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247Y1 -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 Google Patents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247Y1
KR200374247Y1 KR20-2004-0030983U KR20040030983U KR200374247Y1 KR 200374247 Y1 KR200374247 Y1 KR 200374247Y1 KR 20040030983 U KR20040030983 U KR 20040030983U KR 200374247 Y1 KR200374247 Y1 KR 200374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protrusion
vertical flame
gas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용
Original Assignee
김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용 filed Critical 김화용
Priority to KR20-2004-0030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2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4Preventing flame lift-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20Flame lift-off /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염공으로부터 생성되는 화염의 리프팅 현상을 방지하여 화염의 불완전 연소를 예방 하는 수직염공의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의 둘레에 가스를 수직으로 분출하는 다수의 수직염공이 구비된 버너헤드를 포함하는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의 상부 중앙인 수직염공들의 내측에는, 버너헤드의 상부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된 돌출대와 이 돌출대의 상부 둘레에 돌출 구비되어 수직염공의 상부를 이격되게 막는 둘레 돌출판 및 상기 둘레 돌출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분출 가스가 와류를 일으켜 속도가 줄어들면서 외측으로 분출되게 하는 가스 와류공간을 포함하는 리프팅 방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Lifting prevention burner}
본 고안은 수직화염의 리프팅 현상(이하, "리프팅"이라 칭함)을 방지하기 위한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버너헤드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염공으로부터 생성되는 화염의 리프팅을 방지하여 화염의 불완전 연소를 예방 하는 수직염공의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버너라 함은 가스의 염공 분출을 통해 화염이 발생되게 하는 기구를 총칭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버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와 1차공기가 유입되는 벤츄리관(101)과 가스와 1차공기가 상호 혼합되는 혼합실(102)을 포함하는 버너바디(100)와, 상기 혼합실(102)의 상부를 커버하며 다수의 염공이 형성된 버너헤드(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200)에 형성되는 염공은, 버너헤드(200)의 둘레에 형성되어 혼합실(102)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주 염공(201)과 버너헤드(200)의 상부의 주위 둘레에 구비되어 혼합실(102)의 가스를 수직으로 분출하는 수직염공(202)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버너헤드(200)는, 헤드와 캡이 상호 분리되어 조립을 통해 구성되는 2피스형과 헤드와 캡이 일체로 구성된 일체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벤츄리관(101)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면 이와 동시에 1차공기도 함께 벤츄리관(101)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벤츄리관(101)으로 유입된 가스와 1차공기는 혼합실에서 혼합된 후 버너헤드(2)의 둘레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주 염공(201)과 수직염공(202)을 통해 분출되어 점화장치를 통해 착화됨에 따라 화염을 분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너를 사용함에 있어서, 버너헤드(2)의 둘레에 형성된 주 염공(201)에서 분출되는 가스는 벤츄리관(101)을 통과한 후 바로 버너헤드(200)의 하면과 충돌된 다음 사방의 주 염공(201)으로 분출됨으로 안정적인 화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벤츄리관(101)을 통과한 가스는 버너헤드(200)의 하면과 충돌되어 버너헤드(200)의 하부에서 사방으로 확산된 다음 둘레의 주 염공(201)으로 분출됨에 따라 일정한 높이의 화염을 균일하게 분출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정된 화염이 생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버너헤드(20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염공(202)은 버너헤드(200)에 수직으로 관통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벤츄리관(101)으로부터분출되는 가스가 바로 수직염공(202)을 통과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과정을 통해 화염이 생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수직염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벤츄리관을 통과한 다음 바로 분출될 경우에는 화염이 뜨는 현상인 리프팅(Lifting)이 발생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스가 벤츄리관을 통과한 다음 바로 수직염공을 저항없이 통과 분출할 경우에는 분출가스의 유속이 일종의 제트기류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분출 가스가 수직염공으로 바로 분출될 경우에는 무저항 수직 제트기류가 형성됨에 따라서 화염이 수직염공으로부터 뜨는 현상인 리프팅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화염의 리프팅으로 인하여 가스가 불완전 연소되고, 이러한 불완전 연소시에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오염물질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버너헤드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염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통해 생성되는 화염이 뜨는 현상인 리프팅을 방지하여 화염의 불완전 연소를 예방하고자 하는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직염공으로부터 생성되는 화염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수직염공으로부터 생성되는 화염을 버너헤드의 상부에서 외부로 확산 되게 함으로서 고화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버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버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버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버너를 나타낸 전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돌출대 및 함몰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버너를 나타낸 전단면도.
도 9는 도 8의 C부 확대도.
도 10은 종래의 버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너바디
11 : 벤츄리관
12 : 혼합실
2 : 버너헤드
21 : 주 염공
22 : 수직염공
23 : 함몰홈
231 : 탭홀
3 : 리프팅 방지수단
31 : 돌출대
32 : 둘레 돌출판
33 : 가스 와류공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의 둘레에 가스를 수직으로 분출하는 다수의 수직염공이 구비된 버너헤드를 포함하는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의 상부 중앙인 수직염공들의 내측에는, 버너헤드의 상부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된 돌출대와 이 돌출대의 상부 둘레에 돌출 구비되어 수직염공의 상부를 이격되게 막는 둘레 돌출판 및 상기 둘레 돌출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분출 가스가 와류를 일으켜 속도가 줄어들면서 외측으로 분출되게 하는 가스 와류공간을 포함하는 리프팅 방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버너는, 가스와 1차공기가 유입되는 벤츄리관(11)과 가스와 1차공기가 혼합되는 혼합실(12)을 포함하는 버너바디(1)와, 상기 혼합실(12)의 상부를 커버하며 둘레에는 혼합실(12)로부터 가스가 분출되는 주 염공(21)이 형성되고 있고 상부의 둘레에는 혼합실(12)의 가스를 수직으로 분출하는 수직염공(22)으로 구비되어 있는 버너헤드(2)로 구성된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2)의 상부 중앙인 수직염공(22)들의 내측에는,
버너헤드(2)의 상부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된 돌출대(31)와 이 돌출대(31)의 상부 둘레에 돌출 구비되어 수직염공(22)의 상부를 이격되게 막는 둘레 돌출판(32)및 상기 둘레 돌출판(32)의 하부에 형성되어 분출 가스가 와류를 일으켜 속도가 줄어들면서 외측으로 분출되게 하는 가스 와류공간(33)을 포함하는 리프팅 방지수단(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가스 와류공간(33)은 상기 둘레 돌출판(32)의 하부와 수직염공(22)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대(31)의 외측면을 내측에 두고 외측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직염공(22)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분출되는 가스가 둘레 돌출판(32)의 하부에 충돌된 다음 상기 수직염공(22)의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키면서 가스 와류공간(33)의 외측으로 분출됨으로서 화염이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수직염공(22)들은 버너헤드(2)의 상부 중앙 둘레의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대(31)의 외측과 둘레 돌출판(32) 외측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둘레 돌출판(32)이 각 수직염공(22)의 상부를 일부만 막으며 형성되고, 상기 가스 와류공간(33)은 상기 돌출대(31)의 외측으로 내측이 형성되어 외측 둘레가 전체적으로 개방되는 원형링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너헤드(2)는, 헤드와 캡이 상호 분리되어 조립을 통해 구성되는 2피스형과 헤드와 캡이 일체로 구성된 일체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본 고안은 2피스형이나 일체형 모두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버너헤드(2)의 종류와는 관계없이 수직염공(22)이 형성되어 있는 버너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직염공(22)을 통해 가스가 상부로 분출되게 되면, 분출되는 가스는 상기 둘레 돌출판(32)의 하면과 충돌된 다음 가스 와류공간(33)에서 와류를일으키면서 둘레 돌출판(32)의 하부 외측으로 분출됨으로서 화염이 생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수직염공(22)을 통해 수직으로 분출되는 화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둘레 돌출판(32)의 하면에 충돌되어 속도가 급격히 하강된 후 와류를 일으킨 다음 둘레 돌출판(32)의 외측으로 분출됨에 따라서, 화염의 생성시 화염이 뜨는 현상인 리프팅이 예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직염공(22)을 통해 생성되는 화염이 리프팅되지 않고 완전히 연소됨에 따라서,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방출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버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버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전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버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2)의 상부 중앙인 수직염공(22)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대(31)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홈(23)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대(31)을 버너헤드(2)의 상부에 형성된 함몰홈(23)이 삽입을 통해 용이하게 장착하고, 돌출대(31)를 함몸홈(23)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시킴에 따라서, 버너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돌출대 및 함몰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함몰홈(23)의 내측과 돌출대(31)의 하부 외측에는 탭부(231)와 나선부(311)가 더 구비되어 상호 체결을 통해 조립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대(31)를 버너헤드(2)의 상부에 형성된 함몰홈(23)에 체결을 통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돌출대(31)를 함몰홈(2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킴에 따라서 버너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대(31)의 체결 높이를 조정하여 돌출대(31)의 상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판(32)의 높이를 조정함에 따라서, 수직염공(22)으로부터 생성되는 화염의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서 수직염공(22)의 화염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버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부 확대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버너는, 상기 제1실시예의 버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직염공(22)들은 버너헤드(2)의 상부 중앙 둘레의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대(31)의 외측과 둘레 돌출판(32)의 외측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둘레 돌출판(32)이 각 수직염공(22)의 상부를 완전히 막으며 형성되고, 상기 가스 와류공간(33)은 상기 돌출대(31)의 외측으로 내측이 형성되어 외측 둘레가 전체적으로 개방되는 원형링 공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둘레 돌출판(32)이 수직염공(22)의 상부를 외측이 개방되게 완전히 막음에 따라서, 가스 와류공간(33)의 외측으로 확산되는 가스가 둘레 돌출판(32)을 통해 외측 사방으로 넓게 퍼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직염공(22)의 상부를 완전히 막는 둘레 돌출판(32)의 주위에서 화염이 넓은 가열면적으로 생성되게 됨으로서 고화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너헤드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염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의 화염이 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염의 불완전 연소를 예방함으로서, 불완전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유해성분의 방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으로 화염이 분출되는 버너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수직염공으로부터 생성되는 화염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력 조절이 가능한 버너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수직염공으로부터 생성되는 화염을 버너헤드의 상부에서 외부로 확산되게 함으로서 고화력을 얻을 수 있는 버너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5)

  1. 벤츄리관(11)과 혼합실(12)을 포함하는 버너바디(1)와, 상기 혼합실(12)의 상부를 커버하며 둘레에는 주 염공(21)이 형성되고 상부의 둘레에는 가스를 수직으로 분출하는 다수의 수직염공(22)이 구비되어 있는 일체형이나 다수로 분할되어 조립된 버너헤드(2)로 구성된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2)의 상부 중앙인 수직염공(22)들의 내측에는,
    버너헤드(2)의 상부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된 돌출대(31)와 이 돌출대(31)의 상부 둘레에 돌출 구비되어 수직염공(22)의 상부를 이격되게 막는 둘레 돌출판(32) 및 상기 둘레 돌출판(32)의 하부에 형성되어 분출 가스가 와류를 일으켜 속도가 줄어들면서 외측으로 분출되게 하는 가스 와류공간(33)을 포함하는 리프팅 방지수단(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직염공(22)들은 상부 중앙 둘레의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대(31)의 외측과 둘레 돌출판(32)의 외측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둘레 돌출판(32)이 각 수직염공(22)의 상부를 일부만 막으며 형성되고,
    상기 가스 와류공간(33)은 상기 돌출대(31)의 외측으로 내측이 형성되어 외측 둘레가 전체적으로 개방되는 원형링 공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직염공(22)들은 버너헤드(2)의 상부 중앙 둘레의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대(31)의 외측과 둘레 돌출판(32)의 외측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둘레 돌출판(32)이 각 수직염공(22)의 상부를 완전히 막으며 형성되고,
    상기 가스 와류공간(33)은 상기 돌출대(31)의 외측으로 내측이 형성되어 외측 둘레가 전체적으로 개방되는 원형링 공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2)의 상부 중앙인 수직염공(22)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대(31)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홈(23)이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23)의 내측과 돌출대(31)의 하부 외측에는 탭부(231)와 나선부(311)가 더 구비되어 상호 체결을 통해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KR20-2004-0030983U 2004-11-02 2004-11-02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KR200374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983U KR200374247Y1 (ko) 2004-11-02 2004-11-02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983U KR200374247Y1 (ko) 2004-11-02 2004-11-02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247Y1 true KR200374247Y1 (ko) 2005-01-27

Family

ID=4935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983U KR200374247Y1 (ko) 2004-11-02 2004-11-02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2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451B1 (ko) 2007-10-24 2008-01-30 이동석 가스버너 구조
KR100879732B1 (ko) 2007-05-04 2009-01-22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32B1 (ko) 2007-05-04 2009-01-22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
KR100799451B1 (ko) 2007-10-24 2008-01-30 이동석 가스버너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285B1 (ko)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82664B1 (ko)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KR200374247Y1 (ko) 수직화염의 리프팅 방지용 버너
JP2000154907A (ja) こんろ用のバーナ
KR0158913B1 (ko) 가스버너
JP2006226619A (ja) ガスバーナー
KR200344899Y1 (ko) 가스기기의 이중 화염 버너구조
KR200178206Y1 (ko)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KR101038157B1 (ko) 가스레인지의 국물유입 방지구조
JPH06221525A (ja) 燃焼装置
JPH11264517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KR200327814Y1 (ko) 가스버너
KR200210408Y1 (ko) 예혼합가스 버너
KR100678283B1 (ko) 가스 버너
KR200309322Y1 (ko) 가스기기의 버너
KR200324359Y1 (ko) 가스기기의 이중버너 염공구조
KR20040575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버너 착화장치
KR100990442B1 (ko) 세라믹판형 버너
JP2006022973A (ja) バーナとそれを用いたコンロ
KR20090006533U (ko) 가스버너용 점화장치
KR20070045859A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버너 착화장치
KR20010018594A (ko) 가스조리기의 버너 염공구조
KR200212255Y1 (ko)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JP4005951B2 (ja) ガスバーナ
KR100380696B1 (ko)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