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725Y1 -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 Google Patents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725Y1
KR200369725Y1 KR20-2004-0027259U KR20040027259U KR200369725Y1 KR 200369725 Y1 KR200369725 Y1 KR 200369725Y1 KR 20040027259 U KR20040027259 U KR 20040027259U KR 200369725 Y1 KR200369725 Y1 KR 200369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entilation
soundproofing
soundproof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화
Original Assignee
윤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화 filed Critical 윤종화
Priority to KR20-2004-0027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06B5/205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window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Abstract

도로에 인접한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의 방음 및 환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창호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소음이 극심하여 창문을 제대로 열어둘 수 없는 도로변의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에 좌우로 수평이동하면서 개폐가 조절되는 미닫이창 및 방음체를 설치하여 환기를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방음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고안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미닫이창; 상기 미닫이창의 외측 전면에 위치되어 벽면에 고정되며, 상면을 제외한 정면,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이 폐쇄되어 상기 미닫이창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다수개의 판으로 구성되는 방음체; 및 상기 미닫이창 상단 벽면에 설치되어 외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바람유도판;을 특징적인 구성으로 하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Window structure for soundproofing and ventilation}
본 고안은 소음이 극심하여 창문을 제대로 열어둘 수 없는 도로변의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에 좌우로 수평이동하면서 개폐가 조절되는 미닫이창 및 방음체를 설치하여 환기를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방음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은 자동차로 인한 소음으로부터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서 극심한 소음때문에 정상적인생활이 어렵다. 최근에는 고층아파트 등의 건설 증가와 아울러 차량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더욱더 가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 증측 시 소음을 차단시켜 주는 방음장치를 건물의 내벽에 내장시켜 주거나, 창문을 2중창으로 설치하는 등 여러 가지의 해결방안이 실행되어 소음을 차단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방안들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고자 하는 경우나 더운 여름철에 창문을 열어놓을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소음이 열려진 창문을 통해 무방비 상태로 내부로 유입되고, 마음대로 창문을 열어두지 못하게 됨으로 근래에 와서는 도로변 양측에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한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차단될 수 있는 방음벽을 설치하여 차량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건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 또한 방음벽에 부딪치는 소음만을 차단할 수 있어 방음벽의 높이안에 속하는 저층부에서 생활하는 거주자들은 방음벽을 통한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방음벽의 높이밖에 위치되는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의 고층부에서 생활하는 거주자에게는 여전히 소음이 전달하게 되어 쾌적한 거주환경을 조성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는 좌우로 수평이동하면서 개폐가 조절되는 미닫이창 및 방음체를 설치하여 도로변의 아파트 및 건물의 고층에서도 환기와 동시에 방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는 상기와 같은 미닫이창 또는 방음체의 상부 벽면에 바람유도판을 설치함으로써 벽면에 흐르는 바람의 실내 유입을 용이하게 하여 정면,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의 폐쇄로 다소 떨어질 수 있는 창호의 환기 기능을 보완하고 동시에 창호의 환기 기능의 저하 없이 탁월한 방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틀
10, 10a, 10a' :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100 : 윗열기여닫이창 110 : 접이식 방음막
120 : 바람유도판 200 : 방음체
201 : 물건진열용 공간부 210 : 미닫이창
220 : 바람유도판(가변형) 300 : 돌출지붕
310 : 우수차단막(돌출지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고안은 창틀 내에 설치되는 두 짝의 창으로, 상기 두 짝의 창이 창틀의 상부 및 하부 내측에 형성되는 레일내에 위치되어 좌우로 수평이동하면서 개폐가 조절되는 미닫이창; 상기 미닫이창의 외측 전면에 위치되어 벽면에 고정되며, 상면을 제외한 정면,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이 폐쇄되어 상기 미닫이창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다수개의 판으로 구성되는 방음체; 및 상기 미닫이창 상단 벽면에 설치되어 외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바람유도판;을 포함하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는 도로변의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에 좌우로 수평이동하면서 개폐가 조절되는 미닫이창 및 방음체를 설치함으로써 환기와 동시에 방음이 이루어지게 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미닫이창 또는방음체의 상부 벽면에 바람유도판을 설치함으로써 벽면에 흐르는 바람의 실내 유입을 용이하게 하여 정면,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의 폐쇄로 다소 떨어질 수 있는 창호의 환기 기능을 보완하고 동시에 창호의 환기 기능의 저하 없이 탁월한 방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고안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들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b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1c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2c는 본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의 또다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에서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은 하부는 창틀(1)에 고정되고, 상부는 오픈되는 형식의 창으로, 창문 오픈 시 환기가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동시에 창문이 경사지게 설치됨으로 아래의 소음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이 창문에 부딪혀 실내로 전달되는 음량의 감소하게 되며 소음의 실내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방음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창문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윗열기여닫이창(100)도 정면 및 하면을 제외한 상면, 및 좌우 양측면이 오픈되어 있음으로 소음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의 완벽한 차단은 기대할 수 없으며, 특히 소음의 정도가 심한 고층부에서는 소음은 차단시키는데 그 한계가 있다. 또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을 조금만 오픈시켜 두게 되면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오픈부가 적게되어 실내 환기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쾌적한 거주환경을 만들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의 접이식 방음막(110)은 이러한 윗열기여닫이창(100)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의 좌우 양측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창틀(1)에 고정되어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의 오픈 시 창틀(1)과 윗열기여닫이창(100) 사이를 폐쇄시킴으로써 윗열기여닫이창(100)의 오픈부를 최소화하여 아래의 소음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의 실내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의 방음효과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접이식 방음막(110)이 장착된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은 상면을 제외한 정면,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이 폐쇄되어 소음이 유입될 수 있는 오픈부가 최소화되어 소음의 실내 유입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방음효과가 극대화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방음막(110)은 창틀(1) 자체의 힌지나 패킹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접이식 방음막(110)을 윗열기여닫이창(100)과 창틀(1)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이식 방음막(110)은 주름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윗열기여닫이창(100)의 개폐에 따라 설치상태가 용이하게 조절된다. 즉,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열기여닫이창(100)을 열어둘 때에 상기 접이식 방음막(110)은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이 오픈된 만큼 용이하게 펼쳐져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의 좌우 양측면을 폐쇄시키며 소음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을 닫을 때에는 주름식의 상기 접이식 방음막(110)이 용이하게 접혀져 윗열기여닫이창(100)이 닫혀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의 바람유도판(120)은 벽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실내유입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방음막(110)이 설치됨으로써 상면을 제외한 정면,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이 폐쇄되어 환기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의 환기기능을 보완한다.
즉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람유도판(120)은 윗열기여닫이창(100)의 상단 벽면에 설치되어 윗열기여닫이창(100)의 오픈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설치됨으로써, 벽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실내 유입을 용이하게 하고 최소한의 오픈부의 확보로 방음효과만 탁월하게 되고 환기효과는 다소 떨어질 수 있는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의 취약점을 보완하여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이 환기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탁월한 방음 효과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바람유도판(120)은 스텐레스나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바람유도판(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는 상기 바람유도판(120)의 상부에 돌출지붕(30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돌출지붕(300)은 상기 윗열기여닫이창(100)이 오픈되어 있어도 실내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직풍의 실내 유입을 유도하여 본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의 환기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지붕(300)은 상부에 우수차단막(310)이 설치되어 있어 우수 시, 돌출지붕 상부에서 우수가 좌우 양옆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된다.
도 2a 내지 도 2c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는 미닫이창(210)의 외부 벽면에 방음체(200)가 설치된다. 상기 방음체(200)는 상면을 제외한 정면,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이 폐쇄되어 상기 미닫이창(210)의 둘레를 감싸는 방음벽 개념으로, 아래의 소음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이 실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상기 방음체(200)는 일정각도 기울어져 경사를 이루고 있어 아래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이 방음체(200)의 면에 부딪히게 되어 음량이 감소하게 되고 소음의 실내 유입이 용이하지 않아 탁월한 방음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음체(200)가 설치된 미닫이창(210)은 상기 미닫이창(210)으로 환기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방음체(200)로 방음이 가능하게 되는 2중 구조의 창호로 환기와 방음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음체(2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화분 등의 물건을 진열 할 수 있는 물건진열용 공간부(201)가 형성되어 있어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또 전술된 바와 같은 방음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는 제비집 형태로 설치될 수 있어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의 외관을 더욱 향상시키며 바람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방음체(200)의 형태는 설치현장 상황에 따라 택일되어 시공되어도 무방하다.
또 상기와 같은 방음체(200)는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의 미관과 바람의 저항 등을 고려하여 폴리그라스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방음체(200)로 설치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방음체(200)가 설치된 미닫이창(210)은 상기 미닫이창(210)의 오픈으로 환기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방음체(200)로 방음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방음체(200)는 미닫이창(210)의 정면에 위치되어 상기 미닫이창(210)의 둘레를 감싸며 설치됨으로 실내로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의 량이 환기 시 필요한 요구량에 못 미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의 바람유도판(220)은 상기 미닫이창(210)의 상단 벽면에 설치되어 벽면에 흐르는 공기의 실내 유입을 유도하며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의 환기 기능을 보완한다.
즉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람유도판(220)은 미닫이창(210)의 상단 벽면에 설치되어 외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어 설치됨으로써, 벽면에 흐르는 공기가 실내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유도하며 최소한의 오픈부의 확보로 환기 기능이 다소 떨어질 수 있는 방음체(200)가 설치된 미닫이창(210)의취약점을 보완한다. 또한 상기 바람유도판(220)은 풍향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가변형의 바람유도판(220)으로 설치될 수 있어 상기 미닫이창(210)을 닫을 경우 필요이상의 공기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며 실내의 난방효과를 저해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는 상기 바람유도판(200)의 상부에 돌출지붕(30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돌출지붕(300)은 우수가 상기 방음체(200)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며 직풍의 실내 유입을 유도하여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10a)의 환기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도 2c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지붕(300)은 상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더 형성될 수 있어 방음체(200)의 내측에 진열되는 화분 등에 우수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지붕(300)은 상부에 우수차단막(310)이 설치되어 있어 우수 시, 돌출지붕 상부에서 우수가 좌우 양옆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된다.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는 도로변의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에 설치되는 창호구조로, 좌우로 수평이동하면서 개폐가 조절되는 미닫이창 및 방음체로 최소한의 오픈부만을 확보하여 소음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며 탁월한 방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는 상기와 같은 미닫이창 또는 방음체의 상부 벽면에 바람유도판을 설치함으로써 벽면에 흐르는 바람의 실내 유입을 용이하게 하여 정면,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의 폐쇄로 다소 떨어질 수 있는 창호의 환기 기능을 보완하고 동시에 창호의 환기 기능의 저하 없이 탁월한 방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쾌적한 거주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창틀 내에 설치되는 두 짝의 창으로, 상기 두 짝의 창이 창틀의 상부 및 하부 내측에 형성되는 레일내에 위치되어 좌우로 수평이동하면서 개폐가 조절되는 미닫이창;
    상기 미닫이창의 외측 전면에 위치되어 벽면에 고정되며, 상면을 제외한 정면,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이 폐쇄되어 상기 미닫이창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다수개의 판으로 구성되는 방음체; 및
    상기 미닫이창 상단 벽면에 설치되어 외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바람유도판;
    을 포함하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바람유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돌출지붕을 더 포함하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방음체는 내측에 물건진열용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바람유도판은 풍향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가변형 바람유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KR20-2004-0027259U 2004-09-22 2004-09-22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KR200369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259U KR200369725Y1 (ko) 2004-09-22 2004-09-22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259U KR200369725Y1 (ko) 2004-09-22 2004-09-22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472U Division KR200368505Y1 (ko) 2004-05-25 2004-05-25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725Y1 true KR200369725Y1 (ko) 2004-12-09

Family

ID=4944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259U KR200369725Y1 (ko) 2004-09-22 2004-09-22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7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3017A (ko) 복합 이중창호
KR200369725Y1 (ko)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KR200368505Y1 (ko)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EP2048318B1 (en) Assembly of a ventilation device and a rebate of a window
KR101097923B1 (ko) 에너지 절감형 기능성 창호
JP4787022B2 (ja) 建物
DE10341098B4 (de) Lüftungseinheit zur Integration in ein Rahmenprofil
GB2441179A (en) A ventilation system for windows and doors
BE1009282A3 (nl) Kozijn omvattende een ventilatie-inrichting, alsmede ventilatie-inrichting toepasbaar in het kozijn.
KR101829053B1 (ko) 창문 구조물
KR20090047414A (ko)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KR20110001229U (ko) 외벽 이중 창문 시스템
KR200399109Y1 (ko) 창문틀 빗물 유입 방지판
JP4411592B2 (ja) 雨の降り込まない網戸用通風雨具
JP4459760B2 (ja) サッシ
US9121625B2 (en) Room ventilation system and apparatus
JPS603919Y2 (ja) 太陽熱利用開き窓
KR100906089B1 (ko) 방한용 비닐 커튼
JPS5823909Y2 (ja) 屋外カ−テン装置
JP2002013359A (ja) 自然換気用建具
KR100530004B1 (ko) 창호의 방음패널 설치구조
AU2013100747A4 (en) A domestic dwelling
KR200315116Y1 (ko) 방범브라인드를 구비한 통풍도어
CN2733235Y (zh) 一种通风棒式通风装置
JP2007132154A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