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501Y1 - 포장용 완충재 - Google Patents

포장용 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501Y1
KR200373501Y1 KR20-2004-0028600U KR20040028600U KR200373501Y1 KR 200373501 Y1 KR200373501 Y1 KR 200373501Y1 KR 20040028600 U KR20040028600 U KR 20040028600U KR 200373501 Y1 KR200373501 Y1 KR 200373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plate
bottom plate
wall portion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옥자
Original Assignee
하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옥자 filed Critical 하옥자
Priority to KR20-2004-0028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조립 방법이 간단하고 제품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가 개시된다. 포장용 완충재는 저판, 저판의 대향하는 양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는 메인 측벽부, 저판의 다른 모서리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측벽판, 제1 연결 측벽판의 양단에 연결되는 연결편 및 연결편 양단의 경사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접착편을 포함하는 제1 연결 측벽부 및 제1 연결 측벽판에 대향하게 저판의 다른 모서리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 측벽판, 중간 측판 및 중간 저판을 포함하는 제2 연결 측벽부를 구비하고, 제2 연결 측벽부는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접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결 측벽부를 저판에 수직하게 들어올리면 간단하게 포장용 완충재로 조립되어 조립 방법이 간단하고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가 안정적이다.

Description

포장용 완충재{CUSHION FOR A PACKAGING BOX}
본 고안은 상자의 포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서 제품을 컴팩트하게 수용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그 제품에 부속된 물품들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상자에 피포장물인 대상물을 적재하는 경우, 대상물을 적재한 후 대상물 및 대상물 사이 또는 대상물 및 포장용 상자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대상물의 형상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2이상의 대상물들을 수납할 때 대상물들의 배치 또는 크기 차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빈 공간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에 외부의 힘이 가해질 때, 상자에서 빈 공간에 인접한 부분이 부분적으로 함몰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며, 상자 내 빈 공간에서의 대상물은 주변으로부터 지지력을 제공 받지 못하여 상자 내에서 이동 또는 충돌할 수 있다.
상자가 함몰 또는 손상되거나, 피포장물이 주변의 지지 없이 상자 내에서 이동 또는 충돌한다면, 피포장물은 운송 과정에서 쉽게 손상 또는 파손될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포장용 상자 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한 용도 또는 피포장물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자 및 피포장물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의 포장용 완충재가 일반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는 냉장고, 텔레비전, 컴퓨터, 에어컨, 휴대폰 등의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 용품을 수용하는 목적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포장용 완충재는 일반적으로 제품의 외형에 알맞게 조립되어 제작되므로 수용하기는 편리하나 부피가 커서 운반이나 보관하기는 불편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포장용 완충재가 전개된 상태로 사업장에 납품되어 제품을 포장할 때 동시에 포장용 완충재를 조립하여 제품을 수용하기도 하지만, 포장용 완충재의 조립 방법이 쉽지 않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립을 쉽게 하기 위해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하면, 포장용 완충재가 외부의 충격을 견디지 못하여 제품이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완충재의 조립 방법이 간단하고 제품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포장용 완충재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피포장물의 크기와 모양에 적당한 수납공간을 손쉽게 형성하는 포장용 완충재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수납 공간을 갖는 포장용 완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 중 삽입편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저판 120,220,320:메인 측벽부
130,230,330:제1 연결 측벽판 140,240,340:제2 연결 측벽판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용 완충재는 저판, 메인 측벽부, 제1 연결 측벽부 및 제2 연결 측벽부를 포함한다.
저판은 포장용 완충재의 저면을 이루고, 메인 측벽부는 저판의 대향하는 양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연결 측벽부는 제1 연결 측벽판, 연결편 및 접착편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측벽판은 저판의 다른 모서리에 연결되어 저판의 측벽을 이루고, 연결편은 제1 연결 측벽판의 양단에 연결된다. 접착편은 연결편의 양단에 경사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메인 측벽부 및 제1 연결 측벽부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측벽부가 경사 접이선에 의해 저판 위에 절곡되면 메인 측벽부는 저판에 수평하게 눕는다. 따라서, 포장용 완충재가 납작하게 절곡되고, 제1 연결 측벽부를 다시 저판 위에 수직하게 조립하면 메인 측벽부가 자동적으로 저판 위에 수직하게 올라온다. 그러므로 포장용 완충재를 간단하게 해제 및 조립할 수 있다.
제2 연결 측벽부는 제2 연결 측벽판과 그 모서리에 연결된 복수개의 중간 측판 및 중간 저판을 포함한다. 제2 연결 측벽판은 제1 연결 측벽판에 대향하는 저판의 다른 모서리에 연결되고, 중간 측판은 제2 연결 측벽판의 타모서리에 연결된다. 그리고,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중간 측판-중간 저판-중간 측판-중간 측판-중간 저판-중간 측판...)의 방식으로 중간 측판과 중간 저판이 피크 형상으로 절곡될 수가 있다. 한 겹 또는 두 겹의 중간 측판에 의해서 중간 측벽이 형성되며, 중간 측벽은 저판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저판의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조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가 있으며, 전자제품의 본체 및 그 부속부품을 다양하게 수납할 수가 있다.
피크 형상의 예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는 대부분이 조립된 형태로 제조되므로 포장용 완충재의 부피가 커서 포장용 완충재를 보관하거나 운반하기가 번거롭다. 그리고, 종이로 구성되는 포장용 완충재는 사용 시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조되어 포장용 완충재를 보관 및 운반할 때는 해제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지만,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외부의 충격에 쉽게 해제되어 대상물에 완충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또한, 완성된 포장용 완충재로 조립하는 방법이 간단하지 않으므로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일부 접착된 반제품 상태로 제공되고, 사용자는 제1 연결 측벽판을 저판 위로 들어 올리면서 메인 측벽부를 자동적으로 저판의 측벽에 고정할 수가 있다. 즉, 조립 방법이 간단하여 시간을 단축하기에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접착편이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접착되어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에 비하여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가 안정적이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포장용 완충재가 해제되지 않고 제품을 안정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완충재를 조립 및 해제가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다수개의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피포장물의 크기와 모양에 적당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판, 메인 측벽부, 제1 연결 측벽부 및 제2 연결 측벽부를 구비한다.
저판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메인 측벽부는 저판의 대향하는 양 모서리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연결 측벽부는 제1 연결 측벽판, 제1 연결편 및 제1 접착편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측벽판은 저판의 다른 모서리에 연결되고, 제1 연결편은 제1 연결 측벽판의 양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접착편은 제1 연결편 양단의 경사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제1 연결 측벽부 및 메인 측벽부를 연결한다. 제2 연결 측벽부는 제2 연결 측벽판, 제2 연결편, 제2 접착편, 중간 측판 및 중간 저판을 포함한다. 제2 연결 측벽판은 제1 연결 측벽판에 대향하는 모서리에 위치하며 저판과 분리되어 있으며, 제2 연결편을 통해서 메인 측벽부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연결 측벽부의 두께가 두꺼워져도 저판 위로 절곡되기 용이하다. 제2 연결편은 제2 연결 측벽판의 양단에 연결되고, 제2 접착편은 제2 연결편 양단의 경사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중간 측판 및 중간저판은 [표 1]과 같은 피크 형상으로 절곡되어 메인 측벽부 및 연결 측벽부에 의해서 제공되는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포장용 완충재는 저판(110), 메인 측벽부(120), 제1 연결 측벽부(130), 제2 연결 측벽부(140), 완충 상판(150), 완충 측판(160) 및 트림부(T)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휴대폰 및 그 부수기재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저판(110)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골판지로 구성된다. 골판지는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재질 자체가 비교적 부드러워 외부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재단 및 절곡을 통해 원하는 구조를 자유롭게 형성 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된 상태로 보관 및 운송될 수 있어 포장재 자체의 물류 비용이 적게 들며, 무엇보다도 저렴하여 제조 및 구입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메인 측벽부(120), 제1 연결 측벽부(130), 제2 연결 측벽부(140), 완충 상판(150) 및 완충 측판(160) 일체는 골판지로 구성된다.
메인 측벽부(120)는 제1 메인 측벽판(122), 제2 메인 측벽판(124) 및 연결부(125)을 포함한다. 제1 메인 측벽판(122)은 저판(110)의 일 모서리에 연결되어 하나의 측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메인 측벽판(124)은 제1 메인 측벽판(122)과 마주하는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측벽을 형성한다.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의 내부에는 횡축으로 길게 슬릿홈(127)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25)의 일모서리는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의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모서리는 제2 연결 측벽부(140)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과 제2 연결 측벽판(142)을 각각 연결 시킨다. 그리고, 저판(110)의 경계와 인접하게 U-자형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보강편(126)이 제공되고, 보강편(126)은 메인 측벽부(120)가 저판(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면,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제1 연결 측벽부(130)는 제1 연결 측벽판(132), 연결편(134) 및 접착편(136)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측벽판(132)은 저판(110)의 나머지 일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저판(110)에 수직하게 절곡된다. 제1 연결 측벽판(132)의 양단에는 연결편(134)이 연결되고, 연결편(134)의 단부에는 경사 접이선(135)을 매개로 접착편(136)이 연결된다. 접착편(136)은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의 내면에 접착되어 메인 측벽부(120) 및 제1 연결 측벽부(130)를 연결시킨다. 제1 연결 측벽판(132) 및 저판(110)의 외측 경계에는 칼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절곡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절곡선 상에는 칼선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절곡선에만 칼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측벽부(140)는 제2 연결 측벽판(142), 제1 중간 측판(144), 중간 저판(145) 및 제2 중간 측판(146)을 포함한다. 제2 연결 측벽판(142)은 제1 연결 측벽판(132)과 대향하는 모서리에 연결되고, 제1 중간 측판(144)은 제2 연결 측벽판(142)의 내면에 접착된다. 제1 중간 측판(144)의 대향하는 모서리에는 중간 저판(145)이 연결되고, 중간 저판(145)의 대향하는 모서리에는 제2 중간 측판(146)이 연결된다. 제1 중간 측판(144) 및 중간 저판(145)의 경계를 수직하게 경유하는 절개선이 형성되고, 제2 연결 측벽판(142)이 저판(110)에 수직하게 절곡되면 상기 절개선을 따라 중간 저판(145)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48a)를 형성한다. 제2 돌출부(148b)는 중간 저판(145) 및 제2 중간 측판(146)의 경계를 경유하는 절개선에 의해서 제1 돌출부(148a)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제1 돌출부(148a) 및 제2 돌출부(148b)의 사이에는 휴대폰의 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148a) 및 제2 돌출부(148b)의 상부에는 휴대폰 본체가 수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돌출부의 형상 및 개수는 변할 수 있다. 제2 중간 측판(146)의 양단부에는 측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삽입편(147)이 제공되고, 삽입편(147)은 슬릿홈(127)에 삽입되어 제2 중간 측판(146)을 저판(110)에 수직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2 중간 측판(146)이 저판(110) 위의 수용 공간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여 다수개의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다.
완충 상판(150)은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고, 완충 측판(160)은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의 마주하는 모서리에 연결된다. 완충 측판(160)은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을 보호한다. 이때, 완충 상판(150)은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과 완충 측판(160)에 간격을 만들어 외부의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 측판(160)의 하부에는 보강편(126)이 밀착되어 완충 측판(160)의 위치를 고정한다.
트림부(T)는 저판(110)의 네 모퉁이의 경계에 마름모 모양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트림부(T)는 조립한 포장용 완충재의 모퉁이를 형성하고, 포장용 완충재의 외곽 모서리는 트림부(T)에 의해서 경사진 코너 형상을 갖는다. 트림부(T)에 의해서 포장용 완충재를 쉽게 상자에 넣고 뺄 수가 있게 되며, 완충재를 상자에 수용한 후에도 포장용 완충재의 외곽 코너가 트림부(T)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상자의 비틀림이 포장용 완충재로 바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트림부(T) 역시 포장용 완충재의 완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트림부(T)가 없을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트림부(T)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조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결 측벽부(130)는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의 내면에 접착편(136)이 접착되어 고정되고, 경사 접이선(135)을 따라 저판(110) 위로 납작하게 절곡된다. 그러면,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부(124)는 저판(110)의 외측으로 납작하게 절곡된다. 이때, 제1 연결 측벽부(130)를 저판(110) 상에 수직하게 절곡 시키면(ⓐ), 제1 메인 측벽판(122) 및 제2 메인 측벽판(124)가 자동적으로 저판(110)에 수직하게 올라온다. 그리고, 삽입편(147)을 슬릿홈(127)에 삽입하여 제2 중간 측판(146)을 저판(110)에 수직하게 고정시키면 포장용 완충재의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제1 연결 측벽부(130), 제2 연결 측벽부(140) 및 제2 중간 측판(146)의 상부 모서리에는 각각 대응되는 U-자형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에 포장용 완충재를 삽입시키면 얇은 소책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포장용 완충재를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보다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접착편(136)이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접착되어 구조가 안정적이므로 제품을 안정적으로 완충할 수 있고, 포장용 완충재를 조립 및 해제가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다수개의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돌출부에 의해 피포장물의 크기와 모양에 적당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 중 삽입편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편(180)의 하부는 슬릿홈(182)에 통과되는 삽입편(180)의 부분보다 아래를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삽입편(180)은 메인 측벽부(170) 및 완충 측판(172)의 슬릿홈(182)을 관통하고, 삽입편(180)의 하부가 완충 측판(172)에 걸리면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러므로 제2 중간 측판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가 안정적이다. 그 외의, 저판, 메인 측벽부, 제1 연결 측벽부, 제2 연결 측벽부, 완충 상판, 완충 측판 및 트림부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포장용 완충재는 저판(210), 메인 측벽부(220), 제1 연결 측벽부(230), 제2 연결 측벽부(240), 완충 상판(250), 완충 측판(260) 및 트림부(T)를 구비한다.
메인 측벽부(220)는 제1 메인 측벽판(222) 및 제2 메인 측벽판(224)을 포함한다. 제1 메인 측벽판(222)은 저판(210)의 일 모서리에 연결되어 하나의 측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메인 측벽판(224)은 제1 메인 측벽판(222)과 마주하는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측벽을 형성한다. 제1 메인 측벽판(222) 및 제2 메인 측벽판(224)의 내부에는 횡축으로 길게 슬릿홈(2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저판(210)의 경계와 인접하게 ㄷ-자형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보강편(226)이 제공되고, 보강편(226)은 메인 측벽부(220)가 저판(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면,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제1 연결 측벽부(230)는 제1 연결 측벽판(232), 제1 연결편(234) 및 제1 접착편(236)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측벽판(232)은 저판(210)의 나머지 일 모서리에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저판(210)에 수직하게 절곡된다. 제1 연결 측벽판(232)의 양단에는 제1 연결편(234)이 연결되고, 제1 연결편(234)의 단부에는 제1 경사 접이선(235)을 매개로 제1 접착편(236)이 연결된다. 제1 접착편(236)은 제1 메인 측벽판(222) 및 제2 메인 측벽판(224)의 내면에 접착되어 메인 측벽부(220) 및 제1 연결 측벽부(230)를 연결시킨다. 제1 접착편(236)은 슬릿홈(227)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접착된다. 따라서, 제1 접착편(236) 및 제2 접착편(242b)은 슬릿홈(227)의 양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므로 삽입편(247)이 삽입되면 삽입편(247)의 양 측부를 지지하여 삽입편(247)이 슬릿홈(227)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제2 연결 측벽부(240)는 제2 연결 측벽판(242), 제1 중간 측판(244), 중간 저판(245) 및 제2 중간 측판(246)을 포함한다. 그리고, 저판(210)과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형성된다. 왜냐하면, 제2 연결 측벽부(240)가 저판(210)에 연결되면 제2 연결 측벽판(242), 제1 중간 측판(244), 중간 저판(245) 및 제2 중간 측판(246)의 두께 때문에 저판(210) 위로 절곡되지 않는다. 그러나, 저판(210)에 분리된 제2 연결 측벽부(240)는 저판(210) 위에 쉽게 절곡되므로 접어서 보관하기에 더욱 용이하다. 제2 연결 측벽판(242)은 제1 연결 측벽판(232)과 대향하는 모서리에 연결되고, 제1 중간 측판(244)은 제2 연결 측벽판(242)의 내면에 접착된다. 제2 연결 측벽판(242)의 양단에는 제2 연결편(242a) 및 제2 접착편(242b)가 연결된다. 제2 접착편(242b)는 제2 연결편(242a)의 단부에 제2 경사 접이선(242c)을 매개로 연결되고, 메인 측벽부(220)의 내면에 접착되어 분리된 제2 연결 측벽부(240)를 연결시킨다. 제1 중간 측판(244)의 대향하는 모서리에는 중간 저판(245)이 연결되고, 중간 저판(245)의 대향하는 모서리에는 제2 중간 측판(246)이 연결된다. 제1 중간 측판(244) 및 중간 저판(245)의 경계를 수직하게 경유하는 절개선이 형성되고, 제2 연결 측벽판(242)이 저판(210)에 수직하게 절곡되면 상기 절개선을 따라 중간 저판(245)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248a)를 형성한다. 제2 돌출부(248b)는 중간 저판(245) 및 제2 중간 측판(246)의 경계를 경유하는 절개선에 의해서 제1 돌출부(248a)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제2 중간 측판(246)의 양단부에는 측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삽입편(247)이 제공되고, 삽입편(247)은 슬릿홈(227)에 삽입되어 제2 중간 측판(246)을 저판(210)에 수직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포장용 완충재는 저판 위에 납작하게 절곡된 상태에서 제1 연결 측벽부(230) 및 제2 연결 측벽부(240)를 저판(210) 위에 수직하게 들어 올리면, 누운 상태의 메인 측벽부(220)가 저판(210) 위에 수직하게 자동적으로 형성되면서 쉽게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연결 측벽부(230) 및 제2 연결 측벽부(240)가 메인 측벽부(220)의 내면에 접착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외의, 저판(210), 완충 상판(250), 완충 측판(260) 및 트림부(T) 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포장용 완충재는 저판(310), 메인 측벽부(320), 제1 연결 측벽부(330), 제2 연결 측벽부(340), 완충 측판(360) 및 트림부(T)를 구비한다.
완충 측판(360)은 제1 메인 측벽판(322) 및 제2 메인 측벽판(324)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된다. 그리고, 완충 측판(360)의 제1 메인 측벽판(322) 및 제2 메인 측벽판(324)에 대향하는 모서리에는 완충 측판(360)과 대칭되는 다른 완충 측판(360)이 연결된다. 따라서, 완충 측판(360)은 서로 접착되어 2겹으로 형성되고, 제1 메인 측벽판(322) 및 제2 메인 측벽판(324)의 외측에 접착되어 두꺼운 측벽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포장용 완충재가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절곡선에는 칼선이 형성되어 절곡되기가 용이하다. 완충 측판(360)의 내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슬릿홈(327)이 형성되어 2겹의 완충 측판(360), 제1 메인 측벽판(322) 및 제2 메인 측벽판(324)이 일면에 접착되어도 하나의 슬릿홈(327)을 제공한다.
그 외의 저판(310), 메인 측벽부(320), 제1 연결 측벽부(330), 제2 연결 측벽부(340) 및 트림부(T)는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포장용 완충재는 저판(310), 메인 측벽부(320), 제1 연결 측벽부(330), 제2 연결 측벽부(340), 완충 측판(360) 및 트림부(T)를 포함한다. 포장용 완충재는 그 내부에 3개의 구획 공간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제2 연결 측벽부(340)는 제2 연결 측벽판(342), 제1 중간 측판(344), 제1 중간 저판(345), 제2 중간 측판(346), 제2 중간 저판(349-1) 및 제3 중간 측판(349-2)을 포함한다.
제2 연결 측벽판(342)은 저판(310)과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며, 양단에 형성된 제2 연결편(342a) 및 제2 접착편(342b)에 의해서 메인 측벽부(324)에 접착된다. 왜냐하면, 제2 연결 측벽부(340)가 저판(310)에 연결되면 제2 연결 측벽판(342), 제1 중간 측판(344), 중간 저판(345) 및 제2 중간 측판(346)의 두께 때문에 저판(310) 위로 절곡되지 않는다. 하지만, 제2 연결 측벽판(342)를 저판(310)과 분리함으로써 제2 연결 측벽부(340)는 저판(310) 위에 쉽게 절곡되므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연결 측벽판(342)은 제1 연결 측벽판(332)과 대향하는 모서리에 위치하고, 제1 중간 측판(344)은 제2 연결 측벽판(342)의 내면에 접착된다. 제2 연결 측벽판(342)의 양단에는 제2 연결편(342a) 및 제2 접착편(342b)가 연결되고, 제2 접착편(342b)는 제2 연결편(342a)의 단부에 제2 경사 접이선(342c)을 매개로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메인 측벽부(320)의 내면에 접착되어 분리된 제2 연결 측벽부(340)를 연결시킨다.
제1 중간 측판(344)의 대향하는 모서리에는 제1 중간 저판(345)이 연결되고,제1 중간 저판(345)의 대향하는 모서리에는 제2 중간 측판(346)이 연결된다. 또한, 제2 중간 측판(346)에는 제2 중간 저판(349-1) 및 제3 중간 측판(349-2)이 차례로 연결되어 또 하나의 구획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중간 측판(344) 및 중간 저판(345)의 경계를 수직하게 경유하는 절개선이 형성되고, 제2 연결 측벽판(342)이 저판(310)에 수직하게 절곡되면 상기 절개선을 따라 중간 저판(345)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348a)를 형성한다. 제2 돌출부(348b)는 중간 저판(345) 및 제2 중간 측판(346)의 경계를 경유하는 절개선에 의해서 제1 돌출부(348a)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제2 중간 측판(346)의 양단부에는 측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삽입편(347)이 제공되고, 삽입편(347)은 슬릿홈(327)에 삽입되어 제2 중간 측판(346)을 저판(310)에 수직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제1 연결 측벽판을 저판 위로 들어 올리면 메인 측벽부가 자동적으로 저판의 측벽을 형성하므로 조립 방법이 간단하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편이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접착되어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에 비하여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가 안정적이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포장용 완충재가 해제되지 않고 제품을 안정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완충재를 조립 및 해제가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다수개의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피포장물의 크기와 모양에 적당한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저판;
    상기 저판의 대향하는 양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는 메인 측벽부;
    상기 저판의 다른 모서리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측벽판, 상기 제1 연결 측벽판의 양단에 연결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 양단의 경사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접착편을 포함하는 제1 연결 측벽부; 및
    상기 제1 연결 측벽판에 대향하게 상기 저판의 다른 모서리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측벽판, 상기 제2 연결 측벽판의 모서리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중간 측판 및 중간 저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측판 및 상기 중간 저판이 피크 형상으로 절곡되어 중간 측벽을 형성하는 제2 연결 측벽부;를 구비하는 포장용 완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측벽부의 상단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측벽부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완충 상판 및 상기 완충 상판의 일모서리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측벽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완충 측판을 더 구비하는 포장용 완충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측벽부에는 상기 저판의 경계와 인접하게 U-자형 또는 ㄷ-자형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보강편이 정의되고, 상기 보강편은 상기 메인 측벽부가 상기 저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측벽부의 상단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측벽부의 외측으로 절곡 및 밀착되는 완충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측판의 측면 모서리에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측벽부에는 상기 삽입편에 대응하는 슬릿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이 상기 슬릿홈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측벽이 상기 저판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은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삽입편이 상기 슬릿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메인 측벽부의 외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저판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중간 저판 상에 복층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측벽부는 일 모서리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측벽부 및 인접하는 상기 제2 연결 측벽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의 코너에 대응하여 절개된 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측벽부와 상기 저판의 경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칼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1. 저판;
    상기 저판의 대향하는 양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는 메인 측벽부;
    상기 저판의 다른 모서리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측벽판, 상기 제1 연결 측벽판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1 연결편 양단의 경사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1 접착편을 포함하는 제1 연결 측벽부; 및
    상기 제1 연결 측벽판에 대향하며 상기 저판과 분리된 제2 연결 측벽판, 상기 제2연결 측벽판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 양단의 경사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측벽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2 접착편, 상기 제2 연결 측벽판의 모서리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중간 측판 및 중간 저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측판 및 상기 중간 저판이 피크 형상으로 절곡되어 중간 측벽을 형성하는 제2 연결 측벽부;를 구비하는 포장용 완충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측벽부의 상단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측벽부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완충 상판 및 상기 완충 상판의 일모서리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측벽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완충 측판을 더 구비하는 포장용 완충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측벽부에는 상기 저판의 경계와 인접하게 U-자형 또는 ㄷ-자형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보강편이 정의되고, 상기 보강편은 상기 메인 측벽부가 상기 저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 되면,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측벽부의 상단 모서리에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측벽부의 외측으로 절곡 및 밀착되는 완충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측판의 측면 모서리에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측벽부에는 상기 삽입편에 대응하는 슬릿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이 상기 슬릿홈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측벽이 상기 저판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편 및 상기 제2 접착편은 상기 슬릿홈의 양측에 인접하게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저판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중간 저판 상에 복층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측벽부 및 상기 저판의 경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칼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KR20-2004-0028600U 2004-10-08 2004-10-08 포장용 완충재 KR200373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00U KR200373501Y1 (ko) 2004-10-08 2004-10-08 포장용 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00U KR200373501Y1 (ko) 2004-10-08 2004-10-08 포장용 완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501Y1 true KR200373501Y1 (ko) 2005-01-15

Family

ID=4935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600U KR200373501Y1 (ko) 2004-10-08 2004-10-08 포장용 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5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48Y1 (ko) 2009-11-13 2010-03-29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대형 디스플레이 판넬의 포장박스
KR101705788B1 (ko) * 2015-10-20 2017-02-10 제은호 대형 배터리 포장용 내장재
CN116424683A (zh) * 2023-06-14 2023-07-14 立臻科技(昆山)有限公司 支撑结构及其折叠方法、内衬组件及包装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48Y1 (ko) 2009-11-13 2010-03-29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대형 디스플레이 판넬의 포장박스
KR101705788B1 (ko) * 2015-10-20 2017-02-10 제은호 대형 배터리 포장용 내장재
CN116424683A (zh) * 2023-06-14 2023-07-14 立臻科技(昆山)有限公司 支撑结构及其折叠方法、内衬组件及包装箱
CN116424683B (zh) * 2023-06-14 2023-09-15 立臻科技(昆山)有限公司 支撑结构及其折叠方法、内衬组件及包装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818Y1 (ko) 포장용 상자
KR200373501Y1 (ko) 포장용 완충재
JP3111978U (ja) 包装箱
KR200402874Y1 (ko) 판넬 포장재 및 판넬 포장 조립체
JP3367913B2 (ja) 包装容器
JP3978606B2 (ja) 宙吊り包装箱
KR200390241Y1 (ko) 포장용 상자
KR200404101Y1 (ko) 포장용 완충재
KR100654153B1 (ko) 포장용 상자, 괘선형성방법 및 포장용 상자의 제조 방법
KR200390719Y1 (ko) 포장용 완충재
KR100687922B1 (ko) 포장상자
JP3212133U (ja) 緩衝機能付き包装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箱
JP4311153B2 (ja) 梱包物及びコーナーパッド
JP6175150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KR200366273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070032859A (ko) 포장용 상자
KR200383168Y1 (ko) 포장용 완충재
JP2017178425A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JP4481766B2 (ja) 梱包構造
JP3227262U (ja) 箱用シート
CN212099705U (zh) 包装箱底垫片及包装结构
JP2005206159A (ja) トレー
CN211167771U (zh) 包装结构
JP5550997B2 (ja) 果実用発泡樹脂製容器および該容器と容器搬送用トレーとの組み合わせ体
US20230356921A1 (en) Cushion package box and electronic product cushion packag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