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345Y1 -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345Y1
KR200374345Y1 KR20-2004-0031729U KR20040031729U KR200374345Y1 KR 200374345 Y1 KR200374345 Y1 KR 200374345Y1 KR 20040031729 U KR20040031729 U KR 20040031729U KR 200374345 Y1 KR200374345 Y1 KR 200374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ood waste
air
inlet
bio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정필재
Original Assignee
박재홍
정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정필재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20-2004-0031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연분해함과 동시에 그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도어가 구비되고, 일측에 내부 공기의 순환을 위한 배출구 및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바이오칩이 채워지는 직립형 챔버와; 상기 챔버내에 수직으로 상하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축설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이송스크류와; 전원을 공급받고 작동하여 상기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가 화전하면 상기 바이오칩이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외측에서 상기 바이오칩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절개된 입구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안내원통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유입받고 악취를 제거하여 상기 유입구로 배출하는 탈취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챔버에 직립의 상태로 이송스크류를 챔버 내에 설치하여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을 상하로 순환시켜 혼합시키고, 가이드바아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일측에만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고르게 분산시켜 주어 미생물의 자연분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 food trash treatment apparatus }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연분해함과 동시에 그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정이나 일반 식당과 같은 영업소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위해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을 톱밥에 배양시킨 바이오칩(Bio chip)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자연 분해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개시되고 있는 바이오칩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생물을 배양시킨 톱밥인 바이오칩(1)이 일정한 높이로 채워진 발효탱크(2) 내부에 교반날개(3)가 회전축 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교반축(4)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뚜껑(6)이 힌지결합되어 상부로 음식물 쓰레기(7)를 투입 후 가동하면 교반체(5)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7)가 바이칩(1)과 혼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교반체(5)의 교반날개(3)는 일정한 괘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1)이 상하로만 이동하여 골고루 혼합되지 못하여 자연 분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송스크류(미도시됨)를 수평설치하여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 및 바이오칩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혼합되게 하는 장치도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바닥에 접하는 면적이 많아져 공간활용성이 떨어지고,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1)이 상하로 골고루 혼합되지 못한채로 이동되어 음식물 쓰레기(7) 및 바이오칩(1)이 잘 혼합되지 못하여 분해 효율의 저하 및 분해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7)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수분 및 메탄가스가 방출되는데 이와같은 가스는 뚜껑(6)의 가장자리와 같은 미세한 틈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데 이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상기 가스를 약 300℃의 고온으로 가열하거나, 백금을 이용한 탈취방법 등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와같은 방법들을 이용하는 장치들은 그 제조 및 유지 비용이 높은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이 고르게 혼합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효율을 증대시키고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이오칩 내의 미생물의 배양 환경을 최적화하고, 자연 분해시 발생되는 매탄가스와 같은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제거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탈취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따른 광촉매 필터 수단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이오칩 7; 음식물 쓰레기
20; 이송스크류 28; 안내원통
29; 가이드바아 30; 챔버
34; 경사면 37; 전열선
38; 외판 39; 단열재
40; 도어 50; 탈취수단
52; 경사판 54; 음이온발생기
55; 과오수 배출구 60; 모터
66a,66b; 배관 70; 공기순환펌프
71; 물받이 72; 부직포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7)의 투입을 위한 도어(40)가 구비되고, 일측에 내부 공기의 순환을 위한 배출구(51a) 및 유입구(51b)가 형성되고, 내부에 바이오칩(1)이 채워지는 직립형 챔버(30)와; 상기 챔버(30)내에 수직으로 상하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축설되는 회전축(22)이 구비되는 이송스크류(20)와; 전원을 공급받고 작동하여 상기 이송스크류(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60)와; 상기 이송스크류(2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가 화전하면 상기 바이오칩(1)이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외측에서 상기 바이오칩(1)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절개된 입구(28a)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30)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안내원통(28)과; 상기 배출구(30a)를 통해 상기 챔버(30) 내의 공기를 유입받고 악취를 제거하여 상기 유입구(30b)로 배출하는 탈취수단(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탈취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광촉매 필터 수단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10)는 이송스크류(2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미생물이 배합된 톱밥인 바이오칩(1)이 채워지는 챔버(30)와, 상기 챔버(30)의 전면 일측에 상기 챔버(30) 내부 수용부로 이어지는 안내부(32)가 형성되고, 그 안내부(32)와 연장되는 챔버(30)에 힌지핀(42)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도어(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7)는 도어(40)를 개방한 상태에서 투입하면 상기 안내부(32)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30)의 외부 상측에는 상기 바이오칩(1)의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7)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먼지 및 매탄가스 등과 같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장치(50)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어(40)는 음식물 쓰레기(7)가 안내되어 챔버(30) 내부 수용부쪽으로 잘 유도될 수 있도록 양측에 안내측판(40a)이 각각 형성되고, 외부에는 손잡이(40b)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챔버(30)는 그 단면이 사각 형상이고, 그 하부에는 바이오칩(1) 및 음식물 쓰레기(7)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챔버(30)에는 이송스큐류(20)가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이송스크류(20)의 회전축(22)의 양단부는 챔버(30)에 관통되되, 상기 챔버(30)의 하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24)이 고정핀(24a,24b)에 의해 고정되어 이송스크류(20) 회전축(22)의 하중을 지지하고, 챔버(30)의 상단 중앙부에는 일반적인 베어링(26)의 내륜으로 상기 회전축(22)을 지지하여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같은 챔버(30)에는 상기 이송스크류(20)가 회전시 상부로 이송되는 내부에서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7)와 바이오칩(1)이 원활하게 상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송스큐류(2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20)의 지름에 비해 확장되는 안내원통(28)이 구비되고, 상기 챔버(30)와 안내원통(28)에는바이오칩(1)이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원통(28)은 하단부 일측이 챔버(30)의 내부 바닥판에 고정되고 그 일측에 절개된 상태의 입구(28a)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7) 및 바이오칩(1)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원통(28)은 직립된 상태이며 상단부는 개구된 상태로 이송스크류(2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7) 및 바이오칩(1)이 배출되어 안내원통(28)의 외부로 흘러 넘치게 되어 챔버(3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원통(28)의 상부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7) 및 바이오칩(1)이 더욱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20)의 회전축(22) 상부에는 가이드 수단인 "ㄱ"자 형상의 가이드 바아(29)의 수직바(29a)가 안내원통(28)의 상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돌출되게 회전축(22)의 축상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챔버(30)의 상측에 설치되는 모터(60)의 구동으로 인한 이송스크류(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바아(29)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7) 및 바이오칩(1)을 고르게 혼합 분산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40)의 상측 챔버(30)의 수용부에는 상기 도어(40)가 열렸을 경우, 안내원통(28)의 외측으로 넘쳐나온 음식물 쓰레기(7) 및 바이오칩(1)이 도어(40)쪽으로 유입되어 역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판(35)이 형성되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7) 및 바이오칩(1)이 도어(40)쪽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그 양측 하방으로 흘러내려 안내원통(28)의 하단에 절개된 입구(28a)로 유입되어 이송스크류(20)에 의해 안내원통(28)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같은 챔버(30)의 상부 외측에는 일정속도 예를 들면 분당 30 내지 60회의 저속으로 회전이 가능한 모터(60)인 감속모터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모터(60)의 구동축(60a)에 동력용 베벨기어(62)가 결합되고, 이에 90°수직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전달용 베벨기어(64)가 구비된다.
상기 전달용 베벨기어(64)의 중심에는 상기 챔버(30)에 상하 수직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나선형상의 이송스크류(20)의 회전축(22)의 단부가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모터(60)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스크류(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전달하는 방법은 베벨기어 이외에도, 상기 모터(60)를 구동축(50a)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벨트(미도시됨)나 체인(미도시됨)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적용함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60)를 챔버(30)의 하부에 설치하여 회전축(22)을 회전시키는 구성을 취함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챔버(30)의 상부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챔버(30)내에서 미생물의 자연 분해시 발생되는 메탄가스와 같은 악취가 섞여 있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0a)가 형성되고, 그 맞은편 상부 모서리에는 상기 배출구(30a)에 의해 배출된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챔버(30)의 내부로 피드백(feedback) 시켜주기 위한 유입구(30b)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배출구(30a)와 유입구(30b)는 일측에 구비되는 탈취수단(50)에 배관(66a,66b)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30a)와 탈취수단(50)을 연결하는 배관(30a)의 일측에는 상기 챔버(30)의 내부 악취가 섞여있는 공기를 강제로 상기 탈취수단(50)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공지의 공기순환펌프(70)가 구비되어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탈취수단(50)은 물(9)이 담겨지는 수용부를 갖는 본체(51)의 상부에는 입구(51a)와 출구(51b)가 형성되어, 상기 챔버(51)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30a)가 상기 입구(51a)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30b)는 상기 출구(51b)와 배관(66b)으로 각각 연결되어 공기가 순환된다.
이와같은 본체(51)의 입구(51a)에는 연장관(66c)이 상기 본체(51)의 수용부의 내측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악취나는 공기가 배출시 물입자와 접촉하며 상승하게 한다.
이때, 상기 본체(51)의 수용부 내부 양 측면에는 단면이 삼각형인 경사판(52)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공기입자가 경사판(52)의 하부경사면(52a)을 따라 상부로 서서히 이동하게 함으로써 물(9) 입자와의 접촉거리를 길게 하여 더 많은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판(52)의 상부경사면(52b)을 형성한 이유는 물입자와 접촉을 통해 탈거되는 미세먼지 등의 입자가 하부로 미끌어져 내려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9)은 수용부에 약 80%정도만 채워지도록 하여 상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고여있는 공기층은 본체(5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기(54)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이 통공(54a)을 통해 배출되어 메탄가스 등의 악취가 2차로 탈취되어 출구(51b)와 배관(66b) 및 유입구(30b)를 통해 챔버(3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1) 수용부의 내측 물이 잠기는 부분에는 외부와 관통되게 과오수 배출구(55)가 연결 형성되어 물(9)의 수위가 일정치 이상 상승하게 되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과오수 배출구(55)는 "U"자형관으로 내부에 오수의 분진 등이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고 그 배출구(55)의 타단부는 배출수위에 해당하는 높이의 단부에 배출호스(57)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55)의 양단부의 높이차이가 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통해 물이 일정수위 이상인 경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과오수만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챔버(30)의 상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물받이(71)가 구비되고, 그 물받이(71) 내에는 부직포(72)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호스(57)가 상기 부직포(72)의 상부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1)의 수용부에 채워지는 물(9)이 넘쳐 배출구(55)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상기 부직포(72)에 흡수된 상태에서 수분이 공기중으로 증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직포(72)는 상면부직포(72a)와 하면부직포(72b)사이에 배출된 오수의 악취를 흡수 제거하는 활성탄층(72c)이 형성되어 오수의 자연증발시에 악취가 나지 않게 하여 주변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챔버(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챔버(30)의 내부에 바이오칩(1)에존재하는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의 경우 50 내지 60℃의 온도범위에서 활동성과 개체수가 극대화되므로 그와 같은 온도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 전열선(37)을 배치하고 그 외부에 외판(38)을 더 구비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39)를 채워 챔버(3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10)의 챔버(30) 일측에 형성된 도어(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생선, 육류, 어류, 밥, 면류, 계란껍질, 과일껍질, 야채 등의 음식물 쓰레기(7)를 도어(40)의 내부에 투입한 후 모터(60)를 동작시키면, 모터(60)의 구동축(60a)이 회전하게 되는데 그 회전력은 이송스크류(20)에 전달되어 음식물 쓰레기(7) 및 바이오칩(1)이 안내원통(28)의 내부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60)는 설정속도에 따라 분당 30 내지 60회의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7)는 염분을 최소화한 상태로 투입되어야 미생물의 활동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이송스크류(20)가 회전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7)가 바이오칩(1)과 함께 안내원통(28)의 하단 입구(28a)를 통해 이송스크류(20)에 의해 안내원통(28)의 내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혼합된다.
한편, 바이오칩(1)과 서서히 혼합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7)가안내원통(28)의 상단부에 다다르면 안내원통(28)의 외부면으로 넘쳐흘러 챔버(3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스크류(20)의 회전축(22)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바아(29)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7)가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 안내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계속하게 되면, 안내원통(28)의 외측의 음식물 쓰레기(7) 및 바이오칩(1)은 하부로 이동하고, 이는 다시 안내원통(28)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더욱더 고르게 혼합된다.
한편, 상기 과정으로 거치는 동안 바이오칩(1) 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7)를 분해하게 되는데, 분해 과정을 통해 수분과 메탄가스 등의 악취가 발생한다. 이때, 챔버(30)의 외부에 형성되는 전열선(37)을 가열하여 50 내지 60℃범위의 온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서 미생물의 활동성과 개체수를 극대화시켜주게 된다.
이와같은 자연분해 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수분 및 메탄가스 등의 악취나는 공기는 챔버(30)의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구(30a)를 통해 탈취수단(50)에 공급되는데,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배관(66a)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순환펌프(70)의 작동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기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된 공기는 탈취수단(50)의 본체(51) 수용부 바닥에까지 연장된 연장관(66c)의 단부를 통해 악취나는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는 수용부 내부에 설치되는 경사판(52)의 하부경사면(52a)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분과 분진 등과 같은 이물질이 물입자와 접촉하면서 제거된 상태로 수용부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수용부 상단에 구비되는 음이온발생기(54)에 의해 발생되는 음이온이 2차로 메탄가스와 같은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이처럼 악취가 제거된 상태의 공기는 탈취장치(50)의 출구(51b)와 배관(66b) 및 챔버(3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유입구(30b)를 통해 챔버(30)의 내부로 유입되어 미생물의 증식 및 활동성을 증대시키게 되고, 외부공기의 오염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51)의 수용부에 채워지는 물(9) 입자와 악취나는 공기가 접촉되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물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과오수 배출구(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부직포(72)에 흡수됨과 동시에 서서히 수분이 증발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7)의 내용물, 쓰레기량과 처리장치의 용량 등에 차이가 있으나 대략 24시간 이내에 자연분해되고, 주변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챔버(30)의 내부에 채워지는 바이오칩(1)은 약 6개월 주기로 교체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따르면, 상기 챔버(30)의 외측에는 챔버의 내부로 신선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미생물의 자연분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공기주입구(81)가 구비된다. 아울러 많은양의 외부공기를 챔버내부로 유입시켜주기 위해 상기 공기주입구(81)에 공기를 강제로 주입시키기 위한 공기펌프(8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챔버(30)의 상단부 외측에는 상기 탈취수단(50)을 통해 악취가 제거된 공기중에 잔여 미세먼지 및 2차로 공기를 탈취하여 상기 유입구(30b)로 배출하는 광촉매필터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광촉매 필터수단(90)은 PEC(광전자촉매) 코팅판(94a,94b,94c)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UV(자외선) 램프(92a,92b)를 배치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섞여있는 미세 먼지나 분진, 휘발성 유기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배출하여 줌으로서 배관(66b)과 유입구(30b)를 통해 챔버(30) 내부로 공급해주게 되어 챔버 내의 오염도를 낮추어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이송스크류(20)를 챔버(30) 내에 직립형태로 설치하여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을 상하로 순환시켜 혼합시키고, 가이드바아(29)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7)가 일측에만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고르게 분산시켜 주어 미생물의 자연분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챔버(30) 내에서 자연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매탄가스와 수분 먼지 등의 악취나는 공기는 물과 음이온을 이용하여 탈취하는 탈취수단(50)을 통해 악취를 제거하여 다시 챔버(30) 내부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변환경의 오염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직립형태의 처리장치로 구성하여 바닥면적을 적게 차지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어 일반 대형 음식점이나 패스트푸드점과 같은 업소용으로 사용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1)

  1. 음식물 쓰레기(7)의 투입을 위한 도어(40)가 구비되고, 일측에 내부 공기의 순환을 위한 배출구(51a) 및 유입구(51b)가 형성되고, 내부에 바이오칩(1)이 채워지는 직립형 챔버(30)와;
    상기 챔버(30)내에 수직으로 상하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축설되는 회전축(22)이 구비되는 이송스크류(20)와;
    전원을 공급받고 작동하여 상기 이송스크류(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60)와;
    상기 이송스크류(2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가 화전하면 상기 바이오칩(1)이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외측에서 상기 바이오칩(1)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절개된 입구(28a)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30)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안내원통(28)과;
    상기 배출구(30a)를 통해 상기 챔버(30) 내의 공기를 유입받고 악취를 제거하여 상기 유입구(30b)로 배출하는 탈취수단(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20)의 회전축(22)에는 상기 안내원통(28)의 상단부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7)와 바이오칩(1)이 고르게 혼합 분산되어 상기 안내원통(28)의 외부로 배출되어 하부로 이동하게 하는 가이드바아(2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의 하부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7)와 바이오칩(1)이 원활하게 하부로 모아지도록 경사면(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0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탈취수단(50)으로의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한 공기순환펌프(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50)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부를 갖고, 상부에는 상기 배출구(30a)와 배관(66a)을 통해 연결되는 입구(51a) 및 상기 유입구(30b)와 배관(66b)을 통해 연결되는 출구(51b)가 형성되는 본체(51)와;
    상기 입구(51a)를 통해 유입되는 챔버(30)내의 음식물 쓰레기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나는 공기를 상기 수용부의 하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입구(51a)에서 수용부 하부로 연결되는 연장관(66c)과;
    상기 본체(51)의 수용부 내에 채워지는 물(9)에 잠긴 상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상기 연장관(66c)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수분 및 먼지를 물입자와의 접촉을 통해 탈거시 공기의 이동경로를 길게 하기 위해 하부면이 상방향으로 경사진 하나 이상의 경사판(52)과;
    상기 본체(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 표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상기 출구(51b)를 통해 상기 챔버(30)의 유입구(30b)로 순환되게 하기 위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1)의 수용부 일측에는 물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한 과오수 배출구(5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의 상측에는 상기 과오수 배출구(55)를 통해 배출되는 과오수를 자연 증발시키기 위한 부직포(72)가 안착되는 물받이(7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72)는 상면부직포(72a)와 하면부직포(72b)사이에 배출된 오수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층(7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의 외부면에는 상기 챔버(30)내에서 미생물의 증식 및 활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열선(37)과;
    상기 전열선의 외부에 채워지는 단열재(39)와;
    상기 단열재의 외부를 감싸는 외판(3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의 외측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8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입구에 공기를 강제주입시키기 위한 공기펌프(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의 외측에는 상기 탈취수단(5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및 탈취하여 상기 유입구(30b)로 배출하는 광촉매필터수단(9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KR20-2004-0031729U 2004-11-10 2004-11-10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KR200374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29U KR200374345Y1 (ko) 2004-11-10 2004-11-10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29U KR200374345Y1 (ko) 2004-11-10 2004-11-10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169A Division KR20060043878A (ko) 2004-11-10 2004-11-10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345Y1 true KR200374345Y1 (ko) 2005-01-27

Family

ID=4944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729U KR200374345Y1 (ko) 2004-11-10 2004-11-10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3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607A (ko) * 2020-09-29 2022-04-05 장정훈 미생물 증폭 배양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607A (ko) * 2020-09-29 2022-04-05 장정훈 미생물 증폭 배양기
KR20220142406A (ko) * 2020-09-29 2022-10-21 장정훈 미생물 증폭 배양방법
KR102467823B1 (ko) * 2020-09-29 2022-11-18 장정훈 미생물 증폭 배양기
KR102549492B1 (ko) 2020-09-29 2023-06-30 장정훈 미생물 증폭 배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84918A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wave
WO2007037600A1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JP3216051U (ja) 有機ゴミ処理装置
TW20030213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JP2003170139A (ja) 有機性固形物の処理方法
KR10087599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장치
KR200374345Y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KR10162100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09199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60043878A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KR970010844B1 (ko)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US20090291489A1 (en) Disposal apparatus of food wastes
JP2000325752A (ja) 脱臭装置
KR10191805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980009206A (ko) 유기물 퇴비화 장치
JP4771734B2 (ja) 分解処理槽の給気装置
JP2951905B2 (ja) 液体に含まれる有機物をバクテリアで消失させる廃棄装置
KR200158821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4030496B2 (ja) 有機質汚泥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設備
KR20016652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2359864B1 (ko) 하수,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협잡물 처리장치
JPH0929214A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03225530A (ja) 脱臭装置
KR10219497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20419Y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