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913B1 -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 Google Patents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913B1
KR101066913B1 KR1020090082074A KR20090082074A KR101066913B1 KR 101066913 B1 KR101066913 B1 KR 101066913B1 KR 1020090082074 A KR1020090082074 A KR 1020090082074A KR 20090082074 A KR20090082074 A KR 20090082074A KR 101066913 B1 KR101066913 B1 KR 10106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nduit
side wall
lower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186A (ko
Inventor
김영건
곽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Priority to KR102009008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9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관로구와 기초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제조, 시공, 유지, 관리, 보수가 간편한 기초대가 개시된다. 기초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벽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관로구와,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관로구에 체결되며, 타측에 지중배전선을 감싸는 관로가 결합되는 관로구어댑터와,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며, 지상기기를 지지하는 상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ONE BODY TYPE BASE OF PIPE CONDUIT}
본 발명은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로 지상기기에 연결되는 지중배전선이 인입 및 인출되어 변압기와 같은 지상기기를 지지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에 관한 것이다.
지상의 도로변, 공원 등에는 변압기, 신호등 제어반, 가로등, 수배전반 등과 같은 지상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지상기기들이 설치되는 장소의 지중에는 관로가 배치되며, 관로의 내부에는 지상기기의 전원공급, 원격제어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지중배전선이 배치된다.
한편, 지상기기를 평탄하고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기초대가 사용된다. 종래의 기초대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는 함체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기초대의 측벽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관통홀은 기초대 내부로 지중배전선을 인입시키고, 기초대 내부의 지중배전선을 기초대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관통홀은 기초대의 제조시 관 통홀이 형성될 부위를 얇게 만들고, 해당 부위을 깨뜨리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제조된 기초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상기기가 설치될 장소를 터파기 한다. 터파기 설치된 장소에 기초대가 안치하고, 관통홀에 지중배전선을 감싸는 관로를 삽입한다.
이어, 수분, 토사 등이 기초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과 관로의 사이를 다시 콘크리트로 메운다. 이러면 관로가 기초대에 고정되며, 기초대에 고정된 관로로부터 지중배전선을 인출해 놓는다.
이어, 기초대 주변을 되메우고, 보도블럭, 투스콘, 잔디 등으로 마감하여 기초대의 설치를 마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초대는 재질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번 정형화 된 기초대의 형상을 변형하기 곤란하다. 이에 따라 기초대는 지형, 지상기기의 증설 또는, 교체에 따른 유지, 보수, 관리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초대는 관로를 직접 기초대에 고정시키고, 고정된 관로로부터 지중배전선을 인출하므로, 관통홀의 모서리에 지중배전선의 피복이 벗겨질 수 있다. 이는 누전 또는 지중배전선 간의 합선 등으로 이어져 지상기기의 치명적인 손상을 끼칠 수 있으며, 보행자의 감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정형화된 콘크리트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폐기된 기초대는 처리하는 데에도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구와 기초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제조, 시공, 유지, 관리, 보수가 간편한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초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벽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관로구와,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관로구에 체결되며, 타측에 지중배전선을 감싸는 관로가 결합되는 관로구어댑터와,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며, 지상기기를 지지하는 상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은 하부면에 상기 제1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판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1 측벽과, 하부면에 상기 제2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대는 상기 관로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관로구어댑터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턱과, 상기 나사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돌출턱을 상기 관로구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관로구와 상기 관로구어댑터를 체 결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대는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관로구와 상기 돌출턱에 밀착되어 상기 관로구와 상기 돌출턱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1 기밀부재와,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돌출턱과 상기 체결너트에 밀착되어 상기 돌출턱과 상기 체결너트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는 제2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대는 상기 관로구어댑터의 타측에 형성되며, 파형관 형태의 상기 관로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형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에는 접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초대는 전도체로 마련되며, 상기 접지홀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홀을 폐쇄시키는 접지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커넥터의 일단 및 타단에는 암나사 형태의 접속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상기기로 연결될 접지선 및 지중에 접지될 다른 접지선은 전도체의 숫나사에 연결되어 상기 접속홀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판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대는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대는 상기 하판에 결합되며, 상기 관로구어댑터에 결속된 상기 관로로부터 상기 지중배전선의 인출을 위해 상기 지중배전선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판, 상기 측벽 및 상기 상판은 각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판, 상기 측벽 및 상기 상판은 내부가 벌집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는 제조, 시공, 유지, 관리, 보수 등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기초대(100)는 하판(110), 측벽(130) 및 상판(150)을 포함한다.
하판(1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제1 결합돌기(111)가 형성된다. 측벽(130)은 제1 측벽(131) 및 제2 측벽(133)을 포함한다. 제1 측벽(131)은 하부면에 제1 결합돌기(111)에 대응되는 제1 결합홈(131a)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제2 결합돌기(131b)가 형성된다. 제2 측벽(133)은 하부면에 제2 결합홈(133a)이 형성된다. 제1 측벽(131)은 제1 결합홈(131a)이 제1 결합돌기(111)에 끼워져 하판(110)과 결합되고, 제2 측벽(133)은 제2 결합홈(133a)이 제2 결합돌기(131b)에 끼워져 제1 측 벽(131)과 결합된다.
상판(150)에는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10)이 지상기기(200)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개구부(151)가 형성된다. 또한, 상판(150)에는 제2 측벽(133)과의 체결을 위한 제1 체결공(153) 및 지상기기(200)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체결공(155)이 형성된다. 상판(150)은 제1 체결공(153)에 나사가 체결되어 제2 측벽(133)에 결합되며, 제2 체결공(155)에 나사가 체결되어 지상기기(20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기초대(100)는 하판(110)에 측벽(130)이 결합되고, 측벽(130)에 상판(150)이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판(150) 위에 지상기기(200)를 지지한다.
이러한 기초대(100)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2 측벽(133)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지상기기(200)가 설치될 장소의 지표면이 경사도가 심하거나, 굴곡이 생겨 상판(150)의 일부가 지중에 함몰될 경우, 상판(150)의 상부면 전체가 지상에 노출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제2 측벽(133)을 선택하여 제1 측벽(131)에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기초대(100)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상판(150)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요가의 증가 등으로 인한 지상기기(200)의 교체, 또는 증설에 따라 지상기기(200)의 바닥면적이 변경될 경우, 교체 또는 증설되는 지상기기(200)의 바닥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상판(150)을 선택하여 제2 측벽(133)에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기초대(100)는 합성수지재, 더욱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소재인 폐합성 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에 따라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초대(100)를 이루는 하판(110), 측벽(130) 및 상판(150)의 내부는 각각 벌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벌집 구조로 이루어지는 하판(110), 측벽(130) 및 상판(150)은 기초대(100)의 상, 하, 측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기초대(100)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자재 비용의 절감, 기초대(100)의 경량화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측벽(131)에는 지중배전선(1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관로구(170)가 형성되며, 관로구(170)는 체결너트(180)에 의해 관로구어댑터(190)와 결합된다.
관로구(170)는 제1 측벽(131)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1 측벽(13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관로구(170)의 외주면에는 관로구어댑터(190)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171)가 형성된다. 관로구(170)에는 내부공간을 향해 내경이 점차 확대되는 관통홀(173)이 형성된다.
관로구(170)는 지상기기(200)에 연결되는 지중배전선(10)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로구(170)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지중배전선(10)의 외경이 각각 다를 경우에는 복수의 지중배전선(10)의 외경에 따라 복수의 관통홀(173)의 내경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관로구어댑터(190)의 일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턱(191)이 형성된다. 체결너트(180)는 나사부(171)에 체결됨에 따라 돌출턱(191)을 관로구(170) 측으로 가압하여 관로구(170)와 관로구어댑터(190)를 결속시킨다.
돌출턱(191)과 관로구(170)의 사이에는 제1 기밀부재(181)가 배치된다. 제1 기밀부재(181)는 체결너트(180)가 나사부(171)에 체결됨에 따라 돌출턱(191)과 관로구(170)에 밀착되어 돌출턱(191)과 관로구(170)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돌출턱(191)과 체결너트(180)의 사이에는 제2 기밀부재(183)가 배치된다. 제2 기밀부재(183)는 체결너트(180)가 나사부(171)에 체결됨에 따라 돌출턱(191)과 체결너트(180)에 밀착되어 돌출턱(191)과 체결너트(180)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제1 기밀부재(181) 및 제2 기밀부재(183)는 수분, 토사 등이 기초대(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로구어댑터(190)의 타단부에는 관로(20)가 결합되는 파형체결부(193)가 형성된다. 관로(20)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파형관의 형태로 마련된다. 파형체결부(193)는 파형관 형태의 관로(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하판(110)의 상부면에는 가이드부재(113)가 고정된다. 가이드부재(113)는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10)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가이드부재(113)는 후크의 형태로 마련되며, 관로구어댑터(190)에 결속된 관로(20)로부터 지중배전선(10)의 인출시, 도르레(D)를 지지하여 지중배전선(10)에 연결되는 와이어(W)의 경로를 형성한다. (도 6 참조)
이러한 가이드부재(113)는 관로구어댑터(190)에 결속된 관로(20)로부터 지중배전선(10)의 인출시, 지중배전선(10)을 인출하는데 소비되는 동력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판(110)에는 배수구(115)가 형성된다. 배수구(115)는 내부공간으로 침투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배수구(115)에는 배수구(115)를 개 폐시키는 마개(117)가 결합된다.
한편, 제1 측벽(131)에는 접지홀(135)이 형성되며, 접지홀(135) 내부에는 전도체의 접지커넥터(137)가 결합된다. 즉, 접지커넥터(137)는 일단이 기초대(100)의 내부을 향해 노출되며, 타단은 기초대(100)의 외부를 향해 노출된다. 접지커넥터(137)는 외경이 접지홀(135)의 내경과 동일하게 마련되어, 접지홀(135)을 폐쇄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커넥터(137)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접지선(11)의 접속을 위한 접속홀(137a)이 각각 형성된다. 접속홀(137a)은 각각 암나사의 형태로 형성되며, 지상기기(200)로 연결될 접지선(11) 및 지중에 접지될 다른 접지선(11)은 전도체의 숫나사에 연결되어 접속홀(137a)에 나사 결합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의 시공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지상기기(200)가 설치될 장소를 굴착하여 터파기를 한다. 굴착면의 평탄도를 조절한 후 굴착면에 가이드부재(113)가 고정되고, 마개(117)에 의해 배수구(115)가 폐쇄된 하판(110)을 안치한다.
제1 결합돌기(111)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결합돌기(111)를 제1 결합홈(131a)에 끼워 제1 측벽(131)을 하판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1 측벽(131)에는 지 상기기(200)에 연결될 지중배전선(10)의 개수에 따라 관로구(170)가 형성되며, 접지홀(135)에는 접지커넥터(137)가 삽입되며, 접지홀(135)은 접지커넥터(137)에 의해 폐쇄된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관로구어댑터(190)에 관로(20)를 결합한다. 즉, 관로(20)는 관로구어댑터(190)의 파형체결부(19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로(20)는 파형관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로(20)는 외주면이 관로구어댑터(190)의 파형체결부(193) 내주면에 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관로구어댑터(19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어, 관로구(170)에 관로구어댑터(190)를 결합시킨다. 즉, 돌출턱(191)이 관로구(170)를 향하도록 관로구어댑터(190)를 관로구(170)에 접촉시키고, 체결너트(180)를 관로구(170)의 나사부(171)에 체결한다. 체결너트(180)가 나사부(171)에 체결됨에 따라 돌출턱(191)이 관로구(170) 측으로 가압되며, 관로구(170)와 관로구어댑터(190)가 결속된다. 이때, 제1 기밀부재(181)에 의해 돌출턱(191)과 관로구(170)의 사이가 밀폐되고, 제2 기밀부재(183)에 의해 돌출턱(191)과 체결너트(180)의 사이가 밀폐된다.
이어, 지중배전선(10)을 지상기기(200)로 연결될 정도의 길이만큼 관로(20)로부터 인출하는 풀링공정이 수행된다. 풀링공정은 작업자 또는, 풀링장치(미도시)는 관로(20)의 내부에 배치된 지중배전선(10)의 선단을 잡고 지중배전선(10)을 당기며 진행된다.
이때, 지중배전선(10)은 커넥터(C)에 의해 와이어(W)에 연결되고, 가이드부재(113)에는 도르레(D)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 또는, 풀링장치(미도시)는 지중배전선(10)을 인출하는데 소비되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접지커넥터(137)의 일단에 지상기기(200)로 연결될 접지선(11)을 연결하고, 접지커넥터(137)의 타단에 지중에 접지될 다른 접지선(11)을 연결한다. 지상기기(200)로 연결될 접지선(11)은 지중배전선(10)과 함께 지상기기(200)에 연결될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측벽(131)에 제2 측벽(133)을 결합한다. 즉, 제2 결합돌기(131b)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 결합돌기(131b)를 제2 결합홈(133a)에 끼워 제2 측벽(133)을 하판(1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2 측벽은 상판(150)의 상부면 전체가 지상에 노출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선택되어 제1 측벽(131)에 결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2 측벽(133)은 상판(150)의 상부면으로부터 150mm정도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선택된다.
계속해서, 도 8을 참조하면, 내부공간으로 인출된 지중배전선(10)을 상판(150)의 개구부(151)를 통해 지상으로 인출하고, 상판(150)을 제2 측벽(133)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판(150)은 지상기기(200)의 바닥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것을 선택되어 제2 측벽(133)에 결합된다.
이어, 상판(150)을 제2 측벽(133)에 결합하고, 터파기를 토사로 되메우기를 한다. 이후 토사로 되메우기가 된 지표면은 주변의 도로 포장재 예를 들면, 보도블럭, 투스콘, 잔디 등으로 마감하여 기초대(100)의 시공이 마무리된다.
이와 같이 기초대(100)의 시공이 마무리되면, 지상기기(200)는 상판(150)의 상부에 지지되며, 지중배전선은 지상기기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초대(100)의 내부공간은 제1, 2 기밀부재(181, 183), 접지커넥터(137), 마개(117) 및 지상기기(200)에 의해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수분, 토사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기초대(100)의 시공 이후, 지상기기(200)가 설치된 장소의 지형의 변화, 지상기기(200)의 교체 등으로 인한 기초대(100)의 관리, 유지, 보수할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에는 상판(150)을 드러내고, 기존에 시공된 제2 측벽(133)과 다른 높이를 가지는 다른 제2 측벽(133)으로 교체하거나, 기존에 시공된 상판(150)과 다른 면적을 가지는 다른 상판(150)으로 교체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기초대(100)의 관리,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대(100)는 합성수지재, 특히 폐합성수지재의 벌집구조를 가지는 하판(110), 측벽(130), 상판(150)을 포함하며, 지중배전선(10)의 인출 및 인입을 위한 관로구(17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초대(100)는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 시공, 유지, 관리, 보수가 간편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기초대 110 : 하판
130 : 측판 131 : 제1 측판
133 : 제2 측판 150 : 상판
170 : 관로구 180 : 체결너트
190 : 관로구어댑터

Claims (11)

  1. 하판과,
    상기 하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벽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관로구와,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관로구에 체결되며, 타측에 지중배전선을 감싸는 관로가 결합되는 관로구어댑터와,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며, 지상기기를 지지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은
    하부면에 상기 제1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판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1 측벽과,
    하부면에 상기 제2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관로구어댑터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턱과,
    상기 나사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돌출턱을 상기 관로구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관로구와 상기 관로구어댑터를 체결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관로구와 상기 돌출턱에 밀착되어 상기 관로구와 상기 돌출턱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1 기밀부재와,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돌출턱과 상기 체결너트에 밀착되어 상기 돌출턱과 상기 체결너트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는 제2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어댑터의 타측에 형성되며, 파형관 형태의 상기 관로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형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접지홀이 형성되며,
    전도체로 마련되며, 상기 접지홀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홀을 폐쇄시키는 접지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커넥터의 일단 및 타단에는 암나사 형태의 접속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상기기로 연결될 접지선 및 지중에 접지될 다른 접지선은 전도체의 숫나사에 연결되어 상기 접속홀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 결합되며, 상기 관로구어댑터에 결속된 상기 관로로부터 상기 지중배전선의 인출을 위해 상기 지중배전선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상기 측벽 및 상기 상판은 각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상기 측벽 및 상기 상판은 내부가 벌집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KR1020090082074A 2009-09-01 2009-09-01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KR10106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074A KR101066913B1 (ko) 2009-09-01 2009-09-01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074A KR101066913B1 (ko) 2009-09-01 2009-09-01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186A KR20110024186A (ko) 2011-03-09
KR101066913B1 true KR101066913B1 (ko) 2011-09-27

Family

ID=4393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074A KR101066913B1 (ko) 2009-09-01 2009-09-01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372A (ko) * 2016-11-17 2018-05-25 한국전력공사 지상 배전설비의 콘크리트 기초대 및 이의 설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428A (ja) * 1994-04-22 1995-11-1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地上設置機器及びその移設方法
KR100319829B1 (ko) 2000-04-07 2002-01-05 권영한 광계측 배전 자동화 개폐기
KR200440600Y1 (ko) 2007-03-09 2008-06-19 주식회사 삼성산업 변압기 및 개폐기용 기초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428A (ja) * 1994-04-22 1995-11-1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地上設置機器及びその移設方法
KR100319829B1 (ko) 2000-04-07 2002-01-05 권영한 광계측 배전 자동화 개폐기
KR200440600Y1 (ko) 2007-03-09 2008-06-19 주식회사 삼성산업 변압기 및 개폐기용 기초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186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9280B2 (ja) 街路灯の中空基礎
CN104737849A (zh) 组合式可移动攀援植物高架桥柱绿化装置及方法
KR20120104849A (ko) 조립식 관로구 연결장치
KR100730702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 부설구조
KR101066913B1 (ko)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CN202840457U (zh) 电缆分支箱
KR100828657B1 (ko)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기초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
CN208533768U (zh) 组合式墙体结构
DE202019001267U1 (de) Anschlussgehäusevorrichtung
JP2011084994A (ja) 側溝ブロックとこれに用いる集水桝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80077752A (ko)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맨홀관로의 연결방법
KR20110086325A (ko) 가로등 기초 공법
KR100948039B1 (ko) 돌출고정접지동판과 다기능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
KR20110008464A (ko)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CN211922702U (zh) 一种预制缆线综合管廊
KR20110017143A (ko)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
KR101044558B1 (ko) 통합 맨홀 구조물
KR20160033301A (ko)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KR100891105B1 (ko) 전력선 보호구
KR20160039990A (ko) 지중 전력 설비 매립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646610B1 (ko) 건축단지 전력선 지지 구조물
KR200332046Y1 (ko) 가로등 중공기초
JPH0849285A (ja) 側溝用ダクト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200417100Y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