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639Y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639Y1
KR200365639Y1 KR20-2004-0022715U KR20040022715U KR200365639Y1 KR 200365639 Y1 KR200365639 Y1 KR 200365639Y1 KR 20040022715 U KR20040022715 U KR 20040022715U KR 200365639 Y1 KR200365639 Y1 KR 200365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tank
soft 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Priority to KR20-2004-0022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02F2209/445Filter lif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수기에서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표시와 이상온도를 케이스의 외부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연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온, 냉수 상태의 원수가 공급되어 설정된 온도의 혼합수로 조절되는 온도조절밸브와, 상기 온도조절밸브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공급되고,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어진 재생탱크와, 상기 재생탱크의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수성분이 포함된 혼합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관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관의 주위에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연수탱크와, 상기 연수탱크와 연수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연수를 단속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연수배출관 내에 설치되어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온도조절밸브, 재생탱크, 연수탱크 및 개폐밸브가 내장되어지며, 외부에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필터재생표시램프부, 출수온도표시부, 온도눈금표시부, 이상온도 표시부가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ener}
본 고안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수기에서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표시와 이상온도를 케이스의 외부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케이스를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서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여 서비스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수기는 욕실까지 연결된 중간밸브와 욕실의 벽면에 설치된 세면대 또는 샤워기 사이에 설치하는 것으로, 건물 외부에서 각 가정의 욕실에 공급되는 경수성분의 상수도 물을 이온교환하여 연수로 개선함으로서, 목욕 및 세면시 피부 노폐물 제거 및 불순물로부터의 피부 보호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연수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수기는 수도전(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재생탱크(2)로 공급하는 공급관(1)과, 상기 공급관(1)에서 공급된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2a)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정제염 투입구(2b)가 설치되어진 재생탱크(2)와, 상기 재생탱크(2)의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수성분이 포함된 원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관(3a)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관(3a)의 주위에 이온교환수지(3b)가 충진된 연수탱크(3)와, 상기 연수탱크(3)를 통해 배출되는 연수를 샤워기(미도시) 등에 공급하는 배출관(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수기는 수도전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재생탱크(2)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2a)를 거쳐 입수관(3a)으로 공급되고, 상기 입수관(3a)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연수탱크(3a)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연수탱크(3)로 공급된 연수는 이온교환수지(3b)에 의해 연수로 변화된 상태에서 배출관(4)을 통해 샤워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연수기를 일정시간 사용하게 되면 이온교환수지의 연수능력이 저하되므로 이를 재생하기 위해 재생탱크(2)에 정재염을 공급하여 정재염에 의해 연수탱크(3)의 이온교환수지(3b)를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연수기에 냉,온수를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연수기로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로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수기에는 연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수단이 없으며, 이상 고온으로 온도가 상승하였을때 사용자에게 경고를 해주는 연수기가 없어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을 구성하는 덮개의 착탈이 불편하여 내부의 부품을 교환 또는 수리시에 신속하게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연수기에서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표시와 이상온도를 케이스의 외부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연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를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서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여 서비스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연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연수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덮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케이스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온도조절밸브 20: 재생탱크
21: 필터 22: 캡
30: 연수탱크 31: 입수관
32: 이온교환수지 40: 개폐밸브
50: 온도센서 60: 유량센서
70: 케이스 71: 본체
72: 덮개 73: 자석
74: 디스플레이패널 74a: 필터재생표시램프부
74b: 출수온도표시부 74c: 온도눈금표시부
74d: 이상온도표시부 80: 연수배출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온, 냉수 상태의 원수가 공급되어 설정된 온도의 혼합수로 조절되는 온도조절밸브와, 상기 온도조절밸브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공급되고,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어진 재생탱크와, 상기 재생탱크의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수성분이 포함된 혼합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관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관의 주위에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연수탱크와, 상기 연수탱크와 연수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연수를 단속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연수배출관 내에 설치되어 유량을 감지하 는 유량센서와, 상기 온도조절밸브, 재생탱크, 연수탱크 및 개폐밸브가 내장되어지며, 외부에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필터재생표시램프부, 출수온도표시부, 온도눈금표시부, 이상온도 표시부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와 덮개는 자석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덮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케이스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수기는 온도조절밸브(10), 재생탱크(20), 연수탱크(30), 개폐밸브(40), 온도센서(50), 유량센서(60) 및 케이스(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조절밸브(10)는 온, 냉수 상태의 원수가 공급되어 설정된 온도의 혼합수로 조절되는 것으로 레버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변화되는 것이다.
상기 재생탱크(20)는 상기 온도조절밸브(10)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공급되고, 내부에 필터(21)가 설치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재생탱크(20)의 상단부에는 캡(22)이 설치되어져 이온교환수지(32)의 연수능력이 저하되면 정제염을 투입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수탱크(30)는 상기 재생탱크(20)의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수성분이 포함된 혼합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관(31)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관(31)의 주위에 이온교환수지(32)가 충진된 것이다.
상기 개폐밸브(40)는 상기 연수탱크(30)와 연수배출관(80) 사이에 설치되어 연수를 단속하는 것이고, 상기 연수배출관은 샤워기(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온도센서(50)는 상기 개폐밸브(40)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유량센서(60)는 상기 연수배출관(80) 내에 설치되어 유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유량에 의해 이온교환수지(32)의 재생시기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70)는 상기 온도조절밸브(10), 재생탱크(20), 연수탱크(30) 및 개폐밸브(40)가 내장되어지며, 외부에 디스플레이패널(7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74)에는 필터재생표시램프부(74a), 출수온도표시부(74b), 온도눈금표시부(74c), 이상온도표시부(74d)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온도센서(50)와 유량센서(6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서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패널(74)의 필터재생표시램프부(74a), 출수온도표시부(74b), 온도눈금표시부(74c), 이상온도표시부(74d)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재생표시램프부(74a)와 이상온도표시부(74d)는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에디켓 벨로 발생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70)는 본체(71)와 덮개(72)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와 덮개는 자석(73)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서비스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자석(73)은 본체(71)측에 설치되도록 하며, 이에 대응되는 덮개(72)측에는 금속편(73a)을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 내부에 설치된 재생탱크(20), 연수탱크(30) 등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본체(71)에서 덮개(72)를 신속하게 개방하여 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도전(미도시)에서 공급된 온,냉수가 온도조절밸브(10)에 유입되어 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재생탱크(20)에 유입되고, 상기 재생탱크(20)에 유입된 원수는 필터(21)에 의해 이물질 등이 제거된 후 연수탱크(30)의 입수관(31)으로 공급된다.
상기 재생탱크(20)에서 배출된 원수는 연수탱크(30) 내부에 충진되어진 이온교환수지(32)에 의해 연수로 변화되고, 이때 변화된 연수는 개폐밸브(40)를 통해연수배출관(80)으로 배출되어 샤워기 등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40)에 설치된 온도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온도는 제어부에서 케이스(70)의 덮개(72)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패널(74)의 출수온도표시부(74b), 온도눈금표시부(74c), 이상온도표시부(74d)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연수배출관(80) 상에는 유량센서(60)가 설치되어 배출되는 연수의 양을 측정한 후 재생시기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패널(74)의 필터재생표시램프부(74a)에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연수기는 본체(71)와 덮개(72)를 자석(73)으로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함으로서, 고장이 발생되면 신속하게 덮개(72)를 본체(71)에서 개방하여 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는 연수기에서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표시와 이상온도를 케이스의 외부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여 서비스의 편리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Claims (2)

  1. 온, 냉수 상태의 원수가 공급되어 설정된 온도의 혼합수로 조절되는 온도조절밸브(10)와,
    상기 온도조절밸브(10)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공급되고,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어진 재생탱크(20)와,
    상기 재생탱크(20)의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수성분이 포함된 혼합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관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관의 주위에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연수탱크(30)와,
    상기 연수탱크(30)와 연수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연수를 단속하는 개폐밸브(40)와,
    상기 개폐밸브(40)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0)와,
    상기 연수배출관 내에 설치되어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60)와,
    상기 온도조절밸브(10), 재생탱크(20), 연수탱크(30) 및 개폐밸브(40)가 내장되어지며, 외부에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된 케이스(7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필터재생표시램프부, 출수온도표시부, 온도눈금표시부, 이상온도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70)는 본체(71)와 덮개(72)로 구성되며, 상기본체(71)와 덮개(72)는 자석(73)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20-2004-0022715U 2004-08-10 2004-08-10 연수기 KR200365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715U KR200365639Y1 (ko) 2004-08-10 2004-08-10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715U KR200365639Y1 (ko) 2004-08-10 2004-08-10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639Y1 true KR200365639Y1 (ko) 2004-10-25

Family

ID=4935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715U KR200365639Y1 (ko) 2004-08-10 2004-08-10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6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079B1 (ko) * 2005-04-22 2007-07-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 장치 및 방법
KR100773804B1 (ko) 2006-06-23 2007-11-06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KR102048012B1 (ko) 2018-09-10 2019-12-02 주식회사 블루텍 트리우렛 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079B1 (ko) * 2005-04-22 2007-07-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 장치 및 방법
KR100773804B1 (ko) 2006-06-23 2007-11-06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KR102048012B1 (ko) 2018-09-10 2019-12-02 주식회사 블루텍 트리우렛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4571C (zh) 一体式循环净化净水器
CN104556270A (zh) 一种具有活动式净水箱的净水器
US20090314701A1 (en) Water softener
JPH08132025A (ja) 浄水器の漏水感知装置
JP2004124853A (ja) 両出し吐出口を有する流路切替機能付きエアポンプ
KR102581407B1 (ko)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65639Y1 (ko) 연수기
JP2004183247A (ja) 流量計付吐水装置、流量計付切替コック、流量計付フレキ吐水管、浄活水器用流量計、アンダーシンク型浄活水器用流量計付水栓及び流量計ユニット
CA2033458C (en) Water treatment system with preservice rinse
JP4310856B2 (ja) 水栓装置
KR200443372Y1 (ko) 냉·온 정수기
KR100319240B1 (ko) 염소 제거기능 및 역세척 기능과 원수압 차단기능을 가진 연수기
JP2001263819A (ja) 浄水器付き電気湯沸かし器
KR100873281B1 (ko) 연수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0773804B1 (ko)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JP3342307B2 (ja) 浄水器付混合水栓
KR200179077Y1 (ko) 정수기 필터의 교환시기 알림장치
JP2677211B2 (ja) 浄水器付き電気貯湯容器
KR0139504B1 (ko) 정수세탁기의 정수필터교환시점 표시방법
CN209779761U (zh) 一种智能无负压给水设备
KR200143165Y1 (ko) 냉온 연수기
KR100620579B1 (ko) 정수기 제어방법
KR102592787B1 (ko)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JP4097805B2 (ja) 給水装置
KR100534572B1 (ko) 보일러의 경수 연화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