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127B1 - 가로등 기초 - Google Patents

가로등 기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127B1
KR100876127B1 KR1020080046242A KR20080046242A KR100876127B1 KR 100876127 B1 KR100876127 B1 KR 100876127B1 KR 1020080046242 A KR1020080046242 A KR 1020080046242A KR 20080046242 A KR20080046242 A KR 20080046242A KR 100876127 B1 KR100876127 B1 KR 100876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pper plate
concrete foundation
foundation
stre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531A (ko
Inventor
이선영
이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주식회사 동양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주식회사 동양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Publication of KR2008005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 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기초의 내부에 상부관, 전선관, 접지관이 일체로 형성된 분지관을 내장시키고, 가로등 기초의 하부에 팁형 접지동판을 부착한 가로등 기초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등주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접지공사를 별도로 할 필요가 없으며, 접지동판의 팁에 의해 접지능력을 극도로 향상시키며, 기초의 하부의 측면에 토압날개를 형성시켜 동일한 풍속, 동일한 가로등주 높이에 대응하는 기초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로등, 가로등 등주, 접지, 감전사고, 삼각형 팁, 토압날개, 4방출

Description

가로등 기초{STREET LIGHT FOUNDA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의 상부에 가로등 등주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의 반단면 투시도.
도2b는 도2a에 전선과 접지선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반단면 투시도.
도2c는 통상의 전선관과, 팁형 접지동판을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2d는 다수의 전선관과 팁형 접지동판을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2e는 도2d가 구현된 상태의 투시도.
도2f는 도2d에서 다수의 전선관의 상부가 짧게 구현된 단면도.
도2g는 도2f가 구현된 상태의 투시도.
도3은 볼트와 볼트 보강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4는 상부관, 전선관, 접지관이 일체로 형성된 분지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5는 분지관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지관 예시도.
도6a는 하부로 삼각형 팁이 형성된 접지동판과 접지선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6b는 접지동판의 중앙에 홀을 뚫어 접지동판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 접지동 판의 사시도.
도6c는 접지동판을 뒤집어 삼각형 팁이 상부로 향하게 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6d는 직사각형 팁이 형성된 접지동판의 사시도.
도6e는 절곡되어 절곡부가 형성된 접지동판의 사시도.
도7a는 접지관에 끼워진 접지관마개에 접지동판에 연결된 접지선이 관통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7b는 접지동판에 홀이 형성된 경우, 접지관에 끼워진 접지관마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8a는 토압날개가 형성되고 수평계가 부착된 가로등기초를 도시한 사시도.
도8b는 토압날개가 형성되고 수평계가 부착된 직각형 가로등기초를 도시한 사시도.
도8c는 토압날개가 형성되고 토압날개에 접지동판이 구현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콘크리트 기초 12. 돌출부 14. 토압날개
20. 분지관 22. 상부관 24. 전선관
26. 접지관 30. 볼트 32. 볼트 보강대
40. 접지동판 42. 팁 44. 홀
50. 접지선 54. 접지관마개 60. 전선
70. 가로등주 72. 너트 74. 결합공
80. 수평계
본 발명은 가로등 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기초의 내부에 상부관, 전선관, 접지관이 일체로 형성된 분지관을 내장시키고, 가로등 기초의 하부에 팁형 접지동판을 부착하고, 기초의 측면의 하부에 토압날개를 형성시키므로써, 가로등주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접지공사를 별도로 할 필요가 없으며, 접지동판의 팁에 의해 접지능력을 극도로 향상시키며, 기초의 하부의 측면에 토압날개를 형성시켜 동일한 풍속, 동일한 가로등주 높이에 대응하는 기초의 높이를 낮게 한 가로등 기초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15899호에는 가로등 기초의 내부에 수납박스를 내장하고 수납박스에 전선을 수납하여 도시가스관로공사, 상하수도공사, 지중케이블공사, 조경공사 등의 타 공사중에 포크레인등에 의해 가로등과 가로등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당겨져 끊어지거나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단전 또는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기초의 하부에 접지동판을 부착하여 볼트(30)를 통하여 가로등주를 접지시키는 가로등 기초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420012호에는 전선관이 측면으로 3개 형성된 가로등 기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에 사용되는 접지동판은 산간지역, 암반지역등에서는 접지저항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접지저항을 기준치 이내로 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가로등 기초의 높이를 낮추어 시공이 용이하고 단가를 낮출 필요성이 있었으며, 공사현장에서는 측면의 전선관이 2~3개형성된 것보다 4개가 형성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전선을 끼울 수 있는 가로등 기초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기초의 내부에 상부관, 전선관, 접지관이 일체로 형성된 분지관을 내장시키고, 가로등 기초의 하부에 팁형 접지동판을 부착하므로써, 가로등주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접지공사를 별도로 할 필요가 없으며, 접지동판의 팁에 의해 접지능력을 극도로 향상시키고, 기초의 하부의 측면에 토압날개를 형성시켜 동일한 풍속, 동일한 가로등주 높이에 대응하는 기초의 높이를 낮게 하며, 지반이 침하하여 콘크리트 기초의 중앙부의 지반이 함몰되어도 상부와 측면에서 토압날개를 감싸는 접지동판을 누르는 지반에 의해 접지상태가 유지되는 가로등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는,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에 매설되며, 그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등주가 고정되는 볼트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서 중앙으로 향하는 상부관과, 상기 상부관의 하부에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전선관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분지관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에 부착되는 접지동판과, 상기 접지동판에 부착되며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인출되어 가로등주를 접지시키는 접지선을 포함한다.
상기 분지관은, 상기 상부관의 하부에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접지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접지선은 상기 접지관의 내부를 통하여 상부관으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동판은, 그 표면이 절곡되어 뾰족한 부분이 하부로 향하거나, 그 표면이 절개되고 절개된 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팁이 하부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 하부는 소정의 넓이만큼 측면으로 돌출되어 토압날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 모서리 부분은 소정의 높이만큼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면에는 수평계가 부착 또는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관은 어느 하나의 측면에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측면에 인접한 다른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는 상기 기초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접지동판과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는,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에 매설되며, 그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등주가 고정되는 볼트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매설되는 전선관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에 부착되는 접지동판과, 상기 접지동판에 부착되며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인출되어 가로등주에 접지시키는 접지선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동판은, 그 표면이 절곡되어 뾰족한 부분이 하부로 향하거나, 그 표면이 절개되고 절개된 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팁이 하부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매설되는 접지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접지선은 상기 접지관의 내부를 통하여 상부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 하부는 소정의 넓이만큼 측면으로 돌출되어 토압날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 모서리 부분은 소정의 높이만큼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면에는 수평계가 부착 또는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관은 어느 하나의 측면에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측면에 인접한 다른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는 상기 기초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접지동판과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는,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에 매설되며, 그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등주가 고정되는 볼트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매설되는 전선관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 하부는 소정의 넓이만큼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토압날개와, 상기 토압날개의 상부, 측면, 하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을 감싼 접지동판과, 상기 접지동판에 부착되며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인출되어 가로등주를 접지시키는 접지선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동판은, 그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절곡되어 뾰족한 부분이 하부로 향하거나, 그 표면이 절개되고 절개된 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팁이 하부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매설되는 접지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접지선은 상기 접지관의 내부를 통하여 상부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 하부는 소정의 넓이만큼 측면으로 돌출되어 토압 날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 모서리 부분은 소정의 높이만큼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면에는 수평계가 부착 또는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관은 어느 하나의 측면에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측면에 인접한 다른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는 상기 기초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접지동판과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의 상부에 가로등 등주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는, 콘크리트로 된 기초(10), 콘크리트 기초(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관(22)과 볼트(30) 및 측면에 형성된 전선관(24) 그리고 기초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된 돌출부(12)로 구성된다.
콘크리트 기초(10)는 레미콘, 콘크리트 등 시멘트계열과 자갈, 모래, 물 등이 혼합되어 타설되고 양생되며, 필요에 따라 섬유강화제, 급속경화제 등이 사용된다.
상부관(22)으로는 접지선(50)과 전선(60)이 인출된다. 접지선(50)은 기초(10)하부의 접지동판으로 연결되며, 전선(60)은 전선관(24)으로 연결된다.
볼트(30)는 가로등주(70)의 결합공(74)에 대응되도록 통상적으로 4개가 매설되며 필요에 따라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가로등주(70)가 기초(10)의 상부에 안착되면, 너트(72)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체결된다.
기초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된 돌출부(1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가 공장에서 제작되어 공사현장에 매설되는 관계로, 현장의 여건이 완전한 평탄이 아니더라도 기초(10)의 상부가 평탄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돌출부(12)는 기초(10)의 하부에 장착된 접지동판을 보호한다.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의 반단면 투시도이다.
도2a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는, 콘크리트 기초(10)와, 상부관(22), 전선관(24), 접지관(26)이 일체로 형성된 분지관(20)과, 볼트(30), 볼트보강대(32), 기초(10)의 하부에 부착된 접지동판(40), 기초(10)하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돌출부(12)로 구성된다.
상부관(22), 전선관(24), 접지관(26)이 일체로된 분지관(20)이 중앙에 위치한다.
볼트(30)는 콘크리트 기초(10)의 상부에 4개(반단면이므로 2개이며, 하나는 상부관에 가려 거의 보이지 않음)이며, 콘크리트 기초(10)의 내부에서 볼트보강대(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볼트보강대(32)는 볼트(30)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큰 힘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 4개의 볼트(30)를 서로 연결한다. 연결방법은 나사체결, 용접, 철사로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에는 접지동판(40)이 부착된다.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에 접지동판(40)을 부착하는 것은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네일건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못을 박아 고정하거나,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미리 적절한 체결수단을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에 삽입한 후 양생시키고 여기에 고정시키거나, 볼트(30)를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하고 여기에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도2b는 도2a에 전선과 접지선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반단면 투시도이다.
도2b를 살펴보면, 전선(60)은 콘크리트 기초(10)의 측면에서 전선관(24)으로 삽입되고, 분지관(20)의 중앙을 통과하여 상부관(22)의 상부로 인출된다.
상부관(22)으로 인출된 전선(60)은 가로등주(도1의 70)의 내부로 연결되어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한다.
접지선(50)은 일측말단은 접지동판(40)에 부착되어 있다. 접지선(50)은 접지동판(40)에 동, 납 등으로 용접되거나, 압력에 의해 고정된다.
접지선(50)의 타측말단은 분지관(20)의 중앙을 통과하여 상부관(22)의 상부로 인출된다. 상부관(22)으로 인출된 접지선(50)은 가로등주(도1의 70)의 내부에 연결되어 접지되거나, 가로등주(도1의 70)의 외부 또는 볼트(30)에 연결되어 접지 된다.
도2c는 통상의 전선관과, 팁형 접지동판을 사용한 상태의 투시도이다.
도2c를 살펴보면, 전선관(24)은 종래의 가로등 기초에 사용하는 주름관(도시의 편리성을 위하여 주름은 생략하였음)을 사용하였다.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 모서리에는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의 중앙에는 접지동판(40)이 부착되어 있으며, 접지동판(40)은 삼각형 팁(42)이 형성되어 있다. 접지동판(40)의 중앙에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지관(26)은 상기 홀을 통하여 하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2c에서 접지관(26)은 전선관(24)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지 않고, 별도로 콘크리트 기초(10)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2a 또는 도2b에서도 도2c처럼 접지관(26)이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접지관(26)은 구성에서 제외되고, 접지선(미도시)이 콘크리트 기초(10)에 직접 매설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2d는 다수의 전선관과 팁형 접지동판을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d를 살펴보면, 전선관(24)이 상부에서 서로 겹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2c와 동일하다.
도2e는 도2d가 구현된 상태의 투시도이다.
도2e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는 전선관(24)이 4개이다.
2개의 전선관(24)은 우측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2개의 전선관은 좌측전면과 우측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전선관(24)이 형성되는 경우, 전선이 분지하는 위치에 설치해야 하는 가로등기초나 양 측면(도면의 좌측전면과 우측후면)의 전선관(24)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전면(도면의 우측전면)의 2개의 전선관(24)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사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2e에서 볼트 보강대(32)는 관찰의 용이를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도2f는 도2d에서 다수의 전선관의 상부가 짧게 구현된 단면도이며, 도2g는 도2f가 구현된 상태의 투시도이다.
도2f 및 도2g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는 전선관(24)이 상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가로등 등주를 설치할 때 걸리는 등의 불편한 점이 해소된다.
도3은 볼트와 볼트 보강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을 살펴보면, 볼트(30)은 L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볼트(30) 4개가 볼트보강대(3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볼트(30)의 상부에는 나사가 생략되어 있다.
도면에서 볼트보강대(32)는 일체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볼트(30)를 보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일체형으로 하지 않고 4개의 봉을 각각의 볼트(30)에 용접하거나 철사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부에 1번만 보강을 하지 않고 중간에 1번 더 보강을 할 수도 있다.
도4는 상부관, 전선관, 접지관이 일체로 형성된 분지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4를 살펴보면, 상부관(22)은 어른의 팔뚝이 들어갈 정도로 굵으며 일직선이며, 전선관(24)은 상부관(22)의 하부측면에서 좌우로 호를 그리며 분지되며, 그 굵기는 상부관(22)보다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관(22)의 하부에는 접지관(26)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굵기는 1~2개의 접지선이 통과할 정도면 무방하다.
분지관(20)은 일체형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부관(22)에 구멍을 뚫고, 전선관(24)과 접지관(26)을 끼운후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부관(22)의 전부 또는 하부는 원통상이 아니라 사각관, 유각관일 수도 있다. 분지관(20)을 조립식으로 만들때는 상부관(22)을 사각관을 사용하여 전선관(24)의 조립을 위한 구멍의 용이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5는 분지관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지관 예시도이다.
도5를 살펴보면, (a)는 전선관(24)이 접지관(26)과 직접 닿도록 하였으며, (b)는 도4에 도시된 분지관(20)과 동일한 형태이며, (c)는 접지관(26)을 상부관(22)과 동일한 직경으로 하였으며, (d)는 접지관(26)이 필요없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e)는 상부관(22)의 하부를 유연하게 접지관(26)으로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f)는 전선관(24)과 접지관(26)이 모두 상부관(22)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한 형태이다.
상기 (a)~(f)에서 상부관(22)은 모두 원형관, 사각관, 육각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접지관(26)도 사각관이나 유각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6a는 하부로 삼각형 팁이 형성된 접지동판과 접지선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6a를 살펴보면, 다수의 삼각형 팁(42)이 도시되어 있다. 삼각형 팁(42)은 동판(40)에 삼각형을 그리고 1변을 제외한 나머지 2변을 절개한 후, 절개되지 않은 한 변을 기준으로 삼각형을 절곡시켜 만든다.
삼각형 팁(42)은 그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삼각형 팁(42)의 크기(높이)는 도1 또는 도2a, 도2b의 돌출부(12)의 높이와 비슷하거나 낮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기초는 통상적으로 트럭에 적재하여 운반해야 하는 바, 돌출부(12)의 높이보다 삼각형 팁(42)의 높이가 높으면 삼각형 팁(42)이 트럭의 바닥에 뭉개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12)는 삼각형 팁(42)의 유지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접지동판(40)에는 접지선(50)이 부착되어 있다. 접지선(50)의 일측말단이 접지동판(40)과 부착된 부착부 또는 압착되어 탭을 형성한 것이 도면부호 52이다.
도6b는 접지동판의 중앙에 홀을 뚫어 접지동판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 접지동판의 사시도이다.
도6b를 살펴보면, 접지동판(40)의 중앙에 홀(44)이 형성되어 있다.
홀(44)은 도1 또는 도2a 또는 도2b의 접지관(26)에 대응되는 위치에 뚫린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동판(40)을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에 부착한 후에도 접지선(50)을 접지동판(52)에 연결시킬 수 있다.
홀(44)은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에서 접지관(26)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돌출된 접지관(26)을 절단하지 않고 접지동판(40)을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에 부착시킬수 있도록 한다.
도2a 또는 도2b에는 접지동판의 표면이 직접 보이지 않으므로 개략적인 모습을 은선으로 도시하였으므로, 도6a 또는 도6b의 삼각형 팁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2a 또는 도2b에서 반드시 삼각형 팁이 형성된 접지동판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팁이 없는 평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6c는 접지동판을 뒤집어 삼각형 팁이 상부로 향하게 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접지동판(40)에 삼각형 팁(42)을 형성시키면, 동일한 지형, 동일한 습도, 동일한 가로등 기초의 하중에서 더 낮은 접지저항을 나타낸다. 따라서, 접지동 판(40)의 하부에 삼각형 팁(42)을 형성시키면, 접지저항이 잘 나오지 않는 산간지대, 암반지대에서도 낮은 접지저항을 나타내어 가로등 기초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지저항이 양호한 지역에서도 보다 낮은 접지저항을 유지하므로 누전 시 보다 안전하며, 우천시 또는 폭우에 의해 가로등이 침수된 경우에도 감전사고의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도6d는 직사각형 팁(43)이 형성된 접지동판의 사시도이다. 접지동판(40)에 직사각형 중 ㄷ자로 절개를 하고 절개되지 않은 한 변을 기준으로 절개된 접지동판을 하부로 절곡하여 직사각형의 팁(43)을 생성시킨다. 직사각형의 팁(43)은 도6a~도6c의 삼각형팁(42)에 비하여 접지저항이 높을 수는 있으나, 팁이 탈리될 가능성이 낮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6e는 절곡되어 절곡부(46)가 형성된 접지동판의 사시도이다. 접지동판(40)을 적절히 절곡시켜 절곡부(46)를 형성한다. 절곡부(46)는 하부로 향하여 있으며, 도6d의 직사각형 팁(43)에 비해 접지저항이 높을 수 있으나, 팁이 탈리될 가능성을 없앤 제품이다.
도7a는 접지관에 끼워진 접지관마개에 접지동판에 연결된 접지선이 관통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7a를 살펴보면, 접지관(26)의 하부에는 접지관마개(54)가 억지끼움되어 있다.
접지관마개(54)의 중앙에는 접지선(50)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뚫려 있으며, 접지선(50)은 접지관(26)에서 상기 홀을 경유하여 하부로 인출되어 접지동판(40)에 용접(52)되어 있다.
접지동판(40)의 하부에는 삼각형 팁(42)이 형성되어 있다.
접지관마개(54)는 접지관(26)을 통하여 상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7b는 접지동판에 홀이 형성된 경우, 접지관에 끼워진 접지관마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7b를 살펴보면, 접지관마개(54)가 접지동판(40)의 하부로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접지동판(40)은 좌측과 우측이 단절된 것이 아니라, 중앙부분이 도6b의 홀(44)이 형성된 것을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단절된 것처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삼각형 팁(42)도 일부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7a에서는 미리 접지동판(40)에 접지선(50)을 용접한 후, 접지선(50)에 접지관마개(54)를 끼우고, 접지관마개(54)를 접지관(26)에 끼운다음, 콘크리트 기초(10)의 상부에서 접지선(50)을 당기면서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에 접지동판(40)이 접근하면 이를 부착하여야 하였으나, 도7b와 같이 제작하는 경우에는 접 지선(50)을 접지동판(40)에 용접하는 시기, 접지동판(10)을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에 부착하는 시기, 접지관마개(54)를 접지관(26)에 끼우는 시기 등을 순서에 상관없이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즉, 순서를 작업자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8a는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가 소정의 넓이만큼 측면으로 돌출되어 토압날개(14)가 형성되고, 기초(10)의 상부에 수평계(80)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b는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가 소정의 넓이만큼 측면으로 돌출되어 토압날개(14)가 형성되고, 기초(10)의 상부에 수평계(80)가 부착된 직각형 가로등 기초의 사시도이다.
도8b는 일반형, 직각형으로 측면이 수직인 직각형 가로등 기초의 직각부분에 토압날개(14)가 형성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는 임을 제외하고는 도8a와 동일하다.
도8a 및 도8b를 함께 살펴보면, 콘크리트 기초(10)의 하부에 소정의 폭(대략 5cm~10cm 정도)으로 토압날개(14)가 형성되어 있다. 토압날개(14)는 콘크리트 기초(10)를 땅에 매설하였을 때, 토압날개(14)의 상부로 흙이 덮여 토압을 형성하므로써, 가로등 기초의 중량이나 부피 또는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토압날개(14)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필요에 따라 와이어를 삽입하므로써, 양생된 후에 토압날개(14)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 기초(10)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수평계(80)를 부착 또는 매설시킬 수 있다. 수평계(80)는 콘크리트 기초(10)를 매설할 때, 기초(10)의 상부면이 수평이 되도록 도와준다.
도8c는 토압날개가 형성되고 토압날개에 접지동판이 구현된 단면도이다.
도8c를 살펴보면, 토압날개(14)의 상부, 측면, 하부에 접지동판(40)이 부착되어 있다. 접지동판(40)은 토압날개(14)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토압날개(14)의 전부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다.
접지동판(40)중 하부에는 팁(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팁(42)은 형성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도8c와 같이 토압날개(14)에 접지동판(40)을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지반이 침하하여 기초(10) 중앙부에 대응되는 지반이 함몰되어도, 상기 접지동판(40) 부분은 지반이 함몰되지 않으며, 특히 상부에서 토압날개(14)를 누르는 지반에 의해 접지상태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1 내지 도8c에서 볼트(30)는 기초(10)의 내부에 매설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기초(10)의 하부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접지동판(40)과 체결되도록 하여 볼트(30)에 의하여 가로등 등주와 접지동판(40)이 접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8c의 모든 도면은 그 일부를 추출하여 단순주합하여 새로운 가로등 기초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일부를 서로 단순주합하여 새로운 가로등기초를 구현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기초의 내부에 상부관, 전선관, 접지관이 일체로 형성된 분지관을 내장시키고, 가로등 기초의 하부에 팁형 접지동판을 부착하므로써, 가로등주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접지공사를 별도로 할 필요가 없으며, 접지동판의 팁에 의해 접지능력을 극도로 향상시키며, 기초의 하부의 측면에 토압날개를 형성시켜 동일한 풍속, 동일한 가로등주 높이에 대응하는 기초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반이 침하하여 콘크리트 기초의 중앙부의 지반이 함몰되어도, 상부와 측면에서 토압날개를 감싸는 접지동판을 누르는 지반에 의해 접지상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로등 기초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에 매설되며, 그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로 돌출되어 가로등주가 고정되는 볼트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내부에 매설되어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관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 하부에는 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토압날개와,
    상기 토압날개에는, 상기 토압날개를 감싸며 부착된 측부접지동판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에 부착되며, 표면이 절곡되어 뾰족한 부분이 하부로 향하거나, 표면이 절개되고 절개된 면이 절곡되어 형성된 팁이 하부로 향하는 하부접지동판을 포함하는 가로등 기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기초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하부접지동판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 모서리 부분은 소정의 높이만큼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운반시나 적재시 상기 접지동판의 팁이나 뾰족한 부분이 훼손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초.
KR1020080046242A 2005-09-07 2008-05-19 가로등 기초 KR100876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126 2005-09-07
KR20050083126 2005-09-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449A Division KR100853099B1 (ko) 2005-09-07 2006-09-06 가로등 기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531A KR20080052531A (ko) 2008-06-11
KR100876127B1 true KR100876127B1 (ko) 2008-12-29

Family

ID=376283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449A KR100853099B1 (ko) 2005-09-07 2006-09-06 가로등 기초
KR1020080046242A KR100876127B1 (ko) 2005-09-07 2008-05-19 가로등 기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449A KR100853099B1 (ko) 2005-09-07 2006-09-06 가로등 기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530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37B1 (ko) 2009-04-07 2009-07-07 서한전기공업(주) 가로등주의 기초구조물 및 기초와 이에 장착되는 가로등주
KR100998737B1 (ko) 2010-02-17 2010-12-07 주식회사 신한빛 가로등 기초 공법
KR102158373B1 (ko) 2020-02-04 2020-09-22 주식회사 현암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57B1 (ko) * 2007-01-29 2008-05-09 임화목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기초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
KR100972150B1 (ko) 2008-05-29 2010-07-26 (주)선광산업 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제작방법과 기초블록
KR100895066B1 (ko) * 2008-09-09 2009-05-04 주식회사 정원주철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
KR101011372B1 (ko) 2008-11-17 2011-02-01 안성은 가로등설치용 기초
KR100906661B1 (ko) * 2008-11-28 2009-07-07 차송미 가로등기초
KR100948039B1 (ko) * 2009-05-06 2010-03-19 주식회사 신한빛 돌출고정접지동판과 다기능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
KR100958170B1 (ko) 2009-10-01 2010-05-14 조동호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주의 기초 구조물
US20110145141A1 (en) * 2009-10-02 2011-06-16 James Blai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harging electric vehicles
KR101022034B1 (ko) * 2010-07-27 2011-03-16 유한회사 남광산업개발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KR101048868B1 (ko) * 2011-02-15 2011-07-13 안종복 콘크리트 기초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7794B1 (ko) * 2011-09-05 2013-08-12 배남식 기초 복스
KR200466352Y1 (ko) * 2012-08-22 2013-04-10 주식회사 전남콘크리트 도로시설물 지주용 기초대
KR101408017B1 (ko) * 2013-08-02 2014-06-18 (주)비젼테크 입상주 감전방지장치
KR101668056B1 (ko) * 2014-09-17 2016-10-21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KR102278053B1 (ko) * 2020-08-24 2021-07-15 (주)월드세라 조명을 구비한 조립식 울타리
KR102568355B1 (ko) * 2020-10-26 2023-09-18 (주)정우기초산업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258Y1 (ko) * 2002-03-06 2002-07-19 박준영 피뢰접지판 체결구 세트
KR200332046Y1 (ko) * 2003-08-14 2003-11-03 홍성범 가로등 중공기초
KR200376669Y1 (ko) * 2004-10-08 2005-03-11 허용호 피뢰기용 절단/절곡형 접지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07Y1 (ko) 2000-07-21 2000-12-01 한국기술개발주식회사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378336Y1 (ko) * 2004-12-21 2005-03-14 이명기 가로등 지주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258Y1 (ko) * 2002-03-06 2002-07-19 박준영 피뢰접지판 체결구 세트
KR200332046Y1 (ko) * 2003-08-14 2003-11-03 홍성범 가로등 중공기초
KR200376669Y1 (ko) * 2004-10-08 2005-03-11 허용호 피뢰기용 절단/절곡형 접지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37B1 (ko) 2009-04-07 2009-07-07 서한전기공업(주) 가로등주의 기초구조물 및 기초와 이에 장착되는 가로등주
KR100998737B1 (ko) 2010-02-17 2010-12-07 주식회사 신한빛 가로등 기초 공법
KR102158373B1 (ko) 2020-02-04 2020-09-22 주식회사 현암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531A (ko) 2008-06-11
KR100853099B1 (ko) 2008-08-19
KR20060108576A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127B1 (ko) 가로등 기초
JP5785258B2 (ja) 根かせ補強
KR101358985B1 (ko)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지주 정착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885131B1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47852B1 (ko)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200421902Y1 (ko) 가로등 접지홀 기초
KR20070117059A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KR20110137644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61555A (ko) 등주 지지용 앙카블록
KR100906661B1 (ko) 가로등기초
KR101095957B1 (ko) 문형 도로표지판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42517B1 (ko)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20100033750A (ko) 전주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24706B1 (ko) 지주용 기초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40042371A (ko) 앵커를 이용한 자연암반 형태의 인공벽 설치구조
KR101085796B1 (ko) 콘크리트 기초 일체형 기둥 정착구조
CN112229383A (zh) 一种观测墩
KR100343970B1 (ko) 지상고정용 철주 받침대의 지하 매설 방법
KR20100042446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20127B1 (ko) 강성을 보강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및 시공방법
CN219828688U (zh) 一种便于临时施工安装的路灯设备
EP3906346B1 (en) Light pole replacement system
KR102440869B1 (ko) 가로등 등의 지주 구조물
KR101003855B1 (ko) 도로 표지판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189893Y1 (ko) 신호등 설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