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205B1 -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205B1
KR101041205B1 KR1020090100916A KR20090100916A KR101041205B1 KR 101041205 B1 KR101041205 B1 KR 101041205B1 KR 1020090100916 A KR1020090100916 A KR 1020090100916A KR 20090100916 A KR20090100916 A KR 20090100916A KR 101041205 B1 KR101041205 B1 KR 10104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onveyance
deposit
paper sheet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347A (ko
Inventor
미츠타카 니시다
하야토 미나미신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8Diverting into different paths 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류 기구를 간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저감한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게이트부에 반입된 지엽류를 2 방향으로 전환하여 반송하는 반송 방향 전환 장치이다. 게이트부에 대하여 반입 겸 반출로를 구성하는 제1 가이드부(210), 게이트부를 향하는 반입로를 구성하는 제2 가이드부(220), 게이트부로부터의 반출로를 구성하는 제3 가이드부(230), 분류 게이트(201, 20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분류 게이트는, 게이트부에 제2 가이드부(220)로부터 반입된 지폐를 제1 가이드부 또는 제3 가이드부(210, 23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반출한다. 임펠러(21)는 평풀리(22a∼22d)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지엽류에 접하는 돌기부를 갖고 있으며, 종동 샤프트(26)와 동축으로 작동한다. 이 종동 샤프트(26)는, 분류 게이트(201)의 상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Figure R1020090100916
반송 방향 전환 장치

Description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CONVEYING DIRECTION CONVERTING DEVICE AND PAPER SHEET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송 방향에서의 길이가 짧은 지엽류라도 안정적으로 분기 반송을 가능하게 한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ATM(Automated Teller Machine: 자동 거래 장치)이나 지폐 리사이클 유닛에 탑재되는 지엽류 반송 장치에서는, 삽입된 지폐가 각각 다른 반송로를 경유하여 금액 종류별마다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지폐 처리 장치에는, 다른 사이즈의 지폐 반송에 대응하는 것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벨트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반송해서 처리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지폐마다 행선지를 변경하기 위한 반송 분기점과, 반송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분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인 지폐는, 그 표리(表裏)에서 다른 특징 부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지폐의 진위 감정 등을 위해, 반입된 지폐를 반전 처리하고 있다. 그러한 경우에, 예컨대 특허 문헌 1의 지폐 표리 정리 장치와 같이, 소형이고, 콤팩트하며 구조가 단순화된 것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표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지폐의 표리면에 기초한 신호에 의해, 지폐를 반전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분류재에 의해 이 지폐를 전송 수단으로 유도한 후, 반출 수단으로부터 반출하고, 뒤집혀진 상태여서 반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분류재에 의해 수령부로 유도하고, 그 하측 가장자리 부분을 임펠러에 의해 압박하여 반전 상태로 반출 수단에 공급하며, 그 표리면을 반전시켜 반출하는 지폐 표리 정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분류재에 의해 지폐를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종류의 분류 기구 바로 뒤에, 물리적인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벨트나 롤러 등의 반송 기구를 배치할 수 없는 것이 있었다.
또한, 반송로의 분기점의 코너 부분 근방에, 날개를 분기점의 반송 통로 내에 진입시켜 회전하는 임펠러를 배치하고, 이 임펠러를 지폐 반송 롤러에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한 반송 방향 전환 장치에 의해, 장치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소형화가 도모된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도 14는 종래의 지폐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5에는 반송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도 14의 지폐 반송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지폐 반송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입출금부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210),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수납고로부터 출금되는 지폐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220),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감별부에 반입되는 지폐를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부(230), 및 출금되는 지폐를 제1 가이드부(210)까지 가 이드하는 제4 가이드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부(210)를 따라 가이드되는 반송 지폐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제1 반송 구동 롤러(211)와 종동 롤러(212)에 협지(挾持)되어 입출금 방향으로의 반송력이 부여된다. 제2 가이드부(220)에는, 반송 벨트(221)와 제2 반송 구동 롤러(222)가 설치되고, 제3 가이드부(230)에는 반송 벨트(231)와 제3 반송 구동 롤러(2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3 반송 구동 롤러(232)의 둘레면이며, 반송 벨트(231)의 하류측에는, 분류 게이트(201)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가이드부(210)로부터의 지폐와 제2 가이드부(220)로부터 제3 가이드부(230)에 반송된 지폐는, 각각 다른 2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금 시에 제1 가이드부(210)의 단부까지 도달한 지폐는, 제3 반송 구동 롤러(232)와 핀치 롤러(202)에 의해 반송 벨트(231)에 반송되고, 거기서 분류 게이트(201)에 의해 분류되며, 또한 반송 벨트(233, 234)에 의해 제3 가이드부(230)를 따라 감별부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고로부터의 출금 지폐는, 제2 가이드부(220)에 가이드되어 반송 벨트(231)까지 반송되고, 거기서 분류 게이트(201)에 의해 전환되어 제4 가이드부(240)에 반송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분류 게이트(203)로부터 제1 가이드부(210)를 따라 입출금부에 반송된다. 또한, 이 분류 게이트(203)는 제3 가이드부(230)와 제4 가이드부(240) 사이에 배치되며, 지폐의 입금 시와 출금 시에 반송 방향이 전환된다.
여기서, 분류 게이트(201)의 상류측에는, 제3 반송 구동 롤러(232)에 접촉하 는 핀치 롤러(204)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제3 반송 구동 롤러(232)와 핀치 롤러(204) 사이에 협지되어, 반송 지폐에 대하여 반송력을 부여하고 있다. 동일한 이유에서, 제4 가이드부(240)를 따르는 분류 게이트(203)에 대해서도, 그 상류측에 제3 반송 구동 롤러(232)와 접촉하는 핀치 롤러(20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은 종래의 지폐 반송 장치에서 반송 구동 롤러를 축 지지하는 구동 샤프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구동 샤프트(25)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부의 좌우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며, 미리 정해진 폭의 지폐를 구부러지지 않게 반송하기 위해서,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 2개의 평풀리(251, 252 및 253, 254)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25)의 좌측의 평풀리(251, 252)를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도록 구동 롤러(25a, 25b)를 설치하고, 그 우측의 평풀리(253, 25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동 롤러(25c, 25d)를 설치하여, 각각이 반송 벨트(231)(도 14, 도 15 참조)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4062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46478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은 지폐 반송 장치에 이용되는 분류 기구에서는, 반송 방향 길이가 짧은 지폐를 분기하여 유도하기 위해서, 분류 게이트(201) 전후에 반송 벨트나 핀치 롤러 등의 반송 보조 수단을 배치하여, 지폐의 원활한 반송을 확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분류 기구 바로 뒤에는, 물리적인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반드시 반송 벨트나 핀치 롤러 등을 배치할만한 여지가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반송 보조 기구를 배치할 수 없는 반송 구간에서는, 지폐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정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지폐 반송 장치에서는, 반송 기구를 가능한 한 밀집시켜 배치함으로써, 반송 기구의 무배치 구간을 단축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좁은 공간에서 반송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분류 기구의 하류에 구동 롤러를 배치하여, 분기점으로부터 흘러내려 오는 지엽류에 반송력을 부여하지 않으면 안된다. 분기점으로부터 구동 롤러까지의 거리보다 길이가 짧은 지엽류이면, 분기된 후에 반송력이 상실되어 정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의 구동 롤러에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 동력 전달 기구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반송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분류 기구가 복잡화되어, 장치 전체의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분류 기구를 간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저감하는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게이트부에 반입된 지엽류를 2 방향으로 전환하여 반송하는 반송 방향 전환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반송 방향 전환 장치는,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와, 분류 게이트와, 회전체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부는, 상기 게이트부에 대하여 반입 겸 반출로를 구성하고, 제2 가이드부는, 상기 게이트부를 향하는 반입로를 구성하며, 제3 가이드부는, 상기 게이트부로부터의 반출로를 구성한다. 또한, 분류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부에 상기 제2 가이드부로부터 반입된 상기 지엽류를 제1 가이드부 또는 제3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반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전체는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지엽류에 접하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 가이드부에 의해 반입되는 상기 지엽류의 하류측이며, 상기 분류 게이트의 상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지엽류 반송 장치는, 반송로에 게이트 기구를 설치하여 지엽류를 2 방향으로 분기시켜 반송 처리하는 것으로, 각각 2 방향의 상기 반송로를 따라 형성된 반송 벨트와, 상기 게이트 기구를 설치한 분기점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 벨트의 한쪽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에 반송력을 부여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반송 벨트와 접촉하 지 않는 위치에서는 상기 풀리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지엽류에 접하는 돌기부를 갖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엽류의 반송로에서의 무반송력 구간의 거리를 단축하거나, 또는 무반송력 구간을 없애도록 하였기 때문에, 규격보다 짧은 지엽류도 안정적으로 분기 반송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 거래 장치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입출금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자동 거래 장치(1)에서는 지폐의 입출금 거래를 행하고 있다. 이 자동 거래 장치(1)는, 입출금 처리부(100)에서 투입된 지폐가 벨트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반송되어, 입출금 처리를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입출금 처리부(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폐마다 행선지를 변경하기 위한 반송 분기점에 있어서, 반송 방향을 전환하는 분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자동 거래 장치(1)는, 주제어부(11)와, 기억부(12)와, 조작부(13)와, 표시 제어부(14)와, 음성 출력부(15)와, 기장(記帳) 처리부(16)와, 카드 처리부(17)와, 영수증 발행부(18)와, 통신 처리부(19)와, 입출금 처리부(100)를 구비하며, 각각은 통신선(20)에 의해 접속된다.
주제어부(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이루어지며, 기억 부(1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에 따라, 자동 거래 장치(1)의 각부를 제어한다.
기억부(12)는, 각종 데이터나 입출금 거래 등의 각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기억부(12)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에 의해 구성된다. RAM에는, 주제어부(11)에 실행시키는 OS(Operating System)의 프로그램이나 자동 거래 장치(1)로서 기능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에는, 주제어부(11)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테이터가 저장된다. HDD에는, OS나 자동 거래 장치(1)로서 기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조작부(13)는, 예컨대, 자동 거래 장치(1)의 앞면측의 조작 화면 상에 배치된 터치 패널 등에 의한, 이용자의 조작에 기초한 거래 내용의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주제어부(11)의 묘화(描畵) 명령에 따라 조작 화면 상에 거래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상이나 이용자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상 등을 표시시킨다.
음성 출력부(15)는, 스피커로부터, 이용자에게 거래 상황이나 조작을 안내하는 음성 안내나 경고음을 출력한다.
기장 처리부(16)는, 통장 접수부에 삽입된 통장에 대하여, 기장 처리를 행하고, 통장 접수부로부터 배출한다.
카드 처리부(17)는, 카드 접수구로부터 삽입된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함으로써, 또는 IC 칩과 통신함으로써 카드 정보를 판독한다. 이 카드 처리 부(17)에서는, 거래가 종료되었을 때에 삽입된 카드가 배출된다.
영수증 발행부(18)는, 거래 결과의 확인을 위한 거래 명세가 인쇄된 영수증을 발행하여, 영수증 발행구로부터 배출한다.
이들 각 처리부, 즉 기장 처리부(16), 카드 처리부(17), 영수증 발행부(18)는 유닛화되어 있으며, 각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MPU(Micro Processing Unit)가 구비되고, 이 MPU가 펌(펌웨어)에 기초해서 동작하여, 각부를 제어한다.
통신 처리부(19)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관리 센터에 배치된 금융 기관의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된다.
입출금 처리부(10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와, 입출금부(120)와, 불명권(不明券) 보류부(130)와, 반송부(140)와, 리젝트부(150)와, 일시 보류부(160)와, 수납부(170)와, 감별부(180)를 구비하며, 각각은 통신선(190)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입출금 처리부(100)는, 각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MPU가 구비되어 있다. 주제어부(11)의 지시에 기초하여 MPU가 동작하고, 팜에 기초하여 각부를 제어하며, 투입된 현금을 계수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되어 있는 현금을 계수하여 꺼내서 배출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통신선(20)을 통해 주제어부(11)와 통신하고, 주제어부(11)의 지시에 기초하여, 입출금 처리부(100)를 구성하는 각 유닛[입출금부(120), 불명권 보류부(130), 반송부(140), 리젝트부(150), 일시 보류부(160), 수납부(170), 감별부(180)]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100)를 구성하는 각 유닛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입출금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관도이다.
입출금부(120)는, 지폐의 투입과 투출(投出)을 행하는 유닛이다. 입출금부(120)는, 셔터를 열어 복수 매의 지폐의 투입을 받아들이고, 셔터를 닫고 나서 반출부(121)로부터 반송부(140)에 투입된 지폐를 1장씩 반출한다. 또한, 입출금부(120)는, 반출부(121)를 통해 반송부(140)로부터 지폐를 1장씩 반입하고, 셔터를 열어 복수 매의 지폐를 투출한다. 따라서, 입출금부(120)는, 일시적으로 지폐를 수납하는 일시 수납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불명권 보류부(130)는, 감별부(180)가 감별한 지폐가 불명권인 경우에 불명권을 보류한다. 불명권 보류부(130)는, 일시적으로 지폐를 수납하는 일시 수납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반송부(140)는, 각 유닛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한다. 반송부(140)는, 복수의 반송로(140a, 140b, 140c)를 가지며, 반송부(140)에서 후술하는 각 처리의 실행에 필요한 반송 지폐의 반송 방향의 전환을 위해, 복수의 반송 방향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리젝트부(150)는, 재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고이다. 재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가 대량으로 투입된 경우에도, 운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주(主)리젝트고(150a)와 종(從)리젝트고(150b)를 구비한다.
일시 보류부(160)는, 감별부(180)가 감별한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지폐 수납고이다. 일시 보류부(160)는, 반출부(수용부)(161)로부터 일시 보류부 안 으로의 지폐의 반출 및 반입을 행한다. 일시 보류부(160)가 보류하는 지폐는, 조작자가 입금 조작을 취소한 경우에는, 지폐를 입출금부(120)로 반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일시 보류부(160)에서는, 조작자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지폐의 고속 반입과 반출이 요구된다.
수납부(170)는, 복수의 수납고(170a, 170b, 170c, 170d, 170e, 170f)를 갖는다. 수납부(170)는, 입금된 지폐의 수납과, 출금할 지폐의 수납을 행한다. 각 수납고(170a, 170b, 170c, 170d, 170e)는, 수납고마다 수납하는 권종(券種)이 정해져 있다.
감별부(180)에서는, 투입된 지폐, 또는 투출할 지폐의 권종, 및 진위를 감별한다.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입출금 처리 장치](100)에서의 지폐의 반송의 개요에 대해서, 입금 처리, 입금 2차 처리, 및 출금 처리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행하는 입금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입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입금 처리는, 조작자에 의한 입금 처리의 선택에 의해 개시된다.
[단계 S1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금 처리의 개시에 의해, 입출금부(120)의 셔터를 열어 지폐 삽입을 기다린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출금부(120)로의 지폐 삽입을 검출하면 셔터를 닫는다.
[단계 S1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출금부(120)에 투입된 지폐의 사이즈(가로 방향 길이, 세로 방향 길이)를 체크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입된 지폐의 사이즈가 정상이면, 단계 S13으로 진행되고, 투입된 지폐의 사이즈가 정상이 아니면, 단계 S19로 진행된다.
[단계 S1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출금부(120)에 투입된 지폐를 반출부(121)까지 받아들인다.
[단계 S14]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출금부(120)로부터 감별부(180)에 이르는 반송로(140a)에 반출부(121)로부터 지폐를 1장씩 반출한다.
[단계 S15]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송로(140a)를 지나 감별부(180)에 이른 지폐의 감별 결과를 감별부(180)로부터 통지받는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로부터 정상 지폐라는 통지를 받은 경우, 반송로(140b)를 통해 일시 보류부(160)에 지폐를 반송한다.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로부터 이상 지폐라는 통지를 받은 경우, 반송로(140b)를 통해 불명권 보류부(130)에 지폐를 반송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입된 지폐가 모두 정상인 경우, 단계 S16으로 진행되고, 투입된 지폐에 이상 지폐가 포함된 경우, 단계 S20으로 진행된다.
[단계 S16]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입된 지폐를 모두 일시 보류부(160)에 수납한다.
[단계 S17]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일시 보류부(160)에 수납한 지폐의 합계 금액을 산출하여 확인한다.
[단계 S18]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수납한 지폐의 합계 금액을 주제어부(11)에 통지한다. 주제어부(11)는, 표시 제어부(14)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에 합계 금액을 표시시키고, 조작자(고객)의 확인 조작을 조작부(13)로부터 접수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OK이면 입금 2차 처리로 진행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NG이면 단계 S2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9]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출금부(120)의 셔터를 열어 이상 지폐를 반환하고,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0]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불명권 보류부(130)로부터 입출금부(120)로 지폐를 이동시킨 후, 입출금부(120)의 셔터를 열어 이상 지폐를 반환한다.
[단계 S2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이상 지폐의 반환에 의해 입금 처리가 중단된 것을 주제어부(11)에 통지한다. 주제어부(11)는, 표시 제어부(14)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에 입금 처리 계속에 대한 의사를 조작자에게 묻는 표시을 행하게 하고, 조작자(고객)의 확인 조작을 조작부(13)로부터 접수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YES이면 단계 S22로 진행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NO이면 단계 S23으로 진행된다.
[단계 S2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정상적인 지폐에 대한 입금 처리의 계속을 확인하고, 다시 단계 S12로 진행된다.
[단계 S2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일시 보류부(160)로부터 입출금부(120)로 지폐를 이동시킨 후, 입출금부(120)의 셔터를 열어 이상 지폐를 반환하 고,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조작자에게 있어서 입금 처리 시간은 대기 시간이 된다. 그리고, 일시 보류부(160)는, 이 대기 시간 동안 입금 지폐의 수납을 행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확실한 수납 처리가 요구된다.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행하는 입금 2차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입금 2차 처리의 흐름도이다. 입금 2차 처리는, 조작자에 의한 입금 금액의 확인에 의해 개시된다.
[단계 S3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일시 보류부(160)에 수납된 지폐를 반출부(161)까지 이동시킨다.
[단계 S3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일시 보류부(160)로부터 지폐를 1장씩 반출한다.
[단계 S3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출한 지폐가 리사이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리사이클이란, 입금된 지폐를 출금을 위한 지폐로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반출된 지폐는, 권종, 오손(汚損) 등 미리 정해진 판단 기준에 따라 리사이클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출한 지폐가 리사이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반송로(140b)를 통해 대응하는 금액 종류별 카세트[수납고(170a) 내지 수납고(170f) 중 어느 하나]에 반송하여 수납한다(단계 S34).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출한 지폐가 리사이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반송로(140b, 140c)를 통해 주리젝트고(150a), 또는 종리젝트고(150b)에 반송하여 수납한다(단계 S35).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금된 지폐를 수납고(170a) 내지 수납고(170f), 주리젝트고(150a), 또는 종리젝트고(150b) 중 어느 하나에 수납함으로써, 입금 2차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금 2차 처리가 종료된 것을 주제어부(11)에 통지한다. 주제어부(11)는, 입금 2차 처리 종료를 통지받아, 영수증 발행부(18)에 의한 영수증 발행, 카드 처리부(17)에 의한 카드 배출 등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행하는 출금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출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출금 처리는, 조작자에 의한 출금 지시에 기초하여 개시된다.
[단계 S4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송로(140c)를 통해 금액 종류별 카세트[수납고(170a) 내지 수납고(170f)]로부터 감별부(180)에 지폐를 반송한다.
[단계 S4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에서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여, 정상 지폐라고 감별된 경우에는, 지폐를 입출금부(120)에 수납한다(단계 S43).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에서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여, 정상 지폐라고 감별되지 않은 경우(불명 지폐인 경우)에는, 지폐를 리젝트고에 수납하고(단계 S46), 다른 지폐를 출금하기 위해 단계 S41로 진행된다.
[단계 S44]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출금부(120)의 셔터를 연다.
[단계 S45]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출금부(120)로부터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검출하면 셔터를 닫고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출금부(120)로부터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검출하지 않으면 셔터를 닫아 지폐를 거둬들이고(단계 S47),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 지폐 반송 장치는, 상술한 자동 거래 장치(1)에 이용되는 분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반송 장치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종래 장치의 제3 반송 구동 롤러(232)를 대신하여,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지엽류에 접하는 돌기부를 갖는 회전체, 예컨대 임펠러(21)를 구비한 평풀리(22)(일점 쇄선으로 도시함)를 이용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4의 종래 장치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평풀리(22)에는, 그것과 동축으로 임펠러(21)가 추가되어, 분류 게이트(201, 203)와 함께 분류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임펠러(21)에 의해, 분기점으로부터 흘러내려 오는 지폐에 반송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분류 기구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던 구동 롤러, 예컨대 도 14에 도시하는 핀치 롤러(202, 204, 205)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 등의 지엽류를 벨트나 롤러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반송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지폐마다 행선지를 변경하기 위한 반송 분기점과, 반송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분류 기구(분류 게이트 기구, 또는 게이트 수단)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통상의 규격보다 짧은 지폐라도 안정된 분기 반송이 가능해진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반송 장치의 평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8의 오른쪽으로부터 지폐(M)가 그 폭 방향에 병행하여 이동하는 반송로의 구성을 평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반송로에서는, 종동 샤프트(26)의 상류 부분과 하류 부분이 반송 분기점이 되고 있다.
이 종동 샤프트(26)는, 가이드부의 반송 분기점에 있어서, 그 좌우 프레임(F1, F2)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종동 샤프트(26)에는, 반송 벨트(23a∼23d)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풀리로서, 평풀리(22a∼22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평풀리(22a∼22d)에는, 이들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임펠러(21)를 구비하고 있다.
이점 쇄선에 의해 나타내는 4개의 반송 벨트(23a∼23d)는, 도 7에 도시하는 반송 벨트(231)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종동 샤프트(26)의 평풀리(22a∼22d)에는, 이들 반송 벨트(23a∼23d)가 도 16에 도시하는 종래 장치의 종동 샤프트(26)와 마찬가지로 걸쳐져 있다.
종동 샤프트(26)에는, 그것과 병행하여 전후에 회동축(20a, 20b)이 좌우 프레임(F1, F2)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들 회동축(20a, 20b)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분류 게이트(203)와 분류 게이트(201)가 각각 마찬가지로 배치되어 있다.
분류 게이트(203)는, 도시하지 않은 입출금부로부터 지폐(M)를 입금하는 경우, 또는 입출금부로부터 지폐(M)를 출금하는 경우에 지폐 반송 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분류 게이트(201)는, 수납고로부터 출금되어 오는 지폐와 구별하여, 입금된 지폐(M)를 감별부에 반송하도록 전환된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반송 장치의 가이드 풀리를 축 지지하는 종동 샤프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평풀리(22a∼22d)의 중앙부에는, 평벨트 폭보다 좁은 홈(중앙 홈부)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임펠러(21)가 평풀리(22a∼22d)의 중앙 홈부에 수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동 샤프트(26)는, 도 16의 종래 장치에서 반송 구동 롤러를 축 지지하는 샤프트(25)와는 달리, 4개의 구동 롤러(22a∼22d)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반송 분기점의 가이드 풀리의 전후에 게이트 기구를 배치한 경우에, 반송되는 지폐(M)에 평풀리(22a∼22d)와 일체로 설치한 임펠러(21)가 접촉한다. 이에 따라, 무반송력이 되는 분류 기구의 하류의 반송로 부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제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폐 반송 장치의 분기점으로부터 롤러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지엽류이면 반송되지 않고, 정지한다.
도 10은 반송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도 7의 지폐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분류 게이트(201)가 평풀리(22)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로 전환되어 있다. 또한, 분류 게이트(203)가 제4 가이드부(240)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로 전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고로부터의 출금 지폐가 제2 가이드부(220)에 가이드되어 임펠러(21)를 구비한 평풀리(22)까지 반송되고, 거기서 분류 게이트(201)에 의해 전환되어 제4 가이드부(240)에 반송된다. 이때, 평풀리(22)와 함께 임펠러(21)가 도시한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2 가이드부(220)의 반송 지폐에 대하여 제3 가이드부(230)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구동력이 부여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하는 임펠러의 측면 형상이며, 도 11의 (A)는 정지 시, 도 11의 (B)는 회전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4개의 다리부(21a)를 구비한 임펠러(21)는, 예컨대 우레탄 고무 등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정지 시의 임펠러(21)는, 4개의 다리부(21a)가 평풀리(22)의 중앙 홈부에 수납되도록 유지된다.
임펠러(21)는, 종동 샤프트(26) 주위에서 평풀리(22)와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임펠러(21)의 다리부(21a)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동 샤프트(26)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원심력에 의해 외주 방향으로 확대되어, 각각 반송 벨트(231)나 가이드부(240) 등으로 규제되는 가이드면(23)까지 돌출된다. 그래서, 각 다리부(21a)의 외면에 복수(도면에서는 3개 도시함)의 홈(21b)을 형성하여, 반송 지폐와의 사이에서 엣지 효과를 갖게 하고, 또한 그 선단에서 두께(21c)를 갖게 함으로써, 지폐의 반송력이 높아진다. 또한, 임펠러(21)의 다리부(21a)의 선단에서 두께(21c)를 갖게 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용이하게 외주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임펠러(21)는, 각 다리부(21a)가 평풀리(2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임펠러(21)의 각 다리부(21a)의 대부분은, 정지 시에는 평풀리(22)로 둘러싸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지폐가 찢어지는 등의 잼 트러블 시에도, 담당자가 실수해서 임펠러(21)의 다리부(21a)를 잡아뜯어 버리는 것과 같은 위험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평풀리(22a∼22d)의 둘레면을 따라 분기되는 지폐에 대하여, 임펠 러(21)가 평풀리(22a∼22d)의 내부로 접혀진 상태이면, 임펠러(21)가 분기점에서의 지폐와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분류 기구의 전후에서 무반송력 구간을 배제하고, 반송되는 지엽류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작게 억제하여 임펠러(21)의 평온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임펠러와는 다른 형상의 돌기부를 갖는 회전체이며, 도 12의 (A)는 돌기부가 함입되었을 때의 형상, 도 12의 (B)는 돌기부가 가이드면까지 확대된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회전체(24)에는, 그 외주면에 4개의 돌기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24a)와 종동 샤프트(26)의 끼워맞춤부(중심 부분)의 중간에는, 4개의 공동부(24h)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체(24)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임펠러(21)와는 달리,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회전체(24)의 돌기부(24a)는, 반송 벨트(23a)나 제4 가이드부(240) 등으로부터의 외력이 작용했을 때,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풀리(22)의 중앙 홈부 안으로 함입된다.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부(240) 등으로 규제되는 가이드면(23)까지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체(24)는 평풀리(22)가 역회전할 때에도, 지폐를 반송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4)의 외주면에 구비하는 돌기부(24a)가 4개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회전체(24)의 탄성력, 회전체의 회전 속도와의 관계에 의해 적당한 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가이드 풀리로서 사용되는 크라운 형상을 갖는 풀리를 도시 하는 도면이다.
평풀리(22)의 반송 벨트(23a)와의 접합면은, 임펠러(21)를 배치한 중앙 홈부가 가장 높게 구성되고, 좌우 측면을 향하여 각도 α(10° 전후)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평풀리(22)와 반송 벨트(23a)가, 그 회전하는 평풀리(22)의 외주부 중에서 주속(周速)이 가장 큰 중앙 부분에서 접촉한다. 따라서, 평풀리(22)의 중앙 홈부에 설치한 임펠러(21)는, 반송 벨트(23a)의 주행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은, 지엽류 일반을 취급하는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지만, 특히 ATM이나 지폐 리사이클 유닛에 탑재되는 것에서는, 다른 사이즈의 지폐 반송에 유효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 거래 장치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입출금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입출금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관도이다.
도 4는 입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입금 2차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출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반송 장치의 평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반송 장치의 가이드 풀리를 축 지지하는 종동 샤프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반송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도 7의 지폐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하는 임펠러의 측면 형상이며, 도 11의 (A)는 정지 시, 도 11의 (B)는 회전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임펠러와는 다른 형상의 돌기부를 갖는 회전체이며, 도 12의 (A)는 돌기부가 함입(陷入)되었을 때의 형상, 도 12의 (B)는 돌기부가 가이드면까지 확대된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가이드 풀리로서 사용되는 크라운 형상을 갖는 풀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의 지폐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반송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도 14의 지폐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지폐 반송 장치에서 반송 구동 롤러를 축 지지하는 샤프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 거래 장치 11: 주제어부
21: 임펠러 22, 22a∼22d: 평풀리
23a∼23d: 반송 벨트 24: 회전체
25: 구동 샤프트 26: 종동 샤프트
100: 입출금 처리부 201, 203: 분류 게이트
210: 제1 가이드부 220: 제2 가이드부
230: 제3 가이드부 240: 제4 가이드부

Claims (5)

  1. 게이트부에 반입된 지엽류를 2 방향으로 전환하여 반송하는 반송 방향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부에 대하여 반입 겸 반출로를 구성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게이트부를 향하는 반입로를 구성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게이트부로부터의 반출로를 구성하는 제3 가이드부와,
    상기 게이트부에 상기 제2 가이드부로부터 반입된 상기 지엽류를 제1 또는 제3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반출하기 위한 분류 게이트와,
    상기 제1, 제2 가이드부에 의해 반입되는 상기 지엽류의 하류측이며, 상기 분류 게이트의 상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지엽류에 접하는 돌기부를 갖는 회전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향 전환 장치.
  2. 반송로에 게이트 기구를 설치하여 지엽류를 2 방향으로 분기시켜 반송 처리하는 지엽류 반송 장치에 있어서,
    각각 2 방향의 상기 반송로를 따라 형성된 반송 벨트와,
    상기 게이트 기구를 설치한 분기점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 벨트의 한쪽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에 반송력을 부여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반송 벨트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상기 풀리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지엽류에 접하는 돌기부를 갖는 회전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상기 회전체를 좌우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한 쌍 설치되고, 이들의 둘레면이 동일한 상기 반송 벨트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표면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반송 벨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풀리의 둘레면 안으로 함입(陷入)된 상태로 정회전 및 역회전 방향의 어느 쪽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며, 그 회전 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풀리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임펠러(impe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 장치.
KR1020090100916A 2009-03-31 2009-10-22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 KR101041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4227A JP5179424B2 (ja) 2009-03-31 2009-03-31 搬送方向切替え装置および紙葉類搬送装置
JPJP-P-2009-084227 200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47A KR20100109347A (ko) 2010-10-08
KR101041205B1 true KR101041205B1 (ko) 2011-06-13

Family

ID=4308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916A KR101041205B1 (ko) 2009-03-31 2009-10-22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79424B2 (ko)
KR (1) KR101041205B1 (ko)
CN (1) CN10205034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1441A (zh) * 2015-07-22 2016-07-0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钞票输送装置和钞票自动交易设备
CN106297071A (zh) * 2016-07-27 2017-01-0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切换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2283B (zh) * 2012-02-28 2014-11-1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张类介质处理装置及其纸质类介质导向装置
CN102831729A (zh) * 2012-08-21 2012-12-19 珠海市新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纸币输送通道及可配备多钱箱的自助终端
CN103559762B (zh) * 2013-11-05 2016-01-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式纸币暂存机构、纸币处理装置及存取款机
CN106780975A (zh) * 2016-12-15 2017-05-31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传输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9612A (ja) * 1994-12-20 1996-07-02 Hitachi Ltd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取扱自動機
KR19990075003A (ko) * 1998-03-17 1999-10-05 구자홍 현금 자동 지급기의 지폐 이송 장치
KR20080107169A (ko) * 2007-06-05 2008-12-10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2포켓 지폐 계수기용 선별포켓의 지폐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5460A (ja) * 1986-03-17 1987-09-22 Hitachi Ltd 紙幣取扱装置
JPH06191706A (ja) * 1992-12-24 1994-07-12 Mita Ind Co Ltd シート排出装置
JP2716021B2 (ja) * 1995-11-13 1998-0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処理装置
JP3726736B2 (ja) * 2001-11-06 2005-12-1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の搬送方向切り替え機構
JP3752198B2 (ja) * 2002-05-27 2006-03-0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170650A (ja) * 2003-12-15 2005-06-30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2006213528A (ja) * 2006-05-17 2006-08-17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搬送方向切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9612A (ja) * 1994-12-20 1996-07-02 Hitachi Ltd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取扱自動機
KR19990075003A (ko) * 1998-03-17 1999-10-05 구자홍 현금 자동 지급기의 지폐 이송 장치
KR20080107169A (ko) * 2007-06-05 2008-12-10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2포켓 지폐 계수기용 선별포켓의 지폐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1441A (zh) * 2015-07-22 2016-07-0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钞票输送装置和钞票自动交易设备
CN106297071A (zh) * 2016-07-27 2017-01-0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切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50346B (zh) 2014-07-02
CN102050346A (zh) 2011-05-11
JP5179424B2 (ja) 2013-04-10
JP2010235245A (ja) 2010-10-21
KR20100109347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2512B2 (ja) 紙幣入出金機構
JP4877124B2 (ja) 紙葉類処理装置
US9508231B2 (en) Banknote pay-in/pay-out device and banknote transaction device
JP5292761B2 (ja) 紙幣分離集積機構
US8246046B2 (en) Sheet handling device
KR101041205B1 (ko) 반송 방향 전환 장치 및 지엽류 반송 장치
JP2007062918A (ja) 紙葉類堆積装置
WO2013140686A1 (ja) 媒体収納繰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RU27463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носителей 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EP2863369B1 (en) Banknote handling device
JP2008084164A (ja) 紙幣取扱装置
JP5419541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制御方法
JP2014047073A (ja) 厚み検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H0844935A (ja) 自動取引装置
JP5898041B2 (ja) 搬送ユニット付き紙葉類取扱装置
KR101226348B1 (ko) 매체 보관함,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20017013A (ja) 釣銭機
US20220335768A1 (en) Banknote deposit-withdrawal system and architecture
KR20130138510A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130138508A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JP2016062235A (ja)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5565235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その省電力方法
JPH02259896A (ja) 自動現金取引装置
JP6495159B2 (ja) 媒体識別装置
KR101832802B1 (ko) 금융기기, 금융기기의 외부확장모듈, 금융기기의 매체보충방법, 및 금융기기의 매체회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