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101Y1 - 포장용 완충재 - Google Patents

포장용 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101Y1
KR200404101Y1 KR20-2005-0027988U KR20050027988U KR200404101Y1 KR 200404101 Y1 KR200404101 Y1 KR 200404101Y1 KR 20050027988 U KR20050027988 U KR 20050027988U KR 200404101 Y1 KR200404101 Y1 KR 200404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binding
packag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옥자
Original Assignee
하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옥자 filed Critical 하옥자
Priority to KR20-2005-0027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65D81/054Protectors contacting two generally perpendicular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edge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3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audio-visu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포장용 완충재는 중심 결속부재, 수직 보강부재 및 외부 측벽부재를 구비한다. 사각 기둥 형상으로 권취되며, 제1 결속 홈을 포함하는 중심 결속부재, 제1 결속 홈을 매개로 중심 결속부재에 수직하게 결속되는 수직 보강판을 포함하며, 수직 보강판에는 중심 결속부재에 인접하게 제2 결속 홈이 형성된 수직 보강부재 및 수직 보강판의 외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외벽판들, 외벽판들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판 및 외벽판들의 타단에 형성된 굴절판을 포함하며, 외벽판은 수직 보강판의 외면을 따라 밀착하여 외면을 형성하고, 삽입판은 상기 제2 결속 홈에 삽입되어 수직 보강부재에 고정되며, 굴절판은 수직 보강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결속 홀을 포함하여 수직 보강부재를 고정하는 외부 측벽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측부 완충부재 및 보강 완충부재가 본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취약 부분을 보강하여 피포장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완충재{CUSHION FOR A PACKAGING BOX}
본 고안은 포장용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서 제품을 컴팩트하게 수용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그 제품에 부속된 물품들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상자에 제품을 적재하는 경우, 제품을 적재한 후 제품 및 다른 제품 사이 또는 제품 및 포장용 상자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피포장물의 형상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2이상의 피포장물들을 수납할 때 피포장물들의 배치 또는 크기 차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빈 공간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에서 수용된 제품들은 상자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충돌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그 충격이 완충 없이 제품에 전달되어 운반 과정에서 제품의 파손 및 고장이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하중 등의 외부의 힘에 의해서 상자가 함몰되거나 찌그러질 수 있어 상자의 보관 및 적재가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포장용 완충재는 포장용 상자 내의 빈 공간을 채우거나, 제품들 간에 개재되어 상자 및 그 상자에 수용된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로는 발포성 재료인 스티로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10)는 발포성 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되며, DVD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와 같은 포장물(20)에 대응하여 그 일면을 수용하는 홈을 형성한다.
2개의 완충재(10)가 각각 포장물(20)이 양단을 덮고, 완충재(10) 및 포장물(20)이 상자 내에 수납된다.
하지만, 발포성 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된 포장용 완충재는 제품을 개봉한 후에는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대부분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으며, 일단 성형된 후에는 재생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재활용이 곤란하고, 방치되거나 소각된 폴리스티렌은 환경을 오염시킬 염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의 재질은 합성 수지와 하니콤, 코로패드, 골판지 등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합성 수지의 경우에는 포장 설계가 쉽고 품질의 안정성이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완충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각 시 위해 요소가 발생되며 매립 시 분해가 안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며, 재활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하니콤 및 코로패드의 경우에는 비교적 완충성이 좋으나 제조 공정에서 생산성이 낮고 물류비가 과다하게 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골판지를 절곡하여 제조하는 포장용 완충재는 대상물의 중량이 크면 포장용 완충재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커서 포장용 완충재의 일부분이 찌그러지거나 전체가 함몰되어 포장용 완충재의 역할을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 자체를 유지하기가 힘든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 제품에 전달되어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다수 개의 완충부재를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구조적으로 결속하여 완충 효과를 증대시키는 포장용 완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제조 단가를 낮추는 포장용 완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용 완충재는 중심 결속부재, 수직 보강부재 및 외부 측벽부재를 구비한다.
중심 결속부재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권취되며,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기 형성된 제1 결속 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 보강부재는 제1 결속 홈을 매개로 중심 결속부재에 수직하게 결속되는 수직 보강판을 포함하며, 수직 보강판에는 중심 결속부재에 인접하게 제2 결속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측벽부재는 수직 보강판의 외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외벽판들, 외벽판들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판 및 외벽판들의 타단에 형성된 굴절판을 포함하며, 외벽판은 상기 수직 보강판의 외면을 따라 밀착하여 외면을 형성하고, 삽입판은 상기 제2 결속 홈에 삽입되어 수직 보강부재에 고정되며, 굴절판은 상기 수직 보강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결속 홀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 보강부재를 고정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피포장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수용 공간을 이루는 외벽판들은 삽입판 및 굴절판이 수직 보강부재의 일부를 삽입하고 중심 결속부재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결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외벽판에서 연장되어 한쪽의 외벽판을 고정하는 삽입판은 수직 보강판에 형성된 제2 결속 홈에 결합되고 다른 쪽의 외벽판을 고정하는 굴절판은 수직보강부재의 일부가 굴절판에 형성된 결속 홀에 삽입된다.
즉,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완충재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일부가 서로 삽입되거나 삽입하여 고정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기 외벽판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용 공간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그 공간이 조금씩 변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벽판 및 중심 결속부재 간의 연결 라인이 벌어져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에 보다 완충재의 형상이 유동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완충재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과 비교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외부 충격에 의한 완충재 자체의 파손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포장물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 또한 공간적으로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포장용 완충재는 포장용 완충재의 내면을 향하며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된다. 수용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외벽판에 의해서 형성되며, 나머지 면은 수직 보강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포장용 완충재의 수용 공간이 마주보도록 포장용 완충재를 배치하여 피포장물의 양측 일부를 수용 공간 안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피포장물에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측면 보강부재를 결속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측면 보강부재는 포장용 완충재의 양 단부에 제공되는데 그 단부는 수용 공간의 양 단면을 이루는 외벽판 및 굴절판은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측면 보강부재가 삽입되어 개재되는 공간으로부터 측면 보강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포장용 완충재의 양 단면을 마감하기 위해서 측면 마감부재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용 완충재는 외벽 부재 및 수직 보강부재를 구비한다. 먼저, 외벽 부재는 수용 저판, 수용 저판의 일 모서리에 연결되어 중공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 외벽부 및 수용 저판의 타 모서리에 연결되어 제1 외벽부에 인접한 중공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2 외벽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 보강부재는 외벽 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어 외벽 부재의 내면을 지지하고, 저면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외벽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면 결속홈을 포함한다.
외벽 부재 및 수직 보강부재를 구비하는 포장용 완충재는 제1 및 제2 외벽 부재는 수용 저판을 중심으로 양 측에 형성되어 ㄷ-자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저면 결속홈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벽부의 단부는 수용 저판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용 완충재는 재질의 특성상 절곡함으로써 입체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재료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골판지는 판재 구조 간의 변형을 제한된 범위에서 허용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가 있다. 그리고, 골판지는 사용 전후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절곡된 형태로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시 차지하는 부피가 작으며, 사용에 부담이 없으며 재활용 등을 통해 경제적인 소득도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용 완충재는 중량이 적은 피포장물을 수용하였을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지만, 중량이 큰 피포장물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낙하와 같은 외부의 충격 시에 그 구조가 붕괴되어 피포장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포장용 상자의 충격에 취약한 부분에 골판지를 여러 겹으로 말아서 밀착시켜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포장용 완충재는 상기 골판지가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여 대상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지만, 골판지를 여러 겹으로 촘촘히 말아야 하고, 골판지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야 하므로 제조하는 과정이 어렵다. 또한, 여러 겹으로 겹쳐진 골판지는 불필요하게 과대 포장되므로 포장용 완충재의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피포장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다수개의 판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권취되고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판들의 양단에는 수용 공간의 저면을 형성하는 수용 저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제공된다.
즉,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피포장물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연결선을 매개로 다수개의 판이 권취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판들의 양단에 수용 공간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수용 공간의 저면을 형성하는 수용 저판에 수직으로 제공되어 지지하며, 자연적으로 내부의 공간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연결선을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판이 권취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 공간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그 공간이 조금씩 변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용 저판을 지지하는 지지판들이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 때문에 지지판 간의 연결 및 지지판과 수용 저판과의 접촉 라인이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에 완충재의 형상이 유동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완충재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과 비교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외부 충격에 의한 완충재 자체의 파손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포장물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 또한 공간적으로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완충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용 완충재는 측면 보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보강부재 및 측면 보강부재를 고정하고 측면 보강부재가 포장용 완충재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므로 포장용 완충재의 취약한 부분이 보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이 큰 피포장물이 포장용 완충재에 수용되어도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피포장물이 손상을 입거나 훼손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브이디 플레이어나 PC(personal computer)와 같이 중량이 큰 피포장물을 수용한 포장용 완충재는 일정의 높이에서 여러 번의 낙하 시험을 하여도 그 낙하 충격을 견뎌낼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포장용 완충재(100)는 중심 결속부재(미도시), 수직 보강부재(미도시) 및 외부 측벽부재(140)를 구비한다. 또한, 피포장물에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측면 보강부재(160)를 결속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측면 보강부재(160)는 포장용 완충재(100)의 양 단부에 제공되는데 그 단부는 수용 공간(101)의 양 단면을 이루는 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측면 보강부재(160)가 삽입되어 개재되는 공간으로부터 측면 보강부재(1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포장용 완충재(100)의 양 단면을 마감하기 위해서 측면 마감부재(170)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중심 결속부재, 수직 보강부재 및 외부 측벽부재(140)는 상호 결속 및 조립되어 LCD모니터의 일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01)을 형성한다. 따라서, 같은 형상을 하는 두 개의 포장용 완충재(100)를 수용 공간(101)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상기 수용 공간(101)에 LCD모니터의 일측을 각각 삽입하여 LCD모니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은 포장용 완충재의 중심 결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심 결속부재(110)는 결속용 중심판(111), 결속용 굴절판(112), 보조 고정편(113) 및 보조 안내편(114)을 포함한다.
또한, 수직 보강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결속 홈(115)이 형성된다. 제1 결속 홈(115)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권취되는 중심 결속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중심 결속부재(110)는 결속용 중심판(111) 및 결속용 중심판(111)으로부터 양쪽으로 굴절되어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결속용 굴절판(112)을 포함하며, 결속용 중심판(111)으로부터 결속용 굴절판(112)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게 절개되어 보조 고정편(113) 및 보조 안내편(114)이 형성된다.
이때, 보조 고정편(113)은 후술하는 외부 측벽부재(140)의 외벽판(141)에 형성되는 보조 고정홀(14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보조 고정편(113)이 보조 고정홀(145)에 삽입되어 외부 측벽부재(140) 및 중심 결속부재(110)가 서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안내편(114)은 후술하는 외부 측벽부재(140)의 삽입판(142)이 제2 결속 홈(135)에 결속될 때 삽입 경로를 안내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에서 수직 보강부재(130)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수직 보강부재(130)는 제1 결속 홈(115)을 매개로 중심 결속부재(110)에 수직하게 결속되는 수직 보강판(132)을 포함하며, 수직 보강판(132)에는 중심 결속부재(110)에 인접하게 제2 결속 홈(135)이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수직 보강부재(130)는 수직보강 중심판(131), 수직보강 중심판(131)으로부터 양쪽으로 굴절되며 서로 대칭인 제2 결속 홈(135)을 포함하는 수직 보강판(132)을 포함한다.
도 5 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에서 외부 측벽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외부 측벽부재(140)는 외벽판(141), 굴절판(143) 및 삽입판(142)을 포함한다.
외벽판(141)은 순차적으로 다수 개 연결되어 수직 보강판(132)의 외면에 대응하며, 삽입판(142) 및 굴절판(143)은 각각 다수 개의 외벽판(141)으로 연장된 외벽판(142)들의 양쪽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외벽판(141)은 수직 보강판(132)의 외면을 따라 밀착하여 외면을 형성하고, 삽입판(142)은 제2 결속 홈(135)에 삽입되어 수직 보강부재(130)에 고정된다. 또한, 굴절판(143)에는 결속 홀(144)이 형성되어 수직 보강부재(130)의 일부를 수용하여 수직 보강부재(13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심 결속부재 및 수직 보강부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심 결속부재(110)는 결속용 중심판(111)으로부터 결속용 굴절판(112)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권취되며, 보조 고정편(113) 및 보조 안내편(114)은 결속용 중심판(111)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된다.
수직 보강부재(130)는 수직보강 중심판(131)으로부터 수직 보강판(132)이 수직하게 양쪽으로 굴절된다.
이때 중심 결속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제1 결속 홈(115)을 매개로 수직 보강판(132)이 중심 결속부재(110)에 수직하게 결속되어 수직 보강부재(130)가 중심 결속부재(110)에 고정된다.
도 7은 중심 결속부재, 수직 보강부재 및 외부 측벽부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6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결속 홈(115)을 매개로 수직 보강부재(130)가 중심 결속부재(110)에 고정되고, 외부 측벽부재(140)가 조립된다.
그리고, 외벽판(141)들이 순차적으로 수직 보강판(132)의 외면에 밀착하여 외면을 형성하고, 삽입판(142)은 제2 결속 홈(135)에 삽입되어 수직 보강부재(130)에 고정된다. 또한, 굴절판(143)에는 결속 홀(144)이 형성되어 수직 보강부재(130)의 일부를 수용하여 수직 보강부재(130)를 고정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며, 도 9 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측면 보강부재(160)는 보강용 중심판(161) 및 보강용 중심판(161)으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는 보강용 굴절판(162)을 포함한다. 보강용 굴절판(162)은 같은 방향으로 굴절되어 서로 대응하는 사각 기둥을 형성하며, 사각 기둥 내부에서 사각기둥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더 권취된다.
또한, 보강용 굴절판(162)에는 각각 보강부재 굴절편(163)과 보강부재 결속부(164)가 형성되며, 보강부재 굴절편(163)이 보강부재 결속부(164)에 삽입되어 측면 보강부재(160)가 사각기둥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마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측면 마감부재(170)는 마감 중심판(171), 마감 중심판(171)의 3개 모서리에 형성된 마감 삽입판(172)을 포함한다. 또한, 마감 중심판(171)의 나머지 모서리에는 두 개의 마감 굴절 연장판(173)이 형성되며, 마감 굴절 연장판(173)으로부터 마감 굴절 삽입편(174)이 연장되어 제공된다.
도 11 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강부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 는 도 11 에 측면 마감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 를 참고하면, 측면 보강부재(160)는 수용 공간(101)을 이루는 외벽판(141) 및 굴절판(143)이 일부 잘려나가 형성된 공간 안에 삽입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수용 공간의 양 단면을 이루는 외벽판(141)이 일부 절개되어 절개면을 형성하며, 측면 보강부재(160)는 절개면에 측면이 밀착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마감 굴절 삽입편(174)에 대응한 외벽판(141) 에는 굴절판 홀(178) 및 삽입판 홀(177)이 각각 형성되어 마감 굴절 삽입편(174)이 삽입된다. 따라서, 외벽판(141)으로 형성되는 포장용 완충재(100)의 양 단면을 마감하도록 측면 마감부재(170)가 고정된다.
결론적으로 중심 결속부재(110), 수직 보강부재(130) 및 외부 측벽부재(140)는 상호 결속 및 조립되어 LCD모니터의 일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01)을 형성한다. 따라서, 같은 형상을 하는 두 개의 포장용 완충재(100)를 수용 공간(101)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상기 수용 공간(101)에 LCD모니터의 일측을 각각 삽입하여 LCD모니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제조 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피포장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01)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수용 공간(101)을 이루는 외벽판(141)들은 삽입판(142) 및 굴절판(143)이 수직 보강부재(130)의 일부를 삽입하고 중심 결속부재(110)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결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외벽판(141)에서 연장되어 한쪽의 외벽판(141)을 고정하는 삽입판(142)은 수직 보강부재(130)의 제2 결속 홈(135)에 결합되고 다른 쪽의 외벽판(141)을 고정하는 굴절판(143)은 수직 보강부재(130)의 일부가 굴절판에 형성된 결속 홀(144)에 삽입된다.
즉,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완충재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일부가 서로 삽입되거나 삽입하여 고정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기 외벽판(141)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용 공간(101)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그 공간이 조금씩 변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벽판(141) 및 중심 결속부재(110) 간의 연결 라인이 벌어져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에 보다 포장용 완충재(100)의 형상이 유동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포장용 완충재(10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과 비교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100)의 외부 충격에 의한 포장용 완충재(100) 자체의 파손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포장물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 또한 공간적으로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2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외벽 부재의 전개도이며, 도 15및 도 16 은 수직 보강부재의 전개도이며, 도 17은 외벽 부재 및 수직 보강부재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200)는 외벽 부재(210) 및 수직 보강부재(250a, 250b)를 포함한다.
외벽 부재(210)는 제1 외벽부(220) 및 제2 외벽부(230)에 의해서 수용 공간(20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201)에는 평판형 전자제품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평판형 전자제품을 포장할 때에는 전자제품의 양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포장용 완충재(200)가 전자제품의 양측에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외벽 부재(210)는 수용 저판(2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외벽부(220)는 수용 저판(212)의 일 모서리에 연결되어 중공의 측벽을 형성하고 및 제2 외벽부(230)는 수용 저판(212)의 나머지 타 모서리에 연결되어 제1 외벽부(220)에 인접한 중공의 측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외벽 부재(210)에 양측에서 조립되는 수직 보강부재는 일측 및 타측에서 조립되는 것이 약간 상이하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수직 보강부재는 보강부재 안착부가 형성되는 일측에서 조립되는 수직 보강부재(250b) 및 보강부재 안착부가 형성되는 일측에서 떨어진 방향에서 조립되는 수직 보강부재(250a)를 포함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수직 보강부재(250a, 250b)는 외벽 부재(210)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어 외벽 부재(210)의 내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저면 결속홈(259)이 저면에 형성되어 제1 외벽부(220) 및 제2 외벽부(230)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 및 제2 외벽부(220, 230)는 수용 저판(212)을 중심으로 양 측에 형성되어 ㄷ-자형의 수용 공간(201)을 형성하고, 저면 결속홈(259a, 259b)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벽부(220, 230)의 단부는 수용 저판(212)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된다.
다시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외벽 부재(210)는 제1 외벽부(220) 및 제2 외벽부(230)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제1 외벽부(220)는 수용 저판(212)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차례로 연장되는 제1 수용 측판(221), 제1 외부 상판(222), 제1 외부 측판(223), 제1 외부 저판(224) 및 제1 지지판(225)을 포함한다.
제2 외벽부(230)는 수용 저판(212)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차례로 연장되는 제2 수용 측판(231), 제2 외부 상판(232), 제2 외부 측판(233), 제2 외부 저판(234) 및 제2 지지판(235)을 포함한다.
그리고, 안착부 절개선(262)이 제2 외부 상판(232) 및 제2 외부 측판(233)을 경유하여 형성된다. 안착부 절개선(262)을 매개로 제2 외부 상판(232) 및 제2 외부 측판(233)이 포장용 완충재(200)의 내면을 향하여 만입되어 측면 보강부재 안착부(260)를 형성한다.
수직 보강부재(25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벽 부재에 양측에서 조립되는 수직 보강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및 타측이 조금 상이하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보강부재 안착부가 없는 타측에서 조립되는 수직 보강부재(250a)는 저면 결속홈(259a)을 포함하는 보강용 중앙판(251a), 보강용 중앙판(251a)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절판(252a) 및 보강용 중앙판(251a)의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절판(253a)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굴절판(252a)에는 나란한 측면 결속홈(258a)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외벽부(220, 23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수직 보강부재(250a)는 제1 굴절판(252a)으로부터 다시 연장되는 제1 연장판(254a), 제2 굴절판(253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장판(255a)을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장판(254a, 255a)은 서로 겹쳐져서 수직 보강부재(250a)의 일면을 이루며, 제1 및 제2 연장판(254a, 255a)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연장판 홀(256a, 257a)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연장판 홀(256a, 257a)은 제1 및 제2 연장판(254a, 255a)이 겹쳐져서 수직 보강부재의 일면을 이룰 때 일치하여 제2 외벽부(230)의 일부가 절개되어 삽입된다.
보강부재 안착부가 형성되는 일측에서 조립되는 수직 보강부재(250b)는 저면 결속홈(259b)을 포함하는 보강용 중앙판(251b), 보강용 중앙판(251b)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절판(252b) 및 보강용 중앙판(251b)의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절판(253b)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굴절판(252b)에는 나란한 측면 결속홈(258b)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외벽부(220, 23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수직 보강부재(250b)는 제1 굴절판(252b)으로부터 다시 연장되는 제1 연장판(254b), 제2 굴절판(253b)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장판(255b)을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장판(254b, 257b)은 서로 겹쳐져서 수직 보강부재(250b)의 일면을 이룬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피포장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다수개의 판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권취되고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판들의 양단에는 수용 공간의 저면을 형성하는 수용 저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제공된다.
즉,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피포장물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연결선을 매개로 다수개의 판이 권취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판들의 양단에 수용 공간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수용 공간의 저면을 형성하는 수용 저판에 수직으로 제공되어 지지하며, 자연적으로 내부의 공간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연결선을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판이 권취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 공간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그 공간이 조금씩 변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용 저판을 지지하는 지지판들이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 때문에 지지판 간의 연결 및 지지판과 수용 저판과의 접촉 라인이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에 완충재의 형상이 유동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완충재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과 비교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외부 충격에 의한 완충재 자체의 파손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포장물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 또한 공간적으로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일반적으로 피포장물을 양단에서 수용한 후에 하나의 박스에 담아진다. 이때, 박스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굴곡이 형성되기 때문에 박스와 포장용 완충재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에 의해서 피포장물 뿐만 아니라 포장재 자체도 외부 충격에 의해서 보다 안전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18 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평판형 전자제품의 포장용 완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평판형 전자제품(320)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완충 조립체(300)는 수용 공간을 이용하여 평판형 대상물의 양 측부를 수용하는 2개의 외벽 부재를 포함하는 포장용 완충재(200)를 포함하며, 또한, 평판형 대상물의 후면 상부에 장착되어 외벽 부재에 밀착되며, 평판형 대상물의 부속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 커버(3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외벽 부재 및 수직 보강부재(200)는 제2 실시예의 포장용 완충재(2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 및 도면은 제2 실시예의 외벽 부재 및 수직 보강부재를 참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측부 완충부재 및 보강 완충부재가 결속되어 외부의 힘을 완충하므로 중량이 큰 피포장물들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완충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조립하므로 조립 과정이 편리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포장용 완충재를 완전히 해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포장용 완충재의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의 포장용 완충재의 중심 결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 중 수직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 측벽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심 결속부재 및 수직 보강부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중심 결속부재, 수직 보강부재 및 외부 측벽부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9 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마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1 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강부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측면 마감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벽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5및 도 16 은 수직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7은 외벽 부재 및 수직 보강부재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평판형 전자제품의 포장용 완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포장용 완충재 110:중심 결속부재
130:수직 보강부재 132:수직 보강판
135:제2 결속 홈 140:외부 측벽부재
144:결속 홀 160:측면 보강부재
170:측면 마감부재 171:마감 중심판
210:외벽 부재 220:제1 외벽부
230:제2 외벽부 250:수직 보강부재
259:저면 결속홈 300:포장용 완충 조립체
310:완충 커버

Claims (16)

  1. 사각 기둥 형상으로 권취되며,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기 형성된 제1 결속 홈을 포함하는 중심 결속부재;
    상기 제1 결속 홈을 매개로 상기 중심 결속부재에 수직하게 결속되는 수직 보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보강판에는 상기 중심 결속부재에 인접하게 제2 결속 홈이 형성된 수직 보강부재; 및
    상기 수직 보강판의 외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외벽판들, 상기 외벽판들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판 및 상기 외벽판들의 타단에 형성된 굴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판은 상기 수직 보강판의 외면을 따라 밀착하여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판은 상기 제2 결속 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보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굴절판은 상기 수직 보강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결속 홀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 보강부재를 고정하는 외부 측벽부재;
    를 포함하는 포장용 완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완충재는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내면을 향하며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양 단면을 이루는 외벽판은 일부 절개되어 절개면을 형성하며, 상기 절개면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측면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보강부재는 보강용 중심판 및 상기 보강용 중심판으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는 보강용 굴절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용 굴절판은 같은 방향으로 굴절되어 서로 대응하는 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기둥의 일면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용 굴절판 중 하나에는 홀 형상의 보강부재 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용 굴절판 중 상기 보강부재 결속부에 인접한 다른 하나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상기 보강부재 결속부에 삽입 고정되는 보강부재 굴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 굴절편이 건너편의 상기 보강부재 결속부에 삽입되어 상기 사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판으로 형성되는 양 단면을 마감하기 위하여 측면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 마감부재는 마감 중심판, 마감 중심판의 3개 모서리에 형성된 마감 삽입판, 마감 중심판의 나머지 모서리에 형성되는 두 개의 마감 굴절 연장판, 상기 마감 굴절 연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마감 굴절 삽입편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마감 굴절 삽입편에 대응하여 상기 굴절판 및 상기 삽입판의 양단에 인접하게 굴절판 홀 및 삽입판 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마감 굴절 삽입편이 상기 굴절판 홀 및 상기 삽입판 홀에 결속되어 상기 외벽판에 의해서 형성된 양 단면을 마감하는 측면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결속부재는 결속용 중심판 및 상기 결속용 중심판으로부터 양쪽으로 굴절되어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결속용 굴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용 중심판으로부터 상기 결속용 굴절판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게 절개되어 보조 고정편 및 보조 안내편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고정편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외벽판에는 보조 고정홀이 형성되어 보조 고정편이 삽입되며,
    상기 보조 안내편은 상기 삽입판의 삽입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강부재는 상기 수직보강 중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 보강판은 상기 수직보강 중심판으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칭인 제2 결속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9. 수용 저판, 상기 수용 저판의 일 모서리에 연결되어 중공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 외벽부 및 상기 수용 저판의 타 모서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외벽부에 인접한 중공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2 외벽부를 포함하는 외벽 부재; 및
    상기 외벽 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외벽 부재의 내면을 지지하고,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외벽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면 결속홈을 포함하는 수직 보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외벽 부재는 상기 수용 저판을 중심으로 양 측에 형성되어 ㄷ-자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면 결속홈에 삽입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벽부의 단부는 상기 수용 저판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벽부는 상기 수용 저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차례로 연장되는 제1 수용 측판, 제1 외부 상판, 제1 외부 측판, 제1 외부 저판 및 제1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외벽부는 상기 수용 저판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차례로 연장되는 제2 수용 측판, 제2 외부 상판, 제2 외부 측판, 제2 외부 저판 및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이 상기 저면 결속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완충재는 제2 외부 상판 및 상기 제2 외부 측판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선을 매개로 제2 외부 상판 및 상기 제2 외부 측판이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내면을 향하여 만입되어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강부재는 상기 저면 결속홈을 포함하는 보강용 중앙판, 상기 보강용 중앙판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절판 및 상기 보강용 중앙판의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굴절판에는 나란한 측면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외벽부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강부재는 상기 제1 굴절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판 및 상기 제2 굴절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장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판은 서로 겹쳐져서 상기 수직 보강부재의 일면을 이루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판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연장판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판 홀은 상기 제1 및 제2 연장판이 겹쳐져서 상기 수직 보강부재의 일면을 이룰 때 일치하여 상기 제2 외벽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4. 평판형 전자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완충 조립체에 있어서,
    수용 저판, 상기 수용 저판의 일 모서리에 연결되어 중공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 외벽부 및 상기 수용 저판의 타 모서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외벽부에 인접한 중공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2 외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외벽 부재에 의해서 상기 수용 저판 상에 제공되는 수용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평판형 대상물의 양 측부를 수용하는 2개의 외벽 부재;
    각각의 상기 외벽 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외벽 부재의 내면을 지지하고,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외벽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면 결속홈을 포함하는 수직 보강부재; 및
    상기 평판형 대상물의 후면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외벽 부재에 밀착되며, 상기 평판형 대상물의 부속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저면 결속홈에 삽입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벽부의 단부는 상기 수용 저판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전자제품의 포장용 완충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벽부는 상기 수용 저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차례로 연장되는 제1 수용 측판, 제1 외부 상판, 제1 외부 측판, 제1 외부 저판 및 제1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외벽부는 상기 수용 저판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차례로 연장되는 제2 수용 측판, 제2 외부 상판, 제2 외부 측판, 제2 외부 저판 및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이 상기 저면 결속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전자제품의 포장용 완충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강부재는 상기 저면 결속홈을 포함하는 보강용 중앙판, 상기 보강용 중앙판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절판 및 상기 보강용 중앙판의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굴절판에는 나란한 측면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외벽부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전자제품의 포장용 완충 조립체.
KR20-2005-0027988U 2005-09-29 2005-09-29 포장용 완충재 KR200404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88U KR200404101Y1 (ko) 2005-09-29 2005-09-29 포장용 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88U KR200404101Y1 (ko) 2005-09-29 2005-09-29 포장용 완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101Y1 true KR200404101Y1 (ko) 2005-12-19

Family

ID=4370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88U KR200404101Y1 (ko) 2005-09-29 2005-09-29 포장용 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1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93B1 (ko) 2007-08-31 2009-10-14 손경남 복합 구조를 갖는 대리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12046905A (zh) * 2020-10-14 2020-12-08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缓冲内卡及包装箱
CN113060385A (zh) * 2021-04-28 2021-07-02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烤炉炉芯内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93B1 (ko) 2007-08-31 2009-10-14 손경남 복합 구조를 갖는 대리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12046905A (zh) * 2020-10-14 2020-12-08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缓冲内卡及包装箱
CN113060385A (zh) * 2021-04-28 2021-07-02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烤炉炉芯内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0381B2 (en) Packaging for fragile items
KR200409775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0404101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0390818Y1 (ko) 포장용 상자
KR200391925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0390719Y1 (ko) 포장용 완충재
JP2007320654A (ja) コーナ緩衝材および梱包装置
KR200366163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220055701A (ko) 완충 포장 상자
JP4311153B2 (ja) 梱包物及びコーナーパッド
KR200429361Y1 (ko) 포장용 완충재
JP4242228B2 (ja) 梱包箱
KR200464052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JP4961134B2 (ja) 梱包装置
JP5282861B2 (ja) 包装箱
KR101069279B1 (ko) 강도 보강된 골판지 포장박스
JP2007191168A (ja) 梱包箱
KR200383168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0294639Y1 (ko) 포장충전물
KR200370518Y1 (ko) 포장용 완충재
KR100654153B1 (ko) 포장용 상자, 괘선형성방법 및 포장용 상자의 제조 방법
KR200362563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0388012Y1 (ko)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완충재
JP2005280814A (ja) 洗面カウンターの包装材
JP3401422B2 (ja) 緩衝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