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193Y1 -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193Y1
KR200373193Y1 KR20-2004-0030069U KR20040030069U KR200373193Y1 KR 200373193 Y1 KR200373193 Y1 KR 200373193Y1 KR 20040030069 U KR20040030069 U KR 20040030069U KR 200373193 Y1 KR200373193 Y1 KR 200373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kirt
shift lever
inse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환
Original Assignee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0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자동차용 변속레버 조립체의 구조는, 조작자의 손에 잡히는 노브와; 노브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노브 내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로드 삽입공을 구비하며, 하단은 노브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와;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인서트의 하단부에 이중 스넵핏 결합되는 스커트; 및 스커트를 관통하여 인서트의 로드 삽입공에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면취부를 구비하며, 인서트와 스커트가 스넵핏 고정될 때 대응하는 부분에서 인서트와 스커트에 의해 스넵핏 고정되는 시프트레버 로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조립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동시에 필요한 결합 견고성을 가진 변속레버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ONE-TOUCH ASSEMBLING STRUCTURE FOR A KNOB AND A ROD OF TRANSMISSION LEV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변속레버 로드에 노브를 장착하는 구조가 원터치로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 공정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동시에 노브와 로드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중 기어변속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에 구비된 변속레버(10)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변속레버(10)는 통상적으로 변속단을 조절하는 변속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레버 로드(20)와 이 로드(20)에 상단부에 결합되어 조작자가 손으로 감싸는 손잡이 부분인 노브(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브(30)와 로드(20)의 결합을 위한 조립구조는 조립 공정에 있어서의 편리성 및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1995-0040330("변속기 체인지레버의 노브결합구조", 기아자동차주식회사)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노브의 회전을 방지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레버의 상단부에 노브를 압입에 의해 결합하는 노브 조립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1997-0043330 ("자동차의 회전방지용 변속 조작 레버와 노브", 대우자동차주식회사)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레버의 시프트 로드와 노브를 평면부를 포함하는 원추형으로 구성하여 노브를 강제 압입하여 조립하여, 노브의 회전을 방지하게 하는 노브 조립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압입 조립 방식의 노브 조립 구조에 있어서는, 그 조립방식의 단순성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조작자가 운행중 수시로 가하는 힘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만족할만한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시프트레버 로드(20)와 노브(30) 사이의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는데,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1999-0062310 ("자동차용 변속레버", 대우자동차주식회사)의 등록특허공보에는, 슬리브 구조를 추가하여 결합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노브 조립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변속레버 조립체는, 시프트레버 로드(20)와 노브(30) 및 슬리브(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프트레버 로드(20)와 노브(30) 사이에는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어(34)가 개재된다. 결과적으로 로드(20)와 노브(30)는 코어(34)와 슬리브(40)에 의해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프트레버 로드(20)는 상단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21)를 포함하는 대체로 긴 로드 부재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변속단을 조정하는 케이블(미도시됨)이 연결된다. 코어(34)는 노브(3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밀착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며, 그 자신도 시프트레버 로드(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1)을 구비한다. 삽입홈(31)의 단부에는 로드의 나사부(21)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프트레버 로드(20)는 코어(34)의 삽입홈(31)에 삽입되어 나사부(21)가 나사부(31)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노브(3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코어(34)의 하단은 노브(30)의 하단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부분의 외주에는 끼움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40)는 로드(2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단으로부터 위로 밀어 끼움홈(41)이 끼움돌기(33)에 끼워질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34)는 상단에서 나사부(32)에 의해 로드(20)와 결합되고, 하단에서는 슬리브(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변속레버는 그 조립과정에 있어서, 시프트레버 로드(20)의 나사부(21)와 코어(34)의 나사부(32)를 결합하기 위하여, 노브를 일정횟수 회전시켜야 하므로 그 조립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노브의 장착상태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가 어려우므로 조립 과정이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의 코어(34)와 로드(20)의 나사결합을 제거한 조립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와 대체로 유사하지만, 시프트레버 로드(20)의 나사부 대신 각부(21a)가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코어(34)의 하단은 로드(20)에 형성된 요홈(22)에 삽입되어 슬리브(40)의 결합부(41a) 및 누름돌기(42)에 의해 가압되는 수용부(33a) 및 고정돌기(33a')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도 다르다. 이에 따라, 조립시, 시프트레버 로드(20)는 코어(34)와 나사결합을 위해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단순히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각부(21a)와 이에 대응하는 각홈(32a)은 노브(30) 및 코어(34)가 레버 로드(2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더 나아가 슬리브(40)와 코어(34)의 하단부가 이중의 요철결합을 이루고 있어 필요한 결합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노브 조립 구조에 있어서, 비록 코어(34)와 로드(20) 사이의 나사결합부를 제거하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제거에 따른 결합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슬리브(40)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조립 공정에 있어서의 슬리브(40)의 조립시, 시간을 들여야 하며 회전에 따른 위치 정확도를 보장하기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와 동시에 필요한 결합 견고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노브와 시프트레버 로드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에 대한 기술적 요구가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 조립 구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조립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동시에 필요한 결합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가 원터치로 체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전결합이 불필요하여, 조립 공정이 단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원터치로 이중의 스넵핏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후 사용시 외력에 의한 노브의 회전이 방지됨과 동시에 체결이 헐거워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결합 견고성이 제공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 변속 레버의 위치를 보여주는 일반적인 자동차 내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변속레버의 다른 노브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노브의 구조 설명을 위한 방향을 보여주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노브 원터치 조립구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노브 원터치 조립구조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노브 원터치 조립 구조를 구비하는 조립체의 조립 중간 상태를 도 4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노브 원터치 조립 구조를 구비하는 조립체의 조립 중간 상태를 도 4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9는 도 7의 단면도에서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10은 도 8의 단면도에서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간단한 설명>
100: 변속레버 조립체 110 : 노브
120 : 인서트 122 : 제 1 인서트 아암
124 : 제 2 인서트 아암 126 : 제 1 아암결합부
128 : 제 2 아암결합부 129 : 로드 삽입공
130 : 스커트 132 : 제 1 스커트 아암
134 : 제 2 스커트 아암
132a, 134a ; 상부돌기 134a, 134b ; 하부돌기
136 : 제 1 가압 리브
138 : 제 2 가압 리브 140 : 시프트레버 로드
142 : 면취부 144 : 요홈
146 : 로드 바디
상기 목적들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에 의해 성취된다. 본 자동차용 변속레버 조립체의 구조는, 조작자의 손에 잡히는 노브와; 노브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노브 내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로드 삽입공을 구비하며, 하단은 노브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와;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인서트의 하단부에 이중 스넵핏 결합되는 스커트; 및 스커트를 관통하여 인서트의 로드 삽입공에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면취부를 구비하며, 인서트와 스커트가 스넵핏 고정될 때 대응하는 부분에서 인서트와 스커트에 의해 스넵핏 고정되는 시프트레버 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프트레버 로드는, 상기 인서트와 상기 스커트가 스넵핏 고정될 때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기 스커트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기 인서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시프트레버 로드의 요홈에 삽입 안착되는 상기 인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서트의 대향하는 두 개의 아암의 단부 돌기이며, 상기 아암의 단부 돌기는 상기 요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커트의 대향하는 두 개의 가압 리브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서트와 상기 스커트의 이중 스넵핏 결합은, 상기 인서트의 서로 대향하며 각각 걸림턱을 가지는 두 개의 아암결합부에 상기 스커트(130)의 서로 대향하며 각각 두 개의 걸림턱을 가지는 두 개의 아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와 상기 스커트의 이중 스넵핏 결합 부분과 상기 인서트와 상기 스커트가 상기 시프트레버 로드에 스넵핏 결합되는 부분은 레버 로드 단면 상에서 서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노브의 구조 설명을 위한 방향을 보여주기 위한 설명도가 도시되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노브 원터치 조립구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속레버 조립체(100)는 노브(110)와, 인서트(120)와, 스커트(130), 및 시프트레버 로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브(110)는, 변속레버의 조작자가 손으로 쥐는 손잡이 부분의 외부를 형성한다. 노브(110)는 그 단면이 대체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형, 또는 달걀 형상이라고 생각될 수 있으나, 물론 이러한 노브 구조에만 본 고안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형태의 노브 형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구조에 있어서, 단면에서 서로 수직인 방향(예컨대 도 4의 A-A선, B-B선)에서 서로 상이한 구조를 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인서트(120)는 노브(11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노브(1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인서트(120)의 중앙에는 로드 삽입공(129)(도 6-9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공(129)의 단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부로 되어 있어서, 삽입된 로드(20)가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을 한다. 인서트(120)의 하단은 상기 노브(11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인서트(120)는 서로 대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두 개의 아암, 즉 제 1 인서트 아암(122)과 제 2 인서트 아암(124)을 가진다. 이 아암(122, 124)은 예컨대 A-A선을 따라 위치할 수 있으며, 아래의 스커트(130) 내부로 삽입되어 스넵핏 결합을 하게 된다. 한편, 인서트(120)는 노브(110) 내부로 들어간 부분에 스커트(130)의 아암을 수용하기 위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수용부, 즉 제 1 아암 수용부(126)와 제 2 아암 수용부(128)를 구비한다. 이 수용부(126, 128)는 예컨대 B-B선을 따라 위치할 수 있으며, 아래의 스커트(130)에서 돌출된 스커트 아암 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됨으로써 스넵핏 결합을 하게 된다.
스커트(130)는,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여 시프트레버 로드(20)가 관통된다. 이 스커트(130)는 상기 인서트(120)의 하단부에 이중 스넵핏 결합됨으로써, 로드(20)를 인서트(120)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스커트(130)는 서로 대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두 개의 아암, 즉 제 1 스커트 아암(132)과 제 2 스커트 아암(134)을 가진다. 이 아암(132, 134)은 예컨대 B-B선을 따라 위치할 수 있으며, 위의 인서트(120) 내부에 B-B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아암결합부(126, 128)로 삽입되어 이중 스넵핏 결합을 하게 된다. 한편, 스커트(130)는 스커트(130) 내부로 들어간 부분에 인서트(120)의 아암을 수용하기 위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수용홈부분을 가지며, 이 수용홈 부분의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 리브, 즉 제 1 가압 리브(136)와 제 2 가압 리브(138)를 구비한다. 이 가압 리브(136, 138)는 예컨대 A-A선을 따라 위치할 수 있으며, 위의 인서트(120)에서 돌출된 인서트 아암(122, 124) 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됨으로써 시프트레버 로드(140)와 함께 스넵핏 결합을 하게 된다.
한편, 시프트레버 로드(140)는, 대체로 긴 막대모양의 로드바디(146)에 상단부 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부로 형성되는 면취부(142) 및 인서트(120)와 스커트(130)에 의해 물려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요홈(144)이 구비된다. 로드(140)는 스커트(130)를 관통하여 인서트(120)의 로드 삽입공(129)에 삽입된다. 이때, 면취부(142)의 평면부와 이에 대응하는 삽입공(129)의 평면부에 의해, 로드(140)가 노브(1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로드(140)의 요홈(144)부는, 상기 인서트(120)와 상기 스커트(130)가 스넵핏 고정될 때, 상기 인서트(120)와 상기 스커트(130)에 의해 스넵핏 고정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노브 원터치 조립 구조를 구비하는 조립체의 조립 중간 상태를 도 4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노브 원터치 조립 구조를 구비하는 조립체의 조립 중간 상태를 도 4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고안 변속레버의 노브 원터치 조립 구조를 구비하는 조립체의 완전 조립상태를 도 4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10은 상기 실시예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도 4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 상태를도시한다. 우선 조립전에(가조립시에)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10)와 인서트(1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에 대하여, 스커트(130)를 삽입하게 되면 스커트암(132, 134)의 상부돌기(132a, 134a)가 각각 제 1, 2 아암결합부(126, 128)에 끼워져서 하나의 결합체가 된다. 그 후 정식 조립시에는 상기의 결합체를 로드(140)의 면취부(142)가 삽입공(129)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밀어 넣어 인서트(120)의 아암(122, 124)의 단부 돌기가 로드(140)의 요홈(144)에 안착되게 하고 그 후, 스커트(130)를 밀어올리면,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130)의 두 가압 리브(136, 138)에 의해 아암(122, 124)이 요홈(144) 안쪽으로 가압 고정됨과 동시에 스커트암(132, 134)의 하부돌기(132b, 134b)가 상부로 미끄러지면서 각각 제 1, 2 아암결합부(126, 128)에 끼워져서 견고하게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립시 부품을 회전시킬 필요가 전혀 없이, 단순히, 가조립된 노브와 스커트를 로드(140)에 삽입시킨 후, 스커트(130)를 밀어 스넵핏 결합시키는 원-터치 삽입 작업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조립 공정이 단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로드의 면취부(142)에 의해 사용시 외력에 의한 노브 회전이 방지될 수 있어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더우기, 노브의 인서트(120)부분과 스커트(130) 및 로드의 요홈(144)이 서로 이중 삼중으로 스넵핏 결합되기 때문에, 필요한 강한 결합 견고성이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들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변속레버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위가 개시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개시된 본 고안을 참작하여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바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에 의하면, 조립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동시에 필요한 결합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가 제공되며, 차량용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가 원터치로 체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전결합이 불필요하여, 조립 공정이 단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원터치에 의해 스넵핏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후 사용시 외력에 의한 노브의 회전이 방지됨과 동시에 체결이 헐거워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결합 견고성이 제공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자동차용 변속레버 조립체(100)의 구조에 있어서,
    조작자의 손에 잡히는 노브(110)와;
    상기 노브(11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기 노브(110) 내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로드 삽입공(129)을 구비하며, 하단은 상기 노브(11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120)와;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인서트(120)의 하단부에 이중 스넵핏 결합되는 스커트(130); 및
    상기 스커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인서트(120)의 상기 로드 삽입공(129)에 삽입되어, 상기 인서트(120)와 상기 스커트(130)가 스넵핏 고정될 때 함께 스넵핏 고정되는 시프트레버 로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 로드(140)는, 상기 인서트(120)와 상기 스커트(130)가 스넵핏 고정될 때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기 스커트(13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기 인서트(1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하는 요홈(1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 로드(140)의 요홈(144)에 삽입 안착되는 상기 인서트(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서트(120)의 대향하는 두 개의 아암(122, 124)의 단부 돌기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122, 124)의 단부 돌기는 상기 요홈(14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커트(130)의 상부이동에 따라 두 개의 가압 리브(136, 138)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20)와 상기 스커트(130)의 스넵핏 결합은, 상기 인서트(120)의 서로 대향하며 각각 걸림턱을 가지는 두 개의 아암결합부(126, 128)와 상기 스커트(130)의 서로 대향하며 각각 두 개의 상.하 돌기를 가지는 두 개의 스커트아암(132, 134)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20)와 상기 스커트(130)의 스넵핏 결합 부분과 상기 인서트(120)와 상기 스커트(130)가 상기 시프트레버 로드(20)에 스넵핏 결합되는 부분은 레버 로드 단면 상에서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110)와 스커트(130)는 먼저 가조립되고, 이들 조립체를 로드(140)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스커트를 밀어 올림으로써 조립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110)와 스커트(130)의 가조립은 스커트암(132, 134)의 상부돌기(132a, 134a)가 각각 제 1, 2 아암결합부(126, 128)에 끼워져서 이루어지고, 조립의 완성은 스커트암(132, 134)의 하부돌기(132b, 134b)가 상부로 미끄러져 각각 제 1, 2 아암결합부(126, 128)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40)는 그 상단부에 면취부(142)를 구비하여 상기 노브(110)가 상기 로드에 결합시 상기 노브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데 특징이 있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KR20-2004-0030069U 2004-10-25 2004-10-25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KR200373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69U KR200373193Y1 (ko) 2004-10-25 2004-10-25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69U KR200373193Y1 (ko) 2004-10-25 2004-10-25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193Y1 true KR200373193Y1 (ko) 2005-01-15

Family

ID=4944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069U KR200373193Y1 (ko) 2004-10-25 2004-10-25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1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93B1 (ko) * 2005-12-19 2008-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레버조립체의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JP2017159676A (ja) * 2016-03-07 2017-09-14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93B1 (ko) * 2005-12-19 2008-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레버조립체의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JP2017159676A (ja) * 2016-03-07 2017-09-14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524B1 (en) Spare-tire fastening structure
US8702107B2 (en) Tool-holder mandrel for fitting to a rotating machine
US20050199108A1 (en) Wrench-attached screwdriver
KR200373193Y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US4862760A (en) Shift leve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JP3273381B2 (ja) 操作ノブの取付構造
JP2011031869A (ja) 自動変速機用ノブのワンタッチ結合構造
EP0704335A2 (en) Shift lever assembly
JP2000310232A (ja) 軸とヨークの結合構造
KR200395734Y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KR100894860B1 (ko) 차량용 변속기 레버
JPH1193937A (ja) ケーブルの長さ調整装置とその調整方法とその組付方法
JPH08277828A (ja) シート状部材取付具
JP2021041835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100559723B1 (ko) 시프트 락 케이블 하우징 조립체
KR100288276B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
KR200428406Y1 (ko) 노브 체결용 보조 공구
JP2567024Y2 (ja) ボス用クリップ
KR100288277B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
CN114126953A (zh) 转向齿条的输入轴的密封元件在车辆中的装配
JPH0811912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
JP4955494B2 (ja) パネルへのスイッチ取付具
JPH032046Y2 (ko)
KR100568819B1 (ko) 차량용 시프트레버 어셈블리
JPH04297683A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のロッド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