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527B1 -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 Google Patents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527B1
KR102345527B1 KR1020200179345A KR20200179345A KR102345527B1 KR 102345527 B1 KR102345527 B1 KR 102345527B1 KR 1020200179345 A KR1020200179345 A KR 1020200179345A KR 20200179345 A KR20200179345 A KR 20200179345A KR 102345527 B1 KR102345527 B1 KR 102345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et lamp
insertion groove
groove
pole
concrete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봉
조용주
김진경
최형묵
이차희
Original Assignee
이성봉
조용주
김진경
최형묵
이차희
주식회사 그린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봉, 조용주, 김진경, 최형묵, 이차희, 주식회사 그린에코텍 filed Critical 이성봉
Priority to KR1020200179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앙카볼트 없이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로등주가 설치되는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로등주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STREET LAMP CONCRETE FOUNDATION}
본 발명은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볼트 없이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은 거리의 조명이나 교통의 안전, 미관 따위를 위하여 길게 설치해 놓은 등으로,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입되는 콘크리트 기초(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상단에 등이 구비된 가로등주를 설치한다.
이러한 가로등은 도 1과 같이 지중에 매입된 콘크리트 기초(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된 앙카볼트(앵커볼트, anchor bolt)와 가로등주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시공하였는데, 도 1과 같은 가로등 구조물(콘크리트 기초 및 가로등주)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볼트 결합부에 베이스커버를 추가로 설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가로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도 2와 같이 볼트 결합부와 가로등주 하단부를 지중에 배입하도록 설치할 경우 볼트의 지중 매입으로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어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와 같은 종래의 가로등(가로등 구조물)은 콘크리트 기초와 가로등주가 볼팅 결합에 의해 체결되어야 하므로 시공이 불편하고, 시공 후에 앙카볼트에 부식에 의한 안정성 저하가 우려되며, 차량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가로등주, 앙카볼트, 콘크리트 기초 파손 시 철거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98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보다 안전한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등주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 작업이 용이한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가로등주가 설치되는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로등주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은 상기 끼움돌부의 돌출 길이에 상응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부홈 및 하부홈으로 분할되고, 상기 하부홈은 상하 방향을 따라 내경이 일정한 직진부 및 상기 직진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과 이격된 맨홀, 상기 맨홀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가로등주가 상기 삽입홈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등주에 구비된 전선인입구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로등주에 구비되는 접지선 연결 단자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삽입홈을 포함함으로써,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로등주를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앵커볼트의 부식에 의한 안정성 저하가 방지되며, 특히 앵커볼트의 손상이 우려되지 않아 가로등주 손상 시 가로등주를 삽입홈에서 인출하여 보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홈을 포함함으로써, 가로등주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로등주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부를 포함함으로써, 가로등주의 자체 하중으로 고정되어 가로등주의 흔들림이 억제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 및 연통부를 포함함으로써 가로등주의 배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통부가 가로등주의 전선인입구의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가로등주의 배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 시공에 따른 종래의 가로등(가로등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지중 매입 시공에 따른 종래의 가로등(가로등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의 측단면도와 상기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된 가로등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가로등 구조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가로등주와 끼움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의 배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연통되도록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연통되도록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의 측단면도와 상기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된 가로등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의 정다면도이며, 도 5는 가로등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F)는 가로등주(P)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F))는 몸체부(1), 삽입홈(2) 및 끼움홈(3)을 포함한다.
몸체부(1)는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즉, 몸체부(1)는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소정의 부피를 가지며 지면(GL)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지중에 매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삽입홈(2)은 상기 몸체부(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부(상측, 상단, 상면 등)는 도 3을 기준으로 상측, 상단, 상면 등)을 의미하고, 하부(하측, 하단, 하면 등)는 도 3을 기준으로 하부(하측, 하단, 하면 등)를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예시적으로 삽입홈(2)은 몸체부(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은 상기 가로등주(P)의 하부 측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공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로등주(P)는 상부에 등이 구비된 것으로, 본 장치에 설치되어 가로등(가로등 구조물)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가로등 구조물은 기초(본 장치와 비교되는 대상)에 설치된 앵커볼트에 등주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가로등 구조물의 기초는 앵커볼트가 설치되어 설치가 번거로웠고, 시공 후에 앵커볼트의 부식에 의한 안정성 저하가 우려되며, 차량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등주, 앙카볼트(앵커볼트), 기초 파손 시 철거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장치는 가로등주(P)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기초(도 1 및 도 2 참조)와 같이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아 시공이 간편하고 앵커볼트의 부식에 의한 안정성 저하가 우려되지 않으며, 가로등주(P)의 손상 시 삽입홈(2)에서 바로 빼내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가로등주와 끼움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끼움홈(3)은 삽입홈(2)을 형성하는 몸체부(1)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가로등부(P)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P1)가 삽입된다.
여기에서 내측은 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르는 가로등주(P)의 중심선 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상기 중심선에서 방사상 방향 측으로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끼움홈(3)은 상기 삽입홈(2)을 형성하는 몸체부(1)의 내주면에서 삽입홈(2)을 형성하는 몸체부(1)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끼움홈(3)을 포함함으로써, 본 장치와 가로등주(P)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가로등주(P)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중심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끼움홈(3)은 상기 끼움돌기(P1)의 돌출 길이에 상응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감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끼움돌기(P1)는 끼움돌기(P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로등주(P)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감소되고, 끼움홈(3)은 상기 끼움돌기(P1)의 돌출 길이에 상응하여 끼움홈(3)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홈(3)이 상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감소됨으로써, 본 장치와 가로등주(P)의 결합이 보다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로등주(P)는 본 장치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며 본 장치의 삽입홈(2)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삽입홈(2)의 상부는 깊이가 큰데 반해 끼움돌부(P1)의 하부는 돌출 길이가 짧아 끼움돌부(P1)의 하단부가 삽입홈(2)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끼움돌부(P1)의 하단부가 삽입홈(2)에 삽입된 상태에서 끼움돌부(P1)는 삽입홈(2)에 가이드 되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끼움돌부(P1)가 삽입홈(2)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가로등주(P)는 본 장치에 설치되어 끼움홈(3)에 의해 회동이 방지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삽입홈(2)은 삽입홈(2)의 길이(상하 방향 길이)를 분할하는 경계선(21)을 기준으로 상부홈(22) 및 하부홈(23)으로 분할되고, 하부홈(23)은 상하 방향을 따라 내경이 일정한 직진부(231) 및 상기 직진부(23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경사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직진부(231)는 상기 상부홈(2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통되어 연장되고 경사부(232)는 직진부(23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통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하부홈(23)은 경사부(232)의 하단 테두리를 통해 형성되는 개구를 덮는 바닥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경사부(232)를 포함함으로써, 가로등주(P)의 자체 하중으로 고정되어 가로등주(P)의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몸체부(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삽입홈(2)과 이격된 맨홀(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맨홀(4)은 몸체부(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맨홀(4)은 삽입홈(2)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후방은 도 5를 기준으로 좌측을 의미하고, 전방은 도 5를 기준으로 우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맨홀(4)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2)과 연통되는 연통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부(5)는 맨홀(4)과 삽입홈(2)을 연통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삽입홈(2)과 연통되는 연통부(5) 및 맨홀(4)을 포함함으로써, 가로등주(P)의 배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로등주(P1)의 하부가 삽입홈(2)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5)는 몸체부(1)에서 가로등주(P)에 구비된 전선인입구(P2)의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로등주(P)의 배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지면(GL)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입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몸체부(1)는 가로등주(P)에 구비되는 접지선 연결 단자(P3)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등주(P)가 삽입홈(2)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접지선 연결 단자(P3)가 지면 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삽입홈(2)의 상하 방향 길이가 가로등주(P)의 하단에서 접지선 연결 단자(P3)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로등주(P)의 배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선단이 삽입홈(2)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상기 바닥부(233)에 형성된 개구)와 연통되고 후단이 몸체부(1)의 하단에 형성된 제1개구와 연통되는 제1배수구(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단 및 후단은 제1배수구(7) 및 후술하는 제2배수구(8)에서 물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물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선단이 맨홀(4)의 하단(예시적으로 바닥)에 형성된 하측 개구(41)와 연통되고 후단이 몸체부(1)의 하단에 형성된 제2개구(11)와 연통되는 제2배수구(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개구(11)는 상기 제1개구보다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제1배수구(7) 및 제2배구수(8)를 포함함으로써, 삽입홈(2), 맨홀(4)에 유입되는 물 등을 배출시킬 수 있어 가롱등주(P)의 배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의 배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몸체부(1)의 일 측에 형성된 배관구(12) 및 맨홀(4)과 연통되는 배관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구(12)는 맨홀(4)의 상측 개구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관구(12)는 다수일 수 있으며, 배관부(6)는 다수의 배관구(12)와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맨홀(4)의 물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F
몸체부: 1 제2개구: 11
배관구: 12 삽입홈: 2
상부홈: 22 하부홈: 23
직진부: 231 경사부: 232
바닥부: 233 끼움홈: 3
맨홀: 4 하측 개구: 41
연통부: 5 배관부: 6
제1배수구: 7 제2배수구: 8
가로등주: P 끼움돌부: P1
전선인입구: P2 접지선 연결 단자: P3
지면: GL

Claims (4)

  1. 가로등주가 설치되는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로등주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끼움돌부의 돌출 길이에 상응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감소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부홈 및 하부홈으로 분할되고,
    상기 하부홈은 상하 방향을 따라 내경이 일정한 직진부 및 상기 직진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과 이격된 맨홀, 상기 맨홀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가로등주가 상기 삽입홈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등주에 구비된 전선인입구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로등주에 구비되는 접지선 연결 단자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79345A 2020-12-21 2020-12-21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KR10234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345A KR102345527B1 (ko) 2020-12-21 2020-12-21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345A KR102345527B1 (ko) 2020-12-21 2020-12-21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527B1 true KR102345527B1 (ko) 2022-01-03

Family

ID=7934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345A KR102345527B1 (ko) 2020-12-21 2020-12-21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5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296A (ko) * 2008-05-19 2009-11-24 이덕한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20130011147A (ko) * 2011-07-20 2013-01-30 유한회사 남광산업개발 프리캐스트 일체형 전기박스 등 기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296A (ko) * 2008-05-19 2009-11-24 이덕한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20130011147A (ko) * 2011-07-20 2013-01-30 유한회사 남광산업개발 프리캐스트 일체형 전기박스 등 기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1766685B1 (ko) 설치방향 조정 용이성과 시공 및 유지관리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100885131B1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45527B1 (ko) 가로등 콘크리트 기초
KR101161814B1 (ko) 가로등 기초
KR20080079361A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200485781Y1 (ko) 가로등의 설치구조
KR200433150Y1 (ko) 가로등용 지주의 고정대
KR200391984Y1 (ko) 가로등주의 방습 및 방진용 고무 밑판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KR200453088Y1 (ko) 개량형 도로표지구
KR101011372B1 (ko) 가로등설치용 기초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CN205576973U (zh) 一种预制式圆形检查井
KR20100104104A (ko) 지지 구조물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100940089B1 (ko) 가로등 구조물
KR200372217Y1 (ko) 가로등주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20120110851A (ko) 가로등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KR200372218Y1 (ko) 가로등주
KR101141150B1 (ko) 무앵커 가로등 기초
KR20160033889A (ko) 가로등
CN205369307U (zh) 一种检查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