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388Y1 -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 Google Patents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388Y1
KR200373388Y1 KR20-2004-0030000U KR20040030000U KR200373388Y1 KR 200373388 Y1 KR200373388 Y1 KR 200373388Y1 KR 20040030000 U KR20040030000 U KR 20040030000U KR 200373388 Y1 KR200373388 Y1 KR 200373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diameter
connector
ball
diamet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용
조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4-0030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3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소정의 내경 및 길이를 갖는 원주형의 관로 일단부 주연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의 타단부에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통공을 구비하는 볼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볼의 통공 일측에 걸림요부를 갖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일단부 내경측으로 다수의 걸림편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중앙부 둘레에 다수의 스토퍼가 외경측으로 돌출되고 타단부에는 내경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이 일체로 연결되는 커플링이 삽입되며, 상기 커플링의 양측에 링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소정의 경사를 갖는 부분에서 유체의 누설없이 각각의 배관을 견고하게 연결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부동 침하에 대하여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기밀성이 보장되면서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a variable joint and a pipe with variable joint}
본 고안은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배관의 일측에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연결관을 일체로 연결한후 그 내측에 통공을 구비한 볼을 회전가능토록 삽입하고, 상기 볼에 다른 하나의 배관이 삽입되는 단턱을 형성한후 상기 배관을 단턱에 삽입되는 연결구로서 고정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부동 침하를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기밀성이 보장되는 파이프 연결이 가능하고, 설치장소의 제약에 용이하게 대처 할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주로 물의 이송을 위한 상,하수관이나 기름과 같은 유압 라인 등과 같은 유체의 이송이나 가스 등과 같은 기체 및 분말과 같은 각종 원료의 이송을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파이프는 생산되는 길이가 한정되므로 이송 라인 전체의 길이가 긴 경우 중간에 다수의 연결부위를 가지게 되며, 이 연결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여 누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수도관과 같은 상하수관의 경우 구조물의 기초 지반이 침하함에 따라 구조물의 여러 부위에서 불균등하게 침하하는 부동침하(Differential Settlement)에 취약한 문제가 발생하는 바, 파이프의 최초 매설시에는 지중에 매립되어 흙과 같은 지중 파이프 주위의 매립물들로부터 고르게 지지되므로 문제가 되지 아니하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혹은 강우 등에 의한 영향으로 매립물들의 불균등한 침하가 발생하면 지중에 매립된 상하수관은 각각의 부위에 작용하는 하중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파이프 연결부위에 집중적인 하중이 가해져서 연결부위가 손상되어 관로의 누수나 파손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부동침하에 따른 파이프 연결부위의 변형이나 균열 등 하자 발생을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파이프 매설시 파이프와 조인트를 바닥면에 밀착시켜 시공하거나 신축, 굽힘 및 처짐이 용이한 신축굽힘 이음관을 사용하거나 이탈방지용 타이 로드를 사용하여 이를 방지하려는 기술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파이프와 조인트의 바닥면에의 밀착 시공의 경우에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은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고 신축굽힘 이음관의 경우 상하수관으로 적합치 못한 한계가 존재하였고, 이탈 방지용 타이로드를 사용하는 구조의 경우 제조 및 설치 공수가 증가하는 등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9265호에 파이프 연결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를 통해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파이프의 연결구로서, 연결구 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연결구 몸체 보다 직경이 증대된 플랜지부(20)와, 플랜지부의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플랜지부와 일체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30)와, 플랜지부 표면의 결합부재(30)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결합부재 관통공 및 볼트 결합용 관통공(50)과, 연결구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밀부재(70)를 장착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반경방향 내측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홈부(40)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20)를 볼트(60a)와 너트(60b)로서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이프 연결구는, 부동침하시 결합부재(30)에 의해 처짐만을 방지할 뿐 일부의 볼트너트에 집중되는 응력에는 대처할 수 없어 관연결의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결합부재(30)를 플랜지에 형성되는 플랜지용 관통공에 반드시 삽입하여야 하여 위치결정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를 가져오며, 관의 매립을 위하여 항상 직선상의 매립공간을 준비하여야하여 측량등의 제반작업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지역의 조건에 상관없이 배관을 용이하게 매립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볼트 체결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배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며, 매립지반의 부동침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기밀성이 양호하면서도 결합구조가 간단한 배관 및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도록 하며, 소정의 경사를 갖는 부분에서 유체의 누설없이 각각의 배관을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하는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을 도시한 분해도 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4a,b,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배관에 장착되는 연결구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관로 210...걸림홈
300...볼 310...걸림요부
350...단턱 400...연결구
410...걸림편 430...스토퍼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통되는 내경을 갖는 원주형의 관로 양단부에 통공을 구비하는 볼이 회전가능토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볼의 통공 일측에 걸림요부를 갖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일단부 내경측으로 다수의 걸림편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중앙부 둘레에 다수의 스토퍼가 외경측으로 돌출되는 커플링이 삽입되는 가변형 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소정의 내경및 길이를 갖는 원주형의 관로 일단부 주연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의 타단부에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연결관이 일체로형성되어 그 내측에 통공을 구비하는 볼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볼의 통공 일측에 걸림요부를 갖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일단부 내경측으로 다수의 걸림편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중앙부 둘레에 다수의 스토퍼가 외경측으로 돌출되는 커플링이 삽입되는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연결구(500)는, 내경이 관통되는 원주형의 몸체 양단부 내측에는 관로(200)가 연결시 상기 관로(200)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통공을 구비하는 볼(300)이 일체로 밀착 회전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로(200)의 양단부에 밀착되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밀착볼(300)의 통공 일측에 걸림요부(310)를 갖는 단턱(3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350)에는 일단부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다수의 걸림편(410)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중앙부 둘레에 외경측을 향하여 다수의 스토퍼(430)가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커플링(400)이 삽입된다.
더하여, 상기 커플링(400)은 타단부의 내경측 둘레에 지지판(420)이 돌출되며, 상기 지지판(420)의 내외측면에 고무재의 링(450)(47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몸체(500)는 도4b,c와 같이, 양단부 내경측에 볼(300)이 각각 삽입되는 일자형 및 3방향에 형성되는 단부 내경측에 볼(300)이 각각 삽입되는 Y자형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소정의 내경 및 길이를 갖는 원주형으로 일단부 주연에 걸림홈(210)이형성되는 관로(200)의 타단부에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연결관(250)이 일체로 연결되는 그 내경측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볼(300)이 밀착되어 회전가능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볼(300)은, 통공 일측에 걸림요부(310)를 갖는 단턱(35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350)에는 일단부 내경측으로 다수의 걸림편(410)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중앙부 둘레에 다수의 스토퍼(430)가 외경측으로 돌출되고 타단부에는 내경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420)을 갖는 커플링(400)이 삽입된다.
더하여, 상기 커플링(400)의 양측에 링(450)(470)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b 및 도4c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자형및 Y자 형을 갖는 연결구(500)로 사용되며, 이때 도4b와 같이 일자형 연결구(500)의 경우 그 양단에 배관(200)이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움직일수 있게 됨으로써 유동및 침하에 대응할 수 있는 커플링의 역활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연결구(500)에 삽입되는 배관(200)의 단부 외경측 둘레에는 걸림홈(21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도4c와 같이 Y자형 연결구(500) 역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3방향 단부에 배관(200)이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움직일수 있게 됨으로써 유동및 침하에 대응할 수 있는 커플링의 역활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연결구(500)에 삽입되는 배관(200)의 단부 외경측 둘레에는 걸림홈(21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더하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연결구의 역활은 물론 상기 연결구가배관(200)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관(25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개개의 배관을 별도의 공구없이 원터치에 의해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500)및 배관의 연결관(250)에 설치되는 볼(300)에 의한 배관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결구(500)의 내측및 배관(200)에 연결되는 연결관(250)의 내측에는 관로(200)가 연결시 상기 관로(200)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통공을 구비하는 볼(300)이 미리 일체로 회전가능토록 장착되어 회전시 유체의 누설이 방지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볼(300)의 통공 일측에 형성되는 단턱(350) 내에 링(470)을 미리 삽입한후 커플링(400)을 삽입하면 상기 커플링(400)의 중앙부에서 외경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스토퍼(430)가 통공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요부(310)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커플링(400)의 단부에 돌출되는 지지판(420)에 밀착토록 링(450)을 삽입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해 볼(300)의 내측에 커플링(4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일단부 둘레에 걸림홈(210)이 형성되는 배관(20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거플링(400)의 단부에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다수의 걸림편(410)이 배관(200)의 걸림홈(210)에 지지되어 배관의 이탈이 방지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의 배관(200)은 걸림편(410)을 통하여 지지될때 그 단부에 링(430)에 밀착되어 누설이 방지토록 되고, 상기 커플링(400) 역시 볼(300)의 걸림요부(310)에 지지될때 일단에 절곡되는 지지판(420)이 링(470)을 통하여 볼에 밀착되어 유체의 누설이 방지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연결관(250)의 단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300)에 연결되는 배관의 회전시 간섭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250)과 볼(300)은 그 내경측 연결부에서 모따가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에 따른 간섭이 방지토록 되어 유체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토록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배관을 연결관및 연결구를 향하여 압입하는 동작에 의해 배관의 결합이 완료되어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짐은 물론 배관(200)이 소정각도로 움직이게 되어 배관을 지중에 매립할 때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배관이 똑 빠로 설치되지 않아도 연결부의 부하발생이나 누설의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의하면, 매립지역의 조건에 상관없이 배관을 용이하게 매립할 수 있고, 별도의 볼트 체결없이 간단한 구조로 배관의 연결이 가능하며, 매립지반의 부동침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기밀성이 양호하면서도 결합구조가 간단한 배관및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며, 소정의 경사를 갖는 부분에서 유체의 누설없이 각각의 배관을 견고하게 연결한다.
또한, 링을 설치하여 연결부위의 기밀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므로 파이프 연결부에서의 유체 누출의 염려가 제거된다.
더욱이,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 공수가 단축되며 조립이간 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7)

  1. 내경이 관통되는 원주형의 연결구(500) 양단부 내측에는 관로(200)의 연결시 상기 관로(200)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통공을 구비하는 볼(300)이 밀착되어 회전토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300)의 통공 일측에 걸림요부(310)를 갖는 단턱(350)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350)에는 일단부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다수의 걸림편(410)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중앙부 둘레에 외경측을 향하여 다수의 스토퍼(430)가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커플링(400)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링(400)은 타단부의 내경측 둘레에 돌출되는 지지판(420)의 내외측면에 고무재의 링(450)(470)이 각각 설치되는 가변형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500)는, 그 양단부의 통공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500)및 그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는 볼(300)은 그 내경측 연결부에서 유체의 유동에 따른 간섭이 방지토록 접촉부에 모따가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연결구.
  4. 상기 연결구(500)는, 일자형및 Y자 형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연결구.
  5. 내경이 관통되면서 타단부의 외측 둘레에 걸림홈(210)을 구비한 관로(200)의 타단부에 연결관(250)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250)의 내측에는 다른 관로(200)의 연결시 상기 관로(200)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통공을 구비하는 볼(300)이 밀착되어 회전토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300)의 통공 일측에 걸림요부(310)를 갖는 단턱(350)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350)에는 일단부 내경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다수의 걸림편(410)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중앙부 둘레에 외경측을 향하여 다수의 스토퍼(430)가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커플링(400)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링(400)은 타단부의 내경측 둘레에 돌출되는 지지판(420)의 내외측면에 고무재의 링(450)(470)이 각각 설치되는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50)은, 그 단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50)과 볼(300)은 그 내경측 연결부에서 유체의 유동에 따른 간섭이 방지토록 접촉부에 모따가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KR20-2004-0030000U 2004-10-25 2004-10-25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KR200373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00U KR200373388Y1 (ko) 2004-10-25 2004-10-25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00U KR200373388Y1 (ko) 2004-10-25 2004-10-25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172A Division KR100597276B1 (ko) 2004-10-25 2004-10-25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388Y1 true KR200373388Y1 (ko) 2005-01-15

Family

ID=4944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000U KR200373388Y1 (ko) 2004-10-25 2004-10-25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3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943A (ko) * 2016-11-30 2018-06-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창의 펌프타워용 배출관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943A (ko) * 2016-11-30 2018-06-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창의 펌프타워용 배출관 연결장치
KR102601309B1 (ko) * 2016-11-30 2023-11-13 한화오션 주식회사 액체화물창의 펌프타워용 배출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872B2 (en) PVC seismic coupl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CN111322471A (zh) 一种水下沉管拼接用组件及其使用方法
KR200373388Y1 (ko)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KR101844820B1 (ko) 내압성능이 향상된 신축 관 이음장치
KR100597276B1 (ko)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KR200359265Y1 (ko) 파이프 연결구
JP3822021B2 (ja) 管継手の連結方法及び管継手構造
KR200403877Y1 (ko) 맨홀의 관접속장치
KR200318113Y1 (ko) 흄관용 받침부재
US20180313479A1 (en) Coupl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upling two pipe ends
KR20040052996A (ko) 파이프 연결구
CN112554309A (zh) 一种排水管道用穿过障碍物的套管结构
KR19990064751A (ko) 만능각도 관이음 플렌지
JP2003294178A (ja) 管路用管
KR200337222Y1 (ko) 주배관의 분기관 접속장치
CN111255965A (zh) 内压增强管
KR100657178B1 (ko) 상수도 이음부 이탈방지장치
KR20050123082A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구조
CN113833914B (zh) 一种钢筋混凝土企口管接口
CN220851120U (zh) 一种供水管线的接头安装系统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CN211257228U (zh) 一种新型装配式检查井
JP3290549B2 (ja) マンホールへの管の接続構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