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255Y1 -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 Google Patents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255Y1
KR200212255Y1 KR2020000023733U KR20000023733U KR200212255Y1 KR 200212255 Y1 KR200212255 Y1 KR 200212255Y1 KR 2020000023733 U KR2020000023733 U KR 2020000023733U KR 20000023733 U KR20000023733 U KR 20000023733U KR 200212255 Y1 KR200212255 Y1 KR 200212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vortex
cap
bur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주용
Original Assignee
양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주용 filed Critical 양주용
Priority to KR2020000023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255Y1/ko

Links

Landscapes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너바디의 일측인 염공의 바로 하측에 가스가 유입되는 와류부를 형성하여 이 와류부에서 초기점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야외용 가스렌즈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바디의 측벽에는 상측에 홈부와 중앙에 가스배출공이 천공된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출돌기의 외측에는 일측벽에 개방부가 형성된 캡이 장착되며, 상기 개방부의 전방인 버너바디의 외측에는 돌출부가 구비된 와류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A burner to prevent the ignition faulty}
본 고안은 야외용 가스렌지의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버너바디의 일측인 염공의 바로하측에 가스가 유입되는 와류부를 형성하여 이 와류부에서 초기점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의 연소방식은 적화식(赤化式), 분젠식, 전1차공기식, 및 적화식과 분젠식의 중간타입인 세미분젠식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가정 또는 야외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스기기(가스렌즈, 야외용 가스렌즈등)에는 상기 분젠식 연소방식을 이용하는 버너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 통상적으로 야외용 가스렌지에 사용되는 버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측에는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가스가 1차공기와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혼합관을 통해 유입된 혼합가스가 다수의 염공을 통해 균등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혼합실이 구비된 버너바디와, 이 버너바디의 상측에 올려지며 하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염공이 구비된 버너헤드가 서로 조립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야외용 가스렌지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버너의 연소과정은, 먼저, 야외용 가스렌지의 노브(도시 않됨)를 회전시켜 혼합관의 후방에 설치된 노즐은 통해 가스가 분사되게 되면, 이때 가스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외부공기(1차공기)가 댐퍼를 통해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후 혼합관을 통과한 혼합가스는 버너바디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혼합실로 유입됨과 동시에 버너헤드의 하측 주연부에 형성된 다수의 염공을 통해 혼합가스가 분출되며, 이 혼합가스는 별도의 점화수단을 통해 점화되어 연소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야외용버너에서 사용되고 있는 점화수단으로는 압점방식(壓電方式)을 이용하는 이그나이터가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그나이터를 통해 염공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함에 있어서, 이그나이터의 끝단이 염공들중 하나의 염공 전방에 장착됨으로서, 외부의 충격등으로 인하여 이그나이트의 끝단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는 초기점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버너바디의 일측인 염공의 바로하측에 와류부를 형성하고, 이 와류부에 버너바디에서 별도로 배출되는 가스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점화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초기점화의 불량을 방지하는 버너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버너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와류부의 적정위치에 이그나이터의 끝단을 위치시킴으로서, 이그나이터가 외부의 충격등으로 인하여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점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와류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분출속도와 점화속도를 일치시켜 리프팅 등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야외용 가스렌즈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바디의 측벽에는 상측에 홈부와 중앙에 가스배출공이 천공된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출돌기의 외측에는 일측벽에 개방부가 형성된 캡이 장착되며, 상기 개방부의 전방인 버너바디의 외측에는 돌출부가 구비된 와류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너가 장착된 야외용 가스렌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버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너바디
11 : 혼합관
12 : 혼합실
13 : 측벽
2 : 버너헤드
21 : 염공
3 : 이그나이터
4 : 돌출돌기
41 : 홈부
42 : 경계면
43 : 가스배출공
5 : 캡
51 : 일측벽
511 : 개방부, 511a : 수평장공, 511b : 경사장공
52 : 전방벽
6 : 와류부
61 : 경사면
7 : 점화함몰부
8 : 노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너가 야외용 가스렌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버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는 혼합관(11)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혼합실(12)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버너바디(1)와, 이 버너바디(1)의 상측에 올려지며 하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염공(21)이 구비된 버너헤드(2), 및 상기 염공(21)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하는 이그나이터가 포함되는 통상의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바디(1)의 측벽(13)에는 상측에 홈부(41)가 형성되어 이 홈부(41)의 경계면(42)에 혼합실(12)과 관통되는 가스배출공(43)이 천공된 돌출돌기(4)가 형성되고, 이 돌출돌기(4)의 외측에는 일측벽(51)에 가스가 분출되는 개방부(511)가 형성된 캡(5)이 체결요소를 통해 장착되며, 상기 개방부(511)의 전방인 버너바디(1)의 외측에는 돌출부(61)가 형성되어 개방부(511)와 돌출부(61)의 사이에는 와류부(6)가 형성되고, 상기 캡(5)과 와류부(6)의 상측인 버너바디(1)의 주위에는 와류부(6)에서 점화된 화염의 불옮김을 용이하게 하는 점화 함몰부(7)가 형성되며, 상기 와류부(6)의 중앙에는 이그나이터(3)의 끝단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캡(5)은 상기 돌출돌기(4)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조립됨으로서, 상기 가스배출공(43)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캡(5)의 일 측벽(51)에 형성된 개방부(511) 이외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상기 돌출돌기(4)의 경계면(42)에는 가스가 캡(5)의 전방벽(52)과 충돌되어 압력이 감소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스배출공(43)에서 연장되는 반원홈부(4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41)의 상측에는 상기 가스배출공(43)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를 캡(5)의 개방부(511)쪽으로 안내하는 수평돌출부(4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류부(6)에는 염공(21)쪽으로 화염을 안내하여 점화를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61)이 버너바디(1)의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5)의 일측벽(51)에 형성된 개방부(511)는, 캡(5)의 일 측벽(51)의 상단에서 절개되어 형성된 수평장공(511a)과, 이 수평장공(511a)에서 연장되어 상기 와류부(6)의 경사면(61)과 일정한 공간을 두어 형성된 경사장공(511b)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홈부(41)의 양측 폭(L1)이 상기 돌출돌기(4)의 양측 폭(L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서, 가스가 상기 개방부(511)를 형성하는 경사장공(511b)으로도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돌출돌기(4)의 중앙에 형성된 가스배출공(43)의 가스배출 단면적보다 상기 개방부(511)의 가스배출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서, 상기 가스배출공(43)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속도보다 상기 개방부(511)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511)에서 배출된 가스의 압력도 저하됨으로서 와류부(6)에서의 가스잔류시간을 길게할 수 있는 것이다.
미 설명부호, '8'은 야외용 가스렌즈의 전방에 장착되어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노브'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렌즈의 전방에 장착된 노브(8)를 회전시키게 되면, 버너바디(1)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혼합관(11)을 통해 가스통(도시않됨)에 채워진 부탄가스가 버너바디(1) 내부의 혼합실(12)로 유입된다.
그후 상기와 같이 혼합실(12)로 유입된 가스는 버너헤드(2)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된 염공(21)들을 통해 외부로 분출됨과 동시에, 일부의 가스는 버너바디(1)의 측벽(13)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돌기(4)의 가스배출공(43)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배출공(43)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5)의 전방벽(52)과 충돌됨과 동시에 와류를 일으키면서 상승된다. 그후 와류를 일으키며 상승되는 가스는 돌출돌기(4)의 홈부(41)로 유입된 다음, 홈부(41)의 상측에 형성된 수평돌출부(422)의 안내를 받아 캡(5)의 일측벽(51)에 형성된 개방부(511)를 통과하여 버너바디(1)의 외측에 구비된 와류부(6)로 유입되어 재차 와류를 일으키면서 순간적으로 잔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캡의 내부에서 가스가 와류를 일으키게 됨에 따라서 고압으로 배출되는 가스의 분출속도를 저하시킴에 따라 점화속도와 상기 개방부(511)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분출속도를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스가 와류부(6)에 도착하는 시점과 동시에 노브(8)를 점화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그나이터(3)의 끝단에서는 스파크가 방출됨으로서 가스의 점화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류부(6)에서 생성된 화염은 와류부(6)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상승된 다음, 상승된 화염은 버너바디(1)의 주연부에 형성된 점화함몰부(7)를 통과한 후 염공(21)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와류부(6)에서 가스가 와류되게 함으로서, 이그나이터(3)가 외부충격등으로 유동되더라도 가스의 점화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너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와류부에서 초기점화를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야외용 가스렌즈의 장기간 사용시 발생되는 점화불량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버너바디 일측의 일정한 공간에 와류부를 형성하여 이그나이터를 장착함으로서, 이그나이터가 외부의 충격등으로 인하여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점화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와류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분출속도와 점화속도를 일치시켜 리프팅 등을 방지함으로서, 와류부에서 생성되는 화염이 염공쪽으로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하부에는 혼합관(11)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혼합실(12)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버너바디(1)와, 이 버너바디(1)의 상측에 올려지며 하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염공(21)이 구비된 버너헤드(2), 및 상기 염공(21)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하는 이그나이터(3)가 포함되는 통상의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바디(1)을 구성하는 측벽(13)에는 상측으로 홈부(41)가 형성되어 이 홈부(41)의 경계면(42)에 혼합실(12)과 관통되는 가스배출공(43)이 천공되어 있는 돌출돌기(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돌기(4)의 외측에는 일 측벽(51)에 가스분출 개방부(511)가 형성된 캡(5)이 체결요소를 통해 장착되며,
    상기 가스분출 개방부(511)의 전방인 버너바디(1)의 외측에는 돌출부(61)가 형성되어 개방부(511)와 돌출부(61)의 사이에 와류부(6)가 형성되고,
    상기 와류부(6)의 중앙에는 이그나이터(8)의 끝단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5)과 와류부(6)의 상측인 버너바디(1)의 주위에는 와류부(6)에서 점화된 화염의 불옮김을 용이하게 하는 점화 함몰부(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기(4)의 경계면(42)에는 가스가 캡(5)의 전방벽(52)과 충돌되어 압력이 감소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스배출공(43)에서 연장되는 반원홈부(4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41)의 상측에는 상기 가스배출공(43)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를 캡(5)의 개방부(511)쪽으로 안내하는 수평돌출부(4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41)의 양측 폭(L1)이 상기 돌출돌기(4)의 양측 폭(L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부(6)에는 염공(21)쪽으로 화염을 안내하는 경사면(61)이 버너바디(1)의 외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5)의 일측벽에 형성된 개방부(511)는, 캡(5)의 일 측벽(51)의 상단에서 절개되어 형성된 수평장공(511a)과 이 수평장공(511a)에서 연장되어 상기 와류부(6)의 경사면(61)과 일정한 공간을 두어 형성된 경사장공(511b)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KR2020000023733U 2000-08-22 2000-08-22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KR200212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33U KR200212255Y1 (ko) 2000-08-22 2000-08-22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33U KR200212255Y1 (ko) 2000-08-22 2000-08-22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508A Division KR100380696B1 (ko) 2000-08-22 2000-08-22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255Y1 true KR200212255Y1 (ko) 2001-02-15

Family

ID=7308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733U KR200212255Y1 (ko) 2000-08-22 2000-08-22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2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486B1 (ko) 곤로용 버너
CN111336517A (zh) 燃烧器的喷头组件、燃烧器和干衣机
KR200212255Y1 (ko)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KR100380696B1 (ko) 점화불량 방지용 버너
US5711662A (en) Gas lighter
KR0158913B1 (ko) 가스버너
KR20040575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버너 착화장치
KR100364698B1 (ko) 가스버너의 버너캡 구조
KR200344899Y1 (ko) 가스기기의 이중 화염 버너구조
KR200249581Y1 (ko) 토치용 화구
KR20070045859A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버너 착화장치
KR100353431B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KR200396588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소화 방지용 고화력 버너
KR20010095890A (ko) 가스버너
KR100259163B1 (ko) 가스렌지의 버너구조
KR20010055131A (ko) 가스조리기의 버너 염공구조
KR20010018594A (ko) 가스조리기의 버너 염공구조
KR200396589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리프팅 방지용 고화력 버너
ITRM950402A1 (it) Miscelatore per un bruciatore di impianti di combustione di piccole dimensioni.
KR100360856B1 (ko) 가스조리기의 버너 염공구조
KR100187029B1 (ko) 2중 벤츄리 버너
KR20020035977A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KR200158419Y1 (ko) 가스오븐렌지용 세라믹 그릴버너의 점화장치
KR100299320B1 (ko) 환염형 가스버너
JP2828865B2 (ja) ガンタイプ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