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134Y1 -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134Y1
KR200379134Y1 KR20-2004-0037409U KR20040037409U KR200379134Y1 KR 200379134 Y1 KR200379134 Y1 KR 200379134Y1 KR 20040037409 U KR20040037409 U KR 20040037409U KR 200379134 Y1 KR200379134 Y1 KR 200379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bracket
sensor
financial automation
autom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영수
황진용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sensing the quantity of valuable papers in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있어 지폐를 보관하는 카세트에 센서 및 반사판이 각각 장착된 브라켓을 설치하고 각 브라켓 사이에 지폐를 보관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전송된 광신호가 상기 반사판에서 반사된 신호인 광반사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카세트 공검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카세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나의 면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카세트에 상기 제1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반사판과 일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상기 카세트의 외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광신호가 상기 제2 브라켓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브라켓의 반사판을 향하도록 상기 광신호를 발진시키는 발광센서, 상기 발진된 광신호가 상기 반사판에서 반사된 광반사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센서, 및 상기 수광센서에 의한 광반사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하는 지폐 유무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금융 자동화 기기에 따르면, 발광센서로부터 발진된 광신호가 카세트 내부에 위치한 제2 브라켓의 홀을 관통하여 제1 브라켓의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광반사신호가 수광센서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A SYSTEM FOR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PAPER MONEY OF AUTO TELLER MACHINE CASSETTE}
본 고안은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있어 지폐를 보관하는 카세트에 반사판이 각각 장착된 브라켓을 설치하고 각 브라켓 사이에 지폐를 보관하여, 센서를 통해 전송된 광신호가 상기 반사판에서 반사된 신호인 광반사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카세트 공검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에서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이 편리해짐에 따라 고객들도 점차 금융 자동화 기기를 자주 사용하게 되고, 매번 이용하는 금융거래의 금액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복수의 카세트(cassette)에 지폐가 보관될 수 있다. 각각의 카세트에는 동일한 종류의 지폐가 각각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세트 #01 에는 만원권이 보관될 수 있으며, 카세트 #02 에는 10만원권 수표가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카세트에는 동일한 종류의 지폐가 보관되고, 금융 자동화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금액에 대한 방출 명령을 수신할 경우, 각각의 카세트에 보관되어 있는 지폐의 종류를 인식하여 상기 금액에 대응하여 방출할 지폐의 종류 및 수량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지폐를 보관하고 있는 카세트를 제어하여 상기 금액에 대응하는 지폐 방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3만원에 대한 지폐 방출 명령을 수신한 경우, 메인보드의 중앙처리장치(CPU)는 만원권을 포함하고 있는 카세트가 카세트 #01 및 카세트 #03 임을 인식한다. 중앙처리장치는 카세트 #01 또는 카세트 #03 중 하나의 카세트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카세트에 대응하는 피드 클러치를 전송 모터를 통해 제어하여 상기 카세트에서 만원권 3장이 방출되도록 한다.
각각의 카세트에 설치된 피드 클러치를 통해 카세트들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피드 클러치에 의해 카세트 외부로 방출된 지폐는 리젝트 솔레노이드(Reject Solenoid)를 통해 방출구로 연결된 컨베이어 벨트에 따라 금융 자동화 기기의 방출구로 전달된다. 상기 지폐는 셔터모터(Shutter Motor), Throat 전송 모터, 및 트레이 모터(Tray Motor)에 의한 방출구 개폐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카세트에 포함된 지폐의 종류 인식 방법으로, 상기 카세트에 하나 이상의 리드 스위치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카세트에 투입하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에 자석을 부착시키거나 탈착 시킴으로써,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는 상기 카세트에 포함된 지폐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있어 또한 중요한 것은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감지하는 일이다. 특정 카세트에 보관된 지폐가 모두 방출되어 더 이상 방출될 지폐가 없는 경우, 상기 카세트와 동일한 종류의 지폐가 보관된 카세트를 통해 지폐를 방출해야 한다. 만일,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감지하는 동작에 오류가 발생한다면, 지폐가 없는 빈 카세트에 지폐 방출 동작을 지속적으로 명령하게 될 수도 있어 금융 자동화 기기의 오작동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할 수도 있고, 금융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사용자가 카세트에 지폐를 투입할 때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의 중앙처리장치(CPU)가 상기 투입된 지폐의 개수를 파악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된 지폐의 수를 일일이 감지함으로써, 상기 카세트 내의 지폐 유무를 판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지폐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한 소정의 장치를 추가하여 구성해야 하고, 상기 추가되는 장치에 따라 내부 구성이 복잡해져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카세트가 금융 자동화 기기 내부에 투입되었는지 여부만을 감지할 뿐 상기 카세트 내부에 지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공검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따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지폐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추출하여 방출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광센서로부터 발진된 광신호가 카세트 내부에 위치한 제2 브라켓의 홀을 관통하여 제1 브라켓의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광반사신호가 수광센서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카세트 공검지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광신호를 발진시키는 센서로 분리 투과형 센서를 일체형으로 사용함으로써, 카세트 내부의 먼 거리까지 전파된 광신호가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된 광반사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일반 반사형 센서보다 비교적 먼 거리까지 보다 효과적으로 카세트 공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카세트 공검지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반사판이 설치된 제1 브라켓에 소정의 탄성소자를 더 설치하여, 카세트 내부의 지폐가 모두 방출된 경우, 상기 제1 브라켓을 홀이 설치된 제2 브라켓과 근접하게 위치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카세트 공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카세트 공검지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카세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나의 면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카세트에 상기 제1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반사판과 일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상기 카세트의 외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광신호가 상기 제2 브라켓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브라켓의 반사판을 향하도록 상기 광신호를 발진시키는 발광센서, 상기 발진된 광신호가 상기 반사판에서 반사된 광반사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센서, 및 상기 수광센서에 의한 광반사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하는 지폐 유무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공검지를 지원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00)는 복수의 카세트, 예를 들어 제1 카세트(110), 제2 카세트(120), 제3 카세트(130), 및 제4 카세트(140)를 포함하는 카세트부, 센서부(150), 지폐 유무 판단부(160), 마이크로 프로세서(170), 클러치(171), 지폐 방출구(18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사판은 카세트 내부의 브라켓에 설치되고, 센서는 금융 자동화 기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세트는 지폐의 보충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금융 자동화 기기 외부로 자주 출입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금융 자동화 기기 내부의 소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반사 식별신호 수신 여부에 따른 정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송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금융 자동화 기기 외부로 자주 꺼내어지는 카세트에 센서를 설치할 경우, 센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의 연결 구성이 곤란하여 질 수 있으므로, 상기 카세트 내부의 브라켓에는 반사판이 설치되고,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 본체에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카세트부는 하나 이상의 카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란 금융 자동화 기기(100)의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일종의 박스 형태의 지폐 보관기로서, 동일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지폐가 보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공검지 방법은 카세트의 외부에 설치된 발광센서로부터 발진된 광신호가 상기 카세트 내부에 설치된 제2 브라켓의 홀을 통과하여 제1 브라켓의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된 광반사신호의 수광센서를 통한 수신여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세트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세트(24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카세트(240)의 내부에 제1 브라켓(220)이 포함될 수 있고, 제2 브라켓(230)은 카세트(240)의 육면 중 하나의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20)은 얇은 판 모양의 일종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20)의 한쪽 면에는 반사판(221)이 설치될 수 있는데, 반사판(221)은 거울 또는 프리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울의 구체적인 일례로서 오목 거울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사판(221)이 오목 거울로 구성되는 경우, 오목 거울의 일반적인 특성상, 광반사신호가 한 곳으로 모이게 되어, 수광센서(212)는 보다 효율적으로 반사 식별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사판(221)이 프리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프리즘의 집광효과로 인해 일반적인 오목 거울이 사용되는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광반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반사판의 일례로서 프리즘이 사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리즘의 입사면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발광센서(발광부)로부터의 광신호가 프리즘 내부에서 적절히 굴절되어 다시 수광센서(수광부)로 반사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제2 브라켓(230)은 제1 브라켓(220)과 평행하도록 카세트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브라켓(220)에 설치된 반사판(2210)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홀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브라켓(230)은 제1 브라켓(220)과 동일한 얇은 판 모양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제2 브라켓(230)을 소정의 광신호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231)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30)은 직육면체인 카세트(240)의 육면 중 하나의 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달리 제1 브라켓(220)과 같이 얇은 판 모양의 직육면체로 카세트(240)와는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231)은 제1 브라켓(220)의 반사판(221)과 일직선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홀(231)을 관통한 광신호가 반사판(221)에 의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220)의 반사판(221)과 제2 브라켓(230)의 홀(231)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홀(231)을 관통한 광신호는 직진성을 갖고 전파되어 가기 때문에, 홀(23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반사판(221)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홀(231)은 일반적으로 반사판(221)과 일직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홀(231)이 위치한 제2 브라켓(230)과 반사판(221)이 위치한 제1 브라켓(220)이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더욱 자명한 일이다.
제1 브라켓(220)과 제2 브라켓(230) 사이의 공간에는 하나 이상의 지폐가 위치할 수 있다.
카세트(240)의 외부에는 센서부(21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에서 각각의 카세트와 마주하는 위치에 센서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210)는 제1 브라켓(220)의 반사판(2210)과 제2 브라켓(230)의 홀(231)의 일직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210)는 소정의 광신호를 발진시키는 발광센서(211)와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센서(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210)의 발광센서(211) 및 수광센서(212)는 분리 투과형 센서로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센서부(210)를 구성할 수 있다.
발광센서(211)는 소정의 광신호를 센서부(210)와 일직선상에 위치한 홀(231) 또는 반사판(221)을 향하여 발진시킨다. 또한, 수광센서(211)는 상기 발진된 광신호가 반사판(221)으로부터 반사된 신호인 광반사신호를 수신한다. 수광센서(211)의 상기 광반사신호 수신 동작은 제1 브라켓(220)과 제2 브라켓(230) 사이의 공간에 지폐가 위치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 지폐가 존재하는 경우 발진된 반사신호의 반사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카세트 외부에 위치한 센서부(310)의 발광센서(311)로부터 발진된 광신호는 카세트 내부의 제2 브라켓의 홀을 관통하여 제1 브라켓의 반사판(320)을 향하여 전파된다.
카세트 내부의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 지폐(33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발광센서를 통해 발진된 광신호는 홀을 관통하여 반사판(320)으로 전파되고, 거울 또는 프리즘으로 구성된 반사판(320)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반사된 광반사신호가 상기 홀을 다시 관통하여 센서부(310)의 수광센서(312)로 도달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내부의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 지폐(330)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발광센서(311)를 통해 발진된 광신호는 상기 제2 브라켓의 홀을 관통하여 전파되지만,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지폐(330)로 인해 상기 제1 브라켓의 반사판(320)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진된 광신호는 반사판(320)으로부터 반사되지 못하여 수광센서(312)는 광반사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도 2에서, 제1 브라켓(220)은 소정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압력을 가하는 소정의 탄성 소자(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소자는 제1 브라켓(220)을 제2 브라켓(2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소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1 브라켓(220)은 제1 브라켓(220)과 제2 브라켓(230) 사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지폐가 카세트(240)의 외부로 방출될 때마다 제2 브라켓(2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 소자에 의한 압력으로 인해, 제1 브라켓(220)이 지폐가 방출될 때마다 제2 브라켓(2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결국 상기 지폐가 모두 방출된 경우에는 제2 브라켓(230)과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제1 브라켓(220)이 제2 브라켓(230)과 근접하여 위치하면, 결국 제1 브라켓(220)과 제2 브라켓(230) 사이 공간에는 지폐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210)의 발광센서(211)로부터 발진된 광신호는 제2 브라켓(230)의 홀(231)을 관통하자마자 제2 브라켓(230)과 근접하여 위치한 제1 브라켓(220)의 반사판(221)에 곧바로 도달하게 되고, 반사판(221)으로부터 반사되어 다시 홀(231)을 관통하여 수광센서(212)로 전파된다. 즉, 제1 브라켓(220)이 제2 브라켓(230)의 위치가 근접하는 경우, 발광센서(211)로부터 발진된 광신호는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반사판(221)으로부터 반사되고 수광센서(212)로 전파되므로, 제1 브라켓(220)과 제2 브라켓(230)이 서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광반사신호 수신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센서부(150)는 금융 자동화 기기(100)에 있어, 상기 하나 이상의 카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카세트가 포함하는 제1 브라켓의 반사판 및 제2 브라켓의 홀과의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부(150)는 광신호를 발진시키는 발광센서 및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발광센서는 소정의 광신호를 상기 제1 브라켓의 반사판 및 제2 브라켓의 홀을 지향하여 발진시키고, 상기 수광센서는 상기 발진된 광신호가 상기 제1 브라켓의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된 신호인 광반사신호를 수신한다. 센서부(150)의 상기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또는 도 3을 통해 상기 상술한 센서부의 구성 및 동작이 준용될 수 있다.
지폐 유무 판단부(160)는 센서부(150)의 수광센서에 의한 광반사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한다.
도 3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 내부의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센서부(150)의 발광센서로부터 발진된 광신호는 제1 브라켓의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되어 수광센서로 전파된다. 상기 수광센서가 상기 광반사신호를 수신한 경우, 지폐 유무 판단부(160)는 상기 카세트 내부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내부의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 지폐가 존재하는 경우, 센서부(150)의 발광센서로부터 발진된 광신호는 제2 브라켓의 홀을 관통할 수는 있지만, 상기 지폐로 인해 상기 제1 브라켓의 반사판으로는 전파될 수 없어, 상기 광신호는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되지 못하고 상기 수광센서는 광반사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수광센서가 광반사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지폐 유무 판단부(160)는 상기 카세트 내부에 지폐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지폐 유무 판단부(160)는 수광센서의 광반사신호 수신여부에 따라 소정의 이진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7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광센서가 광반사신호를 수신한 경우, "1" 이라는 코드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70)에 전송하고, 상기 수광센서가 광반사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0" 이라는 코드를 생성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70)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이진식별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사전에 프로그래밍됨으로써, 마이크로 프로세서(170)는 상기 이진식별코드만으로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폐 유무 판단부(160)는 제1 카세트(110), 제2 카세트(120), 제3 카세트(130), 및 제4 카세트(140)의 지폐 포함 유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소정의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금액 방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상기 금액 방출 명령 입력 동작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소정의 키패드를 포함하거나 터치 스크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70)는 연산 수행을 담당하는 일반적인 컴퓨터용 CPU, 즉, MPU (Micro processor unit) 및 메모리 액세스 로직(Memory Access Logic)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금액에 대한 방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금액에 따른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3만 5천원에 대한 금액 방출 명령을 수신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70)는 만원권 3장, 5천원권 1장에 대한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70)는 지폐 유무 판단부(160)의 레지스터를 통해 기록되어 있는 각 카세트에 대응하는 지폐 포함 유무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지폐 방출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지폐가 포함되어 있는 카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카세트를 통해 지폐 방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고안에 다른 금융 자동화 기기(100)는 각각의 카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폐의 종류에 대한 지폐 권종 정보를 식별하고 기록하는 권종 정보부(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종 정보부에 기록된 카세트 별 지폐 권종 정보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지폐 방출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지폐를 포함하는 카세트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카세트를 통해 상기 지폐의 방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세트(110)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가 "천원권", 제2 카세트(120)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가 "오천원권", 제3 카세트(130)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가 "만원권", 제4 카세트(140)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가 "만원권" 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70)는 제3 카세트(130)로 "만원권 3장" 이라는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카세트(120)로 "오천원권 1장" 이라는 지폐 방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카세트(130)에 보관된 만원권이 모두 방출되어 제3 카세트(130)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70)는 지폐 유무 판단부(16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제3 카세트(130)의 권종 정보와 동일한 권종 정보를 갖는 카세트가 제4 카세트(140)임을 권종 정보부를 통해 식별하고, 제4 카세트(140)로 상기 "만원권 3장" 이라는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170)는 제3 카세트(130)에 만원권이 1장만 존재하는 경우, 제3 카세트(130)를 통해 만원권 1장이 방출된 후, 지폐 유무 판단부(160)를 통해 제3 카세트(130)에 만원권이 존재하지 않음을 감지하고, 권종 정보부를 통해 상기 만원권을 포함하고 있는 카세트가 제4 카세트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4 카세트에 "만원권 2장"이라는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원래 목표인 만원권 3장 방출을 실행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70)는 각각의 카세트에 구비된 클러치(171)에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클러치(171)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지폐를 지폐 방출구(180)를 통해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하는 공검지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금액에 대한 지폐 방출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 내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카세트에 대해 지폐 포함 유무를 감지하는 공검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카세트 공검지 동작 수행을 위하여, 금융 자동화 기기는 센서부의 발광 센서를 통해 소정의 광신호가 상기 제1 카세트 내부의 제2 브라켓에 위치한 홀을 통과형 제1 브라켓에 위치한 반사판을 향하도록 상기 광신호를 발진시킨다(단계(511)).
단계(511)에서 발진된 광신호는 제1 카세트 내부의 지폐 존재 유무에 따라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될 수도 있고, 반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단계(512)).
단계(512)에서 상기 광신호가 발진된 후,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되지 않아 수광센서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금융 자동화 기기는 상기 제1 카세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지폐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하여, 상기 지폐에 대한 방출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513)).
단계(512)에서 상기 광신호가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되어 다시 홀을 관통하여 수광센서로 수신되는 경우, 금융 자동화 기기는 상기 제1 카세트 내부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단계(514)), 상기 제1 카세트와 동일한 지폐 권종을 포함하고 있는 제2 카세트를 식별한다(단계(515)).
상기 제1 카세트와 동일한 지폐를 포함하고 있는 제2 카세트가 식별되면, 금융 자동화 기기는 상기 제2 카세트로 소정의 금액에 대한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지폐 방출 동작을 수행한다(단계(516)).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앞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이 도 5의 공검지 방법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의 카세트 공검지 금융 자동화 기기에 따르면, 발광센서로부터 발진된 광신호가 카세트 내부에 위치한 제2 브라켓의 홀을 관통하여 제1 브라켓의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광반사신호가 수광센서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카세트 공검지 금융 자동화 기기에 따르면, 광신호를 발진시키는 센서로 분리 투과형 센서를 일체형으로 사용함으로써, 카세트 내부의 먼 거리까지 전파된 광신호가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된 광반사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일반 반사형 센서보다 비교적 먼 거리까지 보다 효과적으로 카세트 공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카세트 공검지 금융 자동화 기기에 따르면, 반사판이 설치된 제1 브라켓에 소정의 탄성소자를 더 설치하여, 카세트 내부의 지폐가 모두 방출된 경우, 상기 제1 브라켓을 홀이 설치된 제2 브라켓과 근접하게 위치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카세트 공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공검지를 지원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 지폐가 존재하는 경우 발진된 반사신호의 반사여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반사판의 일례로서 프리즘이 사용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하는 공검지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센서부 211 : 발광센서
212 : 수광센서 220 : 제1 브라켓
221 : 반사판 230 : 제2 브라켓
231 : 홀 240 : 카세트

Claims (5)

  1.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감지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나의 면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카세트에 상기 제1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반사판과 일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상기 카세트의 외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광신호가 상기 제2 브라켓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브라켓의 반사판을 향하도록 상기 광신호를 발진시키는 발광센서;
    상기 발진된 광신호가 상기 반사판에서 반사된 광반사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센서; 및
    상기 수광센서에 의한 광반사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카세트의 지폐 포함 유무를 판단하는 지폐 유무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유무 판단부는 상기 수광센서를 통해 상기 광반사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카세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지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광반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카세트 내부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이 압력이 가해지는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압력을 가하는 탄성 소자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지폐가 상기 카세트 외부로 방출될 때마다 상기 탄성 소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브라켓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오목 거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프리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004-0037409U 2004-12-30 2004-12-30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KR200379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409U KR200379134Y1 (ko) 2004-12-30 2004-12-30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409U KR200379134Y1 (ko) 2004-12-30 2004-12-30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370A Division KR20060077496A (ko) 2004-12-30 2004-12-30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134Y1 true KR200379134Y1 (ko) 2005-03-18

Family

ID=4368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409U KR200379134Y1 (ko) 2004-12-30 2004-12-30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1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38B1 (ko) * 2005-06-17 2012-03-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현금카세트의 잔량검지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38B1 (ko) * 2005-06-17 2012-03-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현금카세트의 잔량검지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4105B2 (en) Bill handling machine
RU2010102513A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EP2693408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edium image, and banking machine
KR101041205B1 (ko)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
JP6439371B2 (ja) 媒体収容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120012116A (ko) 입금액 수정기능이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
KR200379134Y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JP6338992B2 (ja) 紙幣収納庫、紙幣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US6441891B1 (en) System for detecting a foreign object attached to a bill passing through a bill validator
KR20060077496A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1649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잔량소 감지 시스템
KR200379133Y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권종 인식 장치
JP2014182752A (ja) 検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20120012409A (ko) 금융기기
KR20060077495A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권종 인식 장치 및 방법
JP6737014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処理装置
JP4774263B2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及び媒体搬送装置
JP2015095023A (ja) 紙幣検出装置、発光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7334787A (ja) 自動取引装置
KR200389648Y1 (ko)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2009005770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권종 인식 장치 및 방법
WO2019159433A1 (ja) 自動取引装置
KR101620692B1 (ko)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금융 기기
JPH11283076A (ja) 自動取引装置
WO2020243157A1 (en) Edge sensing apparatus in a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