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042Y1 -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 Google Patents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9042Y1 KR200379042Y1 KR20-2004-0035511U KR20040035511U KR200379042Y1 KR 200379042 Y1 KR200379042 Y1 KR 200379042Y1 KR 20040035511 U KR20040035511 U KR 20040035511U KR 200379042 Y1 KR200379042 Y1 KR 20037904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split
- split tee
- web
- weak axi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H형강 기둥-보의 약축 접합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H형강 기둥과, 스플릿 티를 웨브의 높이방향으로 두 개로 나누고 각 스플릿 티의 웨브에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플랜지는 상기 H형강 기둥의 웨브에, 플레이트는 상기 H형강 기둥의 플랜지에 각각 고력볼트로 접합되며, H형강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H형강 기둥에 고력볼트로 접합되는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와, 상기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의 웨브에 고력볼트로 접합되어 상기 H형강 기둥에 접합되는 H형강 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H형강 기둥-보의 약축 접합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둥의 약축에 접합된 보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의해 기둥의 웨브에 발생하는 국부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기둥의 웨브에 설치되는 수평 스티프너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용접 접합을 완전히 배제하면서도 우수한 내력 및 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경제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H형강 기둥-보의 약축 접합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강구조는 공장에서 가공·제작된 부재를 공장 및 공사현장에서 접합하는 가구식구조 방식으로, 공사기간 단축, 공사비 절감 및 시공의 간편성 등 여러가지 경제적 이득으로 고층 건축물 뿐만 아니라 중·저층 건축물에도 강구조물을 사용하려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중·저층 건축물에서도 강구조 건축물의 보급을 위해서는 먼저 기둥-보 접합부 상세 개발이 대단히 중요하다.
기둥-보 접합은 보의 접합 위치에 따라 기둥의 강축방향 즉, 기둥의 플랜지에 보를 접합하는 강축접합과 기둥의 약축방향 즉, 기둥의 웨브에 보를 접합하는 약축접합으로 나눌 수 있다. 강축 접합부에 대해서는 기존에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 있으나, 약축 접합부에 대한 연구한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도 3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둥-보 약축접합방법인 브라켓형식 용접접합을 이용한 철골 기둥-보 약축 접합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형식 용접접합 방법은 H형강 보(300)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H형강(70)을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12)(12')와 웨브(14)에 용접하여 접합 브라켓을 만들고 이 브라켓에 H형강 보(30)을 이음 플레이트(80)를 이용하여 고력볼트 접합한다. 또한, H형강 기둥(10)의 패널존에 있어서의 국부 변형 및 좌굴을 억제하기 위하여 H형강 기둥(10)의 양 플랜지(12)(12') 사이에는 수평 스티프너(90)를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브라켓형식 용접접합 방법은 용접량이 많아 접합부의 취성적인 거동이 우려되며 과대 설계된 경향이 있었고, 수평 스티프너가 현장에서의 약축 접합 시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기둥에 접합 브라켓이 용접된 채로 운반됨으로써 운송을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둥-보 약축 접합방법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로 수평 스티프너를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을 완전히 배제하면서도 우수한 내력 및 연성을 보유할 수 있는 경제성과 시공성이 향상된 H형강 기둥-보의 약축 접합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H형강 기둥-보 약축 접합부구조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H형강 기둥-보 약축 접합부구조는, H형강 기둥(10),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 및 H형강 보(30)로 구성된다.
분할된 스플릿 티(20)(20')는 수평 스티프너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기존의 스플릿 티를 웨브의 높이방향 즉, 보 길이 방향으로 두 개로 나누고 각 스플릿 티(20)(20')의 웨브(24)(24')에 플레이트(26)(26')를 용접한 것으로서,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12)(12')와 웨브(14)에 고력볼트 접합된다.
즉, 분할된 스플릿 티(20)(20')의 플랜지(22)(22')는 기둥(10)의 웨브(14)에 고력볼트로 접합되고, 플레이트(26)(26')는 기둥(10)의 양 플랜지(12)(12')에 고력볼트로 접합되어 패널존을 보강하는 수평 스티프너의 역할을 한다. 또한, 용접작업을 배제함으로써 부재의 취성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H형강 보(30)는 그 상, 하부 플랜지(32)(32')가 각각 분할된 스플릿 티(20)(20')의 웨브(24)(24')에 고력볼트 접합되어 H형강 기둥(10)에 수평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H형강 보(30)를 H형강 기둥에 접합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가 필요하게 된다. 즉, H형강 보(30)의 상부 플랜지(32)에 접합되는 분할된 스플릿 티(20)(20')와 H형강 보(30)의 하부 플랜지(32')에 접합되는 분할된 스플릿 티(20)(20')가 필요하다.
기둥의 약축에 대한 보의 접합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스플릿 티를 웨브의 높이방향으로 두 개로 나누고 각 스플릿 티의 웨브(24)(24') 일측면에 플레이트(26)(26')를 용접하여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를 제작하고, H형강 기둥(10)의 소정 위치에, 상기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 중 어느 하나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의 플랜지(22)(22')를 상기 H형강 기둥(10)의 웨브(14)에 고력볼트로 접합하고, 하부로 소정 거리를 이격하여 다른 하나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의 플랜지(22)(22')를 상기 H형강 기둥(10)의 웨브(14)에 고력볼트로 접합한다. 이때, 이격 거리는 H형강 보(30)의 춤에 의해 결정된다.
H형강 기둥(1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가 접합되면,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 중 하부에 위치한 분할된 스플릿 티(20)(20')의 웨브(24)(24')에 H형강 보(30)의 하부 플랜지(32')를 고력볼트로 접합하고, 상부에 위치한 분할된 스플릿 티(20)(20')의 웨브(24)(24')에 H형강 보(30)의 상부 플랜지(32)를 고력볼트로 접합으로써 H형강 보(30)를 H형강 기둥(10)에 접합시킨다.
H형강 기둥(10)에 H형강 보(30)를 접합시킨 후,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의 플레이트(26)(26')를 각각 H형강 기둥(10)의 양 플랜지(12)(12')에 고력볼트로 접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분할된 스플릿 티는 기둥의 웨브와 플랜지에 고력볼트로 접합되어 2방향성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 스티프너의 역할을 함으로써 별도의 수평 스티프너의 보강으로 인한 약축에 대한 기둥-보 접합이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둘째, 기존 브라켓형식의 용접접합방법과 상이하게 용접작업을 배제하고 고력볼트 접합을 실시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 현장시공성, 품질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어떠한 수정이나 변형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H형강 기둥-보 약축 접합부구조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H형강 기둥-보 약축 접합부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브라켓형식 용접접합방법을 이용한 철골 기둥-보 약축 접합부구조의 조립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H형강 기둥
20, 20' : 분할된 스플릿 티
30 : H형강 보
Claims (1)
- H형강 기둥의 웨브에 H형강 보가 접합되는 H형강 기둥-보의 약축 접합부구조에 있어서,H형강 기둥(10);스플릿 티를 웨브의 높이방향으로 두 개로 나누고 각 스플릿 티의 웨브(24)(24')에 플레이트(26)(26')를 용접하여 플랜지(22)(22')는 상기 H형강 기둥(10)의 웨브(14)에, 플레이트(26)(26')는 상기 H형강 기둥(10)의 플랜지(12)(12')에 각각 고력볼트로 접합되며, H형강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H형강 기둥(10)에 고력볼트로 접합되는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 및상기 한 쌍의 분할된 스플릿 티(20)(20')의 웨브(24)(24')에 고력볼트로 접합되어 상기 H형강 기둥(10)에 접합되는 H형강 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H형강 기둥-보의 약축 접합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5511U KR200379042Y1 (ko) | 2004-12-14 | 2004-12-14 |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5511U KR200379042Y1 (ko) | 2004-12-14 | 2004-12-14 |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5477A Division KR100618113B1 (ko) | 2004-12-14 | 2004-12-14 |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및 접합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9042Y1 true KR200379042Y1 (ko) | 2005-03-18 |
Family
ID=4368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5511U KR200379042Y1 (ko) | 2004-12-14 | 2004-12-14 |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9042Y1 (ko) |
-
2004
- 2004-12-14 KR KR20-2004-0035511U patent/KR20037904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8113B1 (ko) |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및 접합방법 | |
KR20130139029A (ko) | H 형강을 이용한 건축 모듈러 기둥 접합구조 | |
KR100693098B1 (ko) | 에이치 형강 기둥-보 일면전단형 접합구조체 | |
JP2002070326A (ja) | 鉄骨構造材の補強構造 | |
JP4710067B2 (ja) | 柱梁接合構造 | |
KR100660522B1 (ko) | 내부보강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보접합부의 보강구조 | |
JP6866021B2 (ja) | 形鋼の接合方法 | |
KR200378517Y1 (ko) | 에이치형 스티프너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 |
KR200379042Y1 (ko) | 분할된 스플릿 티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 |
JP2007113302A (ja) | 合成梁構造 | |
JP2009030321A (ja) |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 |
JP2023109553A (ja) | 柱梁接合構造 | |
KR100618112B1 (ko) | 에이치형 스티프너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및 접합방법 | |
JP2022164551A (ja) | 建築部材 | |
JP2005264516A (ja) | 鋼製柱と鋼製梁のボルト接合構造。 | |
JP7058158B2 (ja) | 屋外階段構造、及び屋外階段構造の設置方法 | |
KR102508675B1 (ko) | 철골 구조물의 기둥-보 접합부 보강구조 | |
KR101676706B1 (ko) | 하이브리드 철골 프레임 | |
JPH09189075A (ja) | 角形鋼管柱とh形断面梁の接合構造 | |
KR101371198B1 (ko) | 조립식 사각강관 구조재 | |
JPH09125515A (ja) | 柱・梁接合部構造 | |
KR102298130B1 (ko) | 철골보 단부 보강 시스템 | |
CN219157971U (zh) | 钢结构节点域新型一体化加强节点结构 | |
KR100627233B1 (ko) |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 |
JPH11311026A (ja) | 複数階層を1節とする鉄骨建方での柱と鉄骨梁との結合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506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