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630Y1 - 교량외장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교량외장재 고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0630Y1 KR200380630Y1 KR20-2005-0001479U KR20050001479U KR200380630Y1 KR 200380630 Y1 KR200380630 Y1 KR 200380630Y1 KR 20050001479 U KR20050001479 U KR 20050001479U KR 200380630 Y1 KR200380630 Y1 KR 2003806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bridge
- exterior
- girder
- exterior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측면에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교량외장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거더 또는 구조물에 고정브래킷과 같은 고정수단을 장착하고, 그 고정브래킷에 고정바를 장착하며, 고정바에 외장재를 나사못 등으로 고정시키고,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부분에는 실리콘 등으로 실링을 하여 구성하는 것인바, 교량의 측면 외관이 미려하게 하고, 교각 및 거더(girder)가 풍수에 의한 부식이나 훼손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예방하여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특히 입체 교차로에서는 외장재의 표면에 광고, 홍보물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량외장재 고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량의 측면에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교량외장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거더 또는 구조물에 고정브래킷과 같은 고정수단을 장착하고, 그 고정브래킷에 고정바를 장착하며, 고정바에 외장재를 나사못 등으로 고정시키고,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부분에는 실리콘 등으로 실링을 하여 구성하는 것인바, 교량의 측면 외관이 미려하게 하고, 교각 및 거더(girder)가 풍수에 의한 부식이나 훼손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예방하여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특히 입체 교차로에서는 외장재의 표면에 광고, 홍보물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량외장재 고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입체교차로, 육교 등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1)사이에 거더(2)를 얹히고, 거더(2)의 상측에 상판(3)을 얹어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거더(2)는 철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판(3)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교량의 거더(2)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사람의 시선이 집중되는 것은 투박하고, 미관상 좋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풍수에 의해 훼손이 심각하게 이루어져 교량의 수명이 보다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육교의 측면에 각종 공연 홍보, 광고물을 부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홍보물은 널따란 패널 등에 광고문구 도안 등을 기재하여 이 패널을 고정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종래에 이러한 광고 패널을 고정하는 구성은 극히 원시적인 것으로 철사나 끈 등으로 묶는 정도로서 바람이 세차게 불었을 때에는 광고패널이 분리 이탈되어 대형 교통사고 위험을 초래하기도 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교량외장재 고정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철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고정수단을 고정하고, 고정수단에 고정바를 고정하며, 고정바에는 패널(panel) 형태의 외장재를 고정시키고, 그 고정되는 부분에는 실리콘과 같은 실링 재료를 주입하여 풍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하며, 외장재의 표면에는 사전에 각종 홍보물을 기재하거나 혹은 추후에 기재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 육교, 입체교차로 등의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교량외장재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량의 거더를 풍수로부터 보호하도록 함으로서 부식이나 훼손을 최대한 억제하여 교량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부식이나 훼손을 억제함으로서 교량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외장재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 홍보물을 보다 용이하게 기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광고패널이 임의로 탈락 분리되는 폐단을 원천적으로 배제시켜 교통안전을 확보하고, 아울러 광고 수익을 교량의 유지보수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외장재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외장재 고정구조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외장재 고정구조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이며, 도 4는 내지 도 6은 도 3의 고정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교량외장재 고정구조는 종래의 교량의 거더(2)에 외장재(4)를 고정시키고, 외장재(4)의 표면에는 광고 홍보물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게재물의 내용에 따라 캠페인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장재(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0)에 의해 고정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고정부(10)는 철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거더(2)의 표면에 고정수단(30)을 구비하고, 고정수단(30)의 볼트헤드(11)에 고정바(12)를 고정하며, 고정바(12)의 면(13)(14)에 외장재(4)(4a)(4b)를 고정시킨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5는 지지구로서 외장재(4)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30)은 고정브래킷(31)을 통상의 앵커볼트(32)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고정브래킷(31)에는 볼트헤드(11)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 장착한 것이다.
상기 고정브래킷(31)은 거더(2)의 형상과 외장재(4)의 고정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 한 것으로, 예컨대 L자 형상, T자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 고정형태 및 고정위치에 따라 선택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특히 거더(2)가 철 구조물일 때에는 고정브래킷(31)을 용접 등의 수단으로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 일 때에는 고정브래킷(31)을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앵커볼트(32)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주는 것이다.
상기 고정브래킷(31)에는 통상적인 볼트를 체결시키되 볼트헤드(11)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하는 것이지만, 볼트헤드(11)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면형상이 T형상이면 동일한 목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바(12)는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일측에는 면(13)(14)을 형성하고, 타측 면에는 T홈(15)(16)을 형성한 것으로 고정되는 위치 및 고정형태에 따라 T홈(15)과 다른 T홈(16)을 선택하여 상기 고정수단(30)의 볼트헤드(11)에 삽입 장착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더(2)와 다른 쪽 거더(2)사이에 공간을 메우기 위하여 외장재(4a)를 장착하고, 외장재(4a)는 비교적 폭이 좁은 가느다란 형태로 형성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거더(2)와 다른 쪽 거더(2)사이에 조명시설을 갖추고, 외장재(4a)를 투과하여 교량의 아래쪽에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외장재(4a)는 거더(2)의 하측편(2a)에 장착하는 것으로, 그 고정부(10a)를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측편(2a)의 일측에 고정수단(30)을 구비하고 그 고정수단(30)에 고정바(12)를 체결장착하며, 고정바(12)의 일측 면(13)에 외장재(4)(4a)를 나사못(19)등으로 체결고정 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30)은 고정브래킷(31a)의 하단일측에 한 쌍의 고정편(33)과 고정편(34)을 이격시켜 형성하고, 어느 한쪽 고정편(33)에 고정볼트(32a)를 체결 장착하며, 고정브래킷(31a)에는 볼트를 체결하여 볼트헤드(11)가 고정바(12)쪽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브래킷(31a)의 하단에 형상한 한 쌍의 고정편(33)과 다른 고정편(34)은 거더(2)의 하측편(2a)에 삽입하고 고정볼트(32a)을 죄어줌으로서 거더(2)에 고정수단(3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바(12)의 단면형상을 사각형 형상으로 하고 2개소에 T홈을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장재를 장착시키는 위치와 장착되는 형태에 따라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평행사변형이나 사다리꼴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T홈의 개수나 T홈의 형성위치를 다른 쪽 면에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변형은 동일한 구성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외장재(4)(4a)(4b)는 통상의 널따란 패널형상으로 일측모서리에는 절곡시켜 플랜지(17)(18)를 형성한 것이다.
이하 작용을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거더(2)에 고정수단(30)을 고정하고, 고정수단(30)에서 돌출되는 볼트헤드(11)에는 고정바(12)의 T홈(16)을 삽입시켜 고정수단(30)에 고정바(12)를 견고하게 체결 장착하는 것이다.
고정바(12)의 면(13)과 면(14)중에 어느 한쪽 면에는 외장재(4)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외장재(4)는 연달아 설치하거나 단독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이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는 외장재(4a)와 다른 외장재(4b)를 연달아 설시한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두 개의 외장재(4a)(4b)를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일측의 외장재(4b)의 플랜지(17)를 고정바(12)의 면(13)에 대고, 다른 외장재(4a)의 플랜지(18)를 먼저 대었던 플랜지(17)에 포개어 대며, 포개진 플랜지(17)와 플랜지(18)에 나사못(19)을 박아 외장재(4)를 고정바(12)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못(19)을 체결 고정시킨 곳에는 실리콘 등을 주입하여 실링(20)하는 것으로 풍수에 의해 나사못(19)과 외장재(4)의 모서리가 부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외장재(4a)와 다른 외장재(4b)를 연달아 장착하였을 때에 표면이 매끄럽도록 한 것이다.
상기 외장재(4)의 표면에는 사전에 각종 광고, 홍보물을 인쇄하여 줄 수 있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미 시공 후에 그려 넣을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거더(2)의 하부편(2a)에 고정바(1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0a)는 하측에 한 쌍의 고정편(33)과 다른 고정편(34)사이에 하부편(2a)을 삽입시켜 고정하는 것이고, 고정브래킷(31a)에 고정바(12)를 장착하며 고정바(12)의 면에 외장재(4)(4a)를 나사못(19)등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외장재(4)(4a)에 나사못(19)을 체결하여 외장재(4a)(4a)를 고정시킨 후에 나사못(19)에 실링(20)을 하여 수분 침투를 예방하고 이로서 녹스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외장재 고정구조에 의하면 교량의 거더(2)에 외장재(4)를 씌워 장착하는 것으로 외장재(4)에 의해 거더(2)가 풍수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유지보수를 보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투박하고 삭막한 콘크리트 또는 철 구조물을 가려줌으로서 미관이 향상되고, 매끈한 외장재 표면에 각종 광고 홍보물 등을 기재할 수 있어 광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교량을 구성하는 거더 아래쪽에는 빛이 들지 않아 안전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어두침침하여 미관상 매우 좋지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외장재 고정구조에 의해 외장재를 고정시켜 줌으로서 미관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교량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외장재 고정구조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외장재 고정구조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4는 도 3의 고정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고정부를 발췌하여 보인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교각 2: 거더(Girder)
3: 상판 4, 4a, 4b: 외장재
10, 10a: 고정부 11: 볼트헤드
12: 고정바(Bar) 13, 14: 면
15, 16: T홈 17, 18: 플랜지
19: 나사못 20: 실링
30: 고정수단 31, 31a:고정브래킷
32: 앵커볼트 32a: 고정볼트
33, 34: 고정편
Claims (1)
- 철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거더(Girder)를 이루는 교량에 있어서,상기 거더(2)에는 고정브래킷(31)(31a)을 고정시키고 고정브래킷(31)에는 볼트헤드(11)를 돌출 체결하는 고정수단(30)과,상기 고정수단(30)의 볼트헤드(11)에 삽입 장착하되, 단면형상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 일측에 면(13)(14)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T홈(15)(16)을 형성하는 고정바(12)와,상기 고정바(12)의 면(13)(14)에 장착하되, 패널형상으로 형성하고, 일측에 플랜지(17)(18)를 형성하여 플랜지(17)(18)를 상기 면(13)(14)에 대고 나사못(19)으로 고정하는 외장재(4)와,상기 외장재(4)를 나사못(19)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킨 부분에 실리콘으로 실링(20)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외장재 고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1479U KR200380630Y1 (ko) | 2005-01-18 | 2005-01-18 | 교량외장재 고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1479U KR200380630Y1 (ko) | 2005-01-18 | 2005-01-18 | 교량외장재 고정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0630Y1 true KR200380630Y1 (ko) | 2005-03-31 |
Family
ID=4368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1479U KR200380630Y1 (ko) | 2005-01-18 | 2005-01-18 | 교량외장재 고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063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468B1 (ko) | 2008-11-10 | 2009-04-01 | 서현철 | 교량의 외장재 조립 구조체 |
KR101919348B1 (ko) * | 2016-06-07 | 2018-11-20 | 신극철 |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
-
2005
- 2005-01-18 KR KR20-2005-0001479U patent/KR20038063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468B1 (ko) | 2008-11-10 | 2009-04-01 | 서현철 | 교량의 외장재 조립 구조체 |
KR101919348B1 (ko) * | 2016-06-07 | 2018-11-20 | 신극철 |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40031178A1 (en) | Signboard device | |
KR200396762Y1 (ko) | 투명 방음판넬 | |
JPH07216831A (ja) | 遮音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0380630Y1 (ko) | 교량외장재 고정구조 | |
KR100845088B1 (ko) | 스틸 교량의 외장재 설치구조 | |
KR102034567B1 (ko) | 시선유도봉 | |
KR100560382B1 (ko) | 친환경 도로 안내표지판 | |
KR200418034Y1 (ko) | 방음벽 지주받침대 | |
KR101266311B1 (ko) | 포스트 고정 조립체 | |
KR20110128622A (ko) | 방음벽 | |
KR100859660B1 (ko) | 도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용 베이스 | |
CN209066347U (zh) | 一种混凝土防撞护栏附着结构的锚固装置 | |
KR100812621B1 (ko) |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 |
KR101451201B1 (ko) |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 |
KR200407046Y1 (ko) | 안전펜스 결합구조 | |
KR100374000B1 (ko) |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 |
KR101388253B1 (ko) | 도로 시설물의 기초 시공 방법 | |
CN202755498U (zh) | 一种石材幕墙 | |
KR100893324B1 (ko) | 교량 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 |
KR20070011766A (ko) | 방음벽 | |
KR200364619Y1 (ko) | 콘트롤 판넬 리커버링 케이싱 및 그 설치 구조 | |
KR200419166Y1 (ko) | 방음벽 지주받침대 | |
KR100830398B1 (ko) | 경관지구용 방호울타리 | |
JP2003321949A (ja) | 鋼管柱の柱脚金物 | |
CN216475779U (zh) | 单元幕墙螺杆与锚筋组合预埋件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