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517B1 -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517B1
KR100942517B1 KR1020090066058A KR20090066058A KR100942517B1 KR 100942517 B1 KR100942517 B1 KR 100942517B1 KR 1020090066058 A KR1020090066058 A KR 1020090066058A KR 20090066058 A KR20090066058 A KR 20090066058A KR 100942517 B1 KR100942517 B1 KR 10094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aille
block
light emitting
suppor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배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엘테크 filed Critical (주) 에스엘테크
Priority to KR102009006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pedestrian walk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형 점자보도블럭과 이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지지단을 통해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뒤틀리거나 한쪽으로 눌리지 않게되어 시각장애인에게 왜곡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과 이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바닥에 지지단을 통해 고정되어 보행자가 밟아도 한쪽으로 눌리지 않고 이로 인해 하부의 집수공간에 고인 빗물이 갑작스럽게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보행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 사용에도 눌리거나 뒤틀리지 않아 보행자가 접질리거나 시각장애인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APPLYING LIGHTING TYPE RAISED LETTERS BLOCK}
본 발명은 발광형 점자보도블럭과 이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지지단을 통해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뒤틀리거나 한쪽으로 눌리지 않게되어 시각장애인에게 왜곡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과 이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이란 인도(人道)를 따라 설치되어 보행자를 위한 바닥면을 제공하는 블럭 형태의 건축자재를 총칭하며, 이의 한 종류인 점자보도블럭은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돌기패턴이 부여되어 위치 및 방향의 표시기능이 추가된 경우를 특정한다.
다시 말해, 시각장애인보도블럭이라 불리기도 하는 점자보도블럭은 시각장애 인의 보행 시(侍)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으로 위치 및 방향을 알 수 있도록 그표면에 소정의 돌기패턴이 부여된 특수목적의 보도블럭으로서, 엄밀하게는 위치표시를 위한 점자 돌기와 방향표시를 위한 선형 돌기를 구분하지만 통상적으로 돌기패턴이라 지칭되며, 이 같은 점자보도블럭은 주로 횡단보도의 진입선이나 지하철 대기선 등을 따라 설치해서 보행분기점, 대기점, 시발점, 종료지점 등을 표시한다.
한편, 종래에는 점자보도블럭을 발광형으로 개선하여 식별력을 향상시킨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은 식별력이 우수하고 경우에 따라 신호등, 지하철 안내판의 작동신호에 연동되어 소정의 발광 기능을 통해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은 보통 강화 플라스틱재로 된 육면체 형태를 취하고 그 내부는 발광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은 제품 하중이 가볍기 때문에 무거운 하중으로 안정되게 바닥에 고정되는 석재보도블럭과는 달리 설치된 바닥에서 쉽게 들쳐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기존의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하부에 실장되는 모래를 단단히 눌러 집결시키지 못하여 빗물의 유입 등으로 모래가 유실되고 그에 따라 집수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비 온 후에 보행자가 밟게 되면 상기 집수공간 쪽으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눌리고 집수된 빗물이 방출되어 보행자의 바지단 등을 적시거나 보행자가 발을 접질리는 등 예상치 못한 피해가 발생되었다.
이와 더불어, 일반 보도블럭은 복수개의 보도블럭이 동일 평면상에 행렬로 시공되어 사방이 유기적으로 단단하게 결합을 이루는데 반해,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은 그 기능을 발휘하도록 일렬로 시공되는 제약에 의해 일반 보도블럭과 같이 사방으로 유기적인 결합을 이루지 못하여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쉽게 유발된다.
이는 그 위를 보행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왜곡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가 온 후에도 보행자가 안전하게 디딜 수 있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과 이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패턴이 형성된 설치면이 시공 후 눌리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없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과 이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돌기패턴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하면과,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으로 마련되고 그 내부에 발광부를 수용한 본체 및 상기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단은 상기 하면에 고정구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 형태인 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지지단을 관통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 삽입되는 핀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지지단과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패턴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으로부터 절곡된 측면으로 이뤄진 상부캡; 상기 상부캡의 내부로 수용된 발광부; 상기 상부캡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 가능한 판재; 및 상기 판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캡의 대응하는 양측 하단에는 걸림공이 마련되고 상기 판재의 양측에는 이와 대응되는 걸림단이 돌출된다.
또한, 상기 상부캡과 상기 판재 사이로 지지기둥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단은 상기 판재에 고정구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 형태인 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상기 판재와 상기 지지단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리벳(rivet)이거나 볼트와 너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 기재에 따른 점자보도블럭을 이용한 시공구조로서, 기초면을 이루는 몰탈층; 상기 몰탈층 위로 덮이는 모래도포층; 상기 모래도포층을 관통하고 상기 몰탈층에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되는 지지단; 상기 모래도포층의 상면과 상기 지지단의 상단 위로 상기 돌기패턴이 외부로 노출되게 안착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몰탈층은 시멘트몰탈층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 기재에 따른 점자보도블럭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점자보도블럭 설치영역의 바닥을 굴착하는 단계; 굴착된 상기 설치영역의 바닥면에 몰탈을 채우는 단계; 상기 몰탈이 겔(Gel) 타입으로 굳었을 때 모래를 덮어 상면이 평평한 모래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몰탈이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지지단의 끝단이 상기 몰탈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점자보도블럭을 상기 모래도포층 상부로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과 이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은 점자보도블럭이 바닥에 지지단을 통해 고정되어 보행자가 밟아도 한쪽으로 눌리지 않고 하부의 집수공간에 고인 빗물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 사용에도 눌리거나 뒤틀리지 않아 보행자가 접질리거나 시각장애인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깨지거나 금이 발생하는 등 파손이 발생한 경우 돌기패턴이 형성된 상부의 교체가 가능하여 손쉽게 유지보수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은 도 1과 같이 본체(110)와 이에 결합된 지지단(12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서로 대응하는 상면(111)과 하면(112), 그리고 상면(111)과 하면(112)을 연결하는 네개의 측면(113)으로 이루어진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그 재질은 내구성이 좋은 강화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의 상면(111)에는 점자보도블럭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위치표시를 위한 점자 돌기, 방향표시를 위한 선형 돌기 등의 돌기패턴(115)이 마련된다.
앞의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돌기패턴(115)은 인도의 횡단보도 진입부나 지하철 대기선 등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어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체(110)는 도 2와 같이 상면(111)과 측면(113)이 일체된 상부캡(130)과 이에 결합되어 상부캡(130)의 개방된 하부를 닫는 판재(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110)는 유지보수시 상부캡(130) 만을 교체하여 손쉽게 보수 작업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캡(130)과 판재(150)는 결합 내지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부캡(130)의 측면(113)에 걸림공(131)이 타공되고, 판재(150)에는 이에 대응하는 걸림단(151)이 돌출된다.
이러한, 상부캡(130)의 내부로는 발광부(140)가 수용된다.
발광부(140)는 LED(142)가 탑재된 PCB(Printed Circuit Board, 141)와 이를 덮어 통공(145) 사이로 LED(142)가 수용되는 지지판(14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LED(142)는 케이블(143)로 연결되고 그 양단이 측면(113) 또는 하면(112, 도1참조) 내지 판재(150)를 관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그 양단은 방수커넥터(146)가 마련되어 케이블(143) 이음부가 방수 처리된다.
나아가, 상부캡(130)의 내부에는 발광부(140)와 저촉되지 않게 지지기둥(미도시)이 실장되어 상부의 하중으로부터 상부캡(130)이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지지단(120)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지지단(120)의 또 다른 일 양태(樣態)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또 다른 일 양태(樣態)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의 경우에 따라 본체(110)의 하면(112)에 결합되는 지지단(12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지지단(120)은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본체(110)를 상부의 하중으로부터 지탱하기 위해, 하면(120)으로부터 후술하는 몰탈층까지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몰탈층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 고정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지지단(120)은 도 3과 같이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L'자 형태인 앵글(angle)이고 복수개가 병렬로 마련될 수 있고, 도 4와 같이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 형태인 프레임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단(120)은 고정구(160)를 통해 본체(110)의 하면(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바닥에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시공 후 몰탈층에 고정된 지지단(120)으로부터 본체(110)만을 교체 가능하게 하여 손쉬운 유지보수를 이룰 수 있게 한다.
이때, 고정구(160)는 도 3과 같이, 그 일측단이 지지단(120)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하면(112)에 형성된 끼움홈(161)에 억지끼움 되는 핀 형상 일 수 있고, 도 4와 같이 볼트(162)와 너트(163)일 수 있다.
이때, 볼트(162)는 본체(110)를 관통하거나 상술한 판재(150, 도 2참조)를 관통하여 본체(110)의 하면(112)으로 말단이 노출되게 고정되고 너트(163)는 지지단(120)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볼트(162)와 너트(163)의 위치는 볼트(162)가 지지단(120)에 고정되고 너트(163)가 본체(110)의 상면(111) 또는 상술한 판재(150, 도 2참조)의 상면에서 결합되게 교차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본체(110)의 하면(112)을 이루는 판재(150)와 지지단(120)을 결합시키는 고정구(160)는 리벳(rivet)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단(120)은 각각의 본체(110)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도 5와 같이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 형태인 긴 프레임인 경우 복수개의 본체(110)가 단일의 지지단(120)에 연결될 수 있 다.
이때, 본체(110)로부터 노출된 케이블(143)은 또 다른 본체(110)가 이웃되어 밀착될 수 있게 하면(112)으로 노출되고 관통공(121)을 통과하여 지지단(120)의 하부에서 방수커넥터(146)로 연결된다.
이 경우, 본체(110)와 지지단(120)은 서로 대응되게 타공된 결합공(153)에 앞서 언급된 고정구(160, 도 2 내지 4 참조)의 체결로 결합된다.
위와 같이 지지단(120)이 각각의 본체(110)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운반이 간편하여 시공이 쉽다는 장점이 있고, 복수개의 본체(110)가 하나의 지지단(120)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 간의 상면(111)이 동일평면을 이루게 시공하기가 쉽고 케이블(143)과 방수커넥터(146)가 상기 프레임 하부로 실장되어 보호된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지지단(120)의 재질은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 위로 오가는 보행자의 하중을 지탱하고 후술하는 모래층에 유입되는 빗물이나 오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살펴본 구성과 작용을 갖는 지지단(120)이 결합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은 시공 후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일측이 눌리거나 뒤틀리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지 않고 바닥에 단단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지지단(120)의 또 다른 형태로는 하면(112)의 각 모서리측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된 소정 길이의 막대(미도시)이거나 상기 각 모서리측에 결합된 막대(미도시)일 수 있고, 하면(112)으로부터 후술하는 몰탈층까지 연장되어 본 체(110)를 지지하는 범위에서 그 형태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시공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700)는 도 6과 같이 몰탈층(500)으로 형성된 기초면 위로 덮인 모래도포층(600), 모래도포층(600)을 관통하고 몰탈층(500)에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지지단(120), 모래도포층(600)의 상면과 일치하는 지지단(120)의 상단 위에 얹히는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몰탈층(500)은 지지단(12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래도포층(600)은 위에 얹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상면이 후술하는 기존의 일반 보도블럭(3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소정의 높이로 몰탈층(500) 위로 덮어진다.
이러한 모래도포층(600)의 상면에 지지단(120)이 결합된 본체(110)로 이루어진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엊혀진다.
이때, 본체(110)에 형성된 돌기패턴(115)은 외부 상방으로 노출되고 지지단(120)은 모래도포층(600)을 관통하여 몰탈층(500)에 그 끝단이 삽입 고정된다.
이때, 본체(110) 내부의 발광부(140)로부터 노출된 케이블(143)은 관통공(121)을 통과하여 지지단(120)의 하부로 실장된다.
필요에 따라 모래도포층(600)에는 지지단(120)의 하부로 실장된 케이블(143)이 수용되게 모래가 파여 일정한 공간의 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상세히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시공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은 다양한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진 바닥에 설치될 수 있는 바, 그 중 일반 보도블럭(30)이 설치된 바닥에 시공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이때, 일반 보도블럭(30)이 설치된 바닥의 내부는 앞서 살펴본 도 6과 같이 아래로부터 지층(10), 기존 모래층(20), 일반 보도블럭(30)으로 형성된 개략적인 단면을 갖는 것으로 간주하고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된 도면부호를 인용한다.
시공에 사용되는 지지단(120)과 본체(11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은 미리 마련된다.
우선, 돌기패턴(115)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설치영역의 경계에 있는 바닥면을 절단한다(S510).
상기 절단은 상기 바닥면의 재질에 맞는 칼날이 작동되는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으나 본 예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면이 복수개의 일반 보도블럭(30)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경계에 자리한 일반 보도블럭(30)을 들어내어 상기 설치영역의 경계와 대응되게 각각의 일반 보도블럭(30)을 제단하고 다시 제자리로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경계의 바닥면을 절단한다.
그런다음, 상기 설치영역의 기존 모래층(20)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한 다(S520).
이 경우 굴착의 범위는 상기 설치영역의 경계에서 수직된 하방으로 이루어지며 그 깊이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두께와 지지단(120)의 연장된 길이를 감안한 소정의 깊이로 굴착한다.
그런다음, 상기 굴착된 상기 설치영역의 바닥면에 지지단(120)의 그 끝단이 일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로 몰탈을 채워 몰탈층(500)을 형성한다(S530).
상기 몰탈은 시멘트몰탈일 수 있고, 시멘트와 모래와 물의 혼합비는 후술하는 겔(Gel) 타입의 몰탈층(500)이 빠른 시간 내에 형성되어 시공이 지체되지 않는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다음, 상기 몰탈이 겔 타입으로 굳었을 때 모래를 덮어 상면이 평평한 모래도포층(600)을 형성한다(S540).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두께를 감안하여 일반 보도블럭(30)과 설치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는 높이로 몰탈층(500) 위에 모래를 도포한다.
도포된 모래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이 평평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상면이 되도록 골라지는게 바람직하다.
이때, 그 일부 영역에는 지지단(120)의 하부로 수용되는 케이블(143)과 방수커넥터(146)가 모래도포층(600)의 내부로 수용되게 모래를 파내 일정 공간의 홈을 마련한다.
그런다음, 상기 몰탈이 완전히 굳기 전에 모래도포층(600) 상면에 발광형 점 자보도블럭(100)을 얹고 지지단(120)의 끝단이 몰탈층(500)에 인입 고정되게 하여 상기 설치영역에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을 설치한다(S550).
이때, 각각의 본체(110)에 각각의 지지단(120)이 개별적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설치영역에 복수개의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을 설치해 나가며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43)을 서로 연결한다.
연결된 케이블(143)은 모래도포층(600)에서 일정 공간이 마련되게 모래가 파여진 홈(미도시)에 실장된다.
이와 달리,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 형태의 긴 프레임으로 마련된 단일의 지지단(120)에 복수개의 본체(110)가 결합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은 미리 케이블(143) 간의 연결을 완료해 놓고 이를 한번에 모래도포층(600) 상면에 얹어 간편히 설치할 수 있다.
이처럼, 몰탈이 완전히 굳기 전의 몰탈층(500) 내부로 지지단(120)의 그 끝단이 인입되고 몰탈이 완전히 굳게되면 지지단(120)은 비로소 몰탈층(500)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지지단(120)에 결합된 본체(110) 또한 설치영역에서 단단히 고정된다.
추가로, 상기 설치영역에 설치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100)의 설치면과 일반 보도블럭(30) 간의 간격을 모래 또는 몰탈로 채워 바닥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 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내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지지단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지지단의 또 다른 일 양태(樣態)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또 다른 일 양태(樣態)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층 20: 기존 모래층
30: 일반 보도블럭 100: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110: 본체 111: 상면
112: 하면 113: 측면
115: 돌기패턴 120: 지지단
121: 관통공 130: 상부캡
131: 걸림공 140: 발광부
141: PCB 142: LED
143: 케이블 144: 지지판
145: 통공 146: 방수커넥터
150: 판재 151: 걸림단
153: 결합공 160: 고정구
161: 끼움홈 162: 볼트
163: 너트 500: 몰탈층
600: 모래도포층

Claims (12)

  1. 돌기패턴과 발광부가 마련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본체를 노면에 고정시키는 시공구조로서,
    소정의 깊이로 파인 상기 노면의 바닥면에 기초면을 이루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지지단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시멘트몰탈층;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시멘트몰탈층 사이로 개재되는 모래도포층을 포함하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하부를 닫는 판재이고 상기 지지단은 상기 판재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3. a) 돌기패턴과 발광부가 마련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본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본체의 하부에 지지단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을 설치하고자 하는 노면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는 단계;
    d) 굴착된 상기 노면의 바닥면에 시멘트몰탈을 소정의 두께로 채우는 단계;
    e) 상기 시멘트몰탈의 상면에 모래를 덮어 모래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모래도포층의 상면에 상기 본체를 얹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지지단을 상기 모래도포층을 관통시켜 상기 시멘트몰탈에 끝단을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로 노출된 케이블을 이웃하게 놓인 또 다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본체에서 연장된 케이블과 연결하고 상기 모래도포층에 일정 공간이 마련되게 모래가 파진 홈에 상기 케이블을 실장시키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66058A 2009-07-20 2009-07-20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4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58A KR100942517B1 (ko) 2009-07-20 2009-07-20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58A KR100942517B1 (ko) 2009-07-20 2009-07-20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517B1 true KR100942517B1 (ko) 2010-02-12

Family

ID=4208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058A KR100942517B1 (ko) 2009-07-20 2009-07-20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5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879A (ko) 2014-10-28 2016-05-10 (주) 에스지앤테크 발광형 보도 블록 시스템
WO2016151255A1 (fr) 2015-03-24 2016-09-29 Auriol Frappe A Froid Dalle podotactile lumineuse
KR101681103B1 (ko)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82272A (ko) * 2018-12-28 2020-07-08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Led바닥형 보행신호보조장치를 갖는 보도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459Y1 (ko) 2004-03-09 2004-05-20 주식회사 펩티모 광고 또는 안전유도가 가능한 점자블록
JP2004257182A (ja) 2003-02-27 2004-09-16 Kictec Inc 自発光式点字ブロック
KR100554154B1 (ko) 2005-11-14 2006-02-21 김병규 데크의 연결구조
KR200438197Y1 (ko) * 2006-11-14 2008-01-29 권성국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신호기능을 하는 시각장애인용점자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182A (ja) 2003-02-27 2004-09-16 Kictec Inc 自発光式点字ブロック
KR200351459Y1 (ko) 2004-03-09 2004-05-20 주식회사 펩티모 광고 또는 안전유도가 가능한 점자블록
KR100554154B1 (ko) 2005-11-14 2006-02-21 김병규 데크의 연결구조
KR200438197Y1 (ko) * 2006-11-14 2008-01-29 권성국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신호기능을 하는 시각장애인용점자블럭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879A (ko) 2014-10-28 2016-05-10 (주) 에스지앤테크 발광형 보도 블록 시스템
WO2016151255A1 (fr) 2015-03-24 2016-09-29 Auriol Frappe A Froid Dalle podotactile lumineuse
FR3034010A1 (fr) * 2015-03-24 2016-09-30 Auriol Frappe A Froid Dalle podotactile lumineuse
KR101681103B1 (ko)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82272A (ko) * 2018-12-28 2020-07-08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Led바닥형 보행신호보조장치를 갖는 보도 및 그 시공방법
KR102178124B1 (ko) * 2018-12-28 2020-11-12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Led바닥형 보행신호보조장치를 갖는 보도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8774B2 (en) Securely interconnectable modules for use in constructing a pathway for traffic
US8261497B2 (en) Embedment tile with replaceable top plate
KR100942517B1 (ko)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20080052531A (ko) 가로등 기초
CA2968109A1 (en) Modular platform deck for traffic
KR100885131B1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47852B1 (ko)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100960992B1 (ko) 점자보도블럭 발광장치
KR100935790B1 (ko) 매립형 가로등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설치방법
JP2014080824A (ja) 既設構造物の躯体を利用する基礎構造の構築工法及び基礎構造
KR20070011703A (ko) 절연성 맨홀구조
KR101272709B1 (ko) 발광형 노면표시 겸용 케이블관로
KR100961837B1 (ko) 도로복구블록
CN209837523U (zh) 石材楼梯结构
KR20100102343A (ko) 도로용 경계석
KR200437253Y1 (ko) 지주설치구조
KR200410085Y1 (ko) 양면 조립식 콘크리트 계단
KR200265441Y1 (ko) 휴대용 맨홀 뚜껑 개폐장치
KR101008975B1 (ko) 가설인도
CN205134796U (zh) 一种插接式楼梯踏板
JPH0649807A (ja) 発光素子付樹木保護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2310A (ko) 전선 연결형 조명장치가 가능한 상판 덮개 구조의 다기능 경계석
JP4562330B2 (ja) 道路立入防止柵の改修工事用資材および改修工法
KR100917983B1 (ko) 가로 시설물의 매립형 지지장치
KR102670386B1 (ko)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바닥 조명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