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289Y1 -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 Google Patents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289Y1
KR200374289Y1 KR20-2004-0032379U KR20040032379U KR200374289Y1 KR 200374289 Y1 KR200374289 Y1 KR 200374289Y1 KR 20040032379 U KR20040032379 U KR 20040032379U KR 200374289 Y1 KR200374289 Y1 KR 200374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lead screw
transfer table
work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20-2004-0032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연다이아몬드 및 인공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절삭공구를 절삭 휠의 둘레부에 고정 설치하여 비철금속재 프레임의 단부 면이나 모서리부분 또는 디자인에 필요한 부분을 기계장치로 광택이 나도록 신속하고 균일하게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테이블 가이드레일이 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테이블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에 연결되어 이송테이블을 좌우로 왕복 이송시키는 테이블이송수단과, 상기 이송테이블에 설치되어 피 가공물을 이송테이블에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 중앙에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으로 수직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이송테이블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며 위치이동수단에 의해 전후 상하 위치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절삭공구대와, 피 가공물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절삭공구대의 일단 부 하측에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절삭공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절삭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광택장치는 작업자가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피가공물을 안착시켜 이송시키기만 하면, 절삭휠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절삭공구(DIA)에 의해 피가공물의 가공면이 신속하고 균일하게 절삭되면서 광택이 나므로, 종래와 같이 수작업으로 피가공물의 단부면을 광택을 내는 것에 비해,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생산성이 현저히 상승됨은 물론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lustering apparatus for metal frame}
본 고안은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압출성형되거나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길게 절곡된 금속재 프레임의 단부면이나 모서리부분을 광택이 나도록 기계장치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생산되는 전자제품 등의 바디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비철금속을 사용하여 채널형태나 다양한 단면 형태로 압출성형하거나 절곡성형한 금속재 프레임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의 단부면이나 모서리 부분은 광택이 나도록 가공하여 프레임(이하, 피가공물이라 칭함)의 상품성을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피가공물의 단부면이나 모서리부분을 광택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그라인더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피가공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가공물의 단부면이나 모서리부분을 가공하여 광택을 냈다.
그러나,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광택을 내야 하므로, 광택이 균일하게 나지 않음은 물론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가공물의 단부면이나 모서리부분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가공함에 따라 가공 면이 평활하지 못하는 등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이 있어 피가공물의 단부면이나 모서리부분을 광택이 나도록 도금처리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부분적으로 도금처리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어려우면서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도금처리하여도 부분적으로 도금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철금속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압출성형하거나 절곡 성형한 피가공물의 단부면이나 모서리부분을 광택이 나도록 기계장치로 균일하게 자동으로 절삭 가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스트를 낮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택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택장치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상기 광택장치의 클랭핑수단 작동상태도
도 6은 상기 광택장치의 위치이동수단의 요부도
도 7은 도 6의 A - A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 - B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절삭공구의 결합상태도
도 10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클랭핑수단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가공물 100. 베이스프레임
200. 이송테이블 300. 이송실린더
400. 클램핑수단 500. 지지프레임
600. 위치이동수단 700. 절삭공구대
800. 절삭휠 850. 절삭공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에 테이블 가이드레일이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테이블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에 연결되어 이송테이블을 좌우로 왕복 이송시키는 테이블이송수단과, 상기 이송테이블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이송테이블에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또는후방측 중앙에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으로 수직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이송테이블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설치되며 위치이동수단에 의해 전후상하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절삭공구대와, 피가공물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절삭공구대의 일단부 하측에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절삭공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절삭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택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택장치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광택장치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클랭핑수단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상기 광택장치의 위치이동수단의 요부도이고, 도 7은 및 도 8은 도 6의 A - A 단면도와 B - B 단면도이고, 도 9는 절삭공구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10은 상기 광택장치의 제2 실시예의 클램핑수단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비철금속재를 사용하여 알출성형하거나 절곡성형한 피가공물의 단부면이나 모서리부분은 가공하여 광택을 내는 것으로,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단부 양측에 상향연장부(12)가 마련된 채널형태의 피가공물(10), 즉 이 피가공물(10)의 상향연장부(12) 상면을 절삭하여 광택내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0)과, 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에 좌우로 왕복이송되는 이송테이블(200)과, 이 이송테이블(200)을 좌우로 왕복이송시키는 테이블이송수단, 상기 이송테이블(200)에 구비되어 피가공물(2)을 이송테이블(200)에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4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중앙부 상측에 구비된 절삭 공구대(700)와, 이 절삭 공구대(700)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절삭공구(850)가 결합되는 절삭휠(8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것으로, 그 상면 전후방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한 쌍의 테이블 가이드레일(110)이 구비되어, 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상기 이송테이블(200)이 좌우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 중앙부에는 후술할 지지 후레임(500)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판(130)이 서로 평행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 고정판(13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인 좌우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그 외측면 중앙부에는 단면 T자 형상의 걸림 홈(13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 걸림 홈(132)에는 복수개의 고정너트(134)가 원주방향으로 위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걸림홈(132)의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토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너트(134)에 상기 지지프레임(500)이 볼트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이송테이블(200)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비철금속으로 압출성형되거나 절곡성형된 피가공물(10)을 좌우로 왕복이송시키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저면 전후방에는 상기 테이블 가이드레일(11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210)이 구비되어 이송테이블(200)이 좌우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테이블(200)의 상면 전후방에는 피가공물(100)의 하단부 양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니은자형상의 지지블록(250)이 이송테이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피가공물(10)이 상기 지지블록(250)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테이블이송수단은 상기 이송테이블(200)을 좌우로 왕복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테이블 가이드레일(110) 사이에 이 가이드레일(110)과 서로 평행하도록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설치된 이송실린더(300)가 사용된다. 이 이송실린더(300)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실린더바디(310)가 베이스프레임(100)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피스톤로드(320)의 선단부는 이송테이블(20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실린더(300)를 신축시킴에 따라 이송테이블(200)이 테이블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테이블(200)을 왕복이송시키는 테이블 이송수단을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실린더를 적용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테이블 가이드레일(110) 사이에 이 가이드레일110)과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송테이블(200)이 연결되는 테이블이송 리드스크류를 구비하고, 이 테이블이송 리드스크류의 일단부에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를 정역회전 시킴에 따라 이송테이블(200)을 좌우로 왕복 이송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프레임(100)에 테이블 가이드레일(110)과 평행하도록 랙기어를 고정설치하고, 이송테이블에는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를 설치하여,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역회전 시킴에 따라 이송테이블(200)를 좌우로 왕복이송시킬 수도 있다.
상기 클램핑수단은 피가공물(10)을 상기 이송테이블(200)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즉, 이송테이블(200)의 상면에 구비된 지지블록(25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피가공물(10)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1클램핑수단(410)과, 피가공물(1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제2클램핑수단(4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클램핑수단(410)은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 양측에 서로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한 쌍의 가압실린더(412)와, 수평상태로 배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압실린더(410)의 상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승강가압부재(4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클램핑수단(450)은 상기 이송테이블(200)의 상면 전후방에 서로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451)과, 이 각각의 회전축(451)의 양단부에 연결 고정된 제1회동아암(452)과, 일단부가 이송테이블(20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회동아암(452)에 연결되어 제1회동아암(452)을 회동시켜 상기 회전축(451)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실린더(453)와, 상기 각각의 회전축(451)에 일정간격으로 상향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454)와, 이 연결부재(454)에 각각의 회전축(451)과 서로 평행하도록 고정설치되어 회전축(451)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송테이블(20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회동되어, 즉, 회전축(45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피가공물(1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회동가압부재(45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작업자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10)을 이송테이블(200)에 올려놓으면, 즉, 상기 이송테이블(200)의 상면에 고정설치된 지지블록(250)에 피가공물(10)을 올려놓으면, 상기 제1클램핑수단(410)의 가압실린더(412)가 신축되어, 이 가압실린더(412)에 연결된 승강가압부재(414)가 하강되어 피가공물(10)의 상면을 가압하고, 이어서, 상기 제2클램핑수단(450)의 제1실린더(453)가 작동되어 회전축(451)을 회전시키면, 회전축(451)에 연결된 회동가압부재(455)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피가공물(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피가공물(10)을 이송테이블(200)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수단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양단에 상향연장부(12)가 마련된 채널형태로 이루어진 피가공물(10)을 이송테이블(2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기역자 형상의 앵글형태로 압출성형된 피가공물(10)의 외측모서리 부분을 절삭하여 광택을 낼 경우에는, 상기 이송테이블(200)의 상면 중앙부에 이 이송테이블(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상측면이 기역자 형상과 대응되도록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경사부(461)가 마련되고 이 경사부(46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흡착공(462)이 형성된 흡착블록(460)과, 상기 흡착공(462)에 구비되어 피가공물(10)을 진공흡착하는 흡착패드(464)로 이루어진 클램핑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착블록(460)의 경사부(461)에 기역자 형상의 피가공물(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흡착공(462)에 연결된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면 흡착공(462)에 연결된 흡착패드(464)에 의해 피가공물(10)을 흡착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채널형태의 피가공물(10)을 가압부재에 의해 이송테이블에 고정하고, 앵글형태의 피가공물(10)은 흡착패드에 의해 이송테이블(200)에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채널형태의 피가공물도 흡착패드로 흡착고정할 수 있으며, 앵글형태의 피가공물도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피가공물(10)을 이송테이블(200)에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은 적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앙에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수직설치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500)이 구비된다. 이 지지프레임(5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후방에 구비된 고정판(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할 절삭공구대(7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13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130)의 걸림홈(132)과 대응되는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볼트공(512)이 형성된 원판(510)과, 이 원판(510)의 외측면 중앙부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수직프레임(55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원판(510)의 볼트공(512)을 통해 볼트를 삽입시켜 고정판(130)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너트(134)에 고정하여 지지프레임(500)을 베이스프레임(100)을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500)은 고정판(130)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너트(1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500)을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인 좌우로 회동시켜서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절삭공구대(700)은 후술할 절삭휠(800)를 고정하는 것으로, 각각의 지지프레임(500) 상단부에 이송테이블(2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설치되며, 즉,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수평설치되어 후술할 위치이동수단(600)에 의해 전후(이송테이블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및 상하 위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삭공구대(700)는 후술할 제1승강수단(610)의 제1리드스크류(616) 및 제1가이드레일(612)에 결합되어 상기 제1리드스크류(61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블록(710)과, 이 승강블록(710)의 일측에 이송테이블(20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 고정설치되어 이송테이블(20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절삭휠(800)가 결합되는 공구대(79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710)은 후술할 제1위치이동수단(610)의 제1리드스크류(616) 및 제1가이드레일(612)에 결합되며 일측면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3가이드레일(711) 마련된 제1승강블록(712)과, 상기 제3가이드레일(711)의 중앙부에 그 일측이 노츨되도록 삽입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제1승강블록(712)의 하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3가이드레일(711)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제3리드스크류(720)와, 상기 제3가이드레일(711)과 제3리드스크류(720)에 결합되어 제3리드스크류(720)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3가이드레일(71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며 상기 공구대(790)가 고정 결합되는 제2승강블록(730)과, 상기 제3리드스크류(720)의 하단에 고정된 제2회동아암(740)과, 일단부가 상기 제2승강블록(73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회동아암(74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제2회동아암(740)을 회동시켜 상기 제3리드스크류(720)를 정역회전시키는 제2실린더(7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10)이 안착된 이송테이블(200)이 절삭공구대(700)를 지나서 후술할 절삭휠(800)의 절삭공구(850)에 의해 피가공물(10)이 단부면이 절삭가공 완료된 것이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지되면, 이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신호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실린더(750)를 작동시켜 제3리드스크류(72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공구대(790)가 고정된 제2승강블록(730)이 상측으로 미세하게 승강되어 공구대(790)에 구비된 절삭휠(800)가 상측으로 미세하게 이동되어, 이송테이블(200) 복귀시 절삭공구(850)가 가공면에 접촉되는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어서, 상기 이송테이블(200)이 복귀된 것이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에 신호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실린더(750)를 작동시켜서 제3리드스크류(72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공구대(790), 즉, 절삭휠(800)가 하강되어 원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승강블록(730)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걸림홈과 동일한 형태의 단면 T자 형상의 걸림홈(73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 걸림홈(732)에는 복수개의 고정너트(734)가 원주방향으로 위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이 고정너트(734)에 상기 절삭휠(800)가 연결된 공구대(790)가 볼트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구대(790)는 제2승강블록(730)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너트(7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공구대(790)는 이송테이블(20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각도를 조절할 수있게된다.
상기 절삭공구대(700)를 위치 이동시키는 위치이동수단(600)은 상기 절삭공구대(70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이 절삭공구대(700)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1위치이동수단(610)과, 상기 제1위치이동수단(610)과 상기 지지프레임(500) 사이에 연결되어 제1위치이동수단(610)을 이송테이블(20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2위치이동수단(6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위치이동수단(650)은 상기 지지프레임(500)의 상단에 이송테이블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 고정설치되며 그 일측면 중앙부에는 이송테이블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제2가이드레일(652)이 마련된 가이드블록(654)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중앙부에 그 일측이 노츨되도록 삽입되되 상기 제2가이드레일(654)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위치이동수단(610)이 연결되는 제2리드스크류(656)와, 이 제2리드스크류(656)의 일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제2리드스크류(656)를 정역회전 시키는 제2조작핸들(65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위치이동수단(610)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6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제2리드스크류(666)에 연결되어 이 제2리드스크류(666)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송테이블(200)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위치 이동되며 그 일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절삭공구대(700)를 안내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길게 제1가이드레일(612)이 마련된 전후이송블록(614)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612)의 중앙부에 그 일측이 노츨되도록 삽입되되 상기 제1가이드레일(612)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상기 절삭공구대(700)가 연결되는 제1리드스크류(616)과, 이 제1리드스크류(616)의 일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제1리드스크류(616)를 정역회전시키는 제1조작핸들(61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위치이동수단(600)은 제2조작핸들(658)를 정역회전시키면 제2리드스크류(656)가 정역회전되면서 제1이송수단(610)이 제2가이드레일(652)을 따라 전후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조작해들(618)를 정역회전시키면 제1리드스크류(616)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절삭공구대(700)가 제1가이드레일(612)을 따라 상하 위치이동된다. 따라서, 절삭휠(800)가 연결되는 절삭공구대(700)는 상기 제1조작핸들(618) 및 제2조작핸들(658)를 정역회전시키기만 하면 이송테이블(200)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 및 상하로 위치이동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리드스크류(616,656)를 제1 및 제2조작핸들(618,658)에 의해 수작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및 제2리드스크류(616,656)에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를 연결하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절삭휠(800)는 절삭공구(85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절삭공구대(700)의 공구대(790)의 일단부 하측, 즉, 서로 인접된 각각의 공구대(790) 일단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수직방향의 결합홈(810)이 다수개 형성되고, 이 각각의 결합홈(810)의 일측 상하부에는 상기 결합홈(810)의 내부로 연통된 한 쌍의 나사공(812)이 각각 형성되어, 이 나사공(812)에 한 쌍의 고정볼트(814)를 결합하여 이 고정볼트(814)로 상기 결합홈(810)에 절삭공구(850)를 하향 돌출되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삭공구(850)는 서로 마주보도는 절삭휠(800)에 한 쌍이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절삭공구(850)가 회전되면서 피가공물(10)의 가공면을 절삭하게 되면 절삭과 동시에 가공면에 광택이 나게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810)은 절삭공구(850)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볼트(814)를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결합홈(810)에서 절삭공구(850)가 측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공구(850)는 상기 절삭휠(800)의 결합홈(810)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생크(852)와, 이 생크(852)의 하단부에 부착 고정되는 천연 또는 인공 다이아몬드팁(854)으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번호 890은 상기 공구대(79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절삭휠(8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이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밸트와 풀리에 의해 절삭휠(800)에 전달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모터를 절삭휠(800)의 회전축에 직결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는 작업자가 피가공물(10)의 가공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이송테이블(200)의 상면, 즉 상기 이송테이블(200)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지지블록(250)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가압실린더(412)와 제1실린더(453)을 작동시키면 이 가압실린더(412)와 제1실린더(453)에 각각 연결된 승강가압부재(414)가 하강됨과 동시에 한 쌍의 회동가압부재(454)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피가공물(10)을 이송테이블(200)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이송실린더(300)를 작동시켜 상기 이송테이블(200)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면 절삭공구(850)가 결합된 절삭휠(800)가 모터(890)의 회전력에 의해 피가공물(10)의 가공면이 소정 두께 절삭 가공되며, 가공면은 절삭과 동시에 광택이 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광택장치는 작업자가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피가공물을 안착시켜 이송시키기만 하면, 절삭휠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절삭공구(DIA)에 의해 피가공물의 가공면이 신속하고 균일하게 절삭되면서 광택이 나므로, 종래와 같이 수작업으로 피가공물의 단부면을 광택을 내는 것에 비해,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생산성이 현저히 상승됨은 물론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상면에 테이블 가이드레일이 수평상태로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테이블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에 연결되어 이송테이블을 좌우로 왕복 이송시키는 테이블이송수단과,
    상기 이송테이블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이송테이블 상부에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 중앙에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으로 수직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이송테이블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설치되며 위치이동수단에 의해 전, 후, 상, 하 위치이동 조작이 가능하게 구비된 절삭공구대와,
    피가공물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절삭공구대의 일단부 하측에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절삭공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절삭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이송수단은 상기 테이블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이 테이블 가이드레일과 서로 평행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일단부가 이송테이블에 연결 고정된 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이송수단은 상기 테이블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이 테이블 가이드레일과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송테이블이 연결되는 테이블이송 리드스크류와,
    이 테이블이송 리드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이송테이블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한 쌍의 가압실린더와,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압실린더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되어 피가공물의 상면을 가압하는 승강가압부재로 이루어진 제1클램핑수단과,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면 전후방에 서로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들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 고정된 제1회동아암과,
    일단부가 이송테이블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회동아암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제1회동아암을 회동시켜 상기 회전축들을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와,
    상기 각각의 회전축 상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이송테이블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회동되어 피가공물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회동가압부재로 이루어진 제2클램핑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이송테이블의 상면 중앙부에 이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을따라 수평상태로 설치되며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흡착공이 형성된 흡착블록과,
    상기 흡착공에 결합되어 피가공물을 진공흡착하는 흡착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된 고정판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판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단면 T자 형상의 걸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는 복수개의 고정너트가 끼움결합되어 원주방향으로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고정너트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상기 절삭공구대에 연결되어 이 절삭공구대를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키는 제1위치이동수단과,
    이 제1위치이동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제1위치이동수단을 이송테이블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위치이동시키는 제2위치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위치이동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이송테이블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 고정설치되며 그 일면 중앙부에는 이송테이블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제2가이드레일이 마련된 가이드블록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중앙부에 이 제2가이드레일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위치이동수단을 전후로 위치이동시키는 제2리드스크류와,
    이 제2리드스크류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2리드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제2조작핸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위치이동수단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과 제2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제2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되며 그 일면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제1가이드레일이 마련되어 이 제1가이드레일에 상기 절삭공구대가 결합되는 전후이동블록,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중앙부에 이 제1가이드레일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절삭공구대를 상하로 위치이동시키는 제1리드스크류와,
    이 제1리드스크류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1리드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제1조작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대는 상기 제1리드스크류 및 제1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블록과,
    이 승강블록의 일측에 이송테이블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절삭휠가 결합되는 공구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제1리드스크류 및 제1가이드레일에 결합되며 일면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제3가이드레일 마련된 제1승강블록과,
    상기 제3가이드레일의 중앙부에 제3가이드레일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제3리드스크류와,
    상기 제3가이드레일과 제3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제3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며 상기 공구대가 고정 결합되는 제2승강블록과,
    상기 제3리드스크류의 일단부에 고정된 제2회동아암과,
    일단부가 상기 제2승강블록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회동아암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제2회동아암을 회동시켜 상기 제3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KR20-2004-0032379U 2004-11-16 2004-11-16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KR200374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379U KR200374289Y1 (ko) 2004-11-16 2004-11-16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379U KR200374289Y1 (ko) 2004-11-16 2004-11-16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832A Division KR100556094B1 (ko) 2004-09-24 2004-09-24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289Y1 true KR200374289Y1 (ko) 2005-01-27

Family

ID=4944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379U KR200374289Y1 (ko) 2004-11-16 2004-11-16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2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4485A (zh) * 2023-12-25 2024-01-30 陕西烨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变速箱壳体打磨装置
CN117564856A (zh) * 2024-01-16 2024-02-20 新程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打磨工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4485A (zh) * 2023-12-25 2024-01-30 陕西烨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变速箱壳体打磨装置
CN117564856A (zh) * 2024-01-16 2024-02-20 新程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打磨工具
CN117564856B (zh) * 2024-01-16 2024-03-22 新程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打磨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757048U (zh) 一种工件抛光装置
CN112405395A (zh) 一种可调节夹持宽度的五金夹持设备
KR100556094B1 (ko)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CN215239923U (zh) 一种五金配件加工用表面打磨装置
CN108857751B (zh) 一种石材打磨机
KR200388826Y1 (ko)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KR200374289Y1 (ko) 금속재 프레임 광택장치
CN210677021U (zh) 一种不锈钢零部件加工设备
CN213970316U (zh) 一种便于固定加工件的平面磨床
CN213828296U (zh) 一种玻璃双边直线磨边机
CN11471420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磨床定位工装装置
CN211992309U (zh) 一种全自动磨削机构
CN220372947U (zh) 一种板材抛光装置
CN219401797U (zh) 一种高精密的板件折圆弧模具
CN113059468B (zh) 一种用于加工木料转角的抛光装置
CN218947250U (zh) 一种模头打磨打孔机
CN219403827U (zh) 一种珩磨机的夹紧机构
CN220145717U (zh) 一种可调式模具加工支撑装置
CN215279571U (zh) 一种转塔冲床送料机构
CN216442390U (zh) 一种机械加工用可调多功能夹具
CN212020273U (zh) 一种瓷片磨边机
CN214080557U (zh) 一种加工异型轧辊的特殊装置
CN218195006U (zh) 一种便于对角度固定的锻造模具用夹持装置
CN216829644U (zh) 一种粗精平面铣磨床
CN219005300U (zh) 一种立式雕铣机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