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653Y1 - 리프트 체인 - Google Patents

리프트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653Y1
KR200366653Y1 KR20-2004-0021397U KR20040021397U KR200366653Y1 KR 200366653 Y1 KR200366653 Y1 KR 200366653Y1 KR 20040021397 U KR20040021397 U KR 20040021397U KR 200366653 Y1 KR200366653 Y1 KR 200366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hain
connection
lif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영
김종령
윤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테크
Priority to KR20-2004-0021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6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5Chain-type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연결 작업시 관을 들어올려 연결부를 일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관의 둘레를 감아 리프트 장비에 연결하면서, 들어올린 상태에서도 상호 체결부의 일치가 가능하도록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리프트 체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연결되는 관의 둘레에 감아 그 양단을 리프트 장비에 메달아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체인이며, 상기 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롤러가 설치되어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은, 관의 연결작업시 관의 둘레를 감아 리프트장비로 들어올리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체인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체인에 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될 양측 관의 센터를 일치시킨 후 근접시켜 연결부의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실시할 때, 단순히 체인에 연결된 관을 정역회전시키면 롤러에 의해 부드럽게 회전되기 때문에 볼트구멍을 일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관의 연결작업을 쉽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프트 체인{Lift chain}
본 고안은 관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관의 둘레를 감아 리프트 장비에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도 관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하여 상호 관의 체결부 일치를 위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리프트 체인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 또는 하수관 등 각종관은 관이 매설되는 위치로 터파기를 실시한 후 여러개의 관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매립하여 완성한다.
종래에는 상수관을 주로 주철로 사용하고 하수관은 콘크리트관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주철관은 지중에 존재하는 부식을 촉진시키는 각종 요인들 예를 들면 수분, 폐수 또는 그 외의 화학물질들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부식되는 단점이 있고, 또 하수관으로 이용되는 콘크리트관은 관과 관의 연결상태가 불량하여 누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두 재질로 이루어진 관들은 중량이 많이 나가는 관계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난해한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요즘은 주로 합성수지재관을 사용하며, 특히 하수관과 같은 경우에는 거의 합성수지재관을 사용한다.
합성수지재관은 상수 및 하수관의 제조는 압출성형이 어려워 작은 관형태로 압출되는 관을 나선형태로 감으면서 접착하여 대구경의 관을 성형하게 되는데, 작은 관이 벽을 이루기 때문에 내부가 비어있는 꼴이 되어 이중벽관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지관은 가볍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온도와 같은 주변의 여건에 따라 길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등 쉽게 변형되는 특징이 있어 특히 연결시에는 연결부의 견고한 결합이 중요한 관건이다.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데는 융착에 의한 것과 플랜지를 이용하여 볼트체결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는데, 융착에 의한 연결은 현장시공성 및 작업성이 떨어져 잘 사용되지 않고 주로 플랜지 결합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플랜지결합은 연결되는 양측 관의 연결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일치시키고 볼트구멍을 일치시켜 볼트를 체결해야 하는데, 그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있다. 즉, 연결되는 관의 일측을 연결되어지는 관의 연결부와 일치시키기 위해 연결되는 관을 들어올려 센터를 맞추고 서로를 근접시키면서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일치시켜 볼트체결을 실시한다. 하지만 관을 들어 올릴 때 관의 둘레에 와이어를 감은 후 그 와이어의 양단을 포크레인과 같은 리프트 장비에 메달아 들어올리게 되므로 연결관 서로간의 센터를 일치시키는 작업은 쉽게 할 수 있으나, 와이어로 메달린 상태에서 플랜지의 볼트구멍을 일치시키는 작업은 와이어가 관의 둘레를 조르고 있는 상태와 같기 때문에 너무나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고 공기가 연장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관을 연결할 때 연결하는 관의 둘레를 감아 리프트장비로 들어올려 상호간의 센터를 일치시킨 후 근접시키면서 연결부의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일치시킬 때, 연결부재에 메달린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되어 볼트구멍의 일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재 즉, 리프트 체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결되는 관의 둘레에 감아 그 양단을 리프트 장비에 메달아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연결부재를 체인으로 구성하며, 상기 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롤러가 설치되어 달성된다.
도 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체인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체인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체인 12 - 플레이트
14 - 연결핀 16 - 롤러
20 - 관 22 - 플랜지
24 - 볼트구멍 26 - 볼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체인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체인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하면, 체인(1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16)가 설치되어 있다.
체인(10)에 롤러(16) 설치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 할 수가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체인(10)의 각 관절을 이루는 양측 플레이트 연결핀(14)에 롤러(16)를 설치하여 연결핀(14)이 롤러축 기능을 겸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구조로 설치할 수가 있고, 또 체인(10)의 각 플레이트(12) 또는 일정 간격의 플레이트(12)의 상단 또는 하단을 연장하여 그 연장단부(13)에 롤러(16)의 축을 설치하여 롤러(16)를 설치할 수가 있다.
중요한 것은 롤러(16)가 체인(10)의 플레이트(12)보다 돌출되어 있어 롤러(16)와 접촉되는 부분이 체인(10)의 플레이트(12)나 연결핀(14)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16)가 설치된 체인(10)의 양단부에는 리프트 장비에 연결할 수 있는 고리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관경의 차에 따라 그 설치 위치의 변경이 예상되므로 가변적이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리프트 체인(10)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미 설치된 관(20)의 일단으로 연결될 관(20)의 둘레에 롤러(16)가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체인(10)을 감아 그 양단을 포크레인의 버킷과 같은 리프트 장비에 걸어 둔 다음 관(20)을 들어 올린다.
들어올린 관(20)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연결될 관(20)의 센터와 일치시킨 후 플랜지(22)와 플랜지를 근접시킨다. 거의 근접이 완료되면 체인(10)에 메달려있는 관(20)을 회전시키면, 관(20)과 체인(10)의 사이에 위치한 롤러(16)에 의해 자유롭게 관(20)이 회전된다. 따라서 연결될 관(20)의 플랜지(22)를 설치된 관(20)의 플랜지와 일치시키면서 양측 플랜지(22)에 형성된 볼트구멍(24) 또한 일치시킨다. 이 작업은 체인(10)에 설치된 롤러(16)에 의해 매우 유연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구멍(24)이 일치가 되면 볼트(26)를 끼운다음 너트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조여 양측 관(20)이 견고한 연결상태를 이루게 하여 완료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관의 연결작업시 관의 둘레를 감아 리프트장비로 들어올리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체인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체인에 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될 양측 관의 센터를 일치시킨 후 근접시켜 연결부의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실시할 때, 단순히 체인에 연결된 관을 정역회전시키면 롤러에 의해 부드럽게 회전되기 때문에 볼트구멍을 일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관의 연결작업을 쉽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연결되는 관의 둘레에 감아 그 양단을 리프트 장비에 메달아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를 체인으로 구성하며,
    상기 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체인.
KR20-2004-0021397U 2004-07-27 2004-07-27 리프트 체인 KR200366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397U KR200366653Y1 (ko) 2004-07-27 2004-07-27 리프트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397U KR200366653Y1 (ko) 2004-07-27 2004-07-27 리프트 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653Y1 true KR200366653Y1 (ko) 2004-11-06

Family

ID=4935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397U KR200366653Y1 (ko) 2004-07-27 2004-07-27 리프트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6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50729U (zh) 大断面机动车隧道土压平衡矩形顶管管节
CN110056728B (zh) 一种可旋转的法兰连接装置及连接方法
KR20050015899A (ko) 가로등 기초
KR200366653Y1 (ko) 리프트 체인
CN210779937U (zh) 一种组装式电缆保护管
JP2009052399A (ja) 鋼管建込み用治具および鋼管沈設方法
CN208136954U (zh) 预制拼装式管廊结构
CN203050736U (zh) 大断面机动车隧道防水型土压平衡矩形顶管管节
CN104878787A (zh) 两节及以上钢筋笼深基坑测斜管对接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359265Y1 (ko) 파이프 연결구
CN210372529U (zh) 哈夫节辅助防脱装置
KR200403877Y1 (ko) 맨홀의 관접속장치
JP3588326B2 (ja) 鋼管装置および鋼管沈設方法
CN203066987U (zh) 防错位大断面机动车隧道土压平衡矩形顶管管节
CN205111655U (zh) 一种由壬安装拆卸工装
KR200332046Y1 (ko) 가로등 중공기초
JP2004204677A (ja) 鋼管建込み用治具および鋼管沈設方法
JP2001279666A (ja) 鋼管建込み用治具および鋼管建込み・沈設方法
KR200373388Y1 (ko)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CN211040042U (zh) 一种双壁波纹管拼接装置
CN219343217U (zh) 一种基坑支护结构
CN211571891U (zh) 一种市政给排水管道连接结构
CN214579385U (zh) 一种免焊接排污钢管专用顶管管材
KR100597276B1 (ko)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JP200420467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