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373B1 -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 - Google Patents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373B1
KR102158373B1 KR1020200013004A KR20200013004A KR102158373B1 KR 102158373 B1 KR102158373 B1 KR 102158373B1 KR 1020200013004 A KR1020200013004 A KR 1020200013004A KR 20200013004 A KR20200013004 A KR 20200013004A KR 102158373 B1 KR102158373 B1 KR 10215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ir
tube portion
street light
ai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범
홍동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암
Priority to KR102020001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B28B7/30Cores; Mandrels adjustable, collapsible, or expanding
    • B28B7/32Cores; Mandrels adjustable, collapsible, or expanding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B28B7/285Core pu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 기초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가 주입된 에어튜브를 사용해 가로등 기초의 전선관로를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에 에어튜브를 제거하여 전선관로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로등 기초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관통구를 갖는 몰드부와 몰드부의 관통구를 통과하여 몰드부의 내부로 이어지는 에어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튜브는, 공기를 주입하면 부피가 팽창하고, 공기를 빼내면 부피가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AIRTUBE FOR MANUFACTURING OF STREET LIGHT FOUNDATION AND STRRET LIGHT FOUNDATION BY USING AIRTUBE}
본 발명은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가 주입된 에어튜브를 사용해 가로등 기초의 전선관로를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에 에어튜브를 제거하여 전선관로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에 가로등 혹은 도로안내표지판 기둥, 교통안내 기둥 CCTV 카메라 기둥 혹은 전봇대나 통신주, 건축구조물의 기둥 및 교량의 교각 기둥 등 다양한 종류의 지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일정한 깊이로 파낸 후 내부에 지주의 기둥을 고정시킨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은, 콘크리트를 믹싱하는 공정부터 시작하여 거푸집 설치공정, 믹싱된 콘크리트의 타설 공정과 양생하는 공정이 현장에서 직접 이루어짐에 따라 공정별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환경에 따라 작업 시간이 불필요하게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전에 기초콘크리트를 제작한 후에 원하는 위치에 매설하는 방법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기초콘크리트를 제작할 때에는, 전선이 기초콘크리트를 관통하여 지주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선관을 내부에 고정한 후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이 진행된다.
이때에 콘크리트가 전선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전선관의 내부를 뚫어주는 후속작업이 필요시 되는 단점이 있고, 전선관의 사용으로 인한 자재 비용의 상승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전선관은 사방으로 유연하게 꺾이기 위해 굴곡이 있는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전선을 통과시킬 때에 전선이 전선관의 굴곡에 걸려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10-0876127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선관의 매설 작업으로 발생되는 자재 비용 및 작업 시간이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는, 상기 가로등 기초에 삽입되어 전산공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그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튜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 끝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제1튜브부, 일단이 상기 제1튜브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밀폐된 제2튜브부, 일단이 상기 제1튜브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밀폐된 제3튜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튜브부 및 상기 제3튜브부에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튜브부는, 일단부에 상기 제1튜브부의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제1튜브부 제1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튜브부는, 일부가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튜브부 몸체와, 상기 제2튜브부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튜브부 제1돌출부가 끼워지는 공간인 제2튜브부 제1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튜브부와 상기 제2튜브부의 접촉부를 이용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튜브부는, 상기 제1튜브부 제1돌출부에서 상기 제1튜브부의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후 동일하게 돌출된 제1튜브부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튜브부 제2돌출부는 상기 제2튜브부의 내측 끝단과 맞닿아 상기 제2튜브부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튜브부는, 일부가 상기 제1튜브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튜브부와 맞닿도록 위치하고, 일부가 상기 제1튜브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3튜브부 몸체, 상기 제3튜브부의 몸체에서 상기 제1튜브부의 끝단과 맞닿도록 돌출된 제3튜브부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튜브부와 상기 제3튜브부의 접촉부를 이용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등 기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기초를 성형하기 위해 에어튜브를 상기 몰드부의 내부로 넣는 단계, 상기 에어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
양생 후 상기 에어튜브의 공기를 빼내는 단계, 부피가 축소된 상기 에어튜브를 상기 몰드부에서 빼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로등 기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로등 기초는 에어튜브를 이용해 전선관로를 형성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 후 에어튜브의 공기를 빼내어 에어튜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전선관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가로등 기초의 내부에 전선관을 매립하지 않아 자재비가 하락하고, 굴곡 없이 매끈한 전선관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선을 전선관로에 통과시킬 때에 작업성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튜브를 이용한 가로등 기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투시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튜브를 이용한 가로등 기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튜브를 이용한 가로등 기초의 제조 방법으로 제작된 가로등 기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튜브를 이용한 가로등 기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투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튜브를 이용한 가로등 기초의 제조 방법으로 제작된 가로등 기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원 발명에 따른 가로등 기초를 제조하는 장치의 제1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기초 제조 장치는, 몰드부(10)와, 앙카볼트(1), 에어튜브(30)로 이루어진다.
몰드부(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방이 관통되며 하측으로 갈 수록 그 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는 몰드 본체(11)와, 몰드 본체(11)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몰드 제1관통구(12), 몰드 본체(11)의 상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몰드 제2관통구(13)와, 몰드 본체(11)의 상면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몰드 제3관통구(14)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몰드 제1관통구(12)와 몰드 제2관통구(13)는 각각이 이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그 갯수는 동일하다.
앙카볼트(1)는 몰드 본체(11)의 내부에 일부가 위치하고, 일부는 몰드 제3관통구(14)를 통과하여 몰드 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앙카볼트(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가로등 기초에 가로등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튜브(30)는 몰드부(10)의 몰드 제1관통구(12)와 몰드 제2관통구(13)를 통과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에어튜브(30)의 중간부는 몰드부(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부는 몰드부(10)의 측면에 위치하며, 타단부는 몰드부(1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끼워진다.
따라서, 에어튜브(30)를 이용하여 형성된 통로는 전선관로로 이용된다.
몰드부(10)에 에어튜브(30)를 조립할 때에는 에어튜브(30)에 공기가 배출된 상태에서 끼워넣어지기 때문에 손쉽게 에어튜브(30)를 끼워넣을 수 있다.
에어튜브(30)를 끼워넣어 제자리에 위치시킨 후에 에어튜브(30)가 몰드 제1관통구(12) 및 몰드 제2관통구(13)에 밀착되도록 공기를 주입시킨다.
공기를 주입할 때에는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일정한 공기압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튜브(30)를 보다 편하게 끼워넣기 위해 에어튜브(30)는 일직선이 아닌 곡선을 그리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 및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는 에어튜브(30)에 바람이 주입된 상태만 도시하였으나, 에어튜브(30)에 공기가 빠진 상태일 때에는 그 부피가 줄어든 상태로 전체적인 형태는 유지하며, 몰드 제1관통구(12) 및 몰드 제2관통구(13)를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부피를 갖는다.
에어튜브(30)는 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 탄성을 갖는 모든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탄성과 높은 내구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에어튜브(30)는 충분한 두께를 가지게하여 에어튜브(30)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될 때에 균일한 폭으로 부피가 늘어나게 하며, 필요에 따라 에어튜브(30)의 내부에 직물을 부착하여 균일한 폭으로 부피를 늘리고,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몰드부(10)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이 진행된 후에, 에어튜브(30)의 공기를 빼내면 에어튜브(30)와 가로등 기초의 전산공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에어튜브(30)와 전선관로와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손쉽게 에어튜브(30)를 제거할 수 있다.
에어튜브(30)의 제거를 더욱 편하게 하기 위해 조립 시에 에어튜브(30)에 윤활제를 바른 상태로 끼워넣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에어튜브(30)는, 중간부인 제1튜브부(31)와 일단부인 제2튜브부(32), 타단부인 제3튜브부(33)로 나뉜다.
제1튜브부(31)는, 전체적으로 휘어진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고 양 끝단이 관통된 형상을 가진다.
제1튜브부(31)의 일단의 부근에는 제1튜브부(31)의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제1튜브부 제1돌출부(31-1)와, 제1튜브부 제1돌출부(31-1)에서 제1튜브부(31)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후 동일하게 돌출된 제1튜브부 제2돌출부(31-2)가 형성된다.
제2튜브부(3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태에서 일단이 반원의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공기 주입구인 밸브(34)가 내부로 이어지는 제2튜브부 몸체(32-1)와, 제2튜브부 몸체(32-1)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튜브부 제1돌출부(31-1)가 끼워지는 공간인 제2튜브부 제1홈(32-2)과, 제2튜브부(32)의 내측 단면에서 타단을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튜브부 제2홈(32-3)이 형성된다.
밸브(34)는 제2튜브부 몸체(32-1)를 관통하고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경로가 형성된 닛뿔에 장착되며, 밸브(34)의 조절을 통해 손쉽게 에어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밸브(34)에 공기주입기를 연결시킨 후 밸브(34)의 조작을 통해 에어튜브(3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역할을 한다.
제2튜브부 제2홈(32-3)은 에어튜브(3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때에 제2튜브부(32)의 부피의 팽창을 유연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1튜브부 제2돌출부(31-2)는 제2튜브부(32)의 내측 끝단과 맞닿아 제2튜브부(32)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튜브부(33)는, 일부가 제1튜브부(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가 제1튜브부(3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3튜브부 몸체(33-1), 제3튜브부의 몸체(33-1)에 형성되고 제1튜브부(31)의 끝단과 맞닿도록 돌출되는 제3튜브부 돌출부(33-2), 제3튜브부(33)의 내측 단면에서 타단을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3튜브부 홈(33-3)이 형성된다.
제3튜브부 홈(33-3)은 에어튜브(3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때에 제3튜브부(33)의 부피의 팽창을 유연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3튜브부(33)가 결합되는 제1튜브부(31)의 끝단은 그 지름이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점점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제1튜브부(3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3튜브부(33)의 일부도 제1튜브부(31)와 맞닿도록 그 지름이 제1튜브부(31)의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점점 커지는 형상을 갖는다.
제3튜브부 몸체(33-1)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일부분은 반원의 형상을 가져, 제1튜브부(31)와 연속되어 반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이어진다.
제1튜브부(31)와 제2튜브부(32) 및 제3튜브부(33)가 맞닿는 부분에 프레스를 이용해 밀착시키며, 밀착방법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에어튜브(30)를 3개의 부분으로 나눠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일체형, 2개 혹은 4개 이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닛뿔과, 닛뿔에 이어진 밸브(34)를 이용해 공기를 주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주입방법 및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3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튜브(30)를 이용하여 제작된 가로등 기초(10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에어튜브(30)를 이용해 형성된 전산공(100-1)이 가로등 기초(100)의 측면에서 부터 상측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앙카볼트(1)가 돌출된다.
에어튜브(30)를 이용해 전산공(100-1)을 형성하기 때문에 전산공(100-1)의 표면이 굴곡 없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도 6에는 제2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몰드부(10)의 내부에 내측부(20)가 장착된다.
내측부(2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전선을 위치시키는 수납박스(21)와, 수납박스(21)의 내부와 이어지고 하측면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배수관(22)과, 수납박스(21)의 내부와 이어지고 상측면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입상관(23)과, 수납박스(21)의 측면에 위치하고 입상관(23)의 측면부근에서 배수관(22)의 측면부근까지 이어지며 양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네개의 앙카볼트(1), 앙카볼트(1)의 하단에 너트를 이용해 고정되는 동판(24)으로 이루어진다.
에어튜브(30)는 몰드부(11)의 측면을 통과해 수납박스(21)로 이어지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를 이용해 제작된 가로등 기초에서 전선은 에어튜브(30)를 이용해 제작된 전산공(100-1)에서 수납박스(21) 그리고 입상관(23)으로 이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를 이용해 제작된 가로등 기초(100)의 상면에는 입상관(23)의 일부와, 다수의 앙카볼트(1)의 일부가 노출되고, 측면에는 에어튜브(30)를 이용해 형성된 다수의 전산공(100-1)이 형성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이외에도 에어튜브(30)는 가로등 기초를 제작하는 모든 방법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가로등 기초의 내부 구조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에어튜브(30)를 이용한 가로등 기초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몰드부(10)에 앙카볼트(1)를 장착하는 제1단계,
에어튜브(30)를 몰드부(10)에 끼워넣는 제2단계,
에어튜브(30)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3단계,
몰드부(30)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제4단계,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제5단계,
에어튜브(30)의 공기를 빼내는 제6단계,
에어튜브(30)를 몰드부(10)에서 제거하는 제7단계,
몰드부(10)의 내부에서 가로등 기초를 분리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단계에 내측부(20)를 장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도면을 이용해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앙카볼트, 10 : 몰드부, 11 : 몰드 본체,
12 : 몰드 제1관통구, 13 : 몰드 제2관통구, 14 : 몰드 제3관통구,
20 : 내측부, 21 : 수납박스, 22 : 배수관,
23 : 입상관, 24 : 동판, 30 : 에어튜브,
31 : 제1튜브부, 31-1 : 제1튜브부 제1돌출부,
31-2 : 제1튜브부 제2돌출부, 32 : 제2튜브부,
32-1 : 제2튜브부 몸체, 32-2 : 제2튜브부 제1홈,
32-3 : 제2튜브부 제2홈, 33 : 제3튜브부,
33-1 : 제3튜브부 몸체, 33-2 : 제3튜브부 돌출부,
33-3 : 제3튜브부 홈, 34 : 밸브,
100 : 가로등기초, 100-1 : 전산공

Claims (8)

  1. 가로등 기초의 제작에 사용되는 에어튜브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기초에 삽입되어 전산공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그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튜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 끝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제1튜브부;
    일단이 상기 제1튜브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밀폐된 제2튜브부;
    일단이 상기 제1튜브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밀폐된 제3튜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튜브부는,
    전체적으로 휘어진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고 양 끝단이 관통된 형상으로, 일단부에 상기 제1튜브부의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제1튜브부 제1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튜브부는,
    일부가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튜브부 몸체;와, 상기 제2튜브부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튜브부 제1돌출부가 끼워지는 공간인 제2튜브부 제1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튜브부 제1돌출부와 상기 상기 제2튜브 제1홈을 이용해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제1튜브부와 상기 제2튜브부의 접촉부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튜브부는,
    상기 제1튜브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튜브부의 내측 단면에서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튜브부 제2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튜브부 제2홈은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때에 상기 제2튜브부의 부피의 팽창을 유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부는,
    상기 제1튜브부 제1돌출부에서 상기 제1튜브부의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후 동일하게 돌출된 제1튜브부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튜브부 제2돌출부는 상기 제2튜브부의 내측 끝단과 맞닿아 상기 제2튜브부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튜브부는,
    일부가 상기 제1튜브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튜브부와 맞닿도록 위치하고, 일부가 상기 제1튜브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3튜브부 몸체;
    상기 제3튜브부의 몸체에서 상기 제1튜브부의 끝단과 맞닿도록 돌출된 제3튜브부 돌출부;
    제1튜브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3튜브부의 내측 단면에서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3튜브부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튜브부와 상기 제3튜브부의 접촉부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를 이용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상기 제3튜브부 홈은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때에 상기 제3튜브부의 부피의 팽창을 유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6. 삭제
  7. 제 1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기초.
  8. 삭제
KR1020200013004A 2020-02-04 2020-02-04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 KR10215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04A KR102158373B1 (ko) 2020-02-04 2020-02-04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04A KR102158373B1 (ko) 2020-02-04 2020-02-04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373B1 true KR102158373B1 (ko) 2020-09-22

Family

ID=7270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004A KR102158373B1 (ko) 2020-02-04 2020-02-04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3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087B1 (ko) 2021-04-14 2021-10-19 이영암 지주용 분할 설치형 콘크리트 기초석 및 그 기초석의 설치방법
KR102381200B1 (ko) * 2021-10-08 2022-03-30 이영암 콘크리트 기초석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86Y1 (ko) * 1993-07-24 1996-03-25 브리에스엘코리아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시의 덕트 보호용 에어튜브
KR100876127B1 (ko) 2005-09-07 2008-12-29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가로등 기초
KR100944873B1 (ko) * 2009-06-05 2010-03-04 이영암 콘크리트 기초석의 제조방법
KR101098530B1 (ko) * 2011-09-29 2011-12-23 경일피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초석의 배선공 성형용 튜브 어셈블리
KR20160033301A (ko) * 2014-09-17 2016-03-28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86Y1 (ko) * 1993-07-24 1996-03-25 브리에스엘코리아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시의 덕트 보호용 에어튜브
KR100876127B1 (ko) 2005-09-07 2008-12-29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가로등 기초
KR100944873B1 (ko) * 2009-06-05 2010-03-04 이영암 콘크리트 기초석의 제조방법
KR101098530B1 (ko) * 2011-09-29 2011-12-23 경일피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초석의 배선공 성형용 튜브 어셈블리
KR20160033301A (ko) * 2014-09-17 2016-03-28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087B1 (ko) 2021-04-14 2021-10-19 이영암 지주용 분할 설치형 콘크리트 기초석 및 그 기초석의 설치방법
KR102381200B1 (ko) * 2021-10-08 2022-03-30 이영암 콘크리트 기초석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373B1 (ko) 가로등 기초의 제조를 위한 에어튜브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로등 기초
KR102108417B1 (ko)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N209429383U (zh) 一种装配式建筑用钢结构支撑立柱
KR101640457B1 (ko) 전등 축대용 기초블록 제작 거푸집과 기초블록 제작방법
KR20160035235A (ko) 도로경계석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CN107618096B (zh) 复合管道生产模具
KR101212065B1 (ko) 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20180120552A (ko) 조립식 pc 암거 설치용 강선연결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pc 암거
GB2479607A (en) Plastic mould for forming a base for an electrical or communications cabinet, or other ground-mounted articles
KR100622647B1 (ko) 맨홀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갖는 맨홀 성형장치
KR100944873B1 (ko) 콘크리트 기초석의 제조방법
JP4356193B2 (ja) 小型マンホールの底部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小型マンホールの施工方法
KR101839746B1 (ko) 기초일체형 폴 구조물
KR200332046Y1 (ko) 가로등 중공기초
KR200313313Y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KR102452899B1 (ko) 휀스 기초석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휀스 기초석
KR102172726B1 (ko) 가로등 기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가로등 기초 제조방법
KR20030022213A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JP5084643B2 (ja) 境界ブロックつき側溝用ブロック及び境界ブロックつき側溝用ブロック取り替え方法
KR200263919Y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고정용 베이스
CN214772802U (zh) 地下预制构件的成型模具
KR200196266Y1 (ko) 조립식 배수관
CN220166979U (zh) 管道浇筑固定装置
KR102526131B1 (ko) 가로등 지주용 기초 구조물 성형장치
CN210621678U (zh) 一种低净空条件下施作先张法预应力桩的预制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