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136Y1 -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 Google Patents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136Y1
KR200380136Y1 KR20-2004-0037456U KR20040037456U KR200380136Y1 KR 200380136 Y1 KR200380136 Y1 KR 200380136Y1 KR 20040037456 U KR20040037456 U KR 20040037456U KR 200380136 Y1 KR200380136 Y1 KR 200380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rotective cover
concrete molding
molding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권
Original Assignee
내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차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0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combinations of materials fully covered by groups E04C2/04 and E04C2/08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소정두께를 가지며 상호 조립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판상의 콘크리트 성형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성형물의 외곽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외곽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은, 콘크리트성형물의 취약한 부위에 보호커버가 씌워져 있으므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해당부위의 파손이나 부스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Concrete form having protection cover}
본 고안은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조립식 주택의 벽이나 경량칸막이용 벽은 소정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판넬형 벽체로 조립 구성된다. 상기 벽체는 그 재질이나 내부 구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충분한 강도와 내화성이 요구되는 곳에는 콘크리트로 성형 제작한 콘크리트 벽체를 주로 사용한다.
상기한 콘크리트로 제작한 단위 벽체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 판넬의 형태를 취하며 보통 다수개를 폭방향으로 연접시켜 하나의 벽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나 다수의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면을 맞추어 연접시킴에 있어서 시공시 벽체 두께면간의 부딪힘이나 기타의 이유로 벽체의 모서리부위가 의외로 쉽게 깨지고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연접부위가 습기에 의해 부스러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부스러짐 현상은 벽체를 기포콘크리트로 제작할 때 더욱 빈번히 발생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기포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성형물에 비해 그 밀도가 작고 가벼우므로 충격이나 진동에 그만큼 약하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성형물의 취약한 부위에 보호커버를 씌워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해당부위의 파손이나 부스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두께를 가지며 상호 조립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판상의 콘크리트 성형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성형물의 외곽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외곽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는; 일정 단면형상을 갖는 빔의 형태를 취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콘크리트성형물 내에 박혀 보호커버를 콘크리트성형물 측으로 지지하는 결합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호커버는; 콘크리트성형물의 두께면에 밀착하는 두께면밀착부와, 상기 두께면밀착부와 일체를 이루며 콘크리트성형물의 테두리부를 커버하는 테두리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테두리밀착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콘크리트가 만나 일체화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표면에는 결합부에 대한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소정패턴의 노치(notch)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부에 대한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래스(lath)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성형물의 전면 및 후면에는 콘크리트성형물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마감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11)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직사각 콘크리트판넬(15)과, 상기 콘크리트판넬(15)의 양측 수직 두께부를 커버하는 보호커버(17,19)로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성형물(11)은 소정형상의 타설공간(도 3의 B)을 갖는 성형틀의(도 3의 A) 내부 양측에 상기 보호커버(17,19)를 마주 세워 놓은 상태로 보호커버(17,19) 사이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킨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판넬(15)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나 기포콘크리트 일 수 있다.
여하튼 상기 콘크리트판넬(15)의 양측단부는 상기 보호커버(17,19)에 의해 마감된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판넬(15)의 양측단부는 보호커버(17,19)의 내향면에 빈틈 없이 긴밀히 밀착하고 있다. 이는 콘크리트판넬(15)이, 타설공간(B)의 양측에 보호커버(17,19)를 미리 세워 놓고 그 사이에 유동성 콘크리트를 부어 성형된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보호커버(17,19)는 철판이나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다. 보호커버(17,19)를 합성수지로 제작할 경우 두께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보호커버(17,19) 중 한 쪽 보호커버(17)는, 일정폭을 가지며 콘크리트판넬(15)의 수직 두께면을 커버하는 두께면밀착부(17d)와, 상기 두께면밀착부의 폭방향 양단에 일체를 이루며 콘크리트판넬(15)의 전후면 테두리부를 커버하는 테두리밀착부(17e)와, 상기 각 테두리밀착부(17e)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테두리밀착부(17e)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며 콘크리트판넬(15)의 내부에 박혀있는 결합부(17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두께면밀착부(17d)의 중앙에는 일정폭 및 깊이의 홈부(17a)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17a)는 후술할 돌출부(19a)를 수용한다.
반대측 보호커버(19)는, 일정폭을 가지며 콘크리트판넬(15)의 반대측 수직 두께면을 커버하는 두께면밀착부(19d)와, 상기 두께면밀착부(19d)의 폭방향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콘크리트판넬(15)의 전후면 테두리부를 커버하는 테두리밀착부(19e)와, 상기 각 테두리밀착부(19e)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테두리밀착부(19e)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며 콘크리트판넬(15)에 박혀있는 결합부(19b)로 구성된다.
상기 두께면밀착부(19d)의 중앙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9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9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홈부(17a)에 삽입되는 부위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각 결합부(17b,19b)는 콘크리트판넬(15)의 내부에 박혀있다. 따라서 결합부(17b,19b)에 일체를 이루는 테두리밀착부(17e,19e) 및 두께면밀착부(17d,19d)가 콘크리트판넬(15)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보호커버(17,19)의 구성을 보충 설명하기 위하여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각 보호커버(17,19)는 일정한 종단면 형상을 갖는 빔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일측 보호커버(17)의 두께면밀착부(17d)에는 홈부(17a)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보호커버(19)의 두께면밀착부(19d)에는 돌출부(19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홈부(17a) 및 돌출부(19a)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성형물(11)을 폭방향으로 연접시키기 위한 것이다.
각 보호커버(17,19)의 결합부(17b,19b)에는 다수의 관통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20)은 타설공간(도 3의 B)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시 유동성 콘크리트가 통과하도록 하는 통로이다. 즉 상기 각 결합부(17b,19b)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유동성 콘크리트가 서로 만나 통교하도록 마련한 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관통구멍(20)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부(17b,19b)를 사이에 둔 콘크리트가 관통구멍(20)을 통해 일체를 이루어 결합부(17b,19b)와 보다 강력한 힘으로 결합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11)의 제작 방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성형물(11)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판넬(15)의 형상을 갖는 타설공간(B) 내측에 상기 보호커버(17,19)를 미리 고정시켜 놓는다. 이 때 상기 보호커버(17,19)는 수직으로 상호 대항한 상태로 마주하여야 한다.
이 때 상기 보호커버(17,19)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수단(미도시)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하튼 상기와 같이 보호커버(17,19)가 고정 설치되었다면 보호커버(17,19)의 사이에 유동성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다. 부어진 유동성 콘크리트는 타설공간(B)을 구석 구석을 채우며 예컨대 상기 결합부(17b,19b)의 뒤쪽 구석에도 충진된다. 상기와 같이 타설된 유동성 콘크리트의 충진을 촉진하기 위하여 공지의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동성 콘크리트가 타설공간(B)을 채웠다면 공지의 방법에 따라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성형틀(A)을 떼어낸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11)을 다수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한 모습을 나타내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수의 단위 성형물(11)이 폭방향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벽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각 성형물(11)에 마련되어 있는 홈부(17a)에 이웃하는 성형물(11)의 돌출부(19a)가 끼워져 성형물(11)간의 연결이 견고하게 유지되며 어긋나지 않는다. 사실 상기와 같이 각 성형물(11)에 돌출부(19a) 및 홈부(17a)를 형성해 놓음으로써, 돌출부(19a)를 홈부(17a)에 끼우기만 해도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후 벽면의 평활도를 체크할 필요가 없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이에 관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판넬(15)의 전면 및 후면에 마감플레이트(23)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마감플레이트(23)는 합판이나 금속판(예컨대 양철판)으로 제작되며 콘크리트판넬(15)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마감플레이트(23)는 각 보호커버(17,19)의 테두리밀착부(17e,19e)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호커버(17,19)에 대한 마감플레이트(23)의 결합은 임의의 결합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용접방식, 접착방식, 볼팅방식, 리벳팅방식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감플레이트(23)가 보호커버(17,19)의 테두리밀착부(17e,19e)에 고정되므로, 도 5에 도시한 성형물(11)의 제작을 위해서는 별도의 성형틀이 필요하지 않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11)의 제작방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두 장의 마감플레이트(23)의 각 단부가 보호커버(17,19)의 테두리밀착부(17e,19e)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마감플레이트(23)가 콘크리트판넬(도 5의 15)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마감플레이트(23)가 보호커버(17,19)에 결합함으로써 두 장의 마감플레이트(23)와 두 개의 보호커버(17,19) 사이에 타설공간(B)이 형성된다.
상기 타설공간(B)에 유동성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그 상태로 양생시키면 상기 도 5에 도시한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11)이 제작된다.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콘크리트 성형물(11)을 다수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한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성형물(11)이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벽면을 이루고 있다. 특히 각 콘크리트판넬(15)은 마감플레이트(23)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콘크리트가 보이지 않아 추가적인 미장 작업이 불필요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보호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7b)의 표면에 소정패턴의 노치(31)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노치(31)는 V자형 홈으로서 결합부(17b)의 표면적을 넓혀 결합부(17b)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노치(31)의 미세 형상이나 패턴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노치(31)는 결합부(17b)의 양측면에 모두 형성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에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보호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결합부(17b)에 래스(33,lath)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래스(33)로서 다양한 자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철망을 적용함이 좋다. 이와 같이 철망으로 제조된 래스(33)를 결합부(17b)의 표면에 용접 결합함으로써 결합부(17b)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은, 콘크리트성형물의 취약한 부위에 보호커버가 씌워져 있으므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해당부위의 파손이나 부스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보호커버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의 제작 방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을 다수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한 모습을 나타내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의 제작방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콘크리트 성형물을 다수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한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보호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에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보호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15:콘크리트판넬 17:보호커버
17a:홈부 17b:결합부
17d:두께면밀착부 17e:테두리밀착부
19:보호커버 19a:돌출부
19b:결합부 19d:두께면밀착부
19e:테두리밀착부 20:관통구멍
23:마감플레이트 31:노치(notch)
33:래스(lath)
A:성형틀 B:타설공간

Claims (7)

  1. 소정두께를 가지며 상호 조립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판상의 콘크리트 성형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성형물의 외곽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외곽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일정 단면형상을 갖는 빔의 형태를 취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콘크리트성형물 내에 박혀 보호커버를 콘크리트성형물 측으로 지지하는 결합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콘크리트성형물의 두께면에 밀착하는 두께면밀착부와,
    상기 두께면밀착부와 일체를 이루며 콘크리트성형물의 테두리부를 커버하는 테두리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테두리밀착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콘크리트가 만나 일체화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표면에는 결합부에 대한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소정패턴의 노치(notch)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부에 대한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래스(lath)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성형물의 전면 및 후면에는 콘크리트성형물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마감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KR20-2004-0037456U 2004-12-30 2004-12-30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KR200380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456U KR200380136Y1 (ko) 2004-12-30 2004-12-30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456U KR200380136Y1 (ko) 2004-12-30 2004-12-30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136Y1 true KR200380136Y1 (ko) 2005-03-29

Family

ID=4368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456U KR200380136Y1 (ko) 2004-12-30 2004-12-30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1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002B1 (ko) * 2011-08-08 2013-06-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패널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002B1 (ko) * 2011-08-08 2013-06-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패널부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1616B2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JP5252971B2 (ja) 座屈拘束ブレースの製造方法
JPH08333891A (ja) 型枠用中空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システム
KR200380136Y1 (ko) 보호커버가 구비된 콘크리트 성형물
KR101679666B1 (ko) 중고층 모듈러 건축물용 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ITSV20060014A1 (it) Pannello per la realizzazione di pareti di contenimento di casseforme per le gettate di calcestruzzo in particolare per le casseforme di conten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solette in calcestruzzo o simili e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dett
KR100732603B1 (ko) 건물 벽체용 형틀 블럭
JP7369042B2 (ja) ジョイナ、及び壁構造
KR101111349B1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200418073Y1 (ko) 거푸집용 패널
KR102010629B1 (ko)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플라스틱 거푸집
JP4393798B2 (ja) 中空型枠パネル用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中空型枠パネル
US4541213A (en) Shuttering elements
JP7349221B2 (ja) パネル、シール受け材、及びパネルのコーナーのシール方法
KR20200075391A (ko) 경량 허니컴 패널
JP3981947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工法および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100356410B1 (ko) 골조를 갖는 압출성형재 문짝과 문틀 및 그 제조방법
JP6875155B2 (ja) 座屈拘束ブレースの製造方法
JP4438536B2 (ja) 壁パネル接合構造、地中連続壁の構築方法、および地中連続壁
EP1718820B1 (en) Structure for modular prefabricated forms
JPH0621487B2 (ja) パネル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910251Y2 (ja) 建築用ブロック
JPH0723861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JP7402057B2 (ja) ジョイナ、及び壁構造
KR101040656B1 (ko) 콘크리트보에 frp가 분사된 합성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