니라 고기구이 본판(1)을 비스듬히 세워두고 고기구이 본판(1)을 지지하는 지지부(7)에 의한다.
상기 고기구이 본판(1)의 중간에는 중간차단부(2)가 구비되며, 이 중간차단부(2)는 본판(1)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누게 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판(1)을 3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중간차단부(2)를 2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두 가지의 실시예의 차이는 전자는 분할된 본판(1)의 영역이 넓기 때문에 고기를 굽기가 보다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후자는 기름이 튀는 각도를 더욱 좁힘으로써 기름 튀는 현상을 더욱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간차단부(2)의 기본적인 역할이 기름튀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높이를 가져야만 하며, 적어도 20mm 이상은 되어야 하고, 도 1과 같은 실험을 통해서 40mm ~ 50mm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경우 기름 튐 문제점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너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고기를 굽기가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차단부(2)에는 소정의 굵기(상면에서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상면의 넓이)를 갖는 상면의 평평부(3)를 구비된다. 상기 가열된 본판(1)의 온도는 가열수단의 불꽃과 가까운 곳으로서 그 화력에 의하여 매우 높고, 이에 따라 본판(1)위에 놓여진 고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딱딱하게 타버리게 되어 고기 특유의 맛을 잃어버릴 위험이 있다. 따라서 다 익은 고기는 상기 평평부(3)에 올려 놓음으로써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본판(1)의 양쪽 측면 또한 기름튐 방지 대책이 강구된다. 즉 상기 본판(1)의 양쪽 측면은 본판(1)과 연장되어 있되 그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된 본판의 측면 연장부(4)로서 구비된다. 다만 본판과의 연장 부분이 급격한 각도로서 위로 굽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기름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차단부(2)의 높이보다는 상기 측면 연장부(4)의 높이가 크게 구성된다.
상기 중간차단부(2)와 상기 측면 연장부(4)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잘 나타나 있다.
도 4 및 도 5는 지지부(7)를 생략한 상태에서 고기구이판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의 경우에는 중간차단부(2)를 한 개 구성함으로써 본판(1)이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지게 되고, 도 5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중간차단부(2)(2′)를 2 개 구비함으로써 본판(1)이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본판(1)의 분할된 영역에 고기가 구워지게 된다.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판(1)의 측면 연장부(4)는 중간차단부(2)의 높이보다는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고기기름은 본판(1)의 비스듬한 경사면을 따라 본판 아래까지 흘러 내려가며, 본판(1) 아래부분에 형성된 하단 연장부(9)는 흐르는 기름을 기름 배출부(6)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지지부(7)는 상기 고기구이 본판(1)을 반듯하게 지지하여 휴대용 가스 버너 등 가열수단의 받침대 위에 놓여지도록 구성되되, 가열수단의 받침대와 맞닿는 부분을 기준으로 그 안쪽에는 가열수단의 불꽃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도록 하는 일종의 차단막을 갖게 된다. 이 때 그 지지부(7)의 차단막은 공기의 출입을 보조하기 위하여 약간의 상하 굴곡을 만들며, 그 굴곡에 의하여 형성된 홈으로 공기가 출입하게 된다.
위 실시예와 같은 고기구이판의 실사용 상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한편 위 실시예를 기초로 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차단부(2)를 2개의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차단부(2)는 일반 금속부재(10) 위에 얇게 박막을 형성하는 은박(銀箔)층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즉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본판(1)위에서 다 구어진 고기를 중간차단부(2)위에 올려 놓게 되는데, 이때 단순히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체에 이로운 은박층 위에 고기를 올려 놓음으로써 고기와 함께 은이온을 섭취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물론 고기에 대한 살균효과는 말할 것도 없다.
한편 도 7은 상기 본판(1) 위에 황토판(12)이 올려 놓고, 그 황토판(12) 위에 고기를 구울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판(1)의 사이즈(너비와 길이)와 황토판(12)의 사이즈의 미리 대응관계를 조절함으로써, 본판(1)위에 황토판(12)을 끼워 넣어 사용하고, 사용한 다음에는 황토판(12)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황토판(12)은 본판(1)으로의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교체와 관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도 7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실시한다면, 사용자는 황토판에 고기를 구움으로써 영양상태와 맛을 최고조로 만든 다음에 이를 은박층에 올려두어 먹음으로써, 고기의 영양, 맛, 위생을 최적의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금속부재로 이루어진 본판(1) 위에 황토판(12)을 올려 놓는 구조이기 때문에, 열전도의 효율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금속부재의 두께를 얇게 유지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판(1)상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화구(火口)(13)를 구성한다면, 그 공기구멍(13) 사이로 가열수단의 불꽃이 나와 상기 황토판(12)을 가열하게 함으로써 열전도의 효율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상기 화구(13)의 다른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화구를 구성한다면 도 7의 경우보다는 석쇠방식으로 고기를 굽는 것에 더욱 유사하여 질 것이다. 결국 도 7과 도 8의 실시형태는 본 고안에 따라 직화(直火)형태로도 고기를 구울 수 있으며, 황토판을 끼워 놓음으로써 황토판 위에 고기를 구울 수 있는 겸용의 고기구이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고기를 구을 때 사방으로 튀는 고기기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를 이용하여 고기를 익히기 때문에, 고기의 영양상태와 맛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중간차단부의 평평부에 은박층을 형성하고, 그 은박층에 고기를 올려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건강에 이로운 웰빙(Well-Being) 식문화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중간차단부에 의하여 고기구이 본판이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분리된 영역 마다 각각 다른 고기를 구어먹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음도 밝혀둔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황토판구이를 채택할 수도 있으며, 직화방식으로 고기를 구워 먹을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그밖에 본 고안의 특유한 구성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특유한 효과는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한 범위에서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은 고기구이판에서 기름 튐 현상에 관한 실험실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중간차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황토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기구이 본판
2 : 중간차단부
3 : 평평부
4 : 측면연장부
5 : 본판의 분할된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
6 : 기름배출부
7 : 지지부
8 : 공기출입 보조굴곡
9 : 하단연장부
11 : 은박층
12 : 황토판
13 : 화구(火口)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은 실시형태에 관한 참조도로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도면에서 나타난 구체적인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첨언한다.

Claims (6)

  1. 기름이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금속부재의 고기구이 본판;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나누며, 상기 고기구이 본판의 위쪽 끝에서 시작하여 아래 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20mm이상의 높이를 가지며 고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평평부를 가지는 중간차단부;
    상기 고기구이 본판의 측면 양방향으로 점점 높아지면서 연장되며,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기준으로 연장된 끝부분의 높이가 상기 중간차단부의 높이보다 더 크게 구성된 측면 연장부;
    상기 고기구이 본판의 아래 쪽 끝에 형성된 기름배출부; 및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위에 놓여지며,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가열수단의 불꽃을 안쪽으로 유도하고 공기의 출입을 보조하는 수단을 가지는, 고기구이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차단부가 2개가 구비되어, 상기 고기구이 본판을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고기구이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차단부의 상기 평평부 위에 은박(銀箔)층이 형성된, 고기구이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차단부에 의해 구분된 고기구이 본판위에 끼워 올려 놓는 것으로서, 착탈이 자유자재한 황토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6. 제 5 항에 있어서,
    보다 높은 가열효율을 올리기 위하여 상기 고기구이 본판에 형성된 다수의 화구(火口)를 더 포함하는, 고기구이판.
KR20-2005-0009324U 2005-04-06 2005-04-06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KR200387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24U KR200387735Y1 (ko) 2005-04-06 2005-04-06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24U KR200387735Y1 (ko) 2005-04-06 2005-04-06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366A Division KR20060106974A (ko) 2005-04-06 2005-04-06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735Y1 true KR200387735Y1 (ko) 2005-06-21

Family

ID=4368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24U KR200387735Y1 (ko) 2005-04-06 2005-04-06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7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735Y1 (ko)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US20020152900A1 (en) Radiant heat sausage cook plate
KR20060106974A (ko)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KR102375564B1 (ko) 구이용 불판
KR200410976Y1 (ko) 고기 구이판
KR200395681Y1 (ko) 전기구이기
KR101547581B1 (ko) 기름 유도 배출 기능과 열효율 향상 기능을 개선한 복합 기능성 고기 구이판
JP2011101723A (ja) 調理器具とそれを備えた加熱装置
KR200401034Y1 (ko)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376113Y1 (ko) 타원 형상을 갖는 생선 튀김용 프라이팬
CN220695065U (zh) 一种分区控温多功能电烤锅
KR200339452Y1 (ko) 대나무 불판
KR100742386B1 (ko) 일체형 기름 접시
KR200330926Y1 (ko) 유로가 형성된 구이판
KR20130138432A (ko) 구이부가 길게 칸칸이 돌설된 양변면에 가열공이 천공된 구이판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200363928Y1 (ko) 대나무 구이판
KR200368315Y1 (ko) 대나무 불판
KR200316877Y1 (ko) 일회용 기름비산 방지 덮개
JP3207544U (ja) グリル用ロースター
KR200241605Y1 (ko) 저면 환턱이 형성된 고기구이 판
KR200332970Y1 (ko)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KR200427285Y1 (ko) 구이기용 간접가열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