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915Y1 - 지중 지지관 구조 - Google Patents

지중 지지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915Y1
KR200221915Y1 KR2020000031763U KR20000031763U KR200221915Y1 KR 200221915 Y1 KR200221915 Y1 KR 200221915Y1 KR 2020000031763 U KR2020000031763 U KR 2020000031763U KR 20000031763 U KR20000031763 U KR 20000031763U KR 200221915 Y1 KR200221915 Y1 KR 200221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support
underground
support pipe
concrete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원 filed Critical 김상원
Priority to KR2020000031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915Y1/ko

Links

Abstract

교통신호등 설치구조물의 지중 지지관의 구조를 변경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지중 지지관내로의 우수의 침투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 철주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지중 지지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신호등이 지지되는 철주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판과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철주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판의 중앙부 하부에 일정 길이의 지중 지지관이 고정된 설치 구조물에 있어서, 지중지지관의 상단 및 몸체 중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타설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지지관 구조{Structure of a supporting pole in the underground}
본 고안은 지중 지지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통신호등 설치구조물의 지중 지지관의 구조를 변경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지중 지지관내로의 우수의 침투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 철주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지중 지지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차로등에서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신호등 설치 구조물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며 철주(20)를 지지하기 위하여 매설판(11)이 상단에 고정된 지중 지지관(10)이 형성되며, 철주(20)의 하단에는 매설판(11)의 상부에서 볼트(12)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는 고정판(21)이 형성된다. 철주(20)의 상부에는 신호등 지지관(30)이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신호등 지지관(30)에 신호등(도시 안됨)이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신호등 설치 구조물의 지중 지지관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될 때, 매설판(11)의 둘레에 거푸집(13)을 형성하고, 거푸집(13)과 매설판(11)의 사이의 빈공간(1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데, 거푸집(13)과 매설판(11)사이의 빈공간(14)이 협소하여 작업의 어려움은 물론 콘크리트가 정확하게 부어지지 않아 지중 지지관(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중 지지관(10)의 내부가 빈 공간이기 때문에 비나 눈이 오면 전선관 인출공(도시 안됨)을 통해 전기배선구로 물이 스며들어 전기누전 및 부식이 발생하는 위험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지중지지관의 상부 및 몸체 중간부에 콘크리트 타설공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의 편리성을 증진하여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지중 지지관의 내부도 콘크리트로 충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기누전 및 부식이 발생하는 위험성을 개선하여 지주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지중 지지관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교통신호등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중지지관의 매설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지지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중지지관의 매설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중지지관 110 : 매설판
112 : 볼트 113 : 지지부재
114 : 콘크리트 타설공 115 : 전선관 인출공
116 : 거푸집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호등이 지지되는 철주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판과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철주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판의 중앙부 하부에 일정 길이의 지중 지지관이 고정된 설치 구조물에 있어서, 지중지지관의 상단 및 몸체 중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타설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타설공은 지름 150㎜의 타원형의 구멍으로 4개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시에 시공비를 대폭 절감하며 전기누전 및 부식이 발생하는 위험성을 개선하여 지주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지지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중지지관의 매설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지중 지지관 구조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주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판과 볼트(112)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어 철주를 지지하기 위한 매설판(110)의 중앙부가 천공되고 그 하부에 지중 지지관(100)이 고정된다. 지중 지지관(100)의 하단부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지부재(113)가 부착되고, 지중지지관(100)의 중간부에는 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관인출공(115)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중 지지관 구조는 지중지지관(100)의 상단 및 몸체 중간부에 다수개의 콘크리트 타설공(114)을 형성한다. 콘크리트 타설공(114)은 타원형의 구멍으로 지중지지관(100)의 상단 및 몸체 중간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지름이 150 ㎜의 4개가 적당하다.
이러한 지중 지지관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될 때, 매설판(110)의 둘레에서 지중지지관(100)의 하단부까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116)을 형성하고, 전선관인출공(115)을 통하여 전선을 인출한 다음 매설판(110)의 중앙부를 통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매설판(110)의 중앙부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부어지면, 콘크리트는 지중지지관(100)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콘크리트 타설공(114)을 통하여 지중지지관(100)몸체의 내부를 통하여 몸체 중간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공(114)을 통하여 지중지지관(100) 밖으로 인출되어 거푸집(116)과 지중 지지관(100)사이에 충진된다.
따라서, 거푸집(116)과 매설판(110)사이의 빈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어려움 없이도 콘크리트가 정확하게 타설되어 지중 지지관(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의 편리성을 증진하여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중 지지관(100)의 내부도 콘크리트로 충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우수에 의한 전기누전 및 부식이 발생하는 위험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를 정확하게 타설할 수 있어서 지중 지지관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의 편리성을 증진하여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지중 지지관의 내부도 콘크리트로 충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우수에 의한 전기누전 및 부식이 발생하는 위험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

  1. 신호등이 지지되는 철주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판과 볼트(112)에 의하여 체결되어 철주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판(110)의 중앙부 하부에 일정 길이의 지중 지지관(100)이 고정된 설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중지지관(100)의 상단 및 몸체 중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타설공(1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지지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공(114)은 지름 150㎜의 타원형의 구멍으로 4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지지관 구조.
KR2020000031763U 2000-11-14 2000-11-14 지중 지지관 구조 KR200221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763U KR200221915Y1 (ko) 2000-11-14 2000-11-14 지중 지지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763U KR200221915Y1 (ko) 2000-11-14 2000-11-14 지중 지지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915Y1 true KR200221915Y1 (ko) 2001-04-16

Family

ID=7306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763U KR200221915Y1 (ko) 2000-11-14 2000-11-14 지중 지지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9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84B1 (ko) 2007-07-13 2008-01-17 김형태 주주용 베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84B1 (ko) 2007-07-13 2008-01-17 김형태 주주용 베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12620B (zh) 一次性浇筑大口径钢管混凝土包封方法
KR100535826B1 (ko) 가로등 기초
KR200221915Y1 (ko) 지중 지지관 구조
CN109440925A (zh) 一种装配式混凝土结构节点连接预制件及其连接方式
KR200223099Y1 (ko) 지중 지지관 구조
KR100438795B1 (ko) 쓰리아치 굴착터널 라이닝의 중간벽체 상부고정형 공법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CN214994023U (zh) 一种预制灯杆基础
KR101077971B1 (ko)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CN215289655U (zh) 机动车桥梁钢筋混凝土墩柱与上部钢箱梁固接的连接构造
KR200263919Y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고정용 베이스
KR20090092990A (ko) 프리스트레스 지보공을 이용한 장경간 비개착식 지하구조물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양단 정착대(110), 새들(120)
CN209194593U (zh) 一种道路检查井的井盖支座
KR200332046Y1 (ko) 가로등 중공기초
KR200150257Y1 (ko) 신호등 철주
KR20090050873A (ko) 전주 연장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 연장 방법
KR200398065Y1 (ko) 조명타워 설치용 지주
KR200255494Y1 (ko) 콘크리트 받침틀을 이용한 하수관로 설치구조
CN211849492U (zh) 一种钢波纹管施工支护结构
FI86000C (fi) Foerbindningselement.
KR200189893Y1 (ko) 신호등 설치 구조물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CN212477995U (zh) 污水排水管道混凝土浇筑稳管器
JP4551023B2 (ja) 垂直下水管の支持構造
KR102345527B1 (ko)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