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391A - 경량 허니컴 패널 - Google Patents

경량 허니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391A
KR20200075391A KR1020180164013A KR20180164013A KR20200075391A KR 20200075391 A KR20200075391 A KR 20200075391A KR 1020180164013 A KR1020180164013 A KR 1020180164013A KR 20180164013 A KR20180164013 A KR 20180164013A KR 20200075391 A KR20200075391 A KR 2020007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honeycomb panel
panel body
honey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833B1 (ko
Inventor
최영락
한성준
이상진
박성진
김병수
오건
정필석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8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specific for corners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방된 허니컴 코어의 상하부에 시트 형상의 적층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패널 본체의 측면을 테두리 프레임으로 감싸 허니컴 패널을 구성함으로써, 거푸집으로 이용시 거푸집을 경량화하여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과 거푸집의 분리를 위한 별도의 박리제가 불필요한 경량 허니컴 패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경량 허니컴 패널은 상하부가 개방된 허니컴 코어의 상부와 하부에 적층 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패널 본체; 및 상기 패널 본체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테두리 프레임;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량 허니컴 패널{Lightweight honeycomb panel}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방된 허니컴 코어의 상하부에 시트 형상의 적층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패널 본체의 측면을 테두리 프레임으로 감싸 허니컴 패널을 구성함으로써, 거푸집으로 이용시 거푸집을 경량화하여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과 거푸집의 분리를 위한 별도의 박리제가 불필요한 경량 허니컴 패널에 대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부재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면을 형성하는 패널 부재와 패널 부재를 지지하여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패널 부재의 후면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강프레임은 패널 부재의 배면에 종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통상 금속재로 구성되어 중량이 큰 편이다.
일례로 건설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로폼은 0.72㎡(600×1200) 기준 보강프레임이 차지하는 중량이 19㎏으로 크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상당하다.
알루미늄폼 역시 동일 면적 기준 중량이 13㎏에 해당하여, 중량이 적지 않아 작업자 부담이 여전하다.
한편, 콘크리트 경화 후 거푸집 탈형시 거푸집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박리제를 도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박리제 도포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박리제가 구조물 표면을 직접 오염시키거나 주변 토양이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푸집을 경량화하여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한 박리제를 별도로 도포할 필요가 없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방된 허니컴 코어의 상부와 하부에 적층 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패널 본체; 및 상기 패널 본체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테두리 프레임;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내측에는 결합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패널 본체의 외측부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하부에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위치의 테두리 프레임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의 내측 단부에는 작업공간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패널 본체의 적층 부재는 유리섬유 매트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허니컴 코어는 알루미늄,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못, 나사 또는 리벳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수용부 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에는 충격방지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모서리에는 코너비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하부가 개방된 허니컴셀들로 구성되는 허니컴 코어의 상하부에 시트 형상의 적층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패널 본체의 측면을 테두리 프레임으로 감싸 허니컴 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중공에 의하여 높은 강성을 유지하면서 중량이 가벼운 허니컴 패널을 거푸집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을 경량화하여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패널 본체 자체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거푸집의 강성을 유지하는 보강프레임 역할을 하므로, 종래 패널 부재의 후면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을 생략할 수 있어 거푸집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패널 본체의 외측 면에 위치되는 적층 부재로 유리섬유 매트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침하여 이용하면, 폴리우레탄 수지가 허니컴 코어의 외부를 코팅하여 이형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푸집으로 사용시 별도의 박리제가 불필요하여 이로 인한 구조물 오염이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 매트에 의하여 패널 본체의 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강프레임 없이도 충분한 휨 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경량 허니컴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패널 본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3은 패널 본체와 테두리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패널 본체의 걸림홈부와 테두리 프레임의 걸림돌부 간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이웃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연결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허니컴 코어와 유리섬유 매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 부재가 구비된 패널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충격방지패드가 구비된 패널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코너비드가 구비된 테두리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경량 허니컴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패널 본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패널 본체와 테두리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경량 허니컴 패널은 상하부가 개방된 허니컴 코어(21)의 상부와 하부에 적층 부재(22)가 일체로 결합된 패널 본체(2); 및 상기 패널 본체(2)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테두리 프레임(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경량화하고 박리제가 필요 없는 경량 허니컴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경량 허니컴 패널(1)은 패널 본체(2)와 테두리 프레임(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 본체(2)는 상하부가 개방된 허니컴셀들로 구성되는 허니컴 코어(21)의 상부와 하부에 시트 형상의 적층 부재(22)를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패널 본체(2)의 허니컴 코어(21)는 허니컴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높은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중량이 가볍고, 단열 성능이 우수하다.
종래 패널 부재 후면에 금속재의 보강프레임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거푸집과는 달리 본 발명 경량 허니컴 패널(1)은 패널 본체(2) 자체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거푸집의 강성을 유지하는 보강프레임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보강프레임의 생략으로 거푸집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은 패널 본체(2)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은 패널 본체(2)의 테두리를 보호하고 보강할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허니컴 패널들(1, 1')을 서로 결합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허니컴 패널들(1, 1')의 테두리 프레임(3)을 체결핀 등으로 서로 고정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은 알루미늄, 강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 경량 허니컴 패널(1)은 거푸집뿐 아니라 내외장재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의 내측에는 결합플레이트(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패널 본체(2)의 외측부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을 패널 본체(2)에 고정하기 위해, 테두리 프레임(3)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3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2)의 외측부에는 수용부(23)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31)를 수용부(23)에 삽입하여 수용부(23)의 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1)는 테두리 프레임(3)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결합할 수 있으며, 테두리 프레임(3)의 각 면마다 1개 이상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패널 본체(2)의 수용부(23)도 패널 본체(2)의 각 면마다 1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허니컴 코어(21)는 알루미늄,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허니컴 코어(21)는 경량 허니컴 패널(1)의 용도에 따라 알루미늄,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 중량이 적은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 가능하다.
특히, 수분 침투가 우려되는 거푸집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허니컴 코어(21)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2)에 수용부(23)나 작업공간부(25) 등이 형성되는 경우, 제작시 패널 본체(2)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수용부(23)나 작업공간부(25)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압 후 형상 및 강성 유지가 용이한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패널 본체의 걸림홈부와 테두리 프레임의 걸림돌부 간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플레이트(31)의 하부에는 걸림돌부(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3)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부(32)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은 이웃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1')의 테두리 프레임(3')과 고정된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이 작용하면, 패널 본체(2)가 결합플레이트(31)에서 횡방향으로 이탈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측압에 의한 패널 본체(2)와 결합플레이트(31)의 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플레이트(31)의 하부에 걸림돌부(32)를 형성하여 수용부(23)에 형성된 걸림홈부(24)에 걸림돌부(32)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부(32)는 결합플레이트(31)의 하부로 돌출되는 리브의 역할을 하여 결합플레이트(31)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5는 이웃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연결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3) 위치의 테두리 프레임(3)에는 체결홀(33)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33)에 연결핀(4)을 결합하여 이웃하는 허니컴 패널(1, 1')을 상호 결합 가능하다.
상기 체결홀(33)은 일반 판상의 웨지핀을 체결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장방형의 장공으로 형성 가능하다.
또는, 상기 체결홀(33)에는 도 5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거푸집 패널을 연결할 수 있는 둥근 단면의 연결핀(4)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핀(4)은 체결홀(33)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테두리 프레임(3, 3')을 지지하는 몸체부(41), 상기 몸체부(41)의 후단에 폭이 확대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 경량 허니컴 패널(1)의 테두리 프레임(3) 내측면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판(42), 상기 몸체부(41)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단의 지름이 체결홀(33)의 지름보다 작고 후단의 지름은 체결홀(33)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타측 경량 허니컴 패널(1')의 테두리 프레임(3')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헤드부(43)로 구성 가능하다.
특히, 상기 탄성헤드부(43)는 몸체부(41)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타측 경량 허니컴 패널(1')의 테두리 프레임(3')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431) 및 일단은 상기 연결부(431)의 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연결부(431)의 후단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타측 경량 허니컴 패널(1')의 테두리 프레임(3') 내측면에 걸려 지지되는 탄성걸림편(43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헤드부(43)는 이웃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1, 1')의 각 테두리 프레임(3, 3')에 형성된 체결홀(33)에 억지 끼움되어 테두리 프레임(3)을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헤드부(43)는 체결홀(33)을 통과한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되어, 탄성헤드부(43)의 후단이 타측 경량 허니컴 패널(1')의 테두리 프레임(3') 내측에 걸려 견고하게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핀(4) 제거시에는 탄성헤드부(43)를 탄성적으로 오므려 연결핀(4)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탄성헤드부(43)를 공구로 타격하여 몸체부(41)로부터 탈락시킨 후 연결핀(4)을 쉽게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홀(33) 위치의 테두리 프레임(3)에는 폼 타이가 삽입되는 타이 삽입홀(3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3, 3')의 체결홀(33) 및 타이 삽입홀(34)은 기존의 일반적인 거푸집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 일반적인 거푸집과 혼용하여 병행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3)의 내측 단부에는 작업공간부(25)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니컴 패널(1)은 패널 본체(2) 자체가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어서 패널 본체(2)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1, 1')을 상호 결합시, 수용부(23) 내에서 테두리 프레임(3, 3')에 웨지핀이나 연결핀(4)을 결합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를 삽입하여 연결핀(4) 등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용부(23)를 확장하여 작업공간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 본체(2)의 모서리 부근에서 작업공간부(25)들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작업공간부(25)는 일측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작성을 고려하여 각 작업공간부(25)들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작업공간부(25)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허니컴 코어와 유리섬유 매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 부재가 구비된 패널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본체(2)의 적층 부재(22)는 유리섬유 매트(221)에 폴리우레탄 수지(222)를 함침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2)는 도 7과 같이 허니컴 코어(21)의 상하부에 유리섬유 매트(221)를 위치시키고 폴리우레탄 수지(222)를 분사하여 함침시킨 후 프레스로 열 가압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222)는 유리섬유 매트(221)를 침투하여 허니컴 코어(21)의 외부를 코팅하고 유리섬유 매트(221)를 허니컴 코어(21)에 고정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222)가 함침된 유리섬유 매트(221)를 적층 부재(22)로 사용하면 이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으로 사용시 별도의 박리제가 불필요하다.
또한, 함침된 폴리우레탄 수지(222)는 적층 부재(22)를 허니컴 코어(21)와 일체화하고, 허니컴 코어(21)의 외부를 코팅하여 내구성 및 방수 성능을 확보한다.
상기 유리섬유 매트(221)는 패널 본체(2)의 휨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보강프레임 없이도 충분한 휨 강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허니컴 패널(1)의 실질적인 휨 강성은 양측면의 적층 부재(22)가 발휘하며, 중간의 허니컴 코어(21)는 적층 부재(22)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허니컴 패널(1)을 재활용할 경우에는 폴리우레탄으로 간단하게 표면을 보수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1)는 못, 나사 또는 리벳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수용부(23) 저면의 패널 본체(2)에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으며, 체결부재와 접착제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충격방지패드가 구비된 패널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본체(2)의 배면에는 충격방지패드(5)가 구비될 수 있다.
거푸집의 해체 또는 적재 과정 중 패널 본체(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 본체(2)의 배면에 충격방지패드(5)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충격방지패드(5)는 외력 등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감소시킨다.
상기 충격방지패드(5)는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PU, 고무 등 연질의 탄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코너비드가 구비된 테두리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의 모서리에는 코너비드(35)가 결합될 수 있다.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테두리 프레임(3)의 모서리를 보호하고, 작업자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 프레임(3)의 모서리에 연질의 코너비드(35)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코너비드(35)는 테두리 프레임(3) 제작시 몰드 안에서 동시 사출하거나 테두리 프레임(3) 제조 후 나중에 부착하여 결합 가능하다.
1: 경량 허니컴 패널 2: 패널 본체
21: 허니컴 코어 22: 적층 부재
221: 유리섬유 매트 222: 폴리우레탄 수지
23: 수용부 24: 걸림홈부
25: 작업공간부 3: 테두리 프레임
31: 결합플레이트 32: 걸림돌부
33: 체결홀 34: 타이 삽입홀
35: 코너비드 4: 연결핀
41: 몸체부 42: 지지판
43: 탄성헤드부 431: 연결부
432: 탄성걸림편 5: 충격방지패드

Claims (10)

  1. 상하부가 개방된 허니컴 코어(21)의 상부와 하부에 적층 부재(22)가 일체로 결합된 패널 본체(2); 및
    상기 패널 본체(2)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테두리 프레임(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의 내측에는 결합플레이트(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패널 본체(2)의 외측부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3. 제2항에서,
    상기 결합플레이트(31)의 하부에는 걸림돌부(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3)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부(32)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4. 제2항에서,
    상기 수용부(23) 위치의 테두리 프레임(3)에는 체결홀(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5. 제4항에서,
    상기 수용부(23)의 내측 단부에는 작업공간부(25)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6. 제1항에서,
    상기 패널 본체(2)의 적층 부재(22)는 유리섬유 매트(221)에 폴리우레탄 수지(222)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7. 제1항에서,
    상기 허니컴 코어(21)는 알루미늄,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8. 제2항에서,
    상기 결합플레이트(31)는 못, 나사 또는 리벳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수용부(23) 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9. 제1항에서,
    상기 패널 본체(2)의 배면에는 충격방지패드(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10. 제1항에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의 모서리에는 코너비드(3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허니컴 패널.
KR1020180164013A 2018-12-18 2018-12-18 경량 허니컴 패널 KR10222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13A KR102222833B1 (ko) 2018-12-18 2018-12-18 경량 허니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13A KR102222833B1 (ko) 2018-12-18 2018-12-18 경량 허니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391A true KR20200075391A (ko) 2020-06-26
KR102222833B1 KR102222833B1 (ko) 2021-03-04

Family

ID=7113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013A KR102222833B1 (ko) 2018-12-18 2018-12-18 경량 허니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875A (ko) 2020-12-18 2022-06-27 (주)세종이엠씨 허니컴 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483A (ja) * 1991-08-01 1993-02-09 Shigeki Kanao 型 枠
KR200275545Y1 (ko) * 2002-02-28 2002-05-1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거푸집 패널
KR100756629B1 (ko) * 2007-02-27 2007-09-07 문광선 하니콤 코아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패널
KR100760484B1 (ko) * 2006-06-29 2007-09-20 한국과학기술원 비계용 하이브리드 패널 및 이것을 이용한 비계
KR101761655B1 (ko) * 2016-01-26 2017-07-27 일우건업(주) 거푸집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483A (ja) * 1991-08-01 1993-02-09 Shigeki Kanao 型 枠
KR200275545Y1 (ko) * 2002-02-28 2002-05-1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거푸집 패널
KR100760484B1 (ko) * 2006-06-29 2007-09-20 한국과학기술원 비계용 하이브리드 패널 및 이것을 이용한 비계
KR100756629B1 (ko) * 2007-02-27 2007-09-07 문광선 하니콤 코아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패널
KR101761655B1 (ko) * 2016-01-26 2017-07-27 일우건업(주) 거푸집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875A (ko) 2020-12-18 2022-06-27 (주)세종이엠씨 허니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833B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582B2 (en) Plastic pallet structure
US6212849B1 (en) Pultruded fiberglass reinforced shear panel
KR20150116373A (ko) 친환경 초경량 소음 및 충격감쇠용 하이브리드구조의 거푸집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폼
WO2000030845A1 (en) Multilayer panel and use thereof as a formwork
US20090057533A1 (en) Form panel for construction
KR20200075391A (ko) 경량 허니컴 패널
KR20150124863A (ko) Epcd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24861B1 (ko) 결합구조가 향상된 거푸집
KR102519366B1 (ko) 건축용 거푸집폼
JP4945428B2 (ja) 補強構造
KR10100242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인코너부재
KR20120033931A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200418073Y1 (ko) 거푸집용 패널
KR101039876B1 (ko)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101761655B1 (ko) 거푸집 패널
JPH11324317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KR102536640B1 (ko) 건축용 루프패널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축용 루프패널
KR20090088231A (ko) 지지부재를 이용한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KR101581813B1 (ko) 단열기능 및 구조적 강도가 보강된 도어
KR100780389B1 (ko) 거푸집용 패널
KR102658806B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장치
KR102097163B1 (ko) 목재 방음벽
JP2007016546A (ja) 建具および建具の製造方法
KR0129365Y1 (ko) 거푸집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