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046Y1 - 가로등 중공기초 - Google Patents

가로등 중공기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046Y1
KR200332046Y1 KR20-2003-0026310U KR20030026310U KR200332046Y1 KR 200332046 Y1 KR200332046 Y1 KR 200332046Y1 KR 20030026310 U KR20030026310 U KR 20030026310U KR 200332046 Y1 KR200332046 Y1 KR 200332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treet lamp
hole
foundation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범
Original Assignee
홍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범 filed Critical 홍성범
Priority to KR20-2003-0026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0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0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 중공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전선관이 연결될 위치에 구멍이 뚫린 수납박스와; 일측말단이 컨넥터에 의해 상기 수납박스의 구멍에 연결되며, 타측말단이 하기 콘크리트기초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관과; 상기 수납박스에 부착된 전산볼트와; 상기 수납박스를 내포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기초와; 상기 전산볼트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로등주와; 상기 가로등주의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전선관으로 이어지는 전선은 상기 수납박스내에서 수회 감겨 권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시가스관로공사, 상하수도공사, 지중케이블공사, 조경공사 등의 타 공사중에 포크레인등에 의해 가로등과 가로등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당겨져 끊어지거나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단전 또는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로등 중공기초{STREET LIGHT FOUNDATION}
본 고안은 가로등 중공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 기초의 중앙에 수납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공간을 통과하는 전선을 수회 감아 권선부를 형성시키므로써, 도시가스관로공사, 상하수도공사, 지중케이블공사, 조경공사 등의 타 공사중에 포크레인등에 의해 전선이 당겨져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가로등 중공기초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57937호(출원번호 20-2001-0025917호)에는 가로등 배선용 맨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가로등기초의 일측방에 가로등 전선용 맨홀을 설치하고, 상기 맨홀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연결되는 전선만 권선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포크레인 등으로 전선이 잡아당겨지는 경우 한쪽의 전선만 풀리므로써 전선이 단선될 확률이 높고, 비록 단선되지 않는다하여도 피복이 벗겨질 우려가 높으며, 가로등기초와 맨홀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도로상에서 넓은 면적을 점유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로등 기초의 중앙에 수납박스를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공간을 통과하는 전선을 수회 감아 권선부를 형성시킨 가로등 중공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 중공기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 중공기초의 단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 중공기초에 가로등주가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조립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수납박스 12. 연결관 14. 배수관
20. 전선관 30. 전산볼트 40. 콘크리트기초
50. 가로등주 52. 너트 54. 결합공
60. 전선 62. 권선부 70. 동판
72. 접지선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 중공기초는, 하기 전선관이 연결될 위치에 구멍이 뚫린 수납박스와; 일측말단이 컨넥터에 의해 상기 수납박스의 구멍에 연결되며, 타측말단이 하기 콘크리트기초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관과; 상기 수납박스에 부착된 전산볼트와; 상기 수납박스를 내포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기초와; 상기 전산볼트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로등주와; 상기 가로등주의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전선관으로 이어지는 전선은 상기 수납박스내에서 수회 감겨 권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등주의 접지저항이 규정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하부에 동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가로등주와 상기 동판은 접지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박스에는 우천시 물이 찰 수 있으므로 상기 수납박스의 하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말단이 상기 배수공에 컨넥터로 연결되며, 타측말단은 상기 콘크리트기초 및/또는 상기 동판의 하부로 노출되는 배수관을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 중공기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가로등 중공기초의 중앙에는 수납박스(10)가 위치한다.
수납박스(10)는 하부의 변이 모따기되어 있는 형상의 육면체이다. 상기 모따기는 수납박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모으기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모따기 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수납박스(10)의 상부에는 연결관(12)이 연결되기위한 구멍이 뚫려 있다. 수납박스(10) 측면 하부에는 전선관(미도시)이 연결되기 위한 구멍(미도시)이 4개 뚫려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2~3개의 구멍만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수납박스(10)의 하부에는 배수관(14)이 연결되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다. 수납박스(10)는 철판, 스텐레스,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 지며, 형태는 중앙이 빈 원기둥, 육각기둥 등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수납박스(10)의 측면 모서리에는 전산볼트(30)가 수납박스(10)에 용접되어 부착되어 있다. 수납박스(10)와 전산볼트(30)가 서로 고정될 수만 있다면 용접이외의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부착시켜도 무방하다.
전산볼트(30)의 하부말단에는 동판(70)이 부착되어 있으며, 전산볼트(30)의 상부와 동판(70)은 접지선(72)으로 접지되어 있다.
수납박스(10)의 외부에는 콘크리트기초(40)가 둘러싸고 있다. 도면에서 콘크리트기초(40)는 단면이 정사다리꼴이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가로등주(50)는 전산볼트(30)의 상부말단에 결합된다.
연결관(12)은 가로등주(50)의 중앙 통공에 끼워진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 중공기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2를 살펴보면, 수납박스(10), 연결관(12), 배수관(14), 전산볼트(30), 콘크리트기초(40)에 관한 설명은 도1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수납박스(10) 측면 하부에는 2개~4개(도면에서는 2개만 표시되어 있음)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상기 구멍에는 전선관(20)이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연결관(12), 배수관(14), 전선관(20)은 수납박스(10)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수납박스(10)의 구멍에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컨넥터(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구멍과 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컨넥터는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이를 생략한다.
동판(70)의 중앙에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배수관(14)의 하단부가 상기 구멍에 끼워지므로써 배수관의 하단부가 지중에 노출되어 배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도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던 전선(60)은 가로등주(미도시)로부터 연결관(12)를 경유하여 수납박스(10)의 내부로 인입된다. 전선(60)은 수납박스(10)내에서 수회 감겨 권선부(62)를 형성하고, 전선관(20)을 경유하여 콘크리트기초(40)의 외부로 빠져나가 다른 가로등주로 연결된다. 상기 다른 가로등주도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 중공기초로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가로등주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또 다른 가로등주가 있으므로 전선(60)은 2개이며, 분지되어야 하는 곳은 3개~4개 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전선(60)은 전선케이블을 의미한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 중공기초에 가로등주가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3을 살펴보면, 전산볼트(30)에 가로등주(50)의 결합공(54)가 결합되고 너트(52)가 전산볼트(30)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관(12)은 가로등주(50)의 중앙통공에 삽입되며, 전선(60)은 가로등주(50)의 중앙통공을 경유하여 가로등(미도시)에 연결된다.
포크레인 등에 의해 가로등주와 가로등주의 사이에서 전선이 잡아당겨지면, 가로등주(50)를 분리한 후 연결관(12)으로 손이나 기구를 넣어 전선을 당기거나 추가로 연결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연결관(12)은 현장여건에 따라 도시된 것보다 더 짧게 할 수 있다. 침수피해가 염려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산볼트(30)의 높이까지 짧아져도 무방하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며,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 중공기초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수납박스(10)를 준비하고, 수납박스(10)의 네 모서리에 전산볼트(14)를 용접하되, 수평이 잘 맞도록 한다. 수납박스(10)의 다수의 구멍에는 컨넥터를 이용하여 연결관(12), 배수관(14), 전선관(20)을 연결한다.
한편에서는 중앙에 구멍이 뚫린 동판(70)을 준비한다.
상기 전산볼트(14)를 포함한 수납박스(10)를 동판(7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전산볼트(14)와 동판(70)을 고정시킨다. 동판(70)의 중앙의 구멍에는 배수관(14)가 대응되도록 한다. 전산볼트(14)와 동판(7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용접을 할 수도 있으며, 전산볼트(14)와 대응되는 위치의 동판(70)에 구멍을 뚫고 너트를 이용하여 전산볼트와 동판(7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전산볼트(14)의 상부 말단부와 동판(70)을 접지선(72)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콘크리트기초(40)의 외부모양을 결정하는 거푸집을 제작한다.
수납박스를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넣되, 상기 거푸집의 적당한 곳에 구멍을 뚫고 전선관(20)을 상기 구멍에 넣어 거푸집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레미콘 등)를 넣고 일정시간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한다.
상기 가로등 중공기초의 제작과정은 평지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가로등이 위치할 곳을 터파기 한 후, 터파기 위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가로등이 위치할 곳까지 운반할 수도 있다.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넣을 때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진동을 가하므로써 콘크리트가 잘 충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시가스관로공사, 상하수도공사, 지중케이블공사, 조경공사 등의 타 공사중에 포크레인등에 의해 가로등과 가로등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당겨져 끊어지거나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단전 또는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로등 기초에 있어서,
    하기 전선관이 연결될 위치에 구멍이 뚫린 수납박스와;
    일측말단이 컨넥터에 의해 상기 수납박스의 구멍에 연결되며, 타측말단이 하기 콘크리트기초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관과;
    상기 수납박스에 부착된 전산볼트와;
    상기 수납박스를 내포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기초와;
    상기 전산볼트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로등주와;
    상기 가로등주의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전선관으로 이어지는 전선은 상기 수납박스내에서 수회 감겨 권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중공기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기초의 하부에 위치하는 동판과;
    상기 가로등주와 상기 동판을 연결하는 접지선;을 추가로 갖는 가로등 중공기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의 하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말단이 상기 배수공에 컨넥터로 연결되며, 타측말단은 상기 콘크리트기초 및/또는 상기 동판의 하부로 노출되는 배수관을 추가로 갖는 가로등 중공기초.
KR20-2003-0026310U 2003-08-14 2003-08-14 가로등 중공기초 KR200332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310U KR200332046Y1 (ko) 2003-08-14 2003-08-14 가로등 중공기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310U KR200332046Y1 (ko) 2003-08-14 2003-08-14 가로등 중공기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507A Division KR100535826B1 (ko) 2003-08-14 2003-08-14 가로등 기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046Y1 true KR200332046Y1 (ko) 2003-11-03

Family

ID=4941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310U KR200332046Y1 (ko) 2003-08-14 2003-08-14 가로등 중공기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04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099B1 (ko) * 2005-09-07 2008-08-19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가로등 기초
KR100969410B1 (ko) 2009-06-15 2010-07-14 박지운 가로등 시설물
KR100991886B1 (ko) * 2008-04-17 2010-11-04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기둥 정착구조
KR20180084275A (ko) 2017-01-16 2018-07-25 이안산업개발(주) 개선된 구조의 가로등 기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099B1 (ko) * 2005-09-07 2008-08-19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가로등 기초
KR100876127B1 (ko) * 2005-09-07 2008-12-29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가로등 기초
KR100991886B1 (ko) * 2008-04-17 2010-11-04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기둥 정착구조
KR100969410B1 (ko) 2009-06-15 2010-07-14 박지운 가로등 시설물
KR20180084275A (ko) 2017-01-16 2018-07-25 이안산업개발(주) 개선된 구조의 가로등 기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826B1 (ko) 가로등 기초
CN106088148B (zh) 综合管廊模板及其应用
KR200332046Y1 (ko) 가로등 중공기초
CN215253290U (zh) 一种市政工程用污水排水管道
KR100828657B1 (ko)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기초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
CN210373323U (zh) 一种组合式灯杆
KR101668056B1 (ko)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CN106451271A (zh) 一种电缆过道桥架结构及其安装方法
CN206283215U (zh) 一种电缆过道桥架结构
CN205206451U (zh) 一种电线杆及一种电线保护套管
JP2015063858A (ja) 熱交換用パイプの埋設装置
KR20100033750A (ko) 전주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63919Y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고정용 베이스
KR20110017143A (ko)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
KR100998737B1 (ko) 가로등 기초 공법
KR102172726B1 (ko) 가로등 기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가로등 기초 제조방법
CN214832907U (zh) 电气埋地管拉线位置的临时保护结构
CN216109987U (zh) 一种便于组装架设的水泥电线杆
CN211621689U (zh) 一种高度可调节装配式预制检查井
KR20120001398U (ko) 가로등용 기초 구조물
KR200221915Y1 (ko) 지중 지지관 구조
KR101066913B1 (ko)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CN115387656A (zh) 路灯的安装施工方法
CN210658211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疏水装置
KR102160737B1 (ko) 맨홀의 관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