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020Y1 -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 Google Patents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020Y1
KR200384020Y1 KR20-2004-0037704U KR20040037704U KR200384020Y1 KR 200384020 Y1 KR200384020 Y1 KR 200384020Y1 KR 20040037704 U KR20040037704 U KR 20040037704U KR 200384020 Y1 KR200384020 Y1 KR 200384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ssbook
bankbook
friction roller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경일
유호근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0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0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ank books or the like

Landscapes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장에 사행(skew)하여 인자(印字)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비스듬히 인입 및 이송된 통장을 바르게 정렬하여 프린팅유니트로 이송하는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이송롤러 및 하부이송롤러, 상기 상하부이송롤러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통장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통장가이드로 이루어진 피딩부;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통장의 선단을 가로막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 전단에 설치되는 상부마찰롤러 및 하부마찰롤러,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회전축에 함께 결합되고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정렬롤러로 이루어진 정렬부; 상기 스토퍼에 통장의 선단이 진입하면 상기 상부이송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회전축을 들어올려 상기 상부이송롤러와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외주부가 통장과 접촉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정렬롤러만이 통장의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롤러회전축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를 제공하여 통장이나 급지를 절약하는 것외에도 전반적인 통장프린터의 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고안임.

Description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Device for sorting Passbook in passbook printer}
본 고안은 통장프린터에서 사행(skew)하여 인입 및 이송되는 통장을 바르게 정렬하는 통장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장프린터에 통장이 비스듬하게 인입되어 그 상태로 통장프린터의 프린팅유니트까지 이송됨으로써 통장에 사행하여 인자(印字)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비스듬히 이송되는 통장을 바르게 정렬하여 프린팅유니트로 이송하는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은행의 업무가 은행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루트를 통해 다양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통장에 기입되는 거래 내역 또한 그 개수가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거래 내역을 통장에 기입하기 위해서 은행에서는 통장 정리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은행 직원 및 고객은 거래내역을 프린팅을 할 수 있는 통장프린터가 내장된 통장정리기를 사용함으로써 수 건의 금융거래 내역을 편리하게 인쇄할 수가 있다.
이러한 통장프린터는 사용자가 통장을 인입시키면 인입된 통장을 다수의 롤러와 가이드로 이루어진 이송유니트에 의해 거래내역의 인자(印字)를 수행하는 프린팅유니트까지 이송하고, 프린팅유니트는 거래내역을 인자한 후 사용자에게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통장프린터 외에도 팩시밀리에서는 사용자가 전송할 문서를 직접 인입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프린터들도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프린팅유니트에 자동급지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가 별도의 급지를 직접 인입시킬 수 있는 구조를 부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통장프린터를 포함한 팩시밀리 또는 프린터들은 사용자가 통장이나 문서나 급지를 기기에 바르게 인입시키지 못하면 즉, 사행(skew)하여 인입시켜도 사행이 발생된 상태로 이송유니트에 의해 강제로 기기 내로 인입 및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통장프린터나 일반프린터의 경우 통장이나 급지가 이처럼 사행이 발생된 상태로 이송유니트에 의해 강제로 인입 및 이송되면 결국 프린팅유니트에서도 수평방향으로 바르게 인자되지 못하고 사행하여 비뚤게 인자되고, 팩시밀리의 경우도 전송할 문서가 사행이 발생된 상태로 인입 및 이송되면 마찬가지로 상대방측에는 사행하여 비뚤게 전송된 문서가 그대로 전송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통장프린터를 포함한 일반적 프린터기기 또는 팩시밀리기기에서 통장이나 급지가 사행하여 인입되어도 이를 바르게 정렬하여 프린팅유니트까지 이송함으로써 정상적인 인자가 수행되도록 하는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에 의해 인입되는 통장을 이송하는 상부이송롤러 및 하부이송롤러, 상기 상하부이송롤러의 후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이송롤러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통장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통장가이드로 이루어진 피딩부;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통장의 선단을 가로막는 스토퍼; 통장 이송경로상의 상기 스토퍼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이송롤러에서 이송되는 통장을 인입하여 이송하는 상부마찰롤러 및 하부마찰롤러,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회전축에 함께 결합되고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한편 코어부는 고무부재로 형성되고 외주부는 비마찰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마찰롤러와 외주부가 접촉되는 정렬롤러로 이루어진 정렬부; 상기 스토퍼에 통장의 선단이 진입하면 상기 상부이송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회전축을 들어올려 상기 상부이송롤러와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외주부가 통장과 접촉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정렬롤러만이 통장의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롤러회전축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에서 통장정렬장치의 주요한 구성부품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인입되는 통장(P)을 인입받아 이송하는 피딩부(10), 상기 피딩부(10)에서 이송되는 통장(P)의 선단을 가로막도록 승하강되는 스토퍼(20), 통장(P) 이송경로상의 스토퍼(20) 전단에 설치되어 피딩부(10)에서 이송된 통장(P)을 이송받아 정렬하고 인자를 수행하는 프린팅유니트로 이송하는 정렬부(30), 스토퍼(20)에 통장(P)의 선단이 진입하면 피딩부(10)와 정렬부(30)의 상측에 위치되는 롤러(11, 31)를 들어올리는 롤러회전축 승강부(40)로 이루어진다.
피딩부(10)는 사용자가 인입시키는 통장(P)의 상하면을 가이드하여 이송받는 상부이송롤러(11) 및 하부이송롤러(12), 상부이송롤러(11)와 하부이송롤러(12)의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통장(P)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통장가이드(13)로 이루어진다.
스토퍼(20)는 피딩부(10)와 프린팅유니트(50, 51)의 사이에 설치되어 통장(P)이 프린팅유니트(50, 51)로 이송되기 전에 정렬부(30)에 의해 정렬되도록 통장(P)의 전진을 가로막는 역활을 한다.
정렬부(30)는 통장(P) 이송경로상의 스토퍼(20) 전단에 설치되어 상하부이송롤러(11, 12)에서 이송되는 통장(P)의 상하면을 가이드하여 이송받는 상부마찰롤러(31) 및 하부마찰롤러(32), 상부마찰롤러(31)의 회전축(31a)에 함께 결합되고 상부마찰롤러(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어부(33a)는 고무부재로 형성되고 외주부(33b)는 비마찰부재로 형성되어 하부마찰롤러(32)에 외주부(33b)가 접촉되는 정렬롤러(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롤러회전축 승강부(40)는 상부이송롤러회전축(11a)과 상부마찰롤러회전축(31a)을 회전지지하는 회전축가이드(41), 회전축가이드(41)에 캠접촉하는 회전축승강캠(42), 회전축승강캠(42)을 구동하는 캠구동모터(43)로 이루어진다.
이에 통장(P)의 인입시에는 회전축승강캠(42)이 단축방향으로 회전축가이드(41) 저면에 접촉하여 회전축가이드(41)를 하강시키므로, 상부이송롤러(11)는 하부이송롤러(12)측으로 인접하강되고 상부마찰롤러(31)도 하부마찰롤러(32)측으로 인접하강되어 통장(P)이 상하부이송롤러(11, 12) 및 상하부마찰롤러(31, 32)에 의해 통장가이드(13)에 가이드되어 스토퍼(20) 위치까지 전진이송된다.
그리고 통장(P)이 스토퍼(20) 위치까지 진입하게 되면 회전축승강캠(42)이 장축방향으로 회전축가이드(41) 저면에 접촉하여 회전축가이드(41)를 상승시키므로, 상부이송롤러(11)는 하부이송롤러(12)측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부마찰롤러(31)도 하부마찰롤러(32)측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통장(P)은 스토퍼(20)에 가로막힌 상태이나 상면은 상부마찰롤러(31)의 외주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정렬롤러(33)의 외주부(33b)에 접촉하고 하면은 하부마찰롤러(32)에 지지되어 통장(P)이 이송될 정도의 충분한 인입력은 발생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한편, 프린팅유니트(50, 51)는 일례로 통장(P) 지면에 인자를 수행하는 헤드부(50)와 통장(P)의 저면을 지지지하는 인자받침부(51)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에 통장이 비스듬하게 인입되어 이송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의 정렬롤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장(P)이 비슴듬하게 인입되어 이송되면, 통장(P) 선단의 일측은 스토퍼(20)에 가로막혀 스토퍼(20)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고 타측은 아직 스토퍼(20)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롤러회전축 승강부(40)는 상기한 바와같이 회전축승강캠(42)이 장축방향으로 회전축가이드(41) 저면에 접촉하여 있는 상태이므로, 통장(P)은 상면이 상부이송롤러(11)와 상부마찰롤러(31)와는 이격된 상태이나 하부이송롤러(12)와 하부마찰롤러(32)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은 상기한 바와같이 정렬롤러(33)의 외주부(33b)에는 접촉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통장(P)은 그 선단의 일측 스토퍼(20)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하부마찰롤러(32)와 정렬롤러(33)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전진되려고 하나 스토퍼(20)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슬립(slip)이 일어나게 되고, 선단의 타측 스토퍼(20)에서 이격된 부분은 하부마찰롤러(32)와 정렬롤러(33)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전진되어 결국 스토퍼(20)에 밀착접촉하게되는 것이다.
즉, 정렬롤러(33)는 외주부(33b)가 일례로 비마찰되는 플라스틱부재 등으로 형성되므로 마찰력이 최소한으로 발생되어 하부마찰롤러(32)에 하면이 지지되는 통장(P)을 하부마찰롤러(32)측으로 가압하여 스토퍼(20)측으로 전진시키되, 통장(P)변형시킬 정도의 마찰력은 발생되지 않고 슬립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와같이 통장(P)의 선단이 스토퍼(20)에 밀착되어 통장(P)이 바르게 정렬되면, 통장(P)의 인쇄될 부위가 상기 프린팅유니트의 인자받침부(51)까지 전진이송될 수 있도록 스토퍼(20)는 하강하고, 통장(P)에 정상적으로 전진이송될 수 있는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회전축승강캠(42)이 하강하여 상부마찰롤러(31)도 하강시킨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렬롤러(33)는 코어부(33a)가 고무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마찰롤러회전축(31a)이 하강하면 자중에 의해 코어부(33a)가 압축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주부(33b)의 저단이 상부마찰롤러(31)의 저단과 일치되므로, 상부마찰롤러(31)도 통장(P)의 상면에 마찰접촉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자중에 의해 정렬롤러(33)의 코어부(33a)가 압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기기의 동작안정성 등을 고려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마찰롤러회전축(31a)이 항상 하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통장정렬이 완료되면 스토퍼(20)는 하강하고, 상기한 바와같이 상부마찰롤러(31)와 하부마찰롤러(32)가 통장(P)의 상하면에 마찰하여 가이드되므로 통장(P)의 인쇄될 부위가 상기 프린팅유니트의 인자받침부(51)까지 전진이송되어 헤드부(50)에 의해 인자과정이 수행된다.
이하 상기한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각 구성부품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최초 상부이송롤러(11)와 하부이송롤러(12)의 사이로 사용자가 통장(P)을 인입시키게된다.
이때 상부이송롤러(11)와 하부이송롤러(12)는 통장(P)의 상하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통장(P)을 인입 및 이송하여야 하므로 회전축가이드(41)는 회전축승강캠(42)의 단축방향으로 접촉하여 상부이송롤러(11)가 하부이송롤러(12)측으로 인접하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통장(P)이 인입되면 상하부이송롤러(11, 12)에 의해 통장(P)이 인입되고 통장가이드(13)에 가이드되어 상하부마찰롤러(31, 32)까지 이송되며, 상부마찰롤러(31)도 회전축가이드(41)가 하강하여 있는 상태이므로 하부마찰롤러(32)에 인접하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통장(P)을 인입받아 이송하게 된다.
다음, 통장(P)이 스토퍼(20) 까지 진입되면 스토퍼(20)는 상승하여 통장(P)이 전진하지 못하도록 통장(P)의 선단을 가로막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통장(P)이 사행하여 인입 및 이송되었으면 정렬롤러(33)에 의해 정렬 후 프린팅유니트(50, 51)로 이송하기 위하여 통장(P)의 전진을 막는 것이다.
다음, 스토퍼(20)에 통장(P)의 선단이 위치되면 회전축가이드(41)를 상승시켜 상부이송롤러(11) 및 상부마찰롤러(31)를 들어올려 상부이송롤러(11) 및 상부마찰롤러(31)가 통장(P)과의 접촉해제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 정렬롤러(33)와 하부마찰롤러(32)는 상술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해 통장(P)의 선단을 스토퍼(20)에 밀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 통장정렬이 완료되면 스토퍼(20) 및 회전축가이드(41)를 하강하여 상부마찰롤러(31)가 하부마찰롤러(32)측으로 인접하강하도록 하는 한편 통장(P)을 프린팅유니트(50, 51)로 이송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여 통장(P)에 거래내역 등이 인자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는 통장프린터에서 통장을 정렬하는 것을 일례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를 포함하여 팩시밀리나 일반적인 프린터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사행하여 인입 및 이송되는 통장이나 급지 등을 바르게 정렬하여 프린팅유니트까지 이송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프린팅유니트에서는 바르게 정렬된 통장이나 급지에 프린팅을 수행하므로 사행하여 인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 버려지는 통장이나 급지를 절약하는 것 외에도 미스피딩 등이 방지되므로 전반적인 통장프린터의 운용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에 통장이 비스듬하게 인입되어 이송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의 정렬롤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딩부 11 : 상부이송롤러
12 : 하부이송롤러 13 : 통장가이드
20 : 스토퍼 30 : 정렬부
31 : 상부마찰롤러 32 : 하부마찰롤러
33 : 정렬롤러 40 : 롤러회전축 승강부
41 : 회전축가이드 42 : 회전축승강캠
43 : 캠구동모터

Claims (3)

  1. 사용자에 의해 인입되는 통장을 이송하는 상부이송롤러 및 하부이송롤러, 상기 상하부이송롤러의 후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이송롤러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통장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통장가이드로 이루어진 피딩부;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통장의 선단을 가로막는 스토퍼;
    통장 이송경로상의 상기 스토퍼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이송롤러에서 이송되는 통장을 인입하여 이송하는 상부마찰롤러 및 하부마찰롤러,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회전축에 함께 결합되고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한편 코어부는 고무부재로 형성되고 외주부는 비마찰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마찰롤러와 외주부가 접촉되는 정렬롤러로 이루어진 정렬부;
    상기 스토퍼에 통장의 선단이 진입하면 상기 상부이송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회전축을 들어올려 상기 상부이송롤러와 상기 상부마찰롤러의 외주부가 통장과 접촉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정렬롤러만이 통장의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롤러회전축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회전축 승강부는 상기 상부이송롤러회전축과 상기 상부마찰롤러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회전축가이드, 상기 회전축가이드에 캠접촉하는 회전축승강캠, 상기 회전축승강캠을 구동하는 캠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롤러와 상기 하부마찰롤러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KR20-2004-0037704U 2004-12-31 2004-12-31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KR200384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04U KR200384020Y1 (ko) 2004-12-31 2004-12-31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04U KR200384020Y1 (ko) 2004-12-31 2004-12-31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215A Division KR20060078958A (ko) 2004-12-31 2004-12-31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020Y1 true KR200384020Y1 (ko) 2005-05-11

Family

ID=4368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704U KR200384020Y1 (ko) 2004-12-31 2004-12-31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0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020Y1 (ko)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EP1959404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JP2006232474A (ja) 印字装置
TW445216B (en) Passbook handling device
CN101439809A (zh) 媒介物输送装置及图像形成装置
KR20060078958A (ko) 통장프린터의 통장정렬장치 및 그 방법
JP2011121325A (ja) インパクトプリンタ
CN1657383A (zh) 介质传送机构、介质传送装置和介质传送方法
JP2005040988A (ja) プリンタ
JP2017001319A (ja) 媒体取扱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移動取引車両
KR101713619B1 (ko) 통장정리기의 자동 페이지 넘김장치
JP5056700B2 (ja) 媒体幅寄せ機構
KR100586491B1 (ko) 통장 정리기용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
CN103317864B (zh) 打印装置
JP2013230905A (ja) 媒体幅寄せユニット、および媒体搬送装置
JP5611107B2 (ja) 媒体幅寄せユニット
JP4181678B2 (ja) タグプリンタ
KR20070081248A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지폐가압장치
JP4218647B2 (ja) 媒体処理装置
KR100575851B1 (ko) 통장 인쇄장치
KR100642239B1 (ko) 통장 인쇄장치
JP2855930B2 (ja) 媒体幅寄せ機構
JP5703953B2 (ja) 媒体処理装置
JP3149508B2 (ja) 媒体搬送機構
KR101545480B1 (ko) 현금 및 수표 입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