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688Y1 - 안전벨트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688Y1
KR200376688Y1 KR20-2004-0032516U KR20040032516U KR200376688Y1 KR 200376688 Y1 KR200376688 Y1 KR 200376688Y1 KR 20040032516 U KR20040032516 U KR 20040032516U KR 200376688 Y1 KR200376688 Y1 KR 200376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witch
starting device
worn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만 filed Critical 이종만
Priority to KR20-2004-0032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688Y1/ko
Priority to PCT/KR2005/003514 priority patent/WO2006054834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83Interlock systems
    • B60R2022/4891Interlock systems preventing use of the vehicle when the seatbelt is not fast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벨트가 착용되었을 때만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벨트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스타트 모터와 자동차 배터리를 전자개폐기에 연결하고 그 작동을 안전벨트의 장착시에 구동되는 전자개폐기에 의해 하도록 함으로써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만 시동이 걸리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시동장치{A STARTING DEVICE WORKING WITH SAFETY BELT}
현재 교통법규에는 자동차 시트벨트(일명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안전벨트는 교통사고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인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교통사고에서 운전자나 탑승자가 생명을 잃거나 부상을 당하는 가장 큰 원인이 교통사고시에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때문에 운전자나 탑승자의 상체가 핸들등의 실내 구조물과 충돌하여 생기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으며 안전벨트의 착용에 의하여 교통사고시 사망자나 부상자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안전벨트 착용을 권고하기 위해서 자동차에서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를 감지하여 경고등을 이용하여 미착용상태라는 것을 표시할 뿐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다고 하여도 운전에 별 다른 영향은 없으며 다만, 경찰의 단속 등에 걸릴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단속이 항상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많은 운전자들이 안전벨트 경고등을 무시하고 엔진의 시동을 걸고 난 후에 안전벨트를 착용을 하거나, 차량을 운행하는 도중에 착용하거나, 혹은 답답하다는 이유로 아예 착용을 하지 않은 채로 운전을 하다 검문 직전에만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 교통사고시 운전자의 부상예방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안전벨트 시동장치는 점화플러그에 연결을 하는 방식으로, 가솔린을 사용하는 차량에만 적용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을 때에만 자동차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벨트의 착용을 생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전벨트의 착용은 시동을 걸기 전에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시동을 건후에 특히 운행중에 안전벨트를 착용하려고 하면 오히려 안전사고가 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동을 걸때에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지를 검사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솔린 및 디젤 차량에도 적용가능한 안전벨트 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전벨트 착용시에만 시동이 걸리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장치는, 안전벨트 시동장치로서,
제1스위치로서, 그 일단은 자동차의 스타트 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동차의 스타트 모터와 자동차 엔진에 각각 연결되어 온(ON)되었을 때는 스타트 스위치를 자동차의 스타트 모터 및 자동차엔진에 연결시키며 오프(OFF)되었을 때는 상기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1 스위치와;
제2스위치(2)로서, 안전벨트가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스위치를 온(ON)시키고 안전벨트가 착용되지 않았을 때는 상기 제1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는 전자 개폐기일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릴레이의 일단은 상기 제1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릴레이에 전원을 제공하는 자동차배터리로 연결되는데, 상기 자동차배터리로 연결되는 연결선중 하나는 안전벨트가 삽입되면 연결되고 안전벨트가 해제되면 단락되는 안전벨트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벨트 스위치는 단레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다.
실제 안전벨트시동장치의 작동은 안전벨트 스위치, 제2스위치, 제1스위치순으로 작동이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안전벨트시동장치의 배선도이다. 차량의 시동은 운전자가 시동키(자동차키)를 스타터스위치에 넣고 돌려 스타터모터로 엔진을 강제로 회전시킴으로서 엔진이 스스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을 시키게 된다. 스타터모터는 모터부와 스위치부로 구성되며, 운전자가 시동키를 돌리면 크랭크샤프트에 부착되어 있는 플라이휠이 회전하는데 플라이휠의 주위에는 스타터모터의 피니언기어보다 수배나 많은 기어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타터모터의 회전은 감속되어 크랭크샤프트로 전달된다. 크랭크샤프트는 감속된 만큼 큰 힘으로 회전되어 피스톤을 압축행정 상태로 작동시킴으로써 엔진시동이 가능하게 된다.
기존의 자동차는 스타터 스위치의 한쪽은 스타터 모터에 연결되며 다른 한쪽은 엔진에 연결되어 자동차 밧데리의 전원을 받아 스타터 스위치를 작동시킬 때 스타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엔진 시동을 걸게된다. 본 고안에서는 운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어 있는 경우에만 스타터스위치를 스타터모터(17)와 엔진(16)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시에만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타터스위치의 양단은 전자개폐기(3)에 연결되며 전자개폐기(3)의 타단은 각각 스타터 모터와 엔진에 연결이 된다. 이때, 스타터 스위치는 자동차배터리(15)에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전자개폐기(3)를 작동시키는 신호는 그 양단이 릴레이(2)에 의해 제공된다. 릴레이(3)의 한쪽 단은 자동차배터리(15)에 연결이 되고 타단은 전자개폐기(3)에 연결되는데, 안전벨트를 적절하게 착용하였을 때 회로가 연결되도록 하여 안전벨트가 스위치 역할을 하도록 하는데, 안전벨트가 착용이 되면 자동차배터리(15)에서 발생되는 전압에 의해 릴레이(2)를 작동시키게 되며 릴레이(2)가 전자개폐기(3)를 작동시켜서 스타트 스위치를 스타터 모터(17) 및 엔진(16)과 연결시키게 되어 시동이 걸릴 수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된다.
도1의 하단에는 릴레이의 연결배선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연결선(7,8)은 전자개폐기에 연결이 되며, 타단에서 일부는 접지되고, 그 나머지 두 개의 연결선 중 하나는 자동차배터리(15)에 직접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안전벨트에 연결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안전벨트 시동장치의 안전벨트 스위치(1)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안전벨트 미착용시에는 도2의 a와 같이 접점이 항상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전체회로가 연결되지 않아 릴레이(2)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되는 경우(도2의 b)에는 안전벨트의 삽입부(도3에서의 안전벨트 텅(22))가 누름판(21)을 누르게 되면 누름판(21)의 하단에 부착된 누름핀(12)이 접점을 압박하여 두 개의 접점(13,14)을 연결시키게 되면서 회로를 연결시켜 시동을 걸 수 있는 상태를 만들게 된다. 안전벨트를 해제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21) 및 누름핀(12)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접점(13,14)이 떨어지게 되어 릴레이를 작동시키지 않게 되어 시동을 걸려해도 회로가 끊겨 있어 스타트 스위치와 자동차배터리(15)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시동을 걸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 형식을 단레버스위치라고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르는 안전벨트 시동장치의 안전벨트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도2의 안전벨트 스위치(24) 구조는 안전벨트 버클(23)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안전벨트 텅(22)이 안전벨트 버클(23)내로 삽입되어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안전벨트 텅(22)이 누름판(21)을 누르게 되고 누름판(21) 하단의 누름핀(23)이 접점(13,14)을 서로 만나게 함으로써 안전벨트 시동장치내의 릴레이를 작동시키게 되어 시동이 걸릴 수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된다. 반대로 안전벨트 텅(22)이 버클에서 빠지게 되면 안전벨트 점점이 떨어지게 되면서 전체 회로가 오프(OFF)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안에 의하여, 자동차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을 때에만 자동차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벨트의 착용을 생활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안전벨트의 착용은 시동을 걸기 전에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또한, 안전벨트 착용시에 운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공회전으로 인한 연료낭비 방지 및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 오염방지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점화플러그를 사용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어떠한 자동차에든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안전벨트 시동장치의 일실시예의 회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안전벨트 시동장치의 안전벨트 스위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르는 안전벨트 시동장치의 안전벨트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4: 안전벨트 스위치 2,9: 제2 스위치(릴레이)
3: 제1스위치 (전자개폐기) 4,5: 자동차 배터리로의 연결선
6: 휴즈 7,8: 제1스위치로의 연결선
10,11: 스타트 스위치로의 연결선 10': 스타트모터로의 연결선
11': 엔진으로의 연결선 12:누름핀
13, 14: 접점 15: 자동차배터리
16: 엔진 17: 스타트모터
21: 누름판 22: 안전벨트텅
23:안전벨트 버클

Claims (4)

  1. 안전벨트 시동장치에 있어서,
    제1스위치로서, 그 일단은 자동차의 스타트 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동차의 스타트 모터와 자동차 엔진에 각각 연결되어 온(ON)되었을 때는 스타트 스위치를 자동차의 스타트 모터 및 자동차엔진에 연결시키며 오프(OFF)되었을 때는 상기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1 스위치와;
    제2스위치(2)로서, 안전벨트가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스위치를 온(ON)시키고 안전벨트가 착용되지 않았을 때는 상기 제1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제2스위치;
    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는 전자 개폐기인, 안전벨트 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릴레이의 일단은 상기 제1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릴레이에 전원을 제공하는 자동차배터리로 연결되는데, 상기 자동차배터리로 연결되는 연결선중 하나는 안전벨트가 삽입되면 연결되고 안전벨트가 해제되면 단락되는 안전벨트 스위치에 연결되는, 안전벨트 시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스위치는 단레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시동장치.
KR20-2004-0032516U 2004-11-17 2004-11-17 안전벨트 시동장치 KR200376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516U KR200376688Y1 (ko) 2004-11-17 2004-11-17 안전벨트 시동장치
PCT/KR2005/003514 WO2006054834A1 (en) 2004-11-17 2005-10-21 Seat belt triggered star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516U KR200376688Y1 (ko) 2004-11-17 2004-11-17 안전벨트 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688Y1 true KR200376688Y1 (ko) 2005-03-09

Family

ID=3640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516U KR200376688Y1 (ko) 2004-11-17 2004-11-17 안전벨트 시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76688Y1 (ko)
WO (1) WO20060548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7846A (en) * 1981-04-09 1982-10-15 Katsuyoshi Nakagawa Seat belt fastening switch
JPS57191146A (en) * 1981-05-20 1982-11-24 Kobayashi Eizo Automobile belt rigging safety confirming start forcible equipment
KR19980035368A (ko) * 1996-11-13 1998-08-05 김영귀 사이드 미러 자동 제어장치
KR19980051387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상용자동차의 캐빈 틸트 경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4834A1 (en)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7990A (en) Integral automatic system for protection and rescue of occupants in crashed automobiles
CN2402549Y (zh) 双回路汽车安全带自动警示装置
WO2006132812A3 (en) Engine cold start aid malfunction alert
CN201800556U (zh) 一种防止机动车驾驶员无证和疲劳驾驶的装置
KR200376688Y1 (ko) 안전벨트 시동장치
CA2847945A1 (en) Security system
CN103057515B (zh) 一种防替代安全带及该安全带的防替代方法
CN2474411Y (zh) 一种必须系好安全带才可行驶的安全控制装置
RU24858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стартера
CN205601617U (zh) 一种应急停车装置及系统
KR100318859B1 (ko) 자동차의 엔진 비상정지장치
JPH07251711A (ja) シートベルト未着用警報装置
KR200385605Y1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시동장치
KR19980035368U (ko) 시트벨트 미착용시 엔진시동 불가장치
KR200288850Y1 (ko) 자동차의 시동장치
CN201853316U (zh) 车用碰撞报警控制器
CN101992743A (zh) 安全带与汽车发动系统绑定的控制系统
JP3042454U (ja) 運転席シートベルトを正規に装着しないとスター ターモーターに通電しないようにした起動電気回路
KR0117280Y1 (ko) 수동 변속기가 구비된 차량의 비상시 시동모터 구동회로
KR910008806Y1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및 경보장치
KR970039951A (ko) 자동차 시이트벨트 강제착용장치
KR200175677Y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착용 확인장치
KR960004324Y1 (ko) 기어걸림 경고장치
KR200201168Y1 (ko) 수동기어 자동차의 안전장치
KR20020092759A (ko) 안전벨트 시동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