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163Y1 - 포장용 완충재 - Google Patents

포장용 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163Y1
KR200366163Y1 KR20-2004-0021220U KR20040021220U KR200366163Y1 KR 200366163 Y1 KR200366163 Y1 KR 200366163Y1 KR 20040021220 U KR20040021220 U KR 20040021220U KR 200366163 Y1 KR200366163 Y1 KR 200366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indentation
bottom plat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옥자
Original Assignee
하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옥자 filed Critical 하옥자
Priority to KR20-2004-0021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1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2Materials
    • B65D2581/053Paper in general, e.g. paperboard, carton, molded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제품 및 부속품들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가 개시된다. 포장용 완충재는 저판을 중심으로 제1 측판, 제1 상판, 제1 중간 측판, 중간 저판, 제2 중간 저판, 제2 상판 및 제2 측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ㄷ-자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상판 및 제1 중간 측판이 부분적으로 만입되어 제1 만입부를 형성하고, 제2 상판 및 제2 중간 측판이 부분적으로 만입되어 제2 만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메인 공간을 제공하고, 메인 공간의 주변 및 중공형의 완충재에 존재하는 빈공간을 통해 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부속품들을 함께 수용할 수가 있다. 포장용 완충재가 일체를 이루기 때문에 제품을 상자에 넣거나 빼는 과정도 쉽게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완충재{CUSHION FOR A PACKAGING BOX}
본 고안은 상자의 포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서 제품을 컴팩트하게 수용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그 제품에 부속된 물품들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상자에 제품을 적재하는 경우, 제품을 적재한 후 제품 및 다른 제품 사이 또는 제품 및 포장용 상자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피포장물의 형상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2이상의 피포장물들을 수납할 때 피포장물들의 배치 또는 크기 차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빈 공간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에서 수용된 제품들은 상자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충돌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그 충격이 완충없이 제품에 전달되어 운반 과정에서 제품의 파손 및 고장이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하중 등의 외부의 힘에 의해서 상자가 함몰되거나 찌그러질 수 있어 상자의 보관 및 적재가 어려워질 수 있다.
포장용 완충재는 포장용 상자 내의 빈 공간을 채우거나, 제품들 간에 개재되어 상자 및 그 상자에 수용된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로는 발포성 재료인 스티로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캠코더, 소형 음향기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제품이 비교적 소형이고, 제품 이외의 여러 부속품을 포함하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스티로폼은 환경 오염 및 사용후 처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최근 들어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물론, 이와 관련하여 골판지 등을 이용하여 포장용 완충재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지만, 포장용 완충재들이 각각 분리되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물품을 분리한 후 보관 및 취급이 어렵고, 기타 부속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포장용 상자의 크기가 증가하여 수용 공간을 확장할 수 밖에 없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골판지 등의 얇은 판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포장용 완충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일체로 형성된 포장용 완충재에 제품은 물론, 그 부속품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완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 또는 부속품 일부를 꺼내어도 상자 내에서 원래의 포장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완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골판지 원재(raw material)를 절곡하여 제조하되,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제품 및 부속품들을 수납할 수 있고, 포장용 상자에 쉽게 넣고 뺄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에서 공간C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포장용 완충재 110,210,310:저판
121,221,321:제1 측판 122,222,322:제2 측판
131,231,331:제1 상판 132,232,332:제2 상판
141,241,341:제1 중간 측판 142,242,342:제2 중간 측판
143,243,343:중간 저판 150,250,350:제1 만입부
160,260,360:제2 만입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판; 저판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측판; 제1 측판에 연결된 제1 상판; 제1 측판과 나란하게 상기 제1 상판에 연결된 제1 중간 측판; 제1 중간 측판에 연결되며 저판에 인접하는 중간 저판; 중간 저판에 연결된 제2 중간 측판; 제2 중간 저판에 연결된 제2 상판; 제1 측판에 대향하여 상기 저판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측판; 제1 상판과 제1 중간 측판의 경계에 형성된 제1 만입부; 그리고 제2 상판과 제2 중간 측판의 경계에 형성된 제2 만입부를 포함한다.
제1 만입부는 제1 상판 및 제1 중간 측판의 경계를 수직하게 경유하는 제1 절개부, 제1 절개부를 경계로 상기 제1 상판과 연결되어 안쪽으로 절곡되는 제1 만입 측판 및 제1 절개부를 경계로 상기 제1 중간 측판에 연결되어 제1 만입 측판과 함께 안쪽으로 절곡되는 제1 만입 저판을 포함하고, 제2 만입부는 제2 상판 및 제2중간 측판의 경계를 수직하게 경유하는 제2 절개부, 제2 절개부를 경계로 제2 상판과 연결되어 안쪽으로 절곡되는 제2 만입 측판 및 상기 제2 절개부를 경계로 제2 중간 측판에 연결되어 제2 만입 측판과 함께 안쪽으로 절곡되는 제2 만입 저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측판, 저판, 제1 측판, 제1 상판, 제1 중간 측판, 중간 저판, 제2 중간 측판 및 제2 상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중간 저판이 저판에 접착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ㄷ-자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중간 저판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제1 중간 측판 및 제2 중간 측판이 부분적으로 만입됨으로써 제1 및 제2 만입부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만입부에 의해서 제공되는 공간에 캠코더 등의 제품을 수용하여 전자제품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가 있다.
골판지 등의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입체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재료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형상을 제조할 수 있으며, 판재 구조 간의 변형을 제한된 범위에서 허용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가 있다. 또한, 하나의 판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 전후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절곡된 형태로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시 차지하는 부피가 작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골판지 등과 같이 저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소재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부담이 없고 재활용 등을 통해 경제적인 소득도 얻을 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제2 상판 또는 제2 측판 등을 연장하여 별도의 수납 공간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판재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제품의 형상에 맞는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100)는 저판(110), 제1 측판(121), 제1 상판(131), 제1 중간 측판(141), 중간 저판(143), 제2 중간 측판(142), 제2 상판(132) 및 제2 측판(122)을 포함한다. 저판(110)을 기준으로 제1 측판(121) 내지 제2 상판(132)은 위 언급된 순서대로 접이선을 매개로 차례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측판(121)에 대향하여 제2 측판(122)이 저판(1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2 측판(122)이 저판(110)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고, 제1 측판(121) 내지 제2 상판(132)이 접이선을 매개로 차례로 절곡되어 ㄷ-자 형상의 구조를 형성한다. 제2 측판(122)의 단부에는 접착편(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착편(123)이 제2 상판(132)에 부착됨으로써 포장용 완충재(100)의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중간 저판(143)은 저판(110) 상에 밀착 및 접착된다. 본 실시예서는 제2 측판(122) 및 제2 상판(132)이 상호 연결되어 포장용 완충재(100)의 전체 구조를형성하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선 또는 판재 일부가 상호 연결되어 포장용 완충재를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안쪽으로 접히는 접이선은 파선(broken line)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 접히는 접이선은 쇄선(dotted lined)으로 표시되어 있다.
포장용 완충재(100)에서 ㄷ-자형 구조의 안쪽, 즉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판 및 중간 측판이 부분적으로 만입되어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만입부(150) 및 제2 만입부(160)가 형성된다.
제1 만입부(150)는 제1 절개부(152), 제1 만입 측판(154) 및 제1 만입 저판(156)을 포함한다. 2개의 제1 절개부(152)는 제1 상판(131) 및 제1 중간 측판(141)의 경계를 경유하도록 각각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2개의 제1 절개부(152) 사이에는 제1 만입 측판(154) 및 제1 만입 저판(156)이 형성되며, 이들은 양측의 제1 상판(131) 및 제1 중간 측판(141)과 별개의 구조를 갖는다. 제1 만입 측판(154)은 제1 절개부(152)의 끝단에서 제1 상판(131)와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1 만입 저판(156)은 제1 절개부(152)의 다른 끝단 및 제1 만입 저판(156)과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판(131) 및 제1 중간 측판(141)의 경계가 안쪽으로 접힐 때, 제1 만입 측판(154) 및 제1 만입 저판(156)의 경계는 바깥쪽으로 접혀 하부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1 만입부(150)를 제공하게 된다.
제2 만입부(160) 역시 제2 절개부(162), 제2 만입 측판(164) 및 제2 만입 저판(166)을 포함한다. 2개의 제2 절개부(162)는 제2 상판(132) 및 제2 중간 측판(142)의 경계를 경유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며, 2개의 제2 절개부(162) 사이에는제2 상판(132) 및 제2 중간 측판(142)과 별개로 형성된 제2 만입 측판(164) 및 제2 만입 저판(166)이 형성된다. 제1 만입부(150)와 마찬가지로, 제2 만입부(160)에서도 제2 만입 측판(164)은 제2 절개부(162)의 끝단에서 제2 상판(132)와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2 만입 저판(166)은 제2 절개부(162)의 다른 끝단 및 제2 만입 저판(166)과 연결된다. 제2 상판(132) 및 제2 중간 측판(142)의 경계가 안쪽으로 접힐 때, 제2 만입 측판(164) 및 제2 만입 저판(166)의 경계는 바깥쪽으로 접혀 하부를 향해 돌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만입부(150) 및 제2 만입부(160)에 의해서 캠코더와 같은 소형의 전자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A가 형성된다. 제품이 제1 만입 저판(156) 및 제2 만입 저판(166)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공간A및 저판(110) 사이에는 공간B가 제공되며, 공간 B를 통해 생산자 또는 사용자 등은 배터리 또는 리모콘 등을 수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양측의 중간 측판 및 측판 사이에도 공간 C 내지 공간E 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공간에는 데이터 케이블, 전원 케이블, 전원 어댑터, 기록 매체, 운반용 밴드 등 기타 부속품 들이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은 물론, 기본으로 제공되는 제품 및 부속품들을 하나의 포장용 완충재 내에 완전하게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의 보관 및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생산자 및 소비자는 물품들로 채워진 포장용 완충재를 한번에 상자에 넣거나 상자로부터 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포장용 완충재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포장용 완충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제품을 포장해야 하는 과정에서 여러 개의 포장용 완충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고, 각각에 필요한 포장을 순서에 따라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포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하나의 완충재 안에 대부분의 물품을 포장하기 때문에, 생산라인에 따른 자동포장이 가능하고, 포장된 물품을 상자 안에 넣는 과정도 매우 용이해진다. 물론, 절곡될 수 있는 완충재이기 때문에 절곡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관리해야 하는 포장 부품수도 줄어 들어 관리가 쉬워질 수 있다.
실시예 2
도 4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200)는 저판(210), 제1 측판(221), 제1 상판(231), 제1 중간 측판(241), 중간 저판(243), 제2 중간 측판(242), 제2 상판(232), 제2 측판(222), 보조 상판(282) 및 보조 측판(284)을 포함한다. 저판(210)을 기준으로 제1 측판(221) 내지 제2 상판(232)은 위 언급된 순서대로 접이선을 매개로 차례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측판(221)에 대향하여 제2 측판(222), 보조 상판(282) 및 보조 측판(284)이 저판(2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2 측판(222)이 저판(210)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고, 제1 측판(221) 내지 제2 상판(232)이 접이선을 매개로 차례로 절곡되어 ㄷ-자 형상의 구조를 형성한다.
다만, 제2 측판(222)의 단부에는 보조 상판(282) 및 보조 측판(284)이 차례로 연결되고, 보조 측판(284)의 단부에는 접착편(286)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편(286)이 저판(210)에 부착됨으로써 포장용 완충재(200)의 일측에는 사각 기둥 형상의 수납공간(공간C)이 형성된다.
제2 상판(232)이 보조 상판(282)의 상면에 접착 또는 다른 방법으로 결속됨으로써 포장용 완충재(200)는 ㄷ-자형의 구조를 유지하게 되고, 중간 저판(243)은 저판(210) 상에 밀착 및 접착됨으로써 포장용 완충재(200)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참고로, 도 5에서도 안쪽으로 접히는 접이선은 파선(broken line)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 접히는 접이선은 쇄선(dotted lined)으로 표시되어 있다.
포장용 완충재(200)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판 및 중간 측판이 부분적으로 만입되어 제1 만입부(250) 및 제2 만입부(260)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만입부(250, 260)를 통해서 제품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만입부(250)는 제1 절개부(252), 제1 만입 측판(254) 및 제1 만입 저판(256)을 포함한다. 2개의 제1 절개부(252)는 제1 상판(231) 및 제1 중간 측판(241)의 경계를 경유하도록 각각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2개의 제1 절개부(252) 사이에는 제1 만입 측판(254) 및 제1 만입 저판(256)이 형성되며, 이들은 양측의 제1 상판(231) 및 제1 중간 측판(241)과 별개의 구조를 갖는다. 제1 만입 측판(254)은 제1 절개부(252)의 끝단에서 제1 상판(231)와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1 만입 저판(256)은 제1 절개부(252)의 다른 끝단에서 제1 중간 측판(241)과 연결된다.
또한, 제1 만입 저판(256)에는 U-자형으로 형성된 돌기형의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U-자형의 절개라인에 의해서 제1 지지편(258)이 형성된다. 제1 지지편(258)의 개구부가 제1 만입 측판(254)와 접이선 없이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판(231) 및 제1 중간 측판(241)의 경계가 안쪽으로 접힐 때, 제1 만입 측판(254) 및 제1 만입 저판(256)의 경계는 바깥쪽으로 접혀 하부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1 만입부(250)를 제공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제1 지지편(258)도 제1 만입 저판(256)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만입 측판(254)와 함께 아래를 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편(258)은 저판(210)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제1 지지편(258)은 외부 충격을 완충할 수도 있다. 즉, 외부로부터 심한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직접 저판(210)을 지지함으로써 제품으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가 있다.
제2 만입부(260) 역시 제2 절개부(262), 제2 만입 측판(264) 및 제2 만입 저판(266)을 포함한다. 2개의 제2 절개부(262)는 제2 상판(232) 및 제2 중간 측판(242)의 경계를 경유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며, 2개의 제2 절개부(262) 사이에는 제2 상판(232) 및 제2 중간 측판(242)과 별개로 형성된 제2 만입 측판(264) 및 제2만입 저판(266)이 형성된다. 제1 만입부(250)와 마찬가지로, 제2 만입부(260)에서도 제2 만입 측판(264)은 제2 절개부(262)의 끝단에서 제2 상판(232)과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2 만입 저판(266)은 제2 절개부(262)의 다른 끝단에서 제2 중간 측판(242)과 연결된다.
또한, 제2 만입 저판(266)에서도 U-자형의 돌기형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U-자형의 절개라인에 의해서 제2 지지편(268)이 형성된다. 제2 지지편(268)의 개구부는 제2 만입 측판(264)과 접이선 없이 연결되어 있다.
제2 상판(232) 및 제2 중간 측판(242)의 경계가 안쪽으로 접힐 때, 제2 만입 측판(264) 및 제2 만입 저판(266)의 경계는 바깥쪽으로 접혀 하부를 향해 돌출되고, 그 결과 제2 만입부(260)가 제공된다. 또한, 제2 지지편(268)도 제2 만입 저판(266)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 만입 측판(264)와 함께 아래를 향한다.
제1 측판(221) 및 제1 상판(231)의 경계에는 제1 만입부(250)에 대향하게 제3 만입부(270)가 제공된다. 제3 만입부(270) 역시 좌우로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서 구분되며, 2개의 절개부 사이에 있는 제3 만입 측판(274) 및 제3 만입 저판(276)을 포함한다. 제3 만입 측판(274) 및 제3 만입 저판(276)은 제1 측판(221) 및 제1 상판(231)과 별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만입부와 마찬가지로, 제3 만입부(270)에서도 제3 만입 측판(274)은 제1 상판(231)과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3 만입 저판(276)은 제1 측판(221)과 연결된다. 제1 측판(221) 및 제1 상판(231)이 절곡될 때, 제3 만입 측판(274) 및 제3 만입 저판(276)은 반대쪽으로 절곡되어 제3 만입부(270)를 제공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만입부(250) 및 제2 만입부(260)에 의해서 캠코더와 같은 소형의 전자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A가 형성되며, 공간A및 저판(210) 사이에는 공간B가 제공되며, 공간 B를 통해 생산자 또는 사용자 등은 배터리 또는 리모콘 등을 수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2 측판(222), 보조 상판(282), 보조 측판(284) 및 저판(210)에 의해서, 공간C가 제공되며, 여러 종류의 케이블 또는 기타 부속품들이 전후로 형성된 입구를 통해서 공간C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제3 만입부(270)에 의해서 공간E가 제공되며, 공간 D 및 공간 E를 통해서 다른 부속품들을 추가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은 물론, 기본으로 제공되는 제품 및 부속품들을 하나의 포장용 완충재 내에 완전하게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의 보관 및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생산자 및 소비자는 물품들로 채워진 포장용 완충재를 한번에 상자에 넣거나 상자로부터 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간C와 같이, 보조 상판(282) 및 보조 측판(284)을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등의 수납 구조를 더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게다가, 포장용 완충재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포장용 완충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절곡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완충재를 절곡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완충재 하나만 관리하면 되기 때문에 관리해야 하는 포장 부품수도 줄어 들어 포장 과정의 관리가 훨씬 쉬워질 수 있다.
도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저판(210) 및 제1 측판(221)의 경계, 제1 측판(221) 및 제1 상판(231)의 경계, 저판(210) 및 제2 측판(222)의 경계, 제2 측판(222) 및 보조 상판(282)의 경계, 그리고 제2 상판(232)의 단부에는 양쪽 모서리로 트림부(trimmed portion)(T)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부(T)는 포장용 완충재(200)의 외곽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포장용 완충재(200)의 외곽 모서리는 트림부(T)에 의해서 경사진 코너 형상을 갖는다. 트림부(T)에 의해서 포장용 완충재(200)를 쉽고 상자에 넣고 뺄 수가 있게 되며, 완충재를 상자에 수용한 후에도 포장용 완충재(200)의 외곽 코너가 트림부(T)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상자의 비틀림이 포장용 완충재(200)로 바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트림부(T) 역시 포장용 완충재(200)의 완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300)는 저판(310), 제1 측판(321), 제1 상판(331), 제1 중간 측판(341), 중간 저판(343), 제2 중간 측판(342), 제2 상판(332), 보조 측판(384), 제2 측판(322), 및 보조 상판(382)을 포함한다. 저판(310)을 기준으로 제1 측판(321) 내지 제2 상판(332) 및 보조 측판(384)은 위 언급된 순서대로 접이선을 매개로 차례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측판(321)에 대향하여 제2 측판(322) 및 보조 상판(382)은 저판(3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2 측판(322)이 저판(310)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고, 제1 측판(321) 내지 제2 상판(332)이 접이선을 매개로 차례로 절곡되어 ㄷ-자 형상의 구조를 형성한다.
다만, 제2 측판(322)의 단부에는 보조 상판(382)이 연결되고, 보조 상판(382)의 단부 일측에는 삽입편(388)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상판(332)의 단부에는 보조 측판(384)이 연결되고, 보조 측판(384)의 단부에는 접착편(386)이 형성되며, 접착편(386)이 저판(310) 상에 접착됨으로써 보조 측판(384)는 제2 중간 측판(342)과 나란하게 수직으로 형성된다. 제2 상판(332) 및 보조 측판(394)의 경계에는 삽입편(388)에 대응하여 삽입홀(389)이 형성된다. 접착편(386)에 의해서 수직하게 고정된 보조 측판(384)의 상단에 삽입홀(389)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홀(389)에 삽입편(388)을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공간C와 같은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가 있다.
상기 구조에서도 마찬가지로, 포장용 완충재(300)는 ㄷ-자형의 구조를 유지하게 되고, 중간 저판(343)은 저판(310) 상에 밀착 및 접착됨으로써 포장용 완충재(300)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참고로, 도 10에서도 안쪽으로 접히는 접이선은 파선(broken line)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 접히는 접이선은 쇄선(dotted lined)으로 표시되어 있다.
포장용 완충재(300)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판 및 중간 측판이 부분적으로 만입되어 제1 만입부(350) 및 제2 만입부(360)가 형성되고, 포장재는 제1 및 제2 만입부(350, 360)를 통해서 메인 제품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만입부(350)는 제1 절개부(352), 제1 만입 측판(354) 및 제1 만입 저판(356)을 포함한다. 2개의 제1 절개부(352)는 제1 상판(331) 및 제1 중간 측판(341)의 경계를 경유하도록 각각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2개의 제1 절개부(352) 사이에는 제1 만입 측판(354) 및 제1 만입 저판(356)이 형성되고, 이들은 양측에 위치한 제1 상판(331) 및 제1 중간 측판(341)과 별개의 구조를 갖는다. 제1 만입 측판(354)은 제1 절개부(352)의 끝단에서 제1 상판(331)와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1 만입 저판(356)은 제1 절개부(352)의 다른 끝단에서 제1 중간 측판(341)과 연결된다.
또한, 제1 만입 저판(356)에는 U-자형의 돌기형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U-자형의 절개라인에 의해서 제1 지지편(358)이 형성된다. 제1 지지편(358)의 개구부가 제1 만입 측판(354)와 접이선 없이 연결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판(331) 및 제1 중간 측판(341)의 경계가 안쪽으로 접힐 때, 제1 만입 측판(354) 및 제1 만입 저판(356)의 경계는 바깥쪽으로 접혀 하부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1 만입부(350)를 제공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제1 지지편(358)도 제1 만입 저판(356)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만입 측판(354)와 함께 아래를 향한다. 제1 지지편(358)은 후술한 보강 지지편(32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2 만입부(360) 역시 제2 절개부(362), 제2 만입 측판(364) 및 제2 만입 저판(366)을 포함한다. 2개의 제2 절개부(362)는 제2 상판(332) 및 제2 중간 측판(342)의 경계를 경유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며, 2개의 제2 절개부(362) 사이에는 제2 만입 측판(364) 및 제2 만입 저판(366)이 제2 상판(332) 및 제2 중간 측판(342)과 별개로 형성된 형성된다. 제1 만입부(350)와 마찬가지로, 제2 만입부(360)에서도 제2 만입 측판(364)은 제2 절개부(362)의 끝단에서 제2 상판(332)와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2 만입 저판(366)은 제2 절개부(362)의 다른 끝단에서 제2 중간 측판(342)과 연결된다.
제2 상판(332) 및 제2 중간 측판(342)의 경계가 안쪽으로 접힐 때, 제2 만입 측판(364) 및 제2 만입 저판(366)의 경계는 바깥쪽으로 접혀 하부를 향해 돌출되고, 그 결과 제2 만입부(360)가 제공된다.
제1 측판(321) 및 제1 상판(331)의 경계에는 제1 만입부(350)에 대향하게 제3 만입부(370)가 제공된다. 제3 만입부(370) 역시 좌우로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서 구분되며, 2개의 절개부 사이에 제3 만입 측판(374) 및 제3 만입 저판(376)이 형성된다. 제3 만입 측판(374) 및 제3 만입 저판(376)은 제1 측판(321) 및 제1 상판(331)과 별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만입부와 마찬가지로, 제3 만입부(370)에서도 제3 만입 측판(374)은 제1 상판(331)과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3 만입 저판(376)은 제1 측판(321)과 연결된다. 제1 측판(321) 및 제1 상판(331)이 절곡될 때, 제3 만입 측판(374) 및 제3 만입 저판(376)은 반대쪽으로 절곡되어 제3 만입부(370)를 제공하게 된다.
제1 만입부(350) 및 제2 만입부(360)에 의해서 캠코더와 같은 소형의 전자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A가 형성되며, 공간A및 저판(310) 사이에는 공간B가 제공되며, 공간 B를 통해 생산자 또는 사용자 등은 배터리 또는 리모콘 등을 수납할 수가 있다. 제3 만입부(370)에 의해서 공간E가 제공되며, 공간 D 및 공간 E를 통해서 다른 부속품들을 추가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특히, 제2 측판(322), 보조 상판(382), 보조 측판(384) 및 저판(310)에 의해서, 공간C가 제공되며, 보조 상판(382)의 개폐를 통해서 여러 종류의 케이블 또는 기타 부속품들을 공간C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에서 공간C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삽입편(388)을 삽입홀(389)에 삽입 또는 분리함으로써 보조 상판(382)으로 이루어진 덮개를 개폐할 수가 있다. 전후 방향으로 고정된 입구를 통해 부속품을 수납하던 이전 실시예의 완충재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측판 또는 상판의 연장을 통해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보조 상판(382)을 개폐함으로써 포장용 완충재(300)를 상자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공간C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보조 상판(382)에는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는 U-자형의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된 부분을 이용하여 보조 상판(382)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은 물론, 기본으로 제공되는 제품 및 부속품들을 하나의 포장용 완충재 내에 완전하게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의 보관 및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생산자및 소비자는 물품들로 채워진 포장용 완충재를 한번에 상자에 넣거나 상자로부터 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간C와 같이, 보조 상판(382) 및 보조 측판(384)을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등의 수납 구조를 더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게다가, 포장용 완충재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포장용 완충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절곡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완충재를 절곡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완충재 하나만 관리하면 되기 때문에 관리해야 하는 포장 부품수도 줄어 들어 포장 과정의 관리가 훨씬 쉬워질 수 있다.
도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저판(310) 및 제1 측판(321)의 경계, 제1 측판(321) 및 제1 상판(331)의 경계, 저판(310) 및 제2 측판(322)의 경계, 제2 측판(322) 및 보조 상판(382)의 경계, 그리고 제2 상판(332)의 단부에는 양쪽 모서리로 트림부(trimmed portion)(T)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부(T)는 포장용 완충재(300)의 외곽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포장용 완충재(300)의 외곽 모서리는 트림부(T)에 의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트림부(T)를 통해서 포장용 완충재(300)를 쉽고 상자에 넣고 뺄 수가 있게 되며, 완충재를 상자에 수용한 후에도 포장용 완충재(300)의 외곽 코너가 트림부(T)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상자의 비틀림이 포장용 완충재(300)로 바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트림부(T) 역시 포장용 완충재(300)의 완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장용 완충재의 전방 측면으로 측면 보강부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중간 저판(343)의 위치에 대응하여 저판(310)에는 보강 측판(392)이 형성되며, 보강 측판(392)은 중간 저판(343)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 보강 측판(392)의 양측에는 제1 밀착편(394)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 측판(392) 및 저판(310)의 연결부위에는 제2 밀착편(396)이 형성되어 있다. 포장용 완충재(300)가 ㄷ-자 형상의 구조를 형성할 때, 보강 측판(392) 및 밀착편들(394, 396)이 제1 및 제2 중간 측판(341, 342)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제1 밀착편(394)은 제1 및 제2 중간 측판(341, 342)의 내면에 접하고, 제2 밀착편(396)은 저판(310)의 상면에 면접한다. 보강 측판(392)이 포장용 완충재의 전단으로부터 제2 밀착편(396)의 폭만큼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강 측판(392)의 바깥쪽으로 공간A와 격리된 새로운 공간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상기 추가되는 공간에는, 도 8과 같이, 리모콘 등의 부속품이 수납될 수가 있다.
또한, 보강 측판(392)에는 ㄷ-자형의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보강 측판(392)의 내측으로 완충편(399)이 제공된다. 완충편(399)은 포장용 완충재의 안쪽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배치되고, 공간A 및 공간B 사이에 개재되어 메인 제품과 그 하부의 부속품을 상호 완충할 수가 있다. 중간 저판(343) 및 제2 밀착편(396) 간의 결속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그 사이를 접착시킬 수도 있다.
제1 측판(321)에는 대략 L-자 외곽형(L-shaped outline)의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개라인에 의해서 보강 지지편(323)이 제공된다. 보강 지지편(323)의 일측은 제1 측판(3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여닫이문처럼 개폐될 수 있다. 보강 지지편(323)에서 L-자형을 꺾어진 상면은 제1 만입부(350)의 후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며, 일단 절곡된 보강 지지편(323)의 측면은 제1 지지편(358)에 의해서 고정된다.
L-자형의 보강 지지편(323)에서 하부 코너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트림부가 있으며, 상기 보강 지지편(323)은 그 트림부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가 있다.
도 12는 제3 실시예와 유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포장용 완충재의 전개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강부는 제1 및 제 2 중간 측판(341, 342) 사이로 삽입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강부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측판(321, 322) 사이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측면 보강부는 보강 측판(492), 제1 밀착편(494), 제2 밀착편(496) 및 제3 밀착편(498)을 포함한다. 저판(310)에는 보강 측판(492)이 형성되며, 보강 측판(492)은 제1 및 제2 측판(321, 322)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 보강 측판(492)의 양측에는 제1 밀착편(494)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 측판(492) 및 저판(310)의 연결부위에는 제2 밀착편(496)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 측판(492)의 상단에는 제3 밀착판(49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 측판(492)에는 제1 및 제2 중간 측판(341, 342)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 형성된 제1 슬릿(493-1) 및 제2 슬릿(493-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슬릿(493-1, 493-2)의 하단에는 제1 및 제2 중간 측판(341, 342) 간의 결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벌어진 가이드가 있으며, 제1 및 제2 중간 측판(341, 342)는 슬릿 하단의 가이드를 따라 용이하게 진입할 수가 있다.
포장용 완충재(400)가 ㄷ-자 형상의 구조를 형성할 때, 보강 측판(492) 및 밀착편들(494, 496, 498)이 제1 및 제2 측판(321, 322)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제1 밀착편(494)은 제1 및 제2 측판(321, 322)의 내면에 접하고, 제2 밀착편(496)은 저판(310)의 상면에 면접하며, 제3 밀착편(498)은 제1 및 제2 상판(331, 332)의 저면과 면접하게 된다.
또한, 전후 양쪽의 보강 측판(492)에는 ㄷ-자형의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보강 측판(492)의 내측으로 완충편(499)이 제공된다. 완충편(499)은 포장용 완충재의 안쪽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배치되고, 공간A 및 공간B 사이에 개재되어 메인 제품과 그 하부의 부속품을 상호 완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는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은 물론, 기본으로 제공되는 제품 및 부속품들을 하나의 포장용 완충재 내에 완전하게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의 보관 및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간C와 같이, 보조 상판 및 보조 측판을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등의 수납 구조를 더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게다가, 포장용 완충재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포장용 완충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절곡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완충재를 절곡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완충재 하나만 관리하면 되기 때문에 관리해야 하는 포장 부품수도 줄어 들어 포장 과정의 관리가 훨씬 쉬워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포장용 완충재에 있어서,
    저판;
    저판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에 연결된 제1 상판;
    상기 제1 측판과 나란하게 상기 제1 상판에 연결된 제1 중간 측판;
    상기 제1 중간측판에 연결되며 상기 저판에 접하는 중간 저판;
    상기 제1 중간 측판과 나란하게 상기 중간 저판에 연결된 제2 중간 측판;
    상기 제2 중간 저판에 연결된 제2 상판;
    상기 제1 측판에 대향하여 상기 저판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측판;
    상기 제1 상판 및 상기 제1 중간 측판의 경계를 수직하게 경유하는 제1 절개부, 상기 제1 절개부를 경계로 상기 제1 상판과 연결되어 안쪽으로 절곡되는 제1 만입 측판 및 상기 제1 절개부를 경계로 상기 제1 중간 측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만입 측판과 함께 안쪽으로 절곡되는 제1 만입 저판을 포함하는 제1 만입부; 그리고
    상기 제2 상판 및 상기 제2 중간 측판의 경계를 수직하게 경유하는 제2 절개부, 상기 제2 절개부를 경계로 상기 제2 상판과 연결되어 안쪽으로 절곡되는 제2 만입 측판 및 상기 제2 절개부를 경계로 상기 제2 중간 측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만입 측판과 함께 안쪽으로 절곡되는 제2 만입 저판을 포함하는 제2 만입부; 를 구비하는 포장용 완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만입 저판에는 돌기형의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형의 절개라인에 의해서 개구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 만입 측판과 연결된 지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1 또는 제2 만입부가 절곡되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만입 저판의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측판에는 L-자 외곽형의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L-자 외곽형의 절개라인에 의해서 일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 측판에 연결된 보강 지지편이 제공되고, 상기 보강 지지편이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만입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판의 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된 보조 상판 및 보조 측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판, 제2 측판, 보조 상판 및 보조 측판에 의해서 둘러싸인 수납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보조 상판 상에 상기 제2 상판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판의 단부에 연결된 보조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의 단부에 연결된 보조 상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측판의 단부가 상기 저판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저판, 제2 측판 및 보조 상판이 상기 보조 측판의 외측을 둘러싸 형성된 수납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상판의 단부에는 삽입편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측판 및 상기 제2 상판 사이에는 상기 삽입편에 대응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삽입홀의 결속에 의해서 상기 수납 공간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외곽 코너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절개된 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의 전후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에 측면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보강부는 상기 중간 저판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기 위한 보강 측판, 상기 보강 측판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밀착편, 그리고 상기 저판과 상기 보강 측판을 연결하는 제2 밀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보강부에서 상기 보강 측판이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측판 사이로 진입하면서, 상기 제1 밀착편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측판과 면접하고, 상기 제2 밀착편은 상기 저판에 면접하면서 상기 보강 측판이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의 전후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에 측면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보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측판 간 거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기 위한 보강 측판, 상기 보강 측판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밀착편, 상기 저판과 상기 보강 측판을 연결하는 제2 밀착편, 상기 보강 측판의 상단에 형성된 제3 밀착편,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저판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부에서 상기 보강 측판이 상기 제1 및 제2 측판 사이로 진입하면서, 상기 제1 밀착편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측판과 면접하고, 상기 제2 밀착편은 상기 보강 측판과 상기 저판을 연결하면서 상기 저판에 면접하며, 상기 제3 밀착편은 상기 제1 및 제2 상판에 면접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슬릿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측판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보강 측판이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구조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측판에서 상기 제1 및 제 2 중간 저판 사이에 위치에 영역에 ㄷ-자형의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ㄷ-자형의 절개라인에 의해서 완충편이 제공되며, 상기 완충편은 상기 포장용 완충재의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만입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물품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물품 사이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KR20-2004-0021220U 2004-07-26 2004-07-26 포장용 완충재 KR200366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220U KR200366163Y1 (ko) 2004-07-26 2004-07-26 포장용 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220U KR200366163Y1 (ko) 2004-07-26 2004-07-26 포장용 완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163Y1 true KR200366163Y1 (ko) 2004-11-04

Family

ID=4944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220U KR200366163Y1 (ko) 2004-07-26 2004-07-26 포장용 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16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859B1 (ko) * 2017-08-23 2018-11-1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구조를 통한 렌즈 안전 포장체
KR200488237Y1 (ko) * 2017-05-29 2019-03-18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화장품 포장케이스의 구조
KR102330196B1 (ko) * 2021-01-20 2021-11-23 주식회사 비비앤 포장박스
KR102587552B1 (ko) * 2023-05-31 2023-10-11 주식회사 청년들 꽃 포장 상자
JP7374042B2 (ja) 2020-05-21 2023-11-06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ブレーカ梱包箱用緩衝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37Y1 (ko) * 2017-05-29 2019-03-18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화장품 포장케이스의 구조
KR101918859B1 (ko) * 2017-08-23 2018-11-1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구조를 통한 렌즈 안전 포장체
JP7374042B2 (ja) 2020-05-21 2023-11-06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ブレーカ梱包箱用緩衝材
KR102330196B1 (ko) * 2021-01-20 2021-11-23 주식회사 비비앤 포장박스
KR102587552B1 (ko) * 2023-05-31 2023-10-11 주식회사 청년들 꽃 포장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1210B1 (en) Cushioning material for packaging and packaging matter
KR100246474B1 (ko) 액정표시모듈용 패킹 장치
KR102088108B1 (ko)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KR101937095B1 (ko) 개폐 및 적재 편의성이 개선된 포장용 박스
US20070175778A1 (en) Cardboard packing box for cartridge container
JP3164694U (ja) 緩衝仕切り付き包装用箱
KR200409775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0366163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0390818Y1 (ko) 포장용 상자
KR200404101Y1 (ko) 포장용 완충재
JPH10211967A (ja) 段ボール製パッキング
JP3948274B2 (ja) 電子材料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装容器及び梱包装方法
JP5282861B2 (ja) 包装箱
KR200383168Y1 (ko) 포장용 완충재
JP5619491B2 (ja) 緩衝機能付包装用箱
KR200477582Y1 (ko) 양문형 종이상자
JP2004155502A (ja) 梱包物及びコーナーパッド
JP4377372B2 (ja) 同梱ケースおよび梱包装置
JP2002019848A (ja) 包装構造
KR200370518Y1 (ko) 포장용 완충재
JP2005014965A (ja) 包装箱
KR200362563Y1 (ko) 포장용 완충재
JP3248572B2 (ja) 梱包用緩衝材アッセンブリー
JP2021001014A (ja) 緩衝用中枠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用箱
JP2002249127A (ja) 緩衝構造を一体に備えた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