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523Y1 - 직화구이판 - Google Patents

직화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523Y1
KR200369523Y1 KR20-2004-0025463U KR20040025463U KR200369523Y1 KR 200369523 Y1 KR200369523 Y1 KR 200369523Y1 KR 20040025463 U KR20040025463 U KR 20040025463U KR 200369523 Y1 KR200369523 Y1 KR 200369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frigerant
flesh
refrigerant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웅
Original Assignee
장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웅 filed Critical 장일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화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류에 그을음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세척이 편리하며, 고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고기가 화기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대화하며, 구이물이 지나친 열로 인하여 타거나 구이판에 직접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이물에 대한 맛과 향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직화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직화구이판은,
내부에 냉매가 충전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의 냉매가 안내될 수 있도록 양단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매관과, 상기 프레임과 다수의 냉매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고기가 얹어지는 부분인 살로 구성되는 직화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살은 프레임 내에서 냉매관의 위쪽에 다수가 이웃하여 배치되되 그 모양은 얇은 판 형태이고 각각의 살은 수직이 되게 상하로 서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냉매관의 배열방향과 그 위에 설치되는 상기 살의 배열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각각의 살의 하부의 모양은 프레임 또는 냉매관을 끝단으로 하는 아치형 또는 경사진 기울기를 갖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외 기름받이와 보충수 토출구를 구비한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이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화구이판{Roasting device}
본 고안은 직화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화기로 낙하하지 않고 일정한 배출통로로 흐르도록 하여 육류에 그을음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세척이 편리하며, 고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고기가 화기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대화하며, 구이물이 지나친 열로 인하여 타거나 구이판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이물의 본래 맛과 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직화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구이판이란 구이물(고기나 생선 등)을 구울 때 사용하는 기구를 말하는데, 이러한 구이판에는 석쇠와 같이 구이물에 화기를 직접적으로 가하여 익히는 방식의 것과, 구이물이 화기에 의해 가열된 불판의 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익도록 하는 방식의 것이 있다.
전자와 같은 구이판을 직화구이판이라 하며 이는 화기가 직접 구이물에 가해지기 때문에 구이물 특유의 맛과 향이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수단으로부터의 열원이 구이물에 직접 닿게 되므로 구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도 갖는다. 그러나 직화구이판에 대해서는, 구이물이 높은 열에 의해 쉽게 타거나, 구이물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그대로 가열수단에 떨어져 그 화염에 의해 구이물에 불이 붙거나 심하게 그을려져서 구이물이 갖는 특유의 맛과 향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고 구이물이 갖는 특유의 향과 맛을 그대로 즐길 수 있도록 한 직화구이판을 실용신안등록 제20-0302713호를 통하여 제안한 바 있다. 이 직화구이판은 구이물이 올려지는 구이판을 중공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프레임부와 이에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형의 가열관들이 상호 연결된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내부에는 냉매가 채워지며, 상기 가열관들의 상부에는 구이물과 화기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고 그를 따라 기름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대칭형의 기름 흡수 돌기를 가열관을 따라서 조밀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하여, 구이물이 과열에 의해 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구이물로부터 발생한 기름이 다수의 기름 흡수 돌기들을 거쳐서 가열관들로 안내되어 그 하부에 마련된 기름받이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기름이 가열수단에 의해 연소되어 구이물의 맛과 향을 떨어뜨리는 것을 저지하는 한편 가열관들에 대한 구이물의 접촉면적을 줄여 화기에 의해 구워질 수 있는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하면서도 그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 구이물이 가열관들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고안 또한 개선되어야 할 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가열관의 양측 상부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기름 흡수 돌기는 그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 자체가 곤란함은 물론 사용 후 세척을 매우 번거롭게 한다.
둘째, 구이물을 구울 때 기름 흡수 돌기 부분에 구이물이 올려지는데 기름 흡수 돌기 바로 아래 부분에 파이프형의 가열관이 존재하여 고기와 화기의 직접 접촉을 막으므로, 고기와 화기가 직접 닿아야 하는 직화구이판의 용도에는 미흡한 측면이 있다. 또한 가열관에 기름 흡수 돌기 부분이 각기 분리된 채 부착되어 있는 결과 돌기 부분이 부러짐과 휨에 취약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살 두께를 일정 정도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바, 이 점 역시 고기와 화기가 직접 닿는 면적을 감소시킨다. 즉 고기의 익힘을 더디게 하는 것이다.
셋째, 상기 선고안의 경우, 냉매가 화염에 의해 가열될 경우에 파이프형 가열관들의 내부에서는 냉매가 끓기 시작하면서 수증기화가 진행되어 그 내부에는 일시적으로 냉매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기체가 찬 상태)에 이르게 되는바, 이에 따라 냉매가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상기 직화 구이판은, 일반의 구이판에 비해 덜하기는 하지만, 구이물이 표면에 달라붙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보인다.
본 고안은 전술한 선행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화기로 낙하하지 않고 일정한 배출통로로 흐르도록 하여 육류가 타거나 육류에 그을음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유지·강화하면서도, 나아가 동시에 살의 모양을 단순화하여 그 제조와 사용 후 세척을 용이하게 하며, 고기와 화기가 직접 접촉하는 면적을 더욱 확대하고, 파이프형 가열관들의 내부에 보충수 공급용 보조관을 부설하여 가열관의 내부에 채워진 냉매가 가열수단에 의해 끓기 시작하여 수증기화가 되더라도 그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구이물이 타지 않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의 직화구이판을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판의 일부를 절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 2b및 2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판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직화구이판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판의 기름받이 구성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20: 냉매관
30:보충수 유입용 내측관 40: 살
45: 기름받이 50: 내측관 지지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직화구이판은,
내부에 냉매가 충전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의 냉매가 안내될 수 있도록 양단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매관과, 상기 프레임과 다수의 냉매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고기가 얹어지는 부분인 살로 구성되는 직화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살은 프레임 내에서 냉매관의 위쪽에 다수가 이웃하여 배치되되 그 모양은 얇은 판 형태이고 각각의 살은 수직이 되게 상하로 서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냉매관의 배열방향과 그 위에 설치되는 상기 살의 배열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각각의 살의 하부의 모양은 프레임 또는 냉매관을 끝단으로 하는 아치형 또는 경사진 기울기를 갖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상기 각 살은 연속적 형태 또는 그 살을 받쳐주는 냉매관과 냉매관의 사이 부분이 끊겨진 비연속적인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이며,
살의 상부의 모양은 일직선형 또는 굴곡형 중의 어느 하나이고,
프레임 또는 냉매관에는 기름받이가 프레임 또는 냉매관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프레임 또는 냉매관에 형성된 각각의 기름받이는 프레임 또는 냉매관의 중앙부에서 끝단부로, 또는 프레임 또는 냉매관의 어느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경사진 기울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을 상기 냉매관 내에 설치할 수 있는바,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의 양쪽 단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위치하고 그 중간 부분에는 보충수 토출구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관의 양단에는, 상기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을 지지하는 내측관 지지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냉매관의 양단이 상기 내측관 지지부재에 의해 밀폐되도록 하고, 이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 단부는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냉매관의 양단을 밀폐하는 내측관 지지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냉매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공이 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의 중간에 구비되는 상기 보충수 토출구는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의 절단된 이격단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냉매관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은, 그 양단이 하부로 향하여 절곡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판의 일부를 절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2b 및 2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판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직화구이판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판의 기름받이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판은, 내부에 냉매가 충전될 수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 내의 냉매가 안내될 수 있도록 양단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매관(20)과, 고기가 얹어지는 살(40)로 구성되는 직화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살(40)은 프레임(10) 내에서 냉매관(20)의 위쪽에 다수가 이웃하여 배치되되 그 모양은 얇은 판 형태이고 각각의 살은 수직이 되게 상하로 서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냉매관(20)의 배열방향과 그 위에 설치되는 상기 살(40)의 배열방향은 서로 수직으로 돼 있다. 이와 같이 살(40)을 얇은판 형태로 하여 세우는 구조를 취할 경우 모양이 단순하여 제조상의 이점이 현저하며 직화구이판의 사용 후 세척이 용이하다. 그리고 종전에는 구이물이 올려지는 기름 흡수 돌기가 가열관(냉매관)에 각기 분리된 채로 부착되어 있어서 부러짐과 휨에 취약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살 두께를 일정 정도 이상으로 하여야 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판형으로 함으로써 돌기 형태의 살(또는 환봉 형태의 살)보다 살의 두께를 절반 이하로 줄이면서도 부러짐이나 휨에 대한 강도는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고기가 화기에 노출되는 비율을 2배 이상으로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직화구이의 장점인 고기의 맛과 향을 살리는 데에 매우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냉매관(20) 위에 배치되는 각각의 살(40)은 도 1이나 2a 또는 2c처럼 좌우 연속적인 띠 형태로 할 수도 있고, 도 2c의 A부분(냉매관과 냉매관 사이에 위치한 임의의 부분)에서 연결이 끊어지게 함으로써 비연속적인 띠 형태가 되게 할 수도 있다(한편 도 2a는 냉매관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이고, 도 2b와 도 2c는 원형인 경우임). 살(40)을 띠 형태로 할 경우, 냉매관과 그에 이웃한 냉매관의 사이 부분에 존재하는 살의 면적이 상당히 넓게 되는데 이 부분은 고기와 화기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하므로 직화구이판의 용도에 적합한 장점을 갖게 된다(전술한 선고안의 두 번째 단점, 즉, 기름 흡수 돌기의 대부분이 그 아래 부분에 위치한 파이프형의 가열관에 가려져 고기와 화기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부위가 매우 좁다는 문제가 해소된다). 덧붙이면 각각의 살(40)을 연속적인 띠 형태로 할 경우 좌우로의 열전도율이 우수하여 직화구이판 하부의 가열수단으로부터의 열원이 불규칙하게 위치하더라도 전체면에 걸쳐 균일한 구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살(40)의 상부의 모양은 매끈한 직선형으로 할 수도 있고, 화기와 구이물과의 접촉면적을 좀 더 줄여 보다 넓은 면적의 열이 구이물로 직접 전달되고 구이물과 살(40)의 달라붙음이 더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굴곡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살(40)는 일반적으로 냉매관(20)과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지만 성형의 용이성과 더불어 청결성을 고려하여 개별 냉매관(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도 2b 참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살(40)은, 분리를 통해 살(40) 사이에 잔존하는 양념이나 기름찌꺼기 등을 완전히 세척하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하다.
각각의 살(40)의 하부의 모양은 프레임(10) 또는 냉매관(20)을 끝단으로 하는 아치형 또는 경사진 기울기를 갖는 형태이고, 프레임 또는 냉매관에는 기름받이(45)가 프레임 또는 냉매관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구이물에서 나오는 기름이 살(40)의 경사진 하부를 따라 흘러내려 기름받이(45)로 연결되게 유도할 수 있다(살을 환봉 형상으로 하는 구조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 - 하부만 아치형 또는 경사진 기울기를 갖도록 한 형태 - 을 채용할 수 없다). 이러한 기름받이(45)는, 도 2a, 2b 및 2c 에서는 프레임(10) 또는 냉매관(20)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 도시된 위치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레임(10)이나 냉매관(20)의 상부나 중부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기름받이는 [특히 그것이 냉매관(20)에 설치되는 경우에] 좌우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기름받이(45)는, 더욱 바람직하게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이나 냉매관(20)의 중앙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양쪽 단부로 향하여 처짐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는 프레임(10)이나 냉매관(20)의 일측 끝에서 다른 측 끝을 향하여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처짐 경사를 이루며 설치되는 기름받이(45)는, 구이물로부터 배출된 기름이나 분리된 양념 혹은 기타의 이물에 의해 기름통로가 막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첫 번째 특징인 살(40)과 그 주변의 구조 및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는 본 고안의 두 번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냉매관(20)과 그 주변부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첫 번째 특징과 두 번째 특징에 관한 구성은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상호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를 채용하는 것만으로도 그 각 구성에서 유래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령, 냉매관에 관한 구성은 종래기술대로 하고 본 고안의 살(40)에 관련된 구성만 취한다 하더라도 그로부터 앞에서 서술한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두 가지 특징적인 구조가 함께 결합된다면 양 구조로부터 유래하는 효과 모두를 얻을 수 있어 전체적으로 더욱 효능이 있는 물품이 될 것임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 따른 직화구이판의 프레임(10)은 직화구이판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기초부재로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프레임(10) 역시 사각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그러나 직화구이판을 타원 형상이나 원형으로 제작하고자 한다면 프레임(10) 역시 이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그 내부에 냉매가 충전될 수 있도록 중공의 관상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일측에는 프레임(10) 내부로 액상의 냉매를 충전시키기 위한 주입구(12)와 이를 밀봉하기 위한 캡(14)이 설치된다. 냉매로는 통상의 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구성을 따라 프레임(10)을 통해 공급되어 냉매관(20)과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의 사이로 흐르면서 상기 냉매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살(40)의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구이물(고기나 생선 등을 포함)이 살(40)에 달라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상기 냉매관(20) 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양쪽 단부가 상기 프레임(10) 내에 위치하고, 그 중간 부분에 보충수 토출구(32)를 구비하는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관(20)의 양단에는, 상기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을 지지하는 내측관 지지부재(50)를 설치한다. 냉매관(20)의 양단은 상기 내측관 지지부재(50)에 의해 밀폐되는 것으로서, 냉매관(20)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며 그 양단의 내측관 지지부재(5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 단부는 프레임(10)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냉매관(20)의 양단을 밀폐하는 내측관 지지부재(50)의 일면에는 상기 냉매관(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가열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공(52)이 천공된다.
프레임(10)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의 양쪽 단부(30a)는 프레임(10)의 바닥면을 향하여 각각 하향 절곡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면을 향하여 각각 하향 절곡된 상기 상기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의 양쪽 단부(30a)는, 상기 냉매관(2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하고 있는 상기 수증기 배출공(52)과 최대한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프레임(10) 내부에 채워져 있는 보충수를 고온으로 가열된 상기 냉매관(20)의 내부로 유입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
상기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의 중간에 구비되는 상기 보충수 토출구(32)는 도 3a에서와 같이 몇 개의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하거나, 또는 도 3b에서와 같이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여 이격시킨 단부에 의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직화구이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를 가스렌지 등 가열수단에 올려놓고 살(40)들의 상면에 굽고자 하는 구이물을 올린다. 그러면 가열수단으로부터의 화염은 냉매관(20)들 사이의 공간과 살(40)들의 사이 공간을 통해 직접 구이물로 향하기 때문에 구이물은 화염의 직접열에 의해 구워지게 되는바, 그 맛과 향이 탁월해진다.
그리고 구이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한 기름은 하부가 경사진 복수의 살(40)을 타고 흘러내려 프레임(10) 또는 냉매관(20)에 달린 기름받이(45)로 떨어진다. 따라서 발생한 기름이 직접 화염에 의해 연소되어 구이물의 맛과 향을 떨어뜨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화염에 의해 구이물이 구워지는 동안, 복수의 살(40)을 포함하여 냉매관(20)들 역시 화염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프레임(10) 내에 위치한 냉매는 한 쌍의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 절곡 단부(30a)을 통해 유입된 후 냉매관(20) 내의 중간 영역에 위치한 보충수 토출구(32)을 통해 배출된다. 배출된 후에는 한 쌍의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을 제외한 냉매관(20)들의 내부를 따라 프레임(10) 측으로 각각 흐른 다음, 내측관 지지부재(50)의 수증기 배출공(52)을 통해서 프레임(10) 내부로 다시 복귀한다.
이처럼 프레임(10) 내에 충전한 냉매는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30)을 통해 냉매관(20) 내의 중앙 영역으로 흐른 다음, 다시 냉매관(20) 내의 외측을 경유하여 내측관 지지부재(50)를 통해서 프레임(10) 내로 복귀하는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냉매관(20) 내부는 어느 한 영역이라도 냉매가 없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냉매관(20) 내에 일시적으로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충수 토출구(32)을 통해 새로운 냉매가 기체를 밀어내면서 그 자리를 메워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냉매의 흐름에 기인하여 구이물들은 살(40)들에 달라붙지 않고 구워질 수 있다. 따라서 구이물에 대한 맛과 향은 배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화기로 낙하하지 않고 일정한 배출통로로 흐르도록 하여 육류에 그을음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강화하면서도, 나아가 동시에 살의 모양을 단순화하여 그 제조와 사용 후 세척을 용이하게 하며, 고기와 화기가 직접 닿는 면적을 더욱 확대하고, 냉매가 위치하는 공간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이물이 달라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함으로써 구이물 본래의 맛과 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냉매가 충전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의 냉매가 안내될 수 있도록 양단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매관과, 상기 프레임과 다수의 냉매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고기가 얹어지는 부분인 살로 구성되는 직화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살은 프레임 내에서 냉매관의 위쪽에 다수가 이웃하여 배치되되 그 모양은 얇은 판 형태이고 각각의 살은 수직이 되게 상하로 서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냉매관의 배열방향과 그 위에 설치되는 상기 살의 배열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살의 하부의 모양은 프레임 또는 냉매관을 끝단으로 하는 아치형 또는 경사진 기울기를 갖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살은 연속적 형태 또는 그 살을 받쳐주는 냉매관과 냉매관의 사이 부분이 끊겨진 비연속적인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이며,
    각각의 살의 상부의 모양은 일직선형 또는 굴곡형 중의 어느 하나이고,
    프레임 또는 냉매관에는 기름받이가 프레임 또는 냉매관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4. 제3항에 있어서,
    프레임 또는 냉매관에 형성된 각각의 기름받이는 프레임 또는 냉매관의 중앙부에서 끝단부로, 또는 프레임 또는 냉매관의 어느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경사진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 내에 설치되며, 그 양쪽 단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위치하고, 그 중간부에는 보충수 토출구를 구비하는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의 양단에는, 상기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을 지지하는 내측관 지지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냉매관의 양단이 상기 내측관 지지부재에 의해 밀폐되도록 하고, 이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 단부는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의 양단을 밀폐하는 내측관 지지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냉매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공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보충수 유입용 내측관은, 그 양단이 하부로 향하여 절곡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KR20-2004-0025463U 2004-06-24 2004-09-04 직화구이판 KR2003695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7928 2004-06-24
KR2020040017928 2004-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523Y1 true KR200369523Y1 (ko) 2004-12-04

Family

ID=4944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463U KR200369523Y1 (ko) 2004-06-24 2004-09-04 직화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5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55Y1 (ko) 2011-06-30 2013-06-19 장일권 직화구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55Y1 (ko) 2011-06-30 2013-06-19 장일권 직화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922B2 (en) Grill pan
KR100243524B1 (ko) 튀김 조리기
US6848440B2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200369523Y1 (ko) 직화구이판
EP1444938B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4128214B2 (ja) 竹焼き網及び焼き装置
KR200461125Y1 (ko) 구이용 석쇠
KR200256249Y1 (ko) 육류구이팬
KR970007108Y1 (ko) 수냉식 구이판의 개량구조
KR200436062Y1 (ko) 연기방지용 석쇠
KR200365200Y1 (ko)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EP1444934B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200312267Y1 (ko) 구이용 수냉 석쇠
KR100330622B1 (ko) 직화 구이팬
KR960002359Y1 (ko) 구이판
KR100972599B1 (ko) 저수부에 의한 스팀 토출형 구이판
JP4001030B2 (ja) 加熱調理器
KR200183505Y1 (ko) 음식물의 구이판
KR0140137Y1 (ko) 육류 구이기
KR200238993Y1 (ko) 육류구이용 구이판
KR20040094586A (ko) 직화가열식 양면팬
KR200460989Y1 (ko) 경사진 기름 흐름통로부에 의한 이중 기름받이 구조의 구이용 불판
KR200341138Y1 (ko) 구이판
KR200302713Y1 (ko) 직화 구이판
KR20020056339A (ko) 가스복사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