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737B1 - 가로등 기초 공법 - Google Patents

가로등 기초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737B1
KR100998737B1 KR1020100013957A KR20100013957A KR100998737B1 KR 100998737 B1 KR100998737 B1 KR 100998737B1 KR 1020100013957 A KR1020100013957 A KR 1020100013957A KR 20100013957 A KR20100013957 A KR 20100013957A KR 100998737 B1 KR100998737 B1 KR 10099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ound
concrete block
street lam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빛
Priority to KR102010001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주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공급용 전선, 배출용 전선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에 있어서 가로등주를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공사를 시행한 후 별도로 콘크리트 블록의 외부로 접지선을 연결하여 개별접지를 설치하는 개별접지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연접지선과 고정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하며, 접지연결관 상단부위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접지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연결돌기에 공급용 연접지선, 배출용 연접지선 및 고정접지선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접지를 연결할 수 있고, 돌출고정접지동판이 콘크리트 블럭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접지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로등 기초 공사 과정에서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된 접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로등의 설치가 차도 쪽에 밀접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블럭의 무게중심이 인도 쪽에 위치하고, 가로등의 설치가 콘크리트 블럭에서 차도 쪽에 설치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로등 기초 공법{process of working road lighting with several earth connection}
본 발명은 가로등 기초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주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공급용 전선, 배출용 전선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에 있어서 가로등주를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공사를 시행한 후 별도로 콘크리트 블록의 외부로 접지선을 연결하여 개별접지를 설치하는 개별접지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연접지선과 고정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하며, 접지연결관 상단부위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접지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연결돌기에 공급용 연접지선, 배출용 연접지선 및 고정접지선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접지를 연결할 수 있고, 돌출고정접지동판이 콘크리트 블럭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접지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로등 기초 공사 과정에서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된 접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의 돌출고정접지동판과 다기능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가로등주를 설치 경우 가로등주에 가설되는 시설물들에 인축이 접촉함으로서 야기되는 각종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가로등주에는 미리 정해진 규정에 따라 반드시 접지를 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당해 기기나 시설물들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충전부위에 인축이 접촉하게 될 경우 예기치 못한 큰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마련된 제도적인 장치인 것이다.
가로등주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공급용 전선, 배출용 전선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은 가로등기초의 일측방에 가로등 전선용 맨홀을 설치하고, 맨홀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연결되는 전선만 권선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포크레인 등으로 전선이 잡아당겨지는 경우 한쪽의 전선만 풀리므로써 전선이 단선될 확률이 높고, 비록 단선되지 않는다하여도 피복이 벗겨질 우려가 높으며, 가로등기초와 맨홀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도로상에서 넓은 면적을 점유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가로등주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공급용 전선, 배출용 전선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은 가로등주를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공사를 시행한 후 별도로 콘크리트 블록의 외부로 접지선을 연결하여 개별접지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개별접지는 콘크리트 블록 공사 후 별도로 각각 접지공사를 시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은 콘크리트 블록의 외부로 개별접지선이 돌출되어 있어 도시가스관로공사, 상하수도공사, 지중케이블공사, 조경공사 등의 타 공사중에 포크레인 등에 의해 개별접지선이 절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은 고정접지동판이 콘크리트 블럭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 기로등 기초 공사 과정에서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된 접지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가로등 기초는 가로등의 설치가 차도 쪽에 밀접된 상태로 설치될 수 없도록 콘크리트 블럭의 무게중심이 차도 쪽에 위치하고, 가로등의 설치가 콘크리트 블럭에서 인도 쪽에 설치되어 있어 인도의 폭이 좁아 인도를 사람이 다니기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로등주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공급용 전선, 배출용 전선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 공사를 시행한 후 별도로 콘크리트 블록의 외부로 접지선을 연결하여 개별접지를 설치하는 개별접지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연접지선과 고정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하는 일체형 가로등 기초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록의 외부로 개별접지선이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시가스관로공사, 상하수도공사, 지중케이블공사, 조경공사 등의 타 공사중에 포크레인 등에 의해 개별접지선이 절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단전 또는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등 기초의 앵커볼트를 가로등 기초의 상부에서 부터 하부까지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가로등 기초의 하부에 접지동판을 위치시키고 볼트와 동판을 연결한 가로등 기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접지연결관 상단부위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접지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연결돌기에 공급용 연접지선, 배출용 연접지선 및 고정접지선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접지를 연결할 수 있고, 돌출고정접지동판이 콘크리트 블럭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접지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로등 기초 공사 과정에서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된 접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접지 기능이 수행되는 가로등 기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급용 전선과 공급용 연접지선이 함께 통과하는 전선통로, 배출용 전선과 배출용 연접지선이 함께 통과하는 전선통로, 고정접지선이 통과하는 고정접지관, 고정접지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고정접지동판, 콘크리트 블럭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용 연접지선, 배출용 연접지선 및 고정접지선이 연결되어 있는 접지연결관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로등주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공급용 전선, 배출용 전선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에 있어서 가로등주를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공사를 시행한 후 별도로 콘크리트 블록의 외부로 접지선을 연결하여 개별접지를 설치하는 개별접지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연접지선과 고정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하는 일체형 가로등 기초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록의 외부로 개별접지선이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시가스관로공사, 상하수도공사, 지중케이블공사, 조경공사 등의 타 공사중에 포크레인 등에 의해 개별접지선이 절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단전 또는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등 기초의 앵커볼트를 가로등 기초의 상부에서 부터 하부까지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가로등 기초의 하부에 돌출고정접지동판을 위치시키고 접지저항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별도의 접지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접지연결관 상단부위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접지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연결돌기에 공급용 연접지선, 배출용 연접지선 및 고정접지선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접지를 연결할 수 있고, 돌출고정접지동판이 콘크리트 블럭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접지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로등 기초 공사 과정에서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의 내부로 내장된 접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접지 기능이수행된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는 가로등의 설치가 차도 쪽에 밀접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블럭의 무게중심이 인도 쪽, 즉 콘크리트 블럭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가로등의 설치가 콘크리트 블럭에서 차도 쪽, 즉 콘크리트 블럭의 전방부에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인도 폭에서 인도의 폭으로 넓어지는 효과가 있어 인도를 사람이 다니기에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가로등 기초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가로등주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공급용 전선, 배출용 전선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가로등 기초를 설치하는 가로등 기초공법에 있어서 가로등 기초용 콘크리트 블럭(40)을 양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럭 양생용 고정틀(400)이 설치되어 준비된 고정틀 준비단계; 전선통로(20, 20')의 내부에 고무봉(20-1, 20'-1)을 삽입하여 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고정틀(4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콘크리트 블럭(40)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고정틀(400)에서 양생된 콘크리트 블럭(40)의 볼트홈(54)에 고정틀분리용 고리(150)의 볼트(152)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고리홈(154)을 잡아당겨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을 빼내는 고정틀 분리단계; 전선통로(20, 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고무봉(20-1, 20'-1)을 빼내어 제거하고 고정틀분리용 고리(150)를 빼내어 제거하는 고리의 제거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블럭(4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블럭(40)은 가로등주(100)의 설치 부위가 한쪽 측면 바로 안쪽에 형성되어 있고, 가로등주(100) 설치 부위의 반대쪽이 가로등주(100)의 설치 부위보다 더 무거운 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블럭(40)의 무게중심이 가로등주(100) 설치 부위의 반대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가로등주(100)가 고정되는 앵커볼트(50)의 하단이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고정틀분리용 고리(150)가 삽입되어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을 빼낼 수 있도록 앵커볼트(50)의 하단에 볼트홈(54)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이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고정틀(400)에 접촉되는 콘크리트 블럭(40)의 측면(40-1, 40-2, 40-3)이 상부쪽은 좁고 하부쪽은 넓어지는 테이퍼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선(60, 60')과 연접지선(10, 10')이 함께 통과하도록 전선통로(20, 20')가 한쪽 측면에서 접지연결관(30)으로 관통되고 다른 한쪽 측면에서 접지연결관(30)으로 관통되어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선통로(20, 20')의 내부에 고무봉(20-1, 20'-1)이 삽입되어 있고, 전선통로(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급용 전선(60)이 설치되어 있고, 전선통로(20')의 내부를 통과하는 배출용 전선(60')이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용 전선(60)과 함께 전선통로(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급용 연접지선(10)이 설치되어 있고, 배출용 전선(60')과 함께 전선통로(20')의 내부를 통과하는 배출용 연접지선(10')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접지관(22)의 내부를 통과하는 고정접지선(12)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접지관(22)이 접지연결관(30)의 하부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고정접지동판(70)의 상부표면까지 삽입되어 있고, 접지의 상부 쪽에 연결되어 있는 공급용 전선(60)과 배출용 전선(60')이 가로등 내부의 전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접지의 하부쪽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접지선(12)이 돌출고정접지동판(70)의 상부표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급용 전선(60)과 공급용 연접지선(10)이 함께 통과하는 전선통로(20)가 한쪽 측면에서 접지연결관(30)으로 관통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용 전선(60')과 배출용 연접지선(10')이 함께 통과하는 전선통로(20')가 다른 한쪽 측면에서 접지연결관(30)으로 관통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돌출고정접지동판(70)이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고정접지동판(70)은 고정접지(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접지연결관(30)이 전선통로(20, 20')와 고정접지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연결관(30)은 접지연결관(30)의 상단 부위가 콘크리트 블럭(40)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고, 접지연결관(30)의 상단 부위의 내주면에 4개 내지 8개의 접지연결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연결돌기(32)에 공급용 연접지선(10), 배출용 연접지선(10')과 고정접지선(12)이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접지관(22)과 접지연결관(30)이 콘크리트 블럭(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초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로등주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공급용 전선, 배출용 전선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에 있어서 가로등주를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공사를 시행한 후 별도로 콘크리트 블록의 외부로 접지선을 연결하여 개별접지를 설치하는 개별접지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연접지선과 고정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하는 일체형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은 도 3과 같이 먼저 고정틀 준비단계로서 가로등 기초용 콘크리트 블럭(40)을 양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럭 양생용 고정틀(400)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은 도 3과 같이 콘크리트 블럭(40)을 제작하기 위하여 고정틀(4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콘크리트 블럭을 제작하며, 도 8 및 도 10과 같이 가로등의 설치가 차도(320) 쪽에 밀접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블럭(40)의 무게중심이 인도(310)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가로등주(100)를 고정하는 앵커볼트(50)의 하단이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고정틀분리용 고리(150)를 삽입하여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을 빼낼 수 있도록 앵커볼트(50)의 하단에 볼트홈(54)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된 철판(52)에 볼트홈(54)이 용접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에서 가로등주(100)를 고정하는 앵커볼트(50)에 고정틀분리용 고리(150)를 삽입하여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을 빼내는 경우 콘크리트 양생을 매우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고일정한 고정틀에서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 콘크리트 블럭의 제작공정을 단축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은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이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고정틀(400)에 접촉되는 콘크리트 블럭(40)의 측면(40-1, 40-2, 40-3)이 테이퍼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선(60, 60')과 연접지선(10, 10')이 함께 통과하도록 전선통로(20, 20')가 형성되어 있고, 전선통로(20, 20')의 내부에 고무봉(20-1, 20'-1)이 삽입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에서 전선통로(20, 20')의 내부에 고무봉(20-1, 20'-1)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콘크리트 블럭의 설치 단계에서 고무봉(20-1, 20'-1)을 빼내고 전선 작업을 굽어진 상태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종래에 사용하던 플라스틱관이나 주름관이 깨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없이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 설치공법은 콘크리트 블럭(40)을 제작한 후 양생과정을 거처 고정틀(400)에서 양생된 콘크리트 블럭(40)의 볼트홈(54)에 고정틀분리용 고리(150)의 볼트(152)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고리홈(154)을 잡아당겨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을 빼내는 고정틀 분리한 다음 전선통로(20, 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고무봉(20-1, 20'-1)을 빼내어 제거하고 고정틀분리용 고리(150)를 빼내어 제거한 다음 콘크리트 블럭(4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은 공급용 전선(60)과 공급용 연접지선(10)이 함께 통과하는 전선통로(20), 배출용 전선(60')과 배출용 연접지선(10')이 함께 통과하는 전선통로(20') 및 고정접지선(12)이 통과하는 고정접지관(22)으로 이루어져 있어 개별접지를 설치하는 개별접지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연접지선과 고정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하는 일체형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은 콘크리트 블록(40)의 내부에 전선통로(20, 20')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접지관(22)과 같은 가이드파이프가 내장되어 있으며, 전선통로(20, 20') 및 고정접지관(22)의 내부에 전선(60, 60')과 접지선(10, 10', 12)이 내장되어 있어 설치공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는 전선통로(20, 20')와 고정접지관(22)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파이프의 상부에 접지연결관(30)이 연결되어 있어 고정접지관(22)과 같은 가이드파이프와 접지연결관(30)을 탈부착 형태로 결합과 분리를 할 수 있어 가로등 기초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에서 접지연결관(30)은 접지연결관(30)의 상단 부위가 콘크리트 블럭(40)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접지연결관(30) 상단부위의 내주면에 4개 내지 8개의 접지연결돌기(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연결돌기(32)에 공급용 연접지선(10), 배출용 연접지선(10') 및 고정접지선(12)를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접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지연결관(30)은 콘크리트 블럭(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용 연접지선(10), 배출용 연접지선(10') 및 고정접지선(12)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돌출고정접지동판(70)은 고정접지(12)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접지선(12)이 연결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돌출고정접지동판(70)은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접지선(12)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로등 기초 공사 과정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의 내부로 내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40)의 내부로 내장된 접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접지 기능이수행된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는 콘크리트 블럭(4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40)의 상부에 가로등주(100)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까지 일체로 앵커볼트(50)가 매립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돌출고정접지동판(7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에서 앵커볼트(50)는 콘크리트 블럭(4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체로 매립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에서 앵커볼트(50)의 상부는 지면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되어 있는 앵커볼트(50)의 상부를 제외하고 콘크리트 블럭(40)으로 둘러싸고 있다. 콘크리트 블럭(40)은 단면이 정사다리꼴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에서 가로등주(100)는 앵커볼트(50)의 상부말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에서 접지연결관(30)의 상부에 연결관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관은 가로등주(100)의 중앙 통공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 연결관은 가로등주(100)의 중앙통공에 삽입되며, 전선(60, 60')은 가로등주(100)의 중앙통공을 경유하여 가로등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에서 포크레인 등에 의해 가로등주와 가로등주의 사이에서 전선이 잡아당겨지면 가로등주(100)를 분리한 후 연결관으로 손이나 기구를 넣어 전선을 당기거나 추가로 연결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에서 전선(60, 60')은 전선통로(20, 20')를 경유하여 콘크리트 블럭(40)의 외부로 빠져나가 다른 가로등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에서 어느 하나의 가로등주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또 다른 가로등주가 있으므로 전선(60, 60')은 2개이며, 전선(60, 60')은 전선케이블을 의미한다. 앵커볼트(50)에 가로등주(100)의 결합공(130)이 결합되고 너트(120)가 앵커볼트(50)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도 7과 같이 종래의 가로등 기초(200)는 가로등의 설치가 차도(320) 쪽에 밀접된 상태로 설치될 수 없도록 콘크리트 블럭(40)의 무게중심(220)이 인도 쪽에 위치하고, 가로등의 설치가 콘크리트 블럭(40)에서 인도(310) 쪽에 설치되어 있어 인도의 폭이 도 9와 같이 좁아 인도를 사람이 다니기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도 1 내지 도 6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200-1)는 가로등의 설치가 차도(320) 쪽에 밀접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블럭(40)의 무게중심이 인도 쪽에 위치하고, 가로등의 설치가 콘크리트 블럭(40)에서 차도(320) 쪽에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도 9와 같은 종래의 인도 폭 A에서 도 10과 같이 인도의 폭이 B로 넓어지는 효과가 있어 인도를 사람이 다니기에 매우 편리하다.
10: 공급용 연접지선 10': 배출용 연접지선
12: 고정접지선 20, 20': 전선통로
22: 고정접지관 30: 접지연결관
32: 접지연결돌기
40, 40-1: 콘크리트 블럭 50: 앵커볼트
60: 공급용 전선 60': 배출용 전선
70: 돌출고정접지동판 100: 가로등주
110: 가로등주 받침대 120: 너트
130: 결합공
200: 종래 가로등 기초 200-1: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
210: 종래 콘크리트 블럭의 중심부
210-1: 본 발명 콘크리트 블럭의 중심부
220: 종래 콘크리트 블럭의 무게중심
220-1: 본 발명 콘크리트 블럭의 무게중심
300: 인도 310: 차도
320: 경계블럭
A: 종래 가로등 설치후 인도의 폭
B: 본 발명의 가로등 설치후 인도의 폭

Claims (1)

  1. 가로등주를 고정하는 앵커볼트, 공급용 전선, 배출용 전선 및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가로등 기초를 설치하는 가로등 기초공법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기초공법은
    가로등 기초용 콘크리트 블럭(40)을 양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럭 양생용 고정틀(400)이 설치되어 준비된 고정틀 준비단계;
    전선통로(20, 20')의 내부에 고무봉(20-1, 20'-1)을 삽입하여 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고정틀(4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콘크리트 블럭(40)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고정틀(400)에서 양생된 콘크리트 블럭(40)의 볼트홈(54)에 고정틀분리용 고리(150)의 볼트(152)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고리홈(154)을 잡아당겨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을 빼내는 고정틀 분리단계;
    전선통로(20, 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고무봉(20-1, 20'-1)을 빼내어 제거하고 고정틀분리용 고리(150)를 빼내어 제거하는 고리의 제거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블럭(4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블럭(40)은 가로등주(100)의 설치 부위가 한쪽 측면 바로 안쪽에 형성되어 있고, 가로등주(100) 설치 부위의 반대쪽이 가로등주(100)의 설치 부위보다 더 무거운 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블럭(40)의 무게중심이 가로등주(100) 설치 부위의 반대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가로등주(100)가 고정되는 앵커볼트(50)의 하단이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고정틀분리용 고리(150)가 삽입되어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을 빼낼 수 있도록 앵커볼트(50)의 하단에 볼트홈(54)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틀(400)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이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고정틀(400)에 접촉되는 콘크리트 블럭(40)의 측면(40-1, 40-2, 40-3)이 상부쪽은 좁고 하부쪽은 넓어지는 테이퍼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선(60, 60')과 연접지선(10, 10')이 함께 통과하도록 전선통로(20, 20')가 한쪽 측면에서 접지연결관(30)으로 관통되고 다른 한쪽 측면에서 접지연결관(30)으로 관통되어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선통로(20, 20')의 내부에 고무봉(20-1, 20'-1)이 삽입되어 있고, 전선통로(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급용 전선(60)이 설치되어 있고, 전선통로(20')의 내부를 통과하는 배출용 전선(60')이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용 전선(60)과 함께 전선통로(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급용 연접지선(10)이 설치되어 있고, 배출용 전선(60')과 함께 전선통로(20')의 내부를 통과하는 배출용 연접지선(10')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접지관(22)의 내부를 통과하는 고정접지선(12)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접지관(22)이 접지연결관(30)의 하부에서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고정접지동판(70)의 상부표면까지 삽입되어 있고, 접지의 상부 쪽에 연결되어 있는 공급용 전선(60)과 배출용 전선(60')이 가로등 내부의 전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접지의 하부쪽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접지선(12)이 돌출고정접지동판(70)의 상부표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급용 전선(60)과 공급용 연접지선(10)이 함께 통과하는 전선통로(20)가 한쪽 측면에서 접지연결관(30)으로 관통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용 전선(60')과 배출용 연접지선(10')이 함께 통과하는 전선통로(20')가 다른 한쪽 측면에서 접지연결관(30)으로 관통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돌출고정접지동판(70)이 콘크리트 블럭(40)의 하부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고정접지동판(70)은 고정접지(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접지연결관(30)이 전선통로(20, 20')와 고정접지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연결관(30)은 접지연결관(30)의 상단 부위가 콘크리트 블럭(40)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고, 접지연결관(30)의 상단 부위의 내주면에 4개 내지 8개의 접지연결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연결돌기(32)에 공급용 연접지선(10), 배출용 연접지선(10')과 고정접지선(12)이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접지관(22)과 접지연결관(30)이 콘크리트 블럭(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초 공법.
KR1020100013957A 2010-02-17 2010-02-17 가로등 기초 공법 KR10099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57A KR100998737B1 (ko) 2010-02-17 2010-02-17 가로등 기초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57A KR100998737B1 (ko) 2010-02-17 2010-02-17 가로등 기초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737B1 true KR100998737B1 (ko) 2010-12-07

Family

ID=4351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957A KR100998737B1 (ko) 2010-02-17 2010-02-17 가로등 기초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7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868B1 (ko) 2011-02-15 2011-07-13 안종복 콘크리트 기초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4275A (ko) * 2017-01-16 2018-07-25 이안산업개발(주) 개선된 구조의 가로등 기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54B1 (ko) 2006-10-20 2006-12-15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에 설치되는 가로등 기초의 전선 파단방지장치
KR100876127B1 (ko) 2005-09-07 2008-12-29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가로등 기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27B1 (ko) 2005-09-07 2008-12-29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가로등 기초
KR100657854B1 (ko) 2006-10-20 2006-12-15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에 설치되는 가로등 기초의 전선 파단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868B1 (ko) 2011-02-15 2011-07-13 안종복 콘크리트 기초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4275A (ko) * 2017-01-16 2018-07-25 이안산업개발(주) 개선된 구조의 가로등 기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9280B2 (ja) 街路灯の中空基礎
KR100885131B1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15799B1 (ko) 배전용 전주 고정장치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100998737B1 (ko) 가로등 기초 공법
KR101097717B1 (ko)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CN110444919B (zh) 一种城区配电网永久性预埋接地体及其施工方法
KR20090120296A (ko)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100828657B1 (ko)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기초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
KR20110086325A (ko) 가로등 기초 공법
KR101292282B1 (ko) 프리캐스트 일체형 전기박스 등 기초
KR200439571Y1 (ko) 기초석
KR100948039B1 (ko) 돌출고정접지동판과 다기능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
KR20060114790A (ko) 지주 설치용 조립식 기초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935790B1 (ko) 매립형 가로등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설치방법
KR101212065B1 (ko) 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200466352Y1 (ko) 도로시설물 지주용 기초대
KR20110017143A (ko)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
KR101571647B1 (ko) 친환경 일체형 부벽식 pc옹벽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0958170B1 (ko)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주의 기초 구조물
KR101407855B1 (ko) 가로등 피시 원형 기초대
KR20110085659A (ko) 가로등 기초 공법
KR100944873B1 (ko) 콘크리트 기초석의 제조방법
KR20120110851A (ko) 가로등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