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414A -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 Google Patents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414A
KR20090047414A KR1020090029785A KR20090029785A KR20090047414A KR 20090047414 A KR20090047414 A KR 20090047414A KR 1020090029785 A KR1020090029785 A KR 1020090029785A KR 20090029785 A KR20090029785 A KR 20090029785A KR 20090047414 A KR20090047414 A KR 2009004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g
wind
horizontal membe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희
Original Assignee
조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희 filed Critical 조주희
Priority to KR102009002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7414A/ko
Publication of KR2009004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2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igid or slid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06B7/08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with facing protective grille or safety guar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을 통한 직사광선 차단/유입이 선택 가능하고, 창밖으로 스쳐 지나가는 자연 바람을 이용한 실내 환기가 가능한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중공파이프(10a,10b)로 형성되어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가로부재(10)와, 차광 및 자연 바람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다수개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로 구성되어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가로부재(10)에 조립되는 날개부재(20)와, 조립가이드(35)를 매개로 가로부재(10) 양쪽으로 결합되어 날개부재(20)가 창문(30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틀(200)의 양쪽 가장자리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부재(30)와, 세로부재(30)를 건물 외벽(10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부재(10)(10) 사이에 조립되는 각각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가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각도조정부재(50) 및 가로부재(10) 사이로 조립되는 날개가이드(21a,21b,21c,21d)에 그림이나 문양 등이 표현되는 게시면(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창문, 창틀, 자연 바람, 차광, 날개부재, 창호 시스템

Description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An Apparatus for Blowing into a Room}
본 발명은 창호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통한 직사광선 유입/차단이 선택 가능하고, 창밖을 스쳐 지나가는 자연 바람을 이용한 실내 환기는 물론 입주자가 창밖을 바라볼 수 있는 조망권이 확보되는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을 제공한다.
지구에서 북반구 쪽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매년 같은 계절이 되면 같은 방향으로 계절풍이 불어온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대륙이 따뜻해져 육지에 저기압 중심이 생겨 해양에서 이 저기압 중심을 향해 바람이 부는 남동내지 남서풍 즉, 6월에서 9월경 푹푹찌면서 숨이 막히는 고온다습한 바람이 불고, 반대로 겨울철에는 대륙의 기온이 내려가면서 추워져 시베리아 고기압처럼 큰 고기압이 형성되고 그곳에서 해양을 향해 바람이 불어 우리나라 부근에 아주 차고 건조한 북서풍 찬바람이 불어온다.
건축물이나 주택의 경우 외부 소음이나 내부 소리차단, 통풍이나 환기 또는 채광기능외 창의 안팎을 차단하는 전혀 다른 두 기능을 보유하는 창호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창호 시스템은 외벽의 일정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에 창틀을 고정한 후 그 내측에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창문을 설치하여 창문을 통해 채광 및 환기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 주택의 대부분이 일광 조건을 고려한 남향을 선호하고 있어 남향으로 설치된 창문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하더라도 여름철 동서방향으로 불어오는 계절풍에 의한 자연 바람이 창호를 통해 실내로 원활하지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창호를 통해 유입되는 자연풍은 실내 공기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여름철 실내 온도를 떨어뜨리는데 아주 유용하게 작용하지만 실내 환기가 원활하지 않으면 공기가 탁해지면서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종래에는 자연풍을 이용한 실내 환기를 위해 제안된 특허등록 제10-0804516호의 바람 인입장치는 창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에 풍향유도부의 한쪽면을 축핀으로 조립하여 창밖을 지나는 바람이 축핀을 기점으로 회전하는 풍향유도부에 의한 자연풍의 실내 유입을 꾀하기도 하였으나, 종래의 특허기술은 자연 바람의 유입이 소망하는 크기의 단일 풍향유도부에 의존하도록 구성되고 있어 창호의 전체 크기(폭)에 맞도록 제작하는 경우 풍향유도부가 창밖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단점이 있다. 창밖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바람 인입장치는 건축법상 규제대상이 되고 어느 한쪽 창문에만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설치되지 않은 쪽과 불균형은 물론 물론 상대쪽 창문의 차광을 위한 별도 블라인드와 같은 차광시설이 요구되는 문제 점이 있다.
또 다른 특허등록 제10-0394324호에 제시된 창호개폐장치는 외부를 조망하는 대형 창호의 전체부분이 동작하면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넓은 조망권은 보장되는 반면에 설비 및 장치가 복잡하여 고가일 뿐만 아니라, 창밖을 스쳐 지나가는 바람은 창문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다세대 연립주택의 경우 인접되는 주택과 거리가 가까워 창호를 통한 노출로 인해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다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창호 시스템의 창틀(200)이 설치되는 건물 외벽(100)에 사람들의 시선을 일부 차단할 수 있는 불투명한 소재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판으로 구성되는 사생활 보호창(500)을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사생활 보호창(500)은 내부가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창문(300) 전체를 가리는 불투명창으로 인해 창밖 조망이 허용되지 않아 갑갑할 뿐만 아니라, 창문을 통한 채광 및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는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창호를 통한 실내 환기가 원활하지 않은 여름철의 경우 실내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해서 별도의 냉방기기를 사용하게 되고, 냉방기기 사용으로 인한 전기 에너지 손실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창호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창문을 통한 직사광선 차단/유입 등이 선택 가능하게 하고, 창밖으로 스쳐 지나가는 자연 바람을 이용하여 실내 환기가 가능한 창호 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를 통한 사생활 보호는 물론 창밖 조망도 가능한 창호 시설물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를 통해 외부인 침입이나 창문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범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설물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 시설물의 외주면에 특정 문양이나 그림이 표현되는 게시면을 설치하여 창호의 외관이 크게 개선되어 질 수 있는 창호 시설물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건물 외벽(100)의 일정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에 창틀(200)을 고정하고 그 내측에 좌,우 이동 가능한 창문(300)을 조립하여 창문(300)의 일시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창호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부재(10)와,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가로부재(10)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날개부재(20)와, 조 립가이드(35)를 매개로 가로부재(10) 양쪽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부재(30)와, 상기 세로부재(30)를 창호 시스템이 시공되는 건물 외벽(10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하는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부재(10)에 지지되는 날개가이드(21a,21b,21c,21d)를 연동시키는 각도조정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부재(10) 사이로 조립되는 날개부재(20)의 전면에 특정 문양이나 그림 등이 표현되는 게시면(60)을 형성하여 전체 외관이 미려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은 사용자에 의해 창문으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의 유입/차단이 가능하여 실내에 별도의 블라인드를 설치하는 번거러움과 비용 절감, 창문을 통한 창밖 조망도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은 창밖을 스쳐 지나가는 자연 바람을 특별한 동력장치 없이 실내로 유입시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여름철 실내 냉각을 목적으로 하는 냉방기기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은 구조 가 간단하여 기존의 창호 시스템의 구조 변경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창밖에 설치되는 창호 시설물의 외관이 뛰어나 도시미관 개선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을 통한 외부인 출입 및 창문 파손을 예방하는 방범 효과 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2는 창문에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이 시공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의 일 요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P)은 건물 외벽(100)의 일정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에 창틀(200)을 고정하고 그 내측에 좌,우 이동 가능한 창문(300)을 조립하여 창문(300)의 일시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창호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한 쌍의 중공파이프(10a,10b)로 구성되어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가로부재(10)와, 차광 및 자연 바람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다수개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로 구성되어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가로부재(10)에 조립되는 날개부재(20)와, 조립가이드(35)를 매개로 가로부재(10) 양쪽으로 결합되어 날개부재(20)가 창문(30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틀(200)의 양쪽 가장자리면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부재(30)와, 세로부재(30)를 건물 외벽(10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로부재(10)는 가로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마주하게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중공파이프(10a,10b)로 구성되고, 각각의 중공파이프(10a,10b)는 창틀(200)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다수의 핀구멍(12)(12)들이 소정의 거리 간격으로 천공되고, 각각의 핀구멍(12)(12)으로 조립되는 축핀(24)(24)을 매개로 하여 입형으로 세워지는 날개부재(20)의 양쪽(상,하부)을 각각 지지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날개부재(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같은 불투명 판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로 구성되고, 각각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 상,하부에 핀구멍(23)(23)이 천공되어 상기 핀구멍(23)(23)으로 조립되는 축핀(24)(24)을 매개로 가로부재(10a,10b) 사이에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각각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가 창문으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일시 차단하거나 창밖을 스쳐 지나가는 자연 바람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세로부재(30)는 창틀(200)의 길이(높이)와 동일 또는 그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대(31)(31)와 날개부재(20)가 창문(300)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로대(32)(32)로 구성되어 상 기 가로대(32)와 세로대(31)의 양끝단이 용접 고정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로대(31)의 한 쪽면 즉, 가로부재(10)가 조립되는 대향면에는 길이가 짧은 한 쌍의 조립가이드(35)(35)가 직교되게 용접 고정되어 상기 조립가이드(35)의 선단이 지지부재(10)의 중공파이프(10a,10b) 양쪽 끝단으로 각각 끼워질 수 있게 조립되고, 조립가이드(35)와 중공파이프(10a,10b)는 각각의 체결공(311,351)으로 관통되는 고정나사(37)를 매개로 상호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체결부재(40)는 창호 시설물(P)이 건물 외벽(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앙카볼트 또는 콘크리트 못으로 형성되어 창틀(200)의 양쪽 가장자리쪽 건물 벽면(100)에 세로부재(30)의 세로대(31) 한쪽면을 고정되게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부재(10)(10)에 조립되는 날개가이드(21a,21b,21c,21d)가 함께 연동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하는 각도조정부재(50) 및 각도조정부재(50)를 제어하는 조정간(5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각도조정부재(50)는 폭이 작고 가느다란 몸체(51)의 내측에 다수의 핀구멍(511)이 천공되어 상기 핀구멍(511)으로 관통되는 고정구(53)를 매개로 날개부재(20)의 하부측으로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몸체(51)의 상면에는 조정간(55)이 결합되어 상기 조정간(55)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각도조정부재(50)와 함께 날개가이드(21a,21b,21c,21d)가 연동되게 움직이면서 날개부재(20)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날개부재(20)의 하부측으로 각도조정부재(50)가 조립되는 것 을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각도조정부재(50)를 날개부재(20)의 한쪽 측면 일부 또는 중앙부에 고정되게 연결하여 각도조정부재(50)에 의해 날개부재(20)가 서로 연동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날개부재(20)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는 모두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창밖을 스쳐 지나가는 바람이 창문(300)을 통해 실내로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창호 시설물(P)의 내측 중앙 보다 양쪽 바깥쪽에 위치할수록 날개가이드(21a>21b>21c>21d)의 폭이 점진적으로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중앙 쪽 날개가이드(21d) 보다 바깥쪽에 위치한 날개가이드(21a)의 폭을 점진적으로 넓게 형성하면 창문(300)을 완전 개방하지 아니하고 일부만을 개방하더라도 창밖을 스쳐 지나가는 바람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날개부재(20)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의 전면(창밖으로 위치하는 쪽)에 특정한 글씨, 문양 및 캐릭터 등과 같은 그림 등이 표현되는 게시면(60)을 형성하여 상기 게시면(60)에 표현되어지는 그림에 의한 창호 시설물(P)의 전체 외관은 물론 도시미관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P)은 도 2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의 전면을 가릴 수 있는 크기 또는 창틀(200')의 일부만을 가릴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한쪽 창문이 상기 폐쇄되는 폐쇄형의 경우에는 개방되는 창문쪽에만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 있지만 창호 전체의 외관을 고려한다면 창호 전체를 가릴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호 시설물(P)은 창틀(200)의 양쪽 가장자리면과 근접된 건물 벽면(100)에 세로부재(30)로 관통되는 체결부재(40)를 매개로 하여 건물 벽면(100)에 고정되게 조립하면 창호 시설물(P)은 창문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창틀(200)에 시공되는 창호 시설물(P)은 가로부재(10) 사이에 조립되는 날개부재(20)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가 가로부재(10)의 양쪽으로 결합된 세로부재(30)와 거의 동일 수평을 이루도록 조정하면 각각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 사이로 창밖을 조망할 수 있는 조망권이 확보됨은 물론 햇볕이나 직사광선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자연 채광도 가능하다.
한편, 창호 시설물(P)이 시공된 창문(300)을 통해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6a,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도조정부재(50)의 조정간(55)를 좌,우 양쪽 방향으로 상반되게 밀면 서로 연동되는 날개부재(20)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는 가로부재(10)의 내측으로 수용되듯이 평행을 이루어 창문을 통해 직사광선이 유입되는 것을 모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날개부재(2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게시면(60)에 표현된 문양 및 그림은 창호 시설물(P)에 의한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는 장식효과를 꾀할 수 있게되어 건물의 미관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쪽 창문 중 어느 한쪽 창문 쪽 날개부재(20)를 부분적으로 조정하면 선택된 한쪽 창문의 직사광선은 차단시키면서 상대쪽 창문으로는 직사광선에 의한 자연 채광과 더불어 자연 바람 유입 및 창문을 통한 창밖 조망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무더운 여름철 실내 환기를 위해서 창문을 열어 자연 바람을 유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a,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밖을 스쳐 지나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날개부재(20)를 좌,우방향으로 각도를 조정하여 각도조정된 각각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는 자연바람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자연 바람에 의한 쾌적한 실내 공기는 입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함은 물론 실내 온도를 낮추는 기대 효과를 꾀함으로써 종래보다 냉방기기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창문을 통한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차광기능은 물론 창문을 통해 창밖을 조망할 수 있는 조망권 확보가 가능하고, 창문을 스쳐 지나가는 자연 바람은 날개부재를 이용하여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서 무더운 여름날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기기의 사용이 줄게 되어 전력 에너지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 시설물은 종래처럼 실내에 창문을 가리기 위한 별도의 블라인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들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이 창문에 시공된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의 일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이 창문의 하부측 일부만을 가릴 수 있는 크기로 시공된 또 다른 예시도,
도 6a, 6b은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을 이용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이 시공된 한쪽 창문을 통해 직사광선 또는 자연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8a, 8b은 본 발명의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을 이용하여 직사광선 또는 자연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가로부재 10a,10b: 중공파이프
12,23,511: 핀구멍 20: 날개부재
21a,21b,21c,21d: 날개가이드 24: 축핀
30: 세로부재 31: 세로대
32: 가로대 35: 조립가이드
37: 고정나사 40: 체결부재
50: 각도조정부재 55: 조정간
60: 게시면 100: 외벽
200: 창틀 300: 창문
311,351: 체결공 P: 창호 시설물

Claims (5)

  1. 건물 외벽(100)의 일정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에 창틀(200)을 고정하고 그 내측에 좌,우 이동 가능한 창문(300)을 조립하여 창문(300)의 일시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창호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한 쌍의 중공파이프(10a,10b)로 형성되어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가로부재(10)와, 차광 및 자연 바람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다수개의 날개가이드(21a,21b,21c,21d)로 구성되어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가로부재(10)에 조립되는 날개부재(20)와, 조립가이드(35)를 매개로 가로부재(10) 양쪽으로 결합되어 날개부재(20)가 창문(30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틀(200)의 양쪽 가장자리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부재(30)와, 세로부재(30)를 건물 외벽(10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10)의 중공파이프(10a,10b)는 창틀(200)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다수의 핀구멍(12)(12)이 천공되고, 각각의 핀구멍(12)(12)으로 삽입되는 축핀(24)(24)을 매개로 하여 가로부재(10)에 조립되는 날개부재(20)가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10)(10) 사이로 조립되는 날개가이드(21a,21b,21c,21d)와 연결되는 각도조정부재(50) 및 각도조정부재(50)를 제어하는 조정간(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가이드는 내측 중앙부보다 양쪽 바깥쪽에 위치할수록 날개가이드(21a>21b>21c>21d)의 폭이 점진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5. 제1항 또는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20)의 전면에 게시면(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KR1020090029785A 2009-04-07 2009-04-07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KR20090047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785A KR20090047414A (ko) 2009-04-07 2009-04-07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785A KR20090047414A (ko) 2009-04-07 2009-04-07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414A true KR20090047414A (ko) 2009-05-12

Family

ID=4085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785A KR20090047414A (ko) 2009-04-07 2009-04-07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74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870B1 (ko) * 2014-07-22 2015-03-02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KR20160107130A (ko) 2016-04-27 2016-09-13 한은주 건물 외벽의 입체장식 및 채광조절을 위한 가변 작동형 목재 스크린
KR20160141469A (ko) * 2015-06-01 2016-12-09 김원진 바람 유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870B1 (ko) * 2014-07-22 2015-03-02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KR20160141469A (ko) * 2015-06-01 2016-12-09 김원진 바람 유입장치
KR20160107130A (ko) 2016-04-27 2016-09-13 한은주 건물 외벽의 입체장식 및 채광조절을 위한 가변 작동형 목재 스크린
US11002017B2 (en) 2016-04-27 2021-05-11 Eunju HAN Variable-operated timber screens for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nd lighting control of buildings faca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1249B (zh) Double windows, dual window inner windows, and dual window formation methods
KR20150069494A (ko) 블라인드 창 및 방충망 창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JP5517242B2 (ja) 住宅
KR20090047414A (ko)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KR101098507B1 (ko) 확장형 발코니용 창문 및 난간구조
JP2007126913A (ja) 二重窓枠
JP6184095B2 (ja) 住宅内外の中間領域創出構造
KR101097923B1 (ko) 에너지 절감형 기능성 창호
CN200985712Y (zh) 多功能复合式节能门窗
AU2016273806B2 (en) Building having security and safety function
KR20180088031A (ko) 커튼 내장형 창호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KR20100008157U (ko) 창호용 빗물 차단판
JP2016056533A (ja) 建物
KR100648098B1 (ko)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JP4411592B2 (ja) 雨の降り込まない網戸用通風雨具
Ali et al. Traditional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design in the traditional buildings of the Middle East
CN110541663A (zh) 建筑新风营造法
CN2487854Y (zh) 多功能室外百叶窗
Sahoo et al. Optimization of window design in a high-rise residential township to achieve GRIHA requirements for thermal and visual comfort
Tymkiewicz et al. Day-Lighting and Sun Protection in Hospital Facilities–Assessment of the Used Solutions
JP2015001370A (ja) 換気扇をスライド窓に取り付けるためのフレーム
Bailey Mindfulness
Danby The internal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traditional Islamic house and their relevance to modern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