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150A - 연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150A
KR20060111150A KR1020050033571A KR20050033571A KR20060111150A KR 20060111150 A KR20060111150 A KR 20060111150A KR 1020050033571 A KR1020050033571 A KR 1020050033571A KR 20050033571 A KR20050033571 A KR 20050033571A KR 20060111150 A KR20060111150 A KR 20060111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ne
soft water
valve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079B1 (ko
Inventor
이순세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07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1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external to the container for a beverage, e.g. a bottle, can, drinking glass or pitc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전금구와 샤워기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수라인 및 직수라인; 연수라인 상에 설치된 연수통; 연수통을 통과하기 전의 원수 및 연수통을 통과한 연수의 온도 차이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재; 및 온도측정부재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연수라인과 직수라인을 통해 흐르는 연수와 직수를 소정 비율로 분할 공급할 수 있는 분할공급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연수 장치 및 방법{Water Softening apparatus &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수전금구 12...온수라인 14...냉수라인
20...샤워기 110...연수라인 112...입구라인
114...출구라인 120...직수라인 130...연수통
140...온도측정부재 142...제1 온도센서 144...제2 온도센서
150...분할공급부재 152...연수 밸브 154...직수 밸브
160...재생라인 162...재생통 164...재생 밸브
166...유량측정부재 170...수류감지센서 180...자동재생라인
182...자동재생 밸브 184...린스라인 186...린스 밸브
본 발명은 연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수전금구로부터 배출되는 원수의 온도와 신속히 일치시키기 위한 연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등의 경수(센물)는 이온교환 작용이 가능한 연수 장치를 통해 연수(단물)로 변환된다. 이러한 연수 장치들은 경수(원수) 속의 칼슘, 마그네슘 등을 제거함으로써 피부미용에 좋은 부드럽고 깨끗한 물(연수)로 변환시킨다. 즉, 연수 장치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하여 칼슘, 마그네슘 등의 경도 유발 물질을 나트륨과 교환하여 경수를 연수로 전환시킨다.
그런데, 통상의 연수 장치들에 있어서 이온교환 수지가 내장된 연수통은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수전금구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 기간 동안 연수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수 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샤워기와 연수 장치의 연수통 사이에 정체되어 있던 연수의 온도와 실제로 사용자가 원하는 물의 온도 사이의 차이에 의해 사용후 오랜 동안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연수의 온도를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연수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샤워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아무리 수전금구의 온도를 고온으로 조절하더라도 연수통 내부의 저온의 연수가 샤워기의 배출구를 통해 완전히 배출될 때 까지는 차가운 연수를 피부에 접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연수 장치를 이용하여 고온의 연수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저온의 연수를 사용할 필요성 때문에 수전금구를 저온 상태로 조절하더라도 연수통 내부의 고온의 연수가 샤워기의 꼭지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기까지는 여전히 고온의 연수를 사용해야만 하므로 불편함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연수통 내부의 연수의 온도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물의 온도가 서로 일치할 때까지 연수통으로 공급되는 원수와 샤워기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연수 작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샤워기를 통해 원하는 온도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연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는, 수전금구와 샤워기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수라인 및 직수라인; 상기 연수라인 상에 설치된 연수통; 상기 연수통을 통과하기 전의 원수 및 상기 연수통을 통과한 연수의 온도차이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재; 및 상기 온도측정부재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연수라인과 상기 직수라인을 통해 흐르는 연수와 직수를 소정 비율로 분할 공급할 수 있는 분할공급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측정부재는 상기 연수통의 출구 측 연수라인에 설치된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연수통의 입구 측 연수라인에 설치된 제2 온도센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할공급부재는, 상기 연수통 전의 연수라인에 설치된 연수 밸브; 및 상기 직수라인에 설치된 직수 밸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수 밸브 및 직수 밸브는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연수밸브를 채용하지 않고 직수 밸브만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온교환수지 베드(bed)의 차압을 활용함으로써 분할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수 밸브와 직수 밸브는 하나의 3방향 밸브 형태로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수 밸브 및 직수 밸브는 각각 비례제어밸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는, 상기 수전금구와 상기 연수통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재생라인에 설치된 재생통; 및 상기 재생통의 입구 측의 상기 재생라인에 설치된 재생 밸브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는, 상기 연수라인 상에 설치된 유량감지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는, 상기 연수통의 입구와 연결된 재생통; 상기 수전금구의 입구와 상기 재생통의 입구를 연결하는 자동재생라인; 및 상기 자동재생라인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자동재생 밸브;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재생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는 상기 자동재생라인으로부터 공급되 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연수통을 린스시킬 수 있는 린스라인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는 상기 린스라인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린스 밸브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린스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 방법은, 수전금구와 샤워기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수라인 및 직수라인과, 상기 연수라인 상에 설치된 연수통을 구비하는 연수기의 연수 방법에 있어서: (a) 수전금구로부터 나오는 원수의 온도와 상기 연수통을 통과한 연수의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계산된 값이 소정의 기준값 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값에 따라 상기 연수라인과 상기 직수라인을 통해 흐르는 연수와 직수의 비율을 소정 비율로 분할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연수통의 전후에 각각 설치된 온도센서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연수통 전의 연수라인에 설치된 연수 밸브와 상기 직수라인에 설치된 직수 밸브의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수전금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상기 연수통과 상기 샤워기로 분할 공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100)는 수전금구(10)와 샤워기(20) 사이에 각각 설치된 연수라인(110) 및 직수라인(120)과, 연수라인(110)에 설치된 연수통(130)과, 연수통(130)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온도와 연수통(130)을 통과한 연수의 온도 차이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재(140), 및 연수라인(110)과 직수라인(120)으로 각각 공급되는 연수 대상 원수와 직수를 소정 비율로 분할 공급하기 위한 분할공급부재(150)를 구비한다.
상기 수전금구(10)는 온수라인(12) 및 냉수라인(14)을 통해 각각 공급되는 온수와 냉수를 혼합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수전금구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샤워기(20)는 연수통(130)에 의해 이온교환된 연수 및/또는 원수(직수)를 분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샤워기의 구조 및 기능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수라인(110)과 직수라인(120)은 수전금구(10)와 샤워기(20) 사이에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수전금구(10)의 출구 측에서 분기되고 샤워기(20)의 입구 측에서 수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수라인(120)에는 수전금구(10)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가 연수통(13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샤워기(20)로 유동되는 배관 또는 호스이다. 그러나, 연수라인(110)의 입구라인(112)은 수전금구(10)로부터 연수통(130)의 입구(132)와 연결되고, 연수라인(110)의 출구라인(114)은 연수통(130)의 출구(134)로부터 샤워기(20)에 연결된다. 입구라인(112)은 이온교환 되기 전의 원수가 흐르는 배관 또는 호스이며, 출구라인(114)은 연수통(130)에 의해 이온교환된 연수가 흐르는 배관 또는 호스이다.
상기 연수통(130)은 내부에 이온교환수지(미도시)가 충전되며 소정 용량의 밀폐된 용기 구조를 가진다.
상기 온도측정부재(140)는 연수라인(110)의 출구라인(114) 상에 설치된 제1 온도센서(142)와 연수라인(110)의 입구라인(112)에 설치된 제2 온도센서(14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온도센서(142)는 연수통(130)을 통해 이온교환된 연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온도센서(144)는 연수통(130)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2 온도센서(142)(144)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유니트(미도시)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측정부재(140)가 온도센서들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든 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분할공급부재(150)는 상기 제어유니트로 전송된 제1,2 온도센서(142)(144)의 온도 값의 차이에 따라 수전금구(1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공급수)를 각각 연수라인(110)과 직수라인(120)을 통해 흐르는 소정 비율로 분할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수라인과 직수라인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3방향 밸브 등과 같이, 하나의 밸브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연수 밸브를 채용하지 않고 직수 밸브 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연수 통 내부의 차압을 이용하여 분할 공급하게 된다.
상기 분할공급부재(150)는 연수라인(110)의 입구라인(112)에 설치된 연수 밸브(152)와, 직수라인(120)에 설치된 직수 밸브(154)를 구비한다. 상기 연수 밸브(152) 및 직수 밸브(154)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각각의 개폐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비례제어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공급부재(150)의 연수 밸브(152) 및 직수 밸브(154)는 사용자가 샤워기(20)를 통해 소정 온도의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제1,2 온도센서(142)(144)에 의해 측정된 온도들의 차이가 허용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연수라인(110)으로 공급되는 원수보다 직수라인(120)을 통해 샤워기(20)로 배출되는 원수의 유량을 많게 유지시킴으로써 샤워기(20)의 꼭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목적 온도까지 신속하게 맞출 뿐만 아니라, 제1,2 온도센서(142)(144)에 의해 측정된 온도들의 차이가 허용범위 내에 포함되면, 직수 밸브(154)를 오프시켜 직수라인(120)을 통해 원수가 공급되는 것을 막고 연수 밸브(152)를 개방하여 연수라인(110) 만을 통해 원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수전금구(10)를 통해 유동하는 원수를 100% 이온교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2 온도센서(142)(144)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의 차이가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상황은 연수통(130)을 통과한 연수의 온도와 수전금구(10)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온도가 서로 심하게 차이가 나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샤워기(20)를 통해 고온의 연수를 사용하고자 하지만 실제로 연수통(130)을 통과한 연수의 온도가 고온에 이르지 않거나, 반대로 고온의 연수를 샤워기(20)를 통해 사용하 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저온의 연수를 사용하기 위해 수전금구(10)를 저온으로 작동시키더라도 연수통(130) 내부의 고온의 연수가 여전히 샤워기(20)를 통해 배출되는 상황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의도하는 물의 온도에 연수 장치(100)가 신속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연수라인(110)의 연수통(130)을 통한 연수화 과정은 상대적으로 미약하게 유지하면서 직수라인(12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샤워기(20)를 통해 직접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원하는 온도의 물을 최대한 신속하게 사용하게 함으로써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연수 밸브 및 직수 밸브(154)는 전술한 바와 달리 각각 제1,2 온도센서(142)(144)에 의한 온도 차이에 따라 직수라인(120)과 연수라인(110)의 원수 공급량을 비례적으로 조절 공급할 수 있는 제어 비례제어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비례제어밸브의 동작은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즉, 40℃ 온도의 온수가 공급되고 제1,2 온도센서(142)(144)의 온도차가 20℃일 때에는 직수:연수의 공급 비율을 7:3으로 조절하고, 제1,2 온도센서(142)(144)의 온도차가 각각 10℃, 8℃, 6℃, 4℃와 같이 작아질수록 직수:연수의 비율을 각각 5:5, 4:6, 3:7, 2:8 등으로 조절시킬 수 있다.
상기 분할공급부재(150)는 기본적으로 연수통(130)의 열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기 때문에, 전술한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비례제어밸브 이외에 제1,2 온도센서(142)(144)에 의해 측정된 원수의 온도차에 따라 각각 직수라인(120)과 연수라인(110)을 통해 유동되는 원수의 양을 분할 공급할 수 있는 모든 다른 수 단 및 방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연수 장치의 구성 요소들 외에 연수라인(110)에 병렬 연결된 재생라인(160)과, 재생라인(160)에 설치된 재생통(162)과, 재생라인(160)을 통해 재생통(162)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개폐)하기 위한 재생 밸브(164)와, 연수라인(110)에 설치된 유량감지부재(166), 및 수전금구(10)의 출구 측에 설치된 수류감지센서(17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재생라인(160)은 연수라인(110)의 입구라인(112)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재생통(162)을 경유시켜 연수통(130)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 및 호스이다.
상기 재생통(162)은 연수통(130) 내부의 이온교환수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할 경우 최소 필요량의 재생용 염수를 연수통(130) 내부로 공급시켜 연수통(130)을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반복 재생시에도 염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펠렛(pellet)형 소금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 소금을 내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재생 밸브(164)는 정상적인 연수화 과정에서는 닫혀져 있고 재생 동작을 위해 개방될 수 있는 밸브로서,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유니트에 의해 그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물론, 재생 밸 브(164)는 필요에 따라서는 수동 작동도 가능하다.
상기 유량감지부재(166)는 연수라인(110)을 통과하여 연수통(130) 내부로 유입되는 연수의 통과량을 확인함으로써 연수통(130) 내부의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수라인(110)을 통해 통과하는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모든 가능한 구조 및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수류감지센서(170)는 수전금구(10)를 통해 원수(냉/온수)의 공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전원 인가가 불필요한 기계식 타입이다. 즉, 수류감지센서(170)는 물의 흐름을 감지함으로써 제1,2 온도센서(142)(144), 유량감지부재(166), 및 연수 밸브(152) 및 직수 밸브(154)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에 의해 작동하는 각종 밸브들의 대기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200)는 연수통(130)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체크하여 연수통(130)의 재생 시점을 사용자에게 수동으로 알리거나 제어유니트에 의해 자동으로 재생 동작을 행하기 위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수명, 재생 동작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 램프, 부저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의 동작을 아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연수 장치의 동작에 따른 본 실시예의 밸브들의 동작 상태
운전 모드 연수 밸브 직수 밸브 재생 밸브 비고
대기 상태 ON OFF OFF 수전금구가 차단된 상태
연수 모드 조절 모드 ON ON OFF
완료 모드 ON OFF OFF
직수 모드 OFF ON OFF
재생 모드 OFF OFF ON
(1) 대기 상태 모드
대기 상태란 직수 밸브(154) 및 재생 밸브(164)는 폐쇄되어 직수라인(120)과 재생라인(160)으로는 원수가 공급되지 못하고, 연수 밸브(152)만 개방되어 연수라인(110)으로 원수가 유동 가능한 상태이지만 사용자가 수전금구(10)를 사용하지 않고 차단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2) 연수 동작 모드
기본적으로 연수 동작 모드는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전금구(10)를 작동시킴으로써 샤워기(20)를 통해 소정 온도의 물을 사용하게 되는 동작이다. 연수 동작은 온도측정부재(140)의 제1,2 온도센서(142)(144)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 온도 조절이 필요한 '조절 모드'와 온도 조절이 불필요한 '완료 모드'로 구분된다.
상기 '조절 모드'에서 재생 밸브(164)는 닫혀 있지만 연수 밸브(152)와 직수 밸브(154)는 동시에 열리게 된다. 그러나, 원수의 분할 공급을 위해, 필요에 따라 연수 밸브(152) 및 직수 밸브(154)를 통과하는 원수의 량이 조절될 뿐이다. 따라서, '조절 모드'에서 사용자는 샤워기(20)를 통해 연수와 직수가 혼합된 물을 사용하게 되지만 그 대신에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물의 온도를 최대한 신속하게 높일 수 있다.
상기 '완료 모드'는 샤워기(2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온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직수라인(120)으로 직수를 더 이상 공급받을 필요가 없고 샤워기(2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전량 연수통(130)을 통과한 연수만 사용해도 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모드에서는 직수 밸브(154) 및 재생 밸브(164)는 닫혀 있고 연수 밸브(152)만 개방되게 된다.
(3) 직수 모드
상기 '직수 모드'는 온도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연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연수 밸브(152) 및 재생 밸브(164)가 닫힌 상태에서 직수 밸브(154)만 개방되게 된다. 이와 별도로 '직수 모드'는 사용자의 요구, 각종 라인의 오작동, 연수통(130)의 각종 에러 등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4) 재생 모드
재생 모드는 사용자의 수동적 선택 또는 제어유니트의 자동 동작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재생 모드에서 연수 밸브(152) 및 직수 밸브(154)는 폐쇄되고 재생 밸브(164)만 개방된다.
재생 모드에서, 수전금구(10)로부터 나오는 원수는 재생통(162)으로 유입되어 소금과 원수가 접촉되어 재생용 소금물이 형성되고, 그 소금물은 연수통(130) 내부로 유입된 후 샤워기(20)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재생 모드는 연수통(130)의 용량에 따라 재생 시간이 결정된다.
재생 모드가 완료 되면, '린스모드'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린스 모드에서는 재생 밸브(164)는 폐쇄되고 연수 밸브(152)가 열리게 된다. 그러면, 공급되는 원수는 연수통(130) 내부의 소금물을 샤워기(20)를 통해 완전히 배출시키게 된다. 린스 모드가 완료되면, 재생 완료 부저 또는 램프가 동작됨과 동시에 재생 밸브(164) 및 연수 밸브(152)가 닫힌 상태에서 직수 밸브(154)가 개방된다. 그러면, 수전금구(10)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직수 밸브(154)를 통해 샤워기(2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재생 완료 부저음을 듣고 수전금구(10)를 차단하게 되면 수류감지센서(170)는 원수의 공급 중단을 감지하여 직수 밸브(154)를 오프시키면서 대기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300)는 전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 외에 수전금구(10)의 입구와 재생통(162)의 입구를 연결하는 자동재생라인(180)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자동재생 밸브(182)를 더 구비한다.
전기 제2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300)에 있어서, 연수라인(110)은 수전금구(10)로부터 연수통(130)의 입구(132)에만 연결되고 재생통(162)과는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 자동재생라인(180)은 그 일단이 수전금구(10)의 입구 즉, 온수라인(12) 및/또는 냉수라인(14)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냉수라인(14)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재생통(162)의 입구와 연결된다. 여기서, 자동재생라인(180)은 도 2의 재생라인(160)과 일부 중복된다.
상기 자동재생 밸브(182)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오프 제어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300)는 재생 동작이 완료된 후 자동재생라인(18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연수통(130)을 린스시킬 수 있는 린스라인(184)과 린스라인(184)에 설치된 린스 밸브(186)를 더 구비한다.
상기 린스라인(184)은 수전금구(10)의 입구와 연수통(130)을 연결시키기만 하면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재생라인(180)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수라인(110)과 결합되는 구성이 채택된다.
상기 린스 밸브(186)는 린스라인(184)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유니트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300)의 동작(자동재생 모드)을 자동재생 모드를 위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장치(300)는 연수통(130)의 재생 시점이 가까워 지면, 표시부를 통해 그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자동재생시점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에 의해 미리 셋팅된 자동재생 시점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가 수전금구(10)를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제어유니트는 연수 밸브(152)와 직수 밸브(154) 및 린스 밸브(186)를 오프시키면서 자동재생 밸브(182)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전금구(10) 전단의 원수(바람직하게는 냉수)는 자동재생라인(180)을 통해 재생통(162)으로 공급된다. 재생통(162)으로 공급된 원수는 소금물이 되고 그 소금물은 연수통(130)으로 유입되어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게 된다. 연수통(130) 내부의 물은 샤워기(20)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동작은 재생을 위한 최소한 시간 내에 이루어지게 된다.
자동재생모드가 완료하게 되면 제어유니트는 린스모드를 진행한다.
린스모드에서 제어유니트는 자동재생 밸브(182)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린스 밸브(186)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수전금구(10) 전의 냉수는 자동재생라인(180), 린스라인(184), 연수라인(110)을 통해 연수통(130)으로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되는 냉수는 연수통(130) 내부에 잔존되어 있는 재생용 소금물을 자동적으로 린스한 후 샤워기(2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린스모드가 종료되면, 제어유니트는 연수 장치(300)를 전기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 방법은 전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연수 장치의 동작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들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가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연수 방법을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는 겨울철에 일정 기간 동안 연수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수 장치를 이용하거나 고온의 연수를 사용하다가 저온의 연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과 같이, 수전금구를 통해 사용자 가 셋팅하는 온도와 연수통을 통과한 연수의 온도의 차이가 심하게 발생되는 경우 수전금구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일부는 직접 샤워기로 공급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연수통으로 공급시킴으로써 연수 동작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3)

  1. 수전금구와 샤워기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수라인 및 직수라인;
    상기 연수라인 상에 설치된 연수통;
    상기 연수통을 통과하기 전의 원수 및 상기 연수통을 통과한 연수의 온도 차이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재; 및
    상기 온도측정부재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연수라인과 상기 직수라인을 통해 흐르는 연수와 직수를 소정 비율로 분할 공급할 수 있는 분할공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부재는
    상기 연수통의 출구라인에 설치된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연수통의 입구라인에 설치된 제2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공급부재는
    상기 연수라인의 입구라인에 설치된 연수 밸브; 및
    상기 직수라인에 설치된 직수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 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 밸브 및 직수 밸브는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 밸브 및 직수 밸브는 각각 비례제어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금구와 상기 연수통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재생라인에 설치된 재생통; 및
    상기 재생통의 입구 측의 상기 재생라인에 설치된 재생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라인 상에 설치된 유량감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통의 입구와 연결된 재생통;
    상기 수전금구의 입구와 상기 재생통의 입구를 연결하는 자동재생라인;
    상기 자동재생라인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자동재생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재생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연수통을 린스시킬 수 있는 린스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라인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린스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11. 수전금구와 샤워기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수라인 및 직수라인과, 상기 연수라인 상에 설치된 연수통을 구비하는 연수기의 연수 방법에 있어서:
    (a) 수전금구로부터 나오는 원수의 온도와 상기 연수통을 통과한 연수의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계산된 값이 소정의 기준값 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값에 따라 상기 연수라인과 상기 직수라인을 통해 흐르는 연수와 직수의 비율을 소정 비율로 분할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연수통의 전후에 각각 설치된 온도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연수통 전의 연수라인에 설치된 연수 밸브와 상기 직수라인에 설치된 직수 밸브의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수전금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상기 연수통과 상기 샤워기로 분할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방법.
KR1020050033571A 2005-04-22 2005-04-22 연수 장치 및 방법 KR10074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571A KR100742079B1 (ko) 2005-04-22 2005-04-22 연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571A KR100742079B1 (ko) 2005-04-22 2005-04-22 연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150A true KR20060111150A (ko) 2006-10-26
KR100742079B1 KR100742079B1 (ko) 2007-07-23

Family

ID=3762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571A KR100742079B1 (ko) 2005-04-22 2005-04-22 연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0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804B1 (ko) * 2006-06-23 2007-11-06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KR100773805B1 (ko) * 2006-06-26 2007-11-06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WO2008002062A1 (en) * 2006-06-26 2008-01-03 Irevo Ns, Inc. Water softening device
KR100907743B1 (ko) * 2008-10-29 2009-07-14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KR100926077B1 (ko) * 2008-10-29 2009-11-11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WO2023024813A1 (zh) * 2021-08-26 2023-03-02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家用电器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078B1 (ko) * 2001-06-26 2004-06-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KR200327570Y1 (ko) 2003-05-22 2003-09-22 주식회사 혜인교역 연수기
KR100553167B1 (ko) 2003-11-07 2006-02-22 주식회사 승광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200365639Y1 (ko) * 2004-08-10 2004-10-25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연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804B1 (ko) * 2006-06-23 2007-11-06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KR100773805B1 (ko) * 2006-06-26 2007-11-06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WO2008002062A1 (en) * 2006-06-26 2008-01-03 Irevo Ns, Inc. Water softening device
KR100907743B1 (ko) * 2008-10-29 2009-07-14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KR100926077B1 (ko) * 2008-10-29 2009-11-11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WO2023024813A1 (zh) * 2021-08-26 2023-03-02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家用电器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079B1 (ko) 2007-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079B1 (ko) 연수 장치 및 방법
US5459890A (en) Water blending and recycling apparatus
US922332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water softening system comprising target value control by a water removal station
CN110291260A (zh) 用于卫生设施以及马桶冲水器或小便池冲水器的冲水装置
CN105992915A (zh) 热水和冷水混合装置
EP2440306B1 (en) Water purifier
JP2006322687A (ja) 殺菌機能付給湯装置
JP2008116130A (ja) 風呂湯張り方法および装置
KR20060111151A (ko) 자동재생 가능한 연수 장치 및 방법
CN110036158A (zh) 饮用水节水器
JP6286790B2 (ja) 吐水装置
JP2007085676A (ja) 貯湯式給湯装置
JPH0585815B2 (ko)
KR20110135570A (ko) 정온 급수 시스템
JP2002167822A (ja) 温水手洗い装置
KR100773804B1 (ko)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JP4890125B2 (ja) 貯湯式給湯機
CN110754939A (zh) 一种节能直饮机
CN217756963U (zh) 一种软水器和热水器
CN117628711A (zh) 一种直饮水和自来水加热主机系统
CA264472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shower system
JP2007024461A (ja) 給湯機
JP3694093B2 (ja) 浴水清浄化装置
KR100539164B1 (ko) 음료 공급장치
JPH04320730A (ja) 給水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