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804B1 -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804B1
KR100773804B1 KR1020060057006A KR20060057006A KR100773804B1 KR 100773804 B1 KR100773804 B1 KR 100773804B1 KR 1020060057006 A KR1020060057006 A KR 1020060057006A KR 20060057006 A KR20060057006 A KR 20060057006A KR 100773804 B1 KR100773804 B1 KR 10077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temperature
softener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국
주상붕
조성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Priority to KR102006005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수 연수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공급되던 원수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경우 연수처리되지 않은 원수를 대신 공급하여 연수기의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연수통; 상기 원수를 입수구로부터 연수통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선; 상기 제 1 공급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선의 소통여부를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원수를 출수구에 제공하는 제 2 공급선; 상기 제 2 공급선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공급선의 소통여부를 조절하는 제 2 밸브; 상기 입수구에서 원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입수구 온도 센서; 상기 출수구에 설치되어 출수구에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출수구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들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들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입수구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원수의 온도와 상기 출수구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물의 온도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여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은 원수가 출수구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는 연수기의 입수구에서 온도와 출수구에서의 온도 차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입수구의 원수를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출수구에 제공함으로써 입수구의 온도가 출수구에 빨리 반영되는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연수기, 재생모드, 재생작업, 원수, 연수, 온도 센서

Description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Water softener with improved temperature respon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 입수구와 출수구의 센서 감지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연수기
12, 112: 재생통
16, 116: 수위 센서
18, 118: 연수통
20, 120: 복합전처리기
22, 122: 입수단 온도 센서
30, 132: 항균 필터
32, 132: 출수단 온도 센서
38, 138: 드레인 밸브
40, 42, 140, 142: 체크 밸브
44, 144: 입수단
본 발명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수를 공급하는 동안 사용자의 조작 등으로 입수구의 온도가 급하게 변동하는 경우, 자동으로 연수처리를 거치지 않은 원수도 동시에 공급하여 입수구의 온도에 대한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에 사용하는 물은 통상 연수(soft water)와 경수(hard water)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 +)이 다량으로 함유된 경수이다. 특히 수돗물에는 노후된 관에서 비롯된 철(Fe), 구리(Cu), 주석(Sn), 아연(Zn), 수은(Hg) 등의 중금속 이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사용할 경우 피부 노화를 촉진하거나 아토피 질환과 같은 피부병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돗물을 연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많은 가정에서 연수기(water softner)를 사용하고 있다. 연수기는 수돗물 등에 함유된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킨다. 즉, 연수 기에 구비된 이온교환수지는 원수, 즉 수돗물에 함유된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 +)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하는 역할을 한다.
일정한 량의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킨 후에는 이온교환수지 내의 나트륨이온이 소진되어 연수 처리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나트륨을 함유한 재생액, 즉 소금물을 이온교환수지에 공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재생액을 이온교환수지에 공급하여 나트륨이온을 보충하는 과정을 재생이라고 칭한다. 재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연수기에는 통상 소금이 설치된 재생통이 제공된다.
한편, 연수기는 크게 연수기의 입수구로 온수와 냉수의 혼합수가 공급되어 연수처리되는 혼합수 연수기와 별도의 입수구를 통하여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어 연수처리되는 냉온 분리 연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통상 냉온 분리 연수기는 별도의 입수구 뿐만 아니라 별도의 연수통 및 공급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냉온 분리 연수기의 장점 중의 하나는 연수 처리된 냉수와 온수가 별도의 통로를 통해서 공급되기 때문에 연수기의 출수구에서 냉수와 온수의 혼합 온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물의 온도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혼합수 연수기의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된 냉수와 온수의 혼합수가 온수기에 들어오고, 이러한 혼합수가 연수처리 과정을 거쳐 출수구로 배출되기 때문에 출수구까지 혼합수가 공급되는데 지연이 발생하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출수구의 온도 응답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혼합수 연수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공급되던 원수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경우 연수처리되지 않은 원수를 동시에 공급하여 연수기의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연수통; 상기 원수를 입수구로부터 연수통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선; 상기 제 1 공급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선의 소통여부를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원수를 출수구에 제공하는 제 2 공급선; 상기 제 2 공급선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공급선의 소통여부를 조절하는 제 2 밸브; 상기 입수구에서 원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입수구 온도 센서; 상기 출수구에 설치되어 출수구에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출수구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들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들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입수구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원수의 온도와 상기 출수구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물의 온도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여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은 원수가 출수구에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구 온도 센서 또는 입수구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제 1 온도를 초과하거나 제 2 온도 미만이면 센서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온도 센서의 오류를 통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밸브는 상기 입수구 온도 센서 및 출수구 온도 센서 의 온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개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수기의 입수구의 온도가 제 3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화상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여 출수구를 차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소정치를 넘는 경우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를 차단하여 지나치게 높은 온도의 물이 출수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수기는 유량계로부터 원수가 공급되고 있다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내부의 전원장치를 작동시켜 전력을 절약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 연수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의 원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출수구에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수구의 원수 온도와 출수구에서 물의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두 온도의 차이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출수구로 원수를 공급하는 밸브를 일부 또는 전부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수구 온도 또는 출수구의 온도가 0도 이하 또는 100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센서의 오류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에서 연수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입수구의 온도가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을 정도로 높다고 감지되는 경우 출수구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입수관(44)을 통하여 복합전처리기(20)로 공급된다. 복합전처리기(20)로 공급된 원수는 온도 센서(22)를 통과한다. 복합전처리기(20)는 연수처리에 적합하도록 원수를 사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합전처리기(20)를 통과한 원수는 중간 도관(46)과 유량계(24)를 통과한 다음, 분기선을 통하여 제 1 공급선(48)과 제 2 공급선(50)으로 분기된다. 제 1 공급선(48)으로 공급된 원수는 밸브(36)를 통과한 뒤 연수통 입수관(74)을 통하여 연수통(18)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원수는 이온교환수지와 상호작용하여 연수로 전환되며 연수통 출수관(82)를 통하여 체크밸브(42)에 공급된다. 체크밸브(42)를 통과한 연수는 중간도관(70)을 통하여 공급된다.
위의 체크밸브(4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42)를 솔레노이드 밸브로 대체하는 것은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용이한 정도의 설계변경에 해당한다.
중간도관(70)은 다시 재생통 입수관(80)과 항균필터 입수관(68)으로 분기된다. 재생통 입수관(80)에는 밸브(28)가 설치되어 있어 재생통으로 공급되는 물을 개폐시킨다. 항균필터 입수관(68)을 통과한 연수는 항균필터(30)와 온도 센서(32)를 통과한 뒤 출수구(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제 2 공급선(50)으로 분기된 원수는 조절형 밸브(26), 제 1 원수 중간관(52), 중간 원수 밸브(34)와 제 2 원수 중간관(56)을 통해 항균필터 입수관(68)과 합류하여 항균필터(30)에 공급된다.
제 1 실시예의 재생통(12)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생통(12)의 측면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1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소금(14)이 재생통(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 센서(16)는 3단 센서로 물의 수위가 제 1 수위, 제 2 수위와 제 3 수위까지 찼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재생통(12)의 하부에는 재생액이 연수통(18)으로 공급되는 재생배관(60, 62)과 연결되어 있다. 재생배관(60, 62)의 중간에는 체크밸브(40)가 설치되어 연수 처리시 연수액이 재생배관(60, 62)을 통하여 재생통(12)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재생배관(60, 62)을 통해 연수통(18)에 공급된 재생액은 재생액 출구(도시되지 않음)와 드레인 관(64, 6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드레인 관(64, 66)의 사이에는 드레인 밸브(38)가 설치되어 재생액의 배출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연수만이 출수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연수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원수가 입수관(44)을 통하여 공급되면 온도 센서(22)에 의해 온도가 감지된다. 그 다음 복합전처리기(20)를 통과한 다음, 유량계(24)에 의해 유입되는 원수의 량이 측정된다. 연수만 공급하는 연수모드의 경우 중간 원수 밸브(34)가 폐쇄되고 원수가 항균필터 입수관(68)으로 흐르지 않는다. 모든 원수는 제 1 공급선(48)과 밸브(36)를 통하여 연수통(18)로 유입된다. 연수통(18)에서 이온교환수지의 작용에 의하여 원수가 연수로 변환된 다음 연수통 출 수관(82)과 체크밸브(42)를 통하여 항균필터 입수관(68)으로 흘러가게 된다. 항균필터(30)에 유입된 연수는 항균 처리를 거친 뒤에 출수구(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재생통(12) 내에 충분한 재생액이 만들어질 때까지 연수통(18)을 거친 연수의 일부가 밸브(28)와 재생통 입수관(80)을 통하여 재생통(12)에 유입된다.
다음으로 재생모드에서 작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유량계(24)에 의하여 정해진 량의 원수가 연수통(18)을 거쳐 연수 처리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재생작업이 시작된다. 우선, 재생모드가 수행되기 전에 재생통 입수관(80)을 통하여 연수가 재생통(12)에 유입된다. 이때, 수위센서에 의하여 최고 수위(즉, 3단)가 될 때 밸브가 개방되어 연수가 재생통(12)에 유입된다. 재생통(12)의 상부에는 소금(14)이 설치되어 있어서, 재생통(12)에서 물의 수위가 3단 이상이 될 때에만 소금이 연수에 접하여 녹도록 소금(14)이 재생통(12) 내에 위치하고 있다. 소금이 10% 정도 녹을 시간이 경과한 후, 재생통(12) 내의 재생액이 재생배관(60)과 체크밸브(40)를 통하여 연수통(18)에 공급된다. 이때, 드레인관(64, 66)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38)가 개방되어 연수기(10)를 통과한 재생액이 연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재생통(12)에 물을 2단까지 채워 소금이 녹지 않도록 한 다음, 이 물을 연수통(18)에 공급하여 린스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연수기(10)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재생이 필요하다고 제어기에서 판단된 경우에는 밸브(36)를 폐쇄하는 대신 중간 원수 밸브(34)를 개방한다. 따라서, 출수구(72)에는 원수만이 공급되고, 그동안 연수통(18)에는 재생통(12)으로부 터 재생액이 공급되는 재생모드에 돌입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에서는 재생모드에서도 출수구(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된다. 재생모드가 종료되면 다시 중간 원수 밸브(34)가 폐쇄되는 반면 밸브(36)는 개방되어 연수가 출수구(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어서 연수와 원수가 함께 공급되는 혼합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온도를 급격하게 조절하거나 입수구측 온도 센서(22)와 출수구측 온도 센서(32)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의 차이가 심한 경우 등에는 원수를 연수와 함께 공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출수구(72)에 속히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연수와 원수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경우, 중간 원수 밸브(34)가 일부 개방되어 원수가 제 2 공급선(50), 제 2 원수 중간관(52), 중간 원수 밸브(34)와 제 2 원수 중간관(56)을 통하여 항균필터 입수관(68)으로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에는 제어기(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는 수위 센서(16) 및 온도 센서(22, 32)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이러한 센서의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연수기(10)의 각 상기 각 밸브(24, 26, 28, 34, 36, 36)의 개폐는 물론 사용자에게 연수기(10)에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와 재생 소금의 충진이 필요한지 여부 등 각종 정보를 시각 표시 또는 신호음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유량계(24)로부터 펄스 신호가 입력될 때에만 전원이 인가된다. 제어기는 건전지로 작동하므로 빈번한 건전지의 교체를 피하기 위해서 필요할 때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가 연수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유량계(24)로부터 펄스 신호가 접수될 때에야 비로소 전원을 인가하여 건전지의 전원을 절약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구성이 유사하지만 재생통(112)으로 연수가 공급되는 대신 원수가 공급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 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입수관(144)을 통하여 복합전처리기(120)로 공급된다. 복합전처리기(120)로 공급되는 원수는 온도 센서(122)를 통과한다. 복합전처리기(120)를 통과한 원수는 중간 도관(146)과 유량계(124)를 통과한 다음, 분기되어 중간도관(142), 밸브(128)와 재생통 입수관(180)을 경유하여 재생통(112)으로 유입된다. 반면 나머지 원수는 유량계(124)로 유입되며, 분기선을 통하여 제 1 공급선(148)과 제 2 공급선(150)으로 분기된다. 제 1 공급선(148)으로 공급된 원수는 밸브(136)를 통과한 뒤 연수통(118)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원수는 이온교환수지와 상호작용하여 연수로 전환되며 연수통 출수관(182)를 통하여 체크밸브(142)에 공급된다. 체크밸브(142)를 통과한 연수는 중간도관(168)을 통하여 항균필터(130)에 공급된다.
한편, 제 2 공급선(150)으로 분기된 원수는 조절형 밸브(126)와 중간 원수 밸브(134)를 통해 항균필터(130)에 공급된다.
제 2 실시예 역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재생모드에서도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연수기(100)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밸브(136)를 폐쇄하는 대신 중간 원수 밸브(134)를 개방한다. 따라서, 출수구(172)에는 원수만이 공급되고, 그동안 연수통(118)에는 재생통(112)으로부터 재생액이 공급되는 재생모드에 돌입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연수기(100)에서는 재생모드에서도 출수구(1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재생모드가 종료되면 다시 중간 원수 밸브(134)가 폐쇄되는 반면 밸브(136)가 개방되어 연수처리된 물이 출수구(1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제 2 실시예의 재생통(112), 제어기(도시되지 않음), 유량계(124)의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온도 센서(22, 32, 122, 132)에 따른 제어기의 작동과 관계된 순서도이다. 도 3 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입수구 온도 센서(22, 122)의 신호가 제어기로 입력된다(S10). 이어서, 출수구 온도 센서(32, 132)의 신호가 제어기로 입력된다(S12). 이러한 온도 센서의 측정 결과가 0도 이하이거나 80도 이상이라면(S14), 온도 센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기의 표시판이나 스피커를 통해서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S20). 사용자는 이러한 통보에 의거하여 애프터 서비스를 받거나 스스로 센서를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수구의 온도 센서에서 물의 온도가 60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16), 출구수에서 물의 온도가 60도 이상이면 밸브를 작동시켜 연수기(10, 100)의 출수를 차단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위와 같은 방법으로 통 보한다(S18). 온도가 60도 이상이라는 것은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다는 것이므로 출수를 차단하여 사용자를 화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입수구 온도 센서(22, 122)에 의해 감지된 입수구 온도와 출수구 온도 센서(32, 132)에 의해 감지된 출수구 온도가 정해진 값(Test)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2), 만약 두 온도의 차이가 정해진 값(Test)를 초과하면 원수 조절 밸브(26, 126)를 개방하여 원수와 연수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구와 출수구의 온도차가 큰 경우는 사용자가 연수기 외부의 수온 조작 레버 등을 작동하여 연수기에 공급되는 원수의 온도를 변경한 경우이므로, 연수와 함께 원수가, 또는 원수만 공급되도록 하여 입수구(44, 144)의 온도가 신속하게 출수구(72, 172)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반면, 입수구의 온도와 출수구의 온도가 정해진 값(Test) 이하이면 조절 밸브(26, 126)를 차단하여 연수만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한다(S26).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는 연수기의 입수구에서 온도와 출수구에서의 온도 차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입수구의 원수를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출수구에 제공함으로써 입수구의 온도가 출수구에 빨리 반영되는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연수기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출수구에서 빨리 확인할 수 있어 연수기에서 물의 온도를 빠르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연수기에 있어서,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연수통;
    상기 원수를 입수구로부터 연수통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선;
    상기 제 1 공급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선의 소통여부를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원수를 출수구에 제공하는 제 2 공급선;
    상기 제 2 공급선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공급선의 소통여부를 조절하는 제 2 밸브;
    상기 입수구에서 원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입수구 온도 센서;
    상기 출수구에 설치되어 출수구에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출수구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들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수구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원수의 온도와 상기 출수구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물의 온도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은 원수가 상기 출수구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수통의 상부에는 3단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재생통이 구비되되, 상기 재생통의 내부 상단에는 소금이 구비되어 물이 3단까지 채워져야 상기 소금이 녹아 재생액이 생성되고, 상기 재생액을 상기 연수통으로 통과시킨 후 상기 재생통의 2단까지 물을 채워서 상기 소금이 녹지 않은 물로 상기 연수통을 린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 온도 센서 또는 입수구 온도 센서에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오류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는 상기 입수구 온도 센서 및 출수구 온도 센서의 온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입수구 온도 센서 또는 상기 출수구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선에는 유량계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량계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60057006A 2006-06-23 2006-06-23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KR100773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006A KR100773804B1 (ko) 2006-06-23 2006-06-23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006A KR100773804B1 (ko) 2006-06-23 2006-06-23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804B1 true KR100773804B1 (ko) 2007-11-06

Family

ID=3906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006A KR100773804B1 (ko) 2006-06-23 2006-06-23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81B1 (ko) 2007-05-09 2008-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및 그 구동 방법
CN110550749A (zh) * 2019-09-18 2019-12-10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供热水系统、软水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639Y1 (ko) 2004-08-10 2004-10-25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연수기
KR20050089678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승광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20050107097A (ko) * 2004-05-07 2005-11-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펌프를 이용한 일체형 자동재생 연수기
KR20060111150A (ko) * 2005-04-22 2006-10-26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678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승광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20050107097A (ko) * 2004-05-07 2005-11-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펌프를 이용한 일체형 자동재생 연수기
KR200365639Y1 (ko) 2004-08-10 2004-10-25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연수기
KR20060111150A (ko) * 2005-04-22 2006-10-26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81B1 (ko) 2007-05-09 2008-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및 그 구동 방법
CN110550749A (zh) * 2019-09-18 2019-12-10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供热水系统、软水设备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81509B2 (en) Retrofittable control unit for a softening apparatus
CA2734777C (en) Interruption of measured variable analyses in an automatic water softening system when defined operating situations are present
KR20210048149A (ko) 정수기
KR100773804B1 (ko)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KR102491063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CN109140756B (zh) 一种燃气热水器及控制方法
KR100742079B1 (ko) 연수 장치 및 방법
EP184134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water flow to a coffee machine provided with a water softener device of ion exchange resin type, and coffee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05776685B (zh) 净水器
KR100773805B1 (ko)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KR100552582B1 (ko) 펌프를 이용한 일체형 자동재생 연수기
JP2003190950A (ja) イオン交換槽の切換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KR200403919Y1 (ko) 자동재생 연수기
KR20040047152A (ko) 샤워기에 직결되는 자동재생 연수기
KR10207917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40081431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70133199A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CN110754939A (zh) 一种节能直饮机
JP2010051905A (ja) 軟水化システムおよび軟水器
KR200442324Y1 (ko) 수온 센서와 수위 센서가 장착된 재생통을 구비하는 연수기
KR100658594B1 (ko) 연수기용 재생시스템
KR100590003B1 (ko) 정수기
JP2005315505A (ja) 追焚き機能付き電気温水器及び浴槽水温度調整方法
KR100666556B1 (ko) 압력스위치가 구비된 정수기의 초기화 방법
JP3397825B2 (ja) 連続式電解水生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