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334Y1 -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334Y1
KR200378334Y1 KR20-2004-0036250U KR20040036250U KR200378334Y1 KR 200378334 Y1 KR200378334 Y1 KR 200378334Y1 KR 20040036250 U KR20040036250 U KR 20040036250U KR 200378334 Y1 KR200378334 Y1 KR 200378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part
grating
main body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필
Original Assignee
덕지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지기업 (주) filed Critical 덕지기업 (주)
Priority to KR20-2004-0036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5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에 형성되는 수 개의 빗물 유입공과, 상기 상면의 양측 끝에 형성되는 반원형 절개부와, 상기 상면의 전후 양측선에서 하향으로 절곡되는 전, 후면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끝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제1접속부로부터 연장되되 하향 절곡되는 벽면과, 상기 제1접속부의 저면에 설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벽면의 측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중앙에 상기 제1접속부의 장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부와, 상기 벽면의 양단에서 절곡형성되어 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절곡편으로 구성되는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가 형성되는 본체의 타측 끝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면서 제1접속부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2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제2접속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절단부와, 상기 제2접속부로부터 연장되되 하향으로 절곡되는 벽면과, 상기 제2접속부와 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제2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형수로용 그레이팅{Grating for circular type waterway}
본 고안은 원형수로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원형수로의 개구부에 수납 설치되는 신축 및 길이조정과 곡선설치가 가능한 원형 수로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 육상경기장, 도로 가장자리에는 빗물이 흘러가도록 배수로가 마련되는데 이 배수로는 유로를 갖는 콘크리트 블록 형태의 원형수로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에는 그레이팅이 설치된다.
즉, 이러한 종래의 원형수로(1)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2)의 폭보다도 상면 개구부(3)의 폭이 좁게 형성되며, 원형수로(1)의 상부에 노면상으로 이어진 개구부(3)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 단턱부(4) 내에 "”와 같은 형태의 그레이팅(10)이 수납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그레이팅(10)이 개구부(3)에 삽입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노면상의 구조물의 노출면이 적은 것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원형수로를 매설 설치함에 있어서, 원형수로와 원형수로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기 때문에 원형수로 구축(構築) 길이를 이미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원형수로 구축의 길이와 정확히 일치되도록 사전에 그레이팅의 길이와 수를 결정해두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실제로 최후 그레이팅의 시공 때에 그때까지의 원형수로 매설의 시공상의 누적오차를 감안하여 그레이팅의 일부를 절단하고 원형수로의 길이와 일치시키는 길이 조정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상 그레이팅은 견고한 직선상의 철자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원형수로가 커브 형태로 매설될 경우에는 각 원형수로마다 그레이팅의 끝을 비스듬히 절단해서 순차 연결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견고한 금속제의 그레이팅을 절단하는 작업은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고, 게다가 커브에 최적의 각도로 절단하는 데에는 숙련을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형수로의 매설 누적오차에 관계없이 신축기능을 갖추고 길이 조정 및 곡선설치가 가능한 원형수로용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형수로의 매설 때의 누적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그레이팅의 일부를 절단할 필요가 없고, 커브를 그리며 설치되는 원형수로에 맞추어 그레이팅 본체의 끝을 비스듬히 절단할 필요가 없이 바로 설치가 가능한 원형수로용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면에 형성되는 수 개의 빗물 유입공과, 상기 상면의 양측 끝에 형성되는 반원형 절개부와, 상기 상면의 전후 양측선에서 하향으로 절곡되는 전, 후면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끝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제1접속부로부터 연장되되 하향 절곡되는 벽면과, 상기 제1접속부의 저면에 설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벽면의 측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중앙에 상기 제1접속부의 장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부와, 상기 벽면의 양단에서 절곡형성되어 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절곡편으로 구성되는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가 형성되는 본체의 타측 끝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면서 제1접속부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2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제2접속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절단부와, 상기 제2접속부로부터 연장되되 하향으로 절곡되는 벽면과, 상기 제2접속부와 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제2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1접속부의 상부 중앙에는 제1접속부의 상면보다 들어간 오목부를 형성하여 너트 머리부가 제1접속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접속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2접속부의 윗면과 접촉되는 저면보다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좌, 우방향으로는 너트의 이동은 가능하나 전, 후로는 너트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수납부의 상면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접속부의 절단부에 걸쳐지도록 결합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는 수납부 상면 타측으로 경사지게 하향 형성되어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는 굽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 홀더가 제2접속부의 하부에 원터치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그레이팅(10)은, 스테인레스 판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면과 하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전, 후면으로 구성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2접속부(30,40)와,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틀(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스테인레스 판제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가늘고 긴 빗물 유입공(21)이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을 전후로 하향절곡 형성된 전, 후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양측 끝부분에는 반원 형상의 절개부(22)를 형성함으로써, 제1,2접속부(31,41)를 겹쳐지게 한 다음 볼트(60)를 제1,2접속부(31,41)의 장공(36,44)에 끼움 결합하여 너트(61)와의 체결시 드라이버가 볼트(60) 머리의 + 또는 - 홈에 용이하게 닿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20)는 측면에서 볼 때 "”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접속부재(30)는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접속부(41)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체(2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접속부(31)와, 상기 제1접속부(31)의 일측으로 연설되는 벽면(32)과, 상기 벽면(32)의 양단으로 절곡형성되는 절곡편(33)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접속부재(30)의 폭은 본체(20)의 측면 내부에 들어갈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속부(31)는, 본체(2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34)가 형성되며, 이와 반대되는 제1접속부(31)의 저면에는 제2접속부(41)의 상면과 접촉시 미끄러짐을 좋게 하여 제1접속부(31)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볼록부(3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접속부(31)는 본체(20)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본체(20)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2접속부(41)의 길이와 거의 같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접속부(31)의 바로 하부에는 중앙에 제1접속부(31)의 장공(36)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부(37)가 형성되는데, 이 체결부(37)는 상기 제1접속부(31)가 제2접속부(41)상면에 겹쳐진 상태로 시공시 볼트(60)가 제1접속부(31)의 장공(36)과 제2접속부(41)의 장공(44) 및 체결부(37)의 체결공을 통과하여 너트(61)와의 체결시 너트(6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오목부(34) 내에는 볼트(6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장공(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장공(36)은 제2접속부(41)와 결합시 제2접속부(41)에 형성된 장공(44)과 대응된다.
상기 벽면(32)은, 제1접속부(31)의 일측면으로 연설되는 것으로서 "ㄱ"자 와 같은 형태로 하향으로 절곡형성되며, 벽면(32)의 세로 폭은 본체(20)의 내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편(33)은, 상기 벽면(32)의 양단으로부터 90°각도로 절곡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곡편(33)은 본체(20)의 일측 내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2접속부재(40)는, 상기 제1접속부재(30)가 설치되는 본체(20)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2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1)의 일측으로 연설되는 벽면(42)과, 상기 벽면(42)의 양단으로 절곡형성되는 절곡편(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접속부재(40)의 폭은 본체(20)의 측면 내부에 들어갈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접속부(41)는, 본체(20)에서 돌출길이가 제1접속부(31)와 거의 같지만 제1접속부(31)와 겹치는 것이 가능하도록 위치는 다르게 구성된다.
즉, 정면서 볼 때 제2접속부(41)가 제1접속부(31)보다 낮게 형성되어, 하나의 그레이팅(10)의 제2접속부(41)위에 타 그레이팅(10)의 제1접속부(31)가 올려져 볼트(60)에 의해 연결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접속부(41)의 중앙에는 제1접속부(31)와 겹쳐지게 시공시 제1접속부(31)의 장공(36)과 대응하는 장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접속부(41)의 선단에는 너트 홀더(70)의 걸림부(73)가 걸림되는 절단부(45)가 형성된다.
상기 벽면(42)은, 제2접속부(41)의 일측면으로 연설되는 것으로서 "”자 와 같은 형태로 하향으로 절곡형성되며, 벽면(42)의 세로 폭은 본체(20)의 내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편(43)은, 벽면(42)의 양단으로부터 90°각도로 절곡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곡편(43)은 본체(20)의 타측 내부 즉, 본체(20)의 전, 후면 내측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틀(50)은, 본체(20)의 하부 중앙이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본체(20)의 지지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20)의 강도를 고려해 본체(20)의 저면 내부의 적당한 위치에 적정한 개수로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4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부재(30)의 체결부(37)를 생략하고, 그 기능을 제2접속부재(40)의 하부에 결합되는 너트 홀더(70)에 의해 수행토록 한 것으로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너트 홀더(70)는, 수납되는 너트(61)의 좌우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71)와, 상기 수납부(71)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홈(72)과, 상기 수납부(7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73)와, 상기 수납부(71)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탄성부(74)와, 상기 탄성부(74)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접히는 굽힘부(75)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71)는 너트(61)가 수납될 경우 너트(61)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좌우로 긴 형태로 형성되며 전, 후는 폭을 좁게 하여 너트(61)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장홈(72)은, 너트 홀더(70)가 제2접속부(41)의 하부에 설치시 제2접속부(41)의 장공(44)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73)는, 상기 수납부(71) 상부의 일측 끝에 형성되어 결합시 제2접속부(41)의 선단에 형성되는 절단부(45)에 당겨서 걸쳐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74)는, 상기 걸림부(73)가 형성되는 수납부(71) 상부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상기 제2접속부(41)와 벽면(42)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결합홈(46)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굽힘부(75)는, 상기 탄성부(74)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그레이팅(10)은 원형수로(1)의 개구부(3)에 수납 설치되는 신축 및 길이조정과 곡선설치가 가능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그레이팅(10)은 원형수로(1)에 시공시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원형수로(1)의 상부 단턱부(4) 내에 본 고안의 그레이팅(10)이 수납 설치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그레이팅(10)은 연결 방법이 종래와 다른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레이팅(10)의 연결되는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접속부재(30,40)가 겹쳐진 상태로 볼트(60)가 제1접속부(31)의 장공(36)과 제2접속부(41)의 장공(43) 및 체결부(37)의 체결공을 통과하여 너트(6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각각의 그레이팅(10)은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볼트(60)를 끼워 넣는 작업을 할 때는 드라이버를 사용하게 되는데 본체(20) 양측에는 반원형 절개부(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가 용이하게 볼트(60)의 머리 부분에 닿게 되어 볼트(60)를 끼워 넣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기 볼트(60)에 의해 제1,2접속부(31,41)를 연결 후에는 그레이팅(10)을 당기거나 밀어서 그레이팅(10)의 연결부위를 늘이거나 좁히는 길이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그레이팅(10)이 밀착된 상태, 즉 양 그레이팅(10)이 가장 축소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그레이팅(10)을 연결부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볼트(60)를 중심으로 장공(36,44)이 이동되면서 간격(D)이 형성되므로 양 그레이팅(10)의 길이를 늘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레이팅(10) 길이가 양 그레이팅(10)의 간격(D) 만큼 늘린 상태에서 원형수로(1)의 길이에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레이팅(10)의 제1,2접속부(31,41)가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간극(D)가 형성되더라도 제1,2접속부(30,40)에 의해서 가리게 되어 외관상으로 별다른 표시가 나지 않는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D)이 형성되므로 양 그레이팅(10)을 서로의 모서리가 접할 때까지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형수로(1)가 커브를 그리며 설치되더라고 그레이팅(10)을 원형수로(1)에 맞추어 커브를 그리며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도 14 내지 1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제1연결부재(30)의 체결부(37)를 생략하고 그 기능을 제2접속부(41)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너트 홀더(70)에 맞기는 것으로서, 너트 홀더(70)는 다음과 같이 제2접속부재(40)에 장착된다.
즉, 너트(61)가 수납부(71)에 수납된 상태로 제2접속부(41)의 저면 선단에서 너트 홀더(70)를 밀어 걸림부(73)가 제2접속부(41)의 절단부(45)에 걸림되도록 고정하고, 탄성부(74)의 굽힘부(75)는 제2접속부(41)와 벽면(42)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46)에 끼움 되게 하면 너트 홀더(70)의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한 손으로는 너트(61)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볼트(60)를 조이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 없이, 바로 볼트(60)를 제1,2접속부(31,41)의 장공(36,44)을 통해서 아래쪽의 체결부(37) 내로 꽂은 후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볼트(60) 머리를 회전시키면 볼트(60)를 수납부(71) 내의 너트(61)와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2접속부(31,41)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만 제1접속부(31) 저면에는 볼록부(35)가 형성되어 있어, 제1,2접속부(31,41) 양자는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어 길이 조정 및 구부림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레이팅의 전장을 자유롭게 신축하거나 구부림 조정이 용이하므로 종래의 그레이팅과 같이 원형수로의 매설시 누적오차 따라 그레이팅의 일부를 절단할 필요 없이 매설한 원형수로의 실제 길이에 따라서 그레이팅의 전장을 자유로이 조정해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형수로가 커브 형태로 설치되더라도 그레이팅을 구부림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레이팅의 끝을 비스듬히 절단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3은 종래의 그레이팅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측면도.
도 9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그레이팅이 짧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그레이팅이 짧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그레이팅이 길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그레이팅이 회전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홀더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그레이팅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원형수로 2:유로 3: 개구부
4:단턱부 10:그레이팅 20:본체
21:유입공 22:절개부 30:제1접속부재
31:제1접속부 32:벽면 33:절곡편
34:오목부 35:볼록부 36:장공
37:체결부 40:제2접속부재 41:제2접속부
42:벽면 43:절곡편 44:장공
45:절단부 46:결합홈 50:보조틀
60:볼트 61:너트 70:너트 홀더
71:수납부 72:장홈 73:걸림부
74:탄성부 75:굽힘부 D:간격

Claims (3)

  1. 상면에 형성되는 수 개의 빗물 유입공과, 상기 상면의 양측 끝에 형성되는 반원형 절개부와, 상기 상면의 전후 양측선에서 하향으로 절곡되는 전, 후면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끝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제1접속부로부터 연장되되 하향 절곡되는 벽면과, 상기 제1접속부의 저면에 설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벽면의 측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중앙에 상기 제1접속부의 장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부와, 상기 벽면의 양단에서 절곡형성되어 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절곡편으로 구성되는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가 형성되는 본체의 타측 끝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면서 제1접속부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2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제2접속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절단부와, 상기 제2접속부로부터 연장되되 하향으로 절곡되는 벽면과, 상기 제2접속부와 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제2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의 상부 중앙에는 제1접속부의 상면보다 들어간 오목부를 형성하여 너트 머리부가 제1접속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접속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2접속부의 윗면과 접촉되는 저면보다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3. 제 1항에 있어서,
    좌, 우방향으로는 너트의 이동은 가능하나 전, 후로는 너트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수납부의 상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접속부의 절단부에 걸쳐지도록 결합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는 수납부 상면 타측으로 경사지게 하향 형성되어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는 굽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 홀더가 제2접속부의 하부에 원터치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KR20-2004-0036250U 2004-12-21 2004-12-21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KR200378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50U KR200378334Y1 (ko) 2004-12-21 2004-12-21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50U KR200378334Y1 (ko) 2004-12-21 2004-12-21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334Y1 true KR200378334Y1 (ko) 2005-03-14

Family

ID=4368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250U KR200378334Y1 (ko) 2004-12-21 2004-12-21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3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90B1 (ko) * 2006-07-27 2007-05-18 덕지기업 (주) 원형수로
KR200451218Y1 (ko) 2007-06-15 2010-12-03 덕지기업 (주) 수로용 덮개
KR101777318B1 (ko) 2017-01-06 2017-09-11 조광현 매립형 수로관용 커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90B1 (ko) * 2006-07-27 2007-05-18 덕지기업 (주) 원형수로
KR200451218Y1 (ko) 2007-06-15 2010-12-03 덕지기업 (주) 수로용 덮개
KR101777318B1 (ko) 2017-01-06 2017-09-11 조광현 매립형 수로관용 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2047B2 (en) Electrical box mounting bracket
US20200080339A1 (en) T-Brace System
KR200378334Y1 (ko)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KR100888209B1 (ko)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AU2009201283B1 (en) A Clamp for a Panel
KR20130026895A (ko) 각도조절형 펜스
KR101286775B1 (ko) 천정패널 고정 및 캐링찬넬 유동방지를 위한 클립바 조립구조
JP5048418B2 (ja) ボックス配設装置
JP2014156764A (ja) 屋根上搭載機器の固定金具
KR200476265Y1 (ko) 농업용 해가림 시설의 골조 연결구
JP5183106B2 (ja)
JP3019988U (ja) 野縁用取付クリップ
JPH08512372A (ja) ほぼu字形の横断面を持つ支持体を備えた型枠パネル
JP5226644B2 (ja) スライド式吊具
JP3121269U (ja) 竪樋の取り付け構造
JP3051593U (ja) ケーブル受金具
JP3093037U (ja) パラペット用手摺の手摺取付金具
JP5616840B2 (ja) 軒樋取り付け具
JP2014122533A (ja) グレーチング用固定具
CN216713101U (zh) 一种综合管廊管线安装装配式支架
DK2079887T3 (en) Pipe holder with an eccentric
JPS5846627B2 (ja) シチユウノコテイソウチ
JP2003090100A (ja) 天井吊ボルト連結金具
KR200361169Y1 (ko) 도로 안내 표지판의 찬넬조립구조
KR200241810Y1 (ko) 파이프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