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558Y1 -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558Y1
KR200383558Y1 KR20-2005-0002909U KR20050002909U KR200383558Y1 KR 200383558 Y1 KR200383558 Y1 KR 200383558Y1 KR 20050002909 U KR20050002909 U KR 20050002909U KR 200383558 Y1 KR200383558 Y1 KR 200383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tegrated
parking
fram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2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비용과 운용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한정된 공간에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차량 진입층으로부터 진입된 차량을 인수/인계 받아 다수개의 주차층 중 어느 한 층으로 차량을 수직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로부터 차량을 인수/인계 받아 주차층에 형성된 다수개의 격납고 중 어느 한 격납고로 이송시키는 대차(카트) 및 상기 대차에 의해 운반된 차량을 격납고로 인수/인계하는 전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층이 형성되어 상층으로 차량을 인수/인계받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층이 형성되어 하층으로 차량을 인수/인계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2층 이상의 복층식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대차를 복층으로 구성하고 통합 운용함으로써 모터와, 전력공급장치와, 레일과, 센서부와, 수동조작장치와, 배전반과, 제어부를 비롯하여 각종 전원라인, 센서라인 등의 부수장치의 설치개수를 절반 이하로 크게 줄여서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크게 절감하는 것은 물론, 통합 대차의 통합 제어와 통합 운용에 따라 소요되는 운용비용 역시 크게 절감하여 설비 가격을 떨어뜨리고, 생산성 및 제품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Car parking equipment having multi-stair cart}
본 고안은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비용과 운용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차량을 수납하고, 원하는 차량을 인출시키기 위하여, 다층/다열로 연결된 격납고 및 상하좌우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면에 안착된 차량을 이송하는 차량 이송장치를 갖는 주차설비가 이용된다.
이러한 주차설비는 주차공간과 빌딩의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와, 단층식 대차(3) 및 전달장치(4)로 이루어지는 평면 왕복식 주차설비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즉, 한정된 공간에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2)는, 차량 진입층(A)으로부터 진입된 차량(1)을 인수/인계 받아 다수개의 주차층(F1, F2, F3, F4) 중 어느 한 층으로 차량(1)을 수직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고용/출고용 리프트(2)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상기 단층식 대차(3)는, 상기 리프트(2)로부터 차량(1)을 인수/인계 받아 주차층(예를 들어 F1)에 형성된 다수개의 격납고(K1, K2, K3, K4, K5) 중 어느 한 격납고(예를 들어 K2)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각 주차층(F1, F2, F3, F4)마다 이송되는 단층식 대차(3)의 특성상 단층식으로 형성되어 반드시 각 주차층(F1, F2, F3, F4, K5)마다 각각 1대씩 설치되는 것이다.
즉, 도면에 예시된 주차설비는 주차층이 4층이므로 도 1에 도시된 상기 단층식 대차(3)의 개수는 모두 4대이고, 이 것들 중에서 2대만을 도 4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층식 대차(3)는 각 주차층(F1, F2, F3, F4, K5)마다 각각 설치된 개별 주행 레일(5)을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이송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단층식 대차(3)는, 차량이 안착된 파레트(7)가 위치하는 단층식 대차 프레임(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단층식 대차 프레임(6)은, 각 단층식 대차(3)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개별 주행 모터(8)와 개별 전력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가 포함된 개별 이송장치에 의해 개별 주행 레일(5)을 따라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레트(7)는, 상기 단층식 대차 프레임(6)으로 상기 차량(1)과 함께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달장치(4)는 상기 단층식 대차(3)의 각 층마다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층식 대차(3)를 갖는 주차설비는, 각 주차층(F1, F2, F3, F4)마다 개별적으로 이송되는 단층식 대차(3)를 총 주차층의 개수만큼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주차설비의 경우에는, 총 4대의 단층식 대차(3)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단층식 대차(3)에 각각 동일한 규격으로 설치되는 총 4개의 개별 주행 모터(8)와, 총 4조의 전력공급장치와 총 4개의 개별 주행 레일(5)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이외에도 단층식 대차(3)들의 각각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층식 대차 프레임에 총 4개의 개별 센서부(도시하지 않음)가 필요하고, 또한, 상기 단층식 대차 프레임(6)에 점검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총 4대의 개별 수동조작장치(9)가 필요하며, 또한, 총 4대의 개별 배전반(10)과, 총 4대의 개별 제어부(11)를 비롯하여 이외에도 각종 전원라인, 센서라인 등의 부수장치가 각각의 대차(3)의 개수만큼 필요한 것이다.
특히, 상기 개별 주행 레일(5)의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밀 제어를 위한 상기 개별 센서부는 고가의 광모뎀이나 통신장비나 레이저 장비 등를 사용하여 설치비용이 크게 증대되고 각종 전원라인과 센서라인을 포함하는 개별 배전반(10)과 제어부(11)에 대한 비용 역시 매우 비싸서 이러한 비용으로 인하여 설비의 가격이 크게 증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규격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종 부수장치들이 각 층의 대차들마다 중복 설치됨으로써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크게 낭비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 단층식 대차(3)들의 개별 제어와 개별 운용에 따라 소요되는 운용비용 역시 증대되어 설비 가격을 상승시키고 생산성 및 제품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대차를 복층으로 구성하고 통합 운용함으로써 모터와, 전력공급장치와, 레일과, 센서부와, 수동조작장치와, 배전반과, 제어부를 비롯하여 각종 전원라인, 센서라인 등의 부수장치의 설치개수를 절반 이하로 크게 줄여서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크게 절감하는 것은 물론, 통합 대차의 통합 제어와 통합 운용에 따라 소요되는 운용비용 역시 크게 절감하여 설비 가격을 떨어뜨리고, 생산성 및 제품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는, 한정된 공간에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차량 진입층으로부터 진입된 차량을 인수/인계 받아 다수개의 주차층 중 어느 한 층으로 차량을 수직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로부터 차량을 인수/인계 받아 주차층에 형성된 다수개의 격납고 중 어느 한 격납고로 이송시키는 대차(카트) 및 상기 대차에 의해 운반된 차량을 격납고로 인수/인계하는 전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층이 형성되어 상층으로 차량을 인수/인계받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층이 형성되어 하층으로 차량을 인수/인계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2층 이상의 복층식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는, 통합 주행 모터와 통합 전력공급장치가 포함된 통합 이송장치에 의해 하방의 통합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이동되는 복층식 대차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 차량이 안착되는 상층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 차량이 안착되는 하층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차는, 대차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위치신호를 인가하는 통합 센서부; 상기 하층 프레임에 설치되어 점검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통합 수동조작장치; 및 통합 배전반을 포함되고, 상기 통합 센서부로부터 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통합 주행 모터에 통합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통합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대차의 각 층마다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는, 한정된 공간에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차량 진입층(A)으로부터 진입된 차량(1)을 인수/인계 받아 다수개의 주차층(F1, F2, F3, F4) 중 어느 한 층으로 차량(1)을 수직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트(2)와, 상기 리프트(2)로부터 차량(1)을 인수/인계 받아 주차층(F1, F2, F3, F4)에 형성된 다수개의 격납고(K1, K2, K3, K4) 중 어느 한 격납고로 이송시키는 대차(20)(카트) 및 상기 대차(20)에 의해 운반된 차량(1)을 격납고로 인수/인계하는 전달장치(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층이 형성되어 상층으로 차량을 인수/인계받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층이 형성되어 하층으로 차량을 인수/인계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2층 이상의 복층식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층식 대차(20)는, 크게 복층식 대차 프레임(21)과, 상층 프레임(22) 및 하층 프레임(23)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복층식 대차 프레임(21)은, 통합 주행 모터(24)와 통합 후술될 전력공급장치가 포함된 통합 이송장치에 의해 하방의 도 6의 통합 주행 레일(25)을 따라 주행이동되는 것으로서, 하방에 상기 하층 프레임(23)을 설치할 수 있고, 그 위에 상기 상층 프레임(22)을 설치할 수 있도록 주행 연결 프레임(26)과 수직 연결 기둥(27)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층 프레임(22)은, 상기 복층식 대차 프레임(21)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 차량(1)이 안착된 상측 파레트를 충분이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하층 프레임(23)은, 상기 복층식 대차 프레임(21)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측 차량(1)이 안착된 하측 파레트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이러한 본 고안의 복층식 대차(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2층 구조인 것만이 아니라 3층, 4층 등 다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구조인 것이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복층식 대차(20)는, 대차(2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복층식 대차 프레임(21)에 설치되고, 위치신호를 인가하는 도 8의 통합 센서부(28)와, 상기 복층식 대차 프레임(21)에 설치되어 점검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 7의 통합 수동조작장치(31) 및 통합 배전반(32)을 포함되고, 상기 통합 센서부(28)로부터 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통합 주행 모터(24)에 통합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통합 제어부(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달장치(4)는 상기 대차의 각 층마다 설치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고안의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는, 각 주차층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총 주차층의 개수만큼 각각 설치되어야 하는 종래의 단층식 대차와는 달리,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종래와 동일한 주차설비의 경우에는, 총 4층의 주차층(F1, F2, F3, F4)에 총 2대의 복층식 대차(20)만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복층식 대차(20)에 각각 동일한 규격으로 설치되는 총 2개의 통합 주행 모터(24)와, 총 2조의 전력공급장치(도 8의 전원공급봉(29)과, 집전장치(30) 등을 포함)와 총 2개의 통합 주행 레일(25)만 필요하다.
또한, 이외에도 상기 복층식 대차(20)들의 각각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층식 대차 프레임(21)에 총 2개의 통합 센서부(28)만 필요하고, 또한, 상기 복층식 대차 프레임(21)에 점검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총 2대의 통합 수동조작장치(31)만 필요하며, 또한, 총 2대의 통합 배전반(32)과, 총 2대의 통합 제어부(33)만을 비롯하여 각종 전원라인, 센서라인 등의 부수장치가 각각의 주차층수의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레일 개수를 줄이 수 있고, 정밀 제어를 위해 고가의 레이저 장비를 사용하는 센서부의 개수를 줄여 설치비용이 크게 감소시키고, 각종 전원라인과 센서라인을 포함하는 통합 배전반과 제어부에 대한 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어서 설비의 가격이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규격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종 부수장치들이 각 층마다 중복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 복층식 대차들의 제어와 운용에 소요되는 운용비용 역시 크게 절감하여 설비 가격을 떨어뜨리고, 생산성 및 제품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파레트가 필요한 파레트 방식을 예시하였으나, 이외에도 파레트가 없이 차량을 이송하는 무파레트 방식에도 적용되는 등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구성 요소에 대한 형태나 종류 및 디자인 등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는, 대차를 복층으로 구성하고 통합 운용함으로써 모터와, 전력공급장치와, 레일과, 센서부와, 수동조작장치와, 배전반과, 제어부를 비롯하여 각종 전원라인, 센서라인 등의 부수장치의 설치개수를 절반 이하로 크게 줄여서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크게 절감하는 것은 물론, 통합 대차의 통합 제어와 통합 운용에 따라 소요되는 운용비용 역시 크게 절감하여 설비 가격을 떨어뜨리고, 생산성 및 제품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주차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종래의 단층식 대차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래의 단층식 대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본 고안의 복층식 대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복층식 대차의 통합 센서부와 통합 전력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 차량 2: 리프트
3: 단층식 대차 4: 전달장치
5: 개별 주행 레일 6: 단층식 대차 프레임
7: 단층 패널 8: 개별 주행 모터
9: 개별 수동조작장치 10: 개별 배전반
11: 개별 제어부 20: 복층식 대차
21: 복층식 대차 프레임 22: 상층 프레임
23: 하층 프레임 24: 통합 주행 모터
25: 통합 주행 레일 26: 주행 연결 프레임
27: 수직 연결 기둥 28: 통합 센서부
29: 전원공급봉 30: 집전장치
31: 통합 수동조작장치 32: 통합 배전반
33: 통합 제어부 A: 차량 진입층
F1, F2, F3, F4: 주차층 K1, K2, K3, K4: 격납고

Claims (4)

  1. 한정된 공간에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차량 진입층으로부터 진입된 차량을 인수/인계 받아 다수개의 주차층 중 어느 한 층으로 차량을 수직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로부터 차량을 인수/인계 받아 주차층에 형성된 다수개의 격납고 중 어느 한 격납고로 이송시키는 대차(카트) 및 상기 대차에 의해 운반된 차량을 격납고로 인수/인계하는 전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층이 형성되어 상층으로 차량을 인수/인계받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층이 형성되어 하층으로 차량을 인수/인계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2층 이상의 복층식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통합 주행 모터와 통합 전력공급장치가 포함된 통합 이송장치에 의해 하방의 통합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이동되고, 주행 연결 프레임과 수직 연결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복층식 대차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 차량이 안착된 파레트를 지지하는 상층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 차량이 안착된 파레트를 지지하는 하층 프레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식 대차는,
    대차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위치신호를 인가하는 통합 센서부;
    상기 하층 프레임에 설치되어 점검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통합 수동조작장치; 및
    통합 배전반을 포함되고, 상기 통합 센서부로부터 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통합 주행 모터에 통합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통합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복층식 대차의 각 층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KR20-2005-0002909U 2005-01-31 2005-01-31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KR200383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09U KR200383558Y1 (ko) 2005-01-31 2005-01-31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09U KR200383558Y1 (ko) 2005-01-31 2005-01-31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558Y1 true KR200383558Y1 (ko) 2005-05-06

Family

ID=4368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909U KR200383558Y1 (ko) 2005-01-31 2005-01-31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5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7676A (zh) * 2020-10-12 2020-12-25 佛山市诺行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升降横移运行机制的自动车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7676A (zh) * 2020-10-12 2020-12-25 佛山市诺行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升降横移运行机制的自动车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87609B (zh) 一种汽车总装生产的滑板输送系统
CN108059062A (zh) 模块化调转站
CN106013892A (zh) 一种模块化矩阵式立体车库
CN103362339A (zh) 大容量城市专用塔型停车库
CN102826094B (zh) 轨道交通列车系统
KR200383558Y1 (ko) 복층식 대차를 갖는 주차설비
CN203716574U (zh) 一种地下多层升降机侧置式停车设备
CN108775184A (zh) 一种自动避让的双层密集泊车设备及其泊车方法
US3774784A (en) Vehicle parking systems and material handling and storage and mechanisms relating thereto
CN103643823A (zh) 一种地下多层升降机侧置式停车设备
CN204174989U (zh) 一种立体车库搬运车的驱动装置
WO2019229820A1 (ja) バース付き機械式駐車装置とその運転方法
CN113560295B (zh) 集装箱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
CN104477590B (zh) 一种汽车保险杠空中输送系统
CN113622724A (zh) 一种协调升降的立体车库及存取方法
JPH0813847A (ja) 自走台車を用いる機械式駐車設備
WO1997048865A1 (fr) Systeme de parking a etages multiples et procede permettant d'y faire entrer ou d'en faire sortir des voitures
CN110259220A (zh) 一种升降横移载车板
US2061420A (en) Vehicle storage structure
JP2003328582A (ja) 平面往復方式駐車装置
CN212374265U (zh) 一种运输线系统
CN208792845U (zh) 一种升降横移载车板
US2190086A (en) Automobile parking apparatus
JP2715152B2 (ja) 多層駐車場装置
JPH10220056A (ja) 3連式立体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