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805B1 -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805B1
KR100773805B1 KR1020060057236A KR20060057236A KR100773805B1 KR 100773805 B1 KR100773805 B1 KR 100773805B1 KR 1020060057236 A KR1020060057236 A KR 1020060057236A KR 20060057236 A KR20060057236 A KR 20060057236A KR 100773805 B1 KR100773805 B1 KR 10077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generation
softener
tank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국
주상붕
조성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Priority to KR102006005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805B1/ko
Priority to PCT/KR2007/003097 priority patent/WO200800206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2Softening water by precipitation of the hard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연수통 내에 정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연수통 내의 이온교환수지에 손상을 방지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작업시에도 연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원수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연수통; 상기 원수를 연수통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선; 상기 제 1 공급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선의 소통 여부를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원수를 출수구에 제공하는 제 2 공급선; 상기 제 2 공급선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공급선의 소통 여부를 조절하는 제 2 밸브; 및 상기 연수기로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량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계의 신호를 근거로 사용자가 연수기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연수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 1 밸브를 폐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는 원수의 압력에 의해 연수통 내의 이온교환수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작업중에도 원수가 연수 대신 공급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연수기, 재생모드, 재생작업, 원수, 연수, 온도 센서

Description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Water softner with reduced damages to the softner tank and which supplies water to outlet during regeneration proces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 유량계의 펄스 입력에 따른 제어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연수기
12, 112: 재생통
16, 116: 수위 센서
18, 118: 연수통
20, 120: 복합전처리기
22, 122: 입수단 온도 센서
30, 132: 항균 필터
32, 132: 출수단 온도 센서
38, 138: 드레인 밸브
40, 42, 140, 142: 체크 밸브
44, 144: 입수단
본 발명은 연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연수통 내에 정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연수통 내의 이온교환수지에 손상을 방지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작업시에도 연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원수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에 사용하는 물은 통상 연수(soft water)와 경수(hard water)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 +)이 다량으로 함유된 경수이다. 특히 수돗물에는 노후된 관에서 비롯된 철(Fe), 구리(Cu), 주석(Sn), 아연(Zn), 수은(Hg) 등의 중금속 이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사용할 경우 피부 노화를 촉진하거나 아토피 질환과 같은 피부병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돗물을 연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많은 가정에서 연수기(water softner)를 사용하고 있다. 연수기는 수돗물 등에 함유된 칼슘이온(Ca2+)과 마그네 슘이온(Mg2+)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킨다. 즉, 연수기에 구비된 이온교환수지는 원수, 즉 수돗물에 함유된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 +)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하는 역할을 한다.
일정한 량의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킨 후에는 이온교환수지 내의 나트륨이온이 소진되어 연수 처리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나트륨을 함유한 재생액, 즉 소금물을 이온교환수지에 공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재생액을 이온교환수지에 공급하여 나트륨이온을 보충하는 과정을 재생이라고 칭한다. 재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연수기에는 통상 소금이 설치된 재생통이 제공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연수기에서는 연수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연수통 내에 물이 채워져 있어 물의 압력에 따라 연수통과 이온교환수지의 파손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파손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연수통이나 이온교환수지를 설계하여야 하는 만큼 연수기의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수통 내에 물이 항상 채워져 있으므로 연수통의 내부에 미생물이 번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연수통 내에 물이 남아 있으면 사용자가 연수기의 사용을 재개할 때 남아있는 물이 먼저 배출되는 만큼 연수기의 출수구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수기에 있어서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지 않아 재생 과정이 끝날 때까지 사용자가 기다려야 하는 불 편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연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연수통 내를 비움으로써 연수통 내에 정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연수통 내의 정압에 따른 연수통과 이온교환수지의 손상을 방지하는 연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작업시에도 연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원수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연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연수통; 상기 원수를 연수통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선; 상기 제 1 공급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선의 소통 여부를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원수를 출수구에 제공하는 제 2 공급선; 상기 제 2 공급선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공급선의 소통여부를 조절하는 제 2 밸브; 재생작업시 재생액을 연수통에 공급하기 위한 재생통; 및 상기 연수기로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량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계의 신호를 근거로 연수기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연수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 1 밸브를 폐쇄하고 제 2 공급선의 제 2 밸브를 개방하여 연수통 내 이온교환수지의 손상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수통에는 내부의 물을 비우기 위한 드레인 출구가 제공 되어 있으며, 연수기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 출구를 통하여 연수통 내부의 물을 배출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상기 유량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밸브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기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유량계로부터 원수가 유입되고 있다는 신호가 상기 제어기에 소정기간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입수구와 연결된 복합전처리기와, 상기 연수통과 연수기의 출수구 사이에 제공되는 항균필터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생통은 수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연수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연수기의 유량계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신호를 제어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유량계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원수가 일정시간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연수기의 연수통 내의 물을 비우는 보호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 모드에 진입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연수기의 사용 전력을 최소화시키는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욱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절전 모드에서 유량계로부터 펄스 신호가 수신되면 정상 전원모드에 복귀하는 단계를 더욱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연수통; 상기 원수를 연수통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선; 상기 제 1 공급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선의 소통여부를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원수를 출수구에 제공하는 제 2 공급선; 상기 제 2 공급선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공급선의 소통여부를 조절하는 제 2 밸브; 상기 연수통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측정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액을 연수통으로 공급해야 하는지 감지하기 위한 유량계; 재생작업시 재생액을 연수통에 공급하기 위하여 재생액을 내부에 저장하는 재생통; 및 재생작업시 드레인 밸브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연수통으로부터 재생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재생액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수통을 통과한 연수를 출수구에 공급하던 중 재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 1 밸브를 폐쇄하여 연수통으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여 대신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여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은 원수가 출수구에 공급되도록 하여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수가 연수통으로 공급되기 전에 통과하는 전처리기, 연수를 항균처리하기 위한 항균필터, 상기 재생통의 재생액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 센서, 상기 재생통과 연수통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재생통은 소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소금이 상기 연수기를 통과하여 재생통에 공급된 연수의 일부에 녹아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작업시 재생액이 유입되고 유출되는 방향과 연수처리된 연수가 흐르는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생통은 3단 수위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소금은 재생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이 3단까지 채워져야 소금이 녹도록 재생통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생작업은 재생통의 3단까지 물을 채워져서 재생통에 설치된 소금이 녹은 재 생액을 연수통에 통과시킨 후, 재생통의 2단까지 물을 채워서 소금이 녹지 않은 물로 연수통을 린스시켜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입수관(44)을 통하여 복합전처리기(20)로 공급된다. 이때, 복합전처리기(20)의 전단에는 온도 센서(22)가 구비되어 그 온도가 센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22)가 복합전처리기(20)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온도 센서(22)는 복합전처리기(20)의 후단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복합전처리기(20)는 연수처리에 적합하도록 원수를 사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합전처리기(20)를 통과한 원수는 중간 도관(46)과 유량계(24)를 통과한 다음, 제 1 공급선(48)과 제 2 공급선(50)으로 분기된다. 제 1 공급선(48)으로 공급된 원수는 밸브(36)를 통과한 뒤 연수통 입수관(74)을 통하여 연수통(18)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원수는 이온교환수지와 상호작용하여 연수로 전환되며 연수통 출수관(82)을 통하여 체크밸브(42)에 공급된다. 체크밸브(42)를 통과한 연수는 중간도관(70)을 통하여 공급된다.
중간도관(70)은 다시 재생통 입수관(80)과 항균필터 입수관(68)으로 분기된다. 재생통 입수관(80)에는 밸브(28)가 설치되어 있어 재생통으로 공급되는 물을 개폐시킨다. 항균필터 입수관(68)을 통과한 연수는 항균필터(30)와 온도 센서(32)를 통과한 뒤 출수구(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제 2 공급선(50)으로 분기된 원수는 조절형 밸브(26)를 통해서 제 1 원수 중간관(52), 중간 원수 밸브(34)와 제 2 원수 중간관(56)을 통해 항균필터 입수관(68)과 합류하여 항균필터(30)에 공급된다.
제 1 실시예의 재생통(12)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생통(12)의 측면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1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소금(14)이 재생통(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 센서는 3단 센서로 물의 수위가 제 1 수위, 제 2 수위와 제 3 수위까지 찼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한다.
재생통(12)의 하부에는 재생액을 연수통(18)으로 공급하는 재생배관(60, 62)이 구비된다. 재생배관(60, 62)의 중간에는 체크밸브(40)가 설치되어 연수 처리시 연수액이 재생배관(60, 62)을 통하여 재생통(12)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재생배관(60, 62)을 통해 연수통(18)에 공급된 재생액은 드레인 관(64, 66)을 통과한 후 드레인 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드레인 관(64, 66)의 사이에는 드레인 밸브(38)가 설치되어 재생액의 배출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연수만이 출수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연수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원수가 입수관(44)을 통하여 공급되면 온도 센서(22)에 의해 온도가 감지된다. 그 다음 복합전처리기(20)를 통과한 다음, 유량계(24)에 의해 유입되는 원수의 량이 측정된다. 연수만 공급하는 연수모드의 경우 중간 원수 밸브(34)가 폐쇄되고 원수가 항균필터 입수관(68)으로 흐르지 않는다. 모든 원수는 제 1 공급선(48)과 밸브(36)를 통하여 연수통(18)로 유입된다. 연수통(18)에서 이온교환수지의 작용에 의하여 원수가 연수로 변환된 다음 연수통 출수관(82)과 체크밸브(42)를 통하여 항균필터 입수관(68)으로 흘러가게 된다. 항균필터(30)에 유입된 연수는 항균 처리를 거친 뒤에 출수구(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재생통(12) 내에 충분한 재생액이 만들어질 때까지 연수통(18)을 거친 연수의 일부가 밸브(28)와 재생통 입수관(80)을 통하여 재생통(12)에 유입된다.
다음으로, 재생모드에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유량계(24)에 의하여 정해진 량의 원수가 연수통(18)을 거쳐 연수 처리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재생모드에 따른 작업이 시작된다. 우선, 재생모드가 수행되기 전에 재생통 입수관(80)을 통하여 연수가 재생통(12)에 유입된다. 이때, 수위센서(16)에 의하여 최고 수위(즉, 3단)가 될 때까지 밸브(28)가 개방되어 연수가 재생통(12)에 유입된다. 재생통(12)의 상부에는 소금(14)이 설치되어 있어서, 재생통(12)에서 물의 수위가 3단 이상이 될 때에만 소금이 연수에 접하여 녹도록 소금(14)이 재생통(12) 내에 위치하고 있다. 소금이 10% 정도 녹을 시간이 경과한 후, 재생통(12) 내의 재생액이 재생배관(60)과 체크밸브(40)를 통하여 연수통(18)에 공급된다. 이때, 드레인관(64, 66)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38)가 개방되어 연수기(10)를 통과한 재생액이 연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재생통(12)에 물을 2단까지 채워 소금 이 녹지 않도록 한 다음, 이 물을 연수통(18)에 공급하여 린스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연수기(10)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재생이 필요하다고 제어기에서 판단된 경우에는 밸브(36)를 폐쇄하고 중간 원수 밸브(34)를 개방한다. 따라서, 출수구(72)에는 원수만이 공급되고, 그동안 연수통(18)에는 재생통(12)으로부터 재생액이 공급되는 재생모드에 돌입한다. 다만, 이 경우 연수통(18)의 린스를 위한 물을 재생통(12)에 공급하기 위해 밸브(36)를 일정 시간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재생통(12)의 2단 높이까지 물이 공급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에서는 재생모드에서도 출수구(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된다. 재생모드가 종료되면 다시 중간 원수 밸브(34)가 폐쇄되는 반면 밸브(36)는 개방되어 연수가 출수구(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어서 연수와 원수가 함께 공급되는 혼합양식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온도를 급격하게 조절하거나 입수구측 온도 센서(22)와 출수구측 온도 센서(32)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의 차이가 심한 경우 등에는 원수를 연수와 함께 공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출수구(72)에 속히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연수와 원수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경우, 중간 원수 밸브(34)가 개방되어 원수가 제 2 공급선(50), 제 1 원수 중간관(52), 및 제 2 원수 중간관(56)을 통하여 항균필터 입수관(68)으로 제공된다.
조절형 밸브(26)는 제 2 공급선(50)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공급선(50), 제 1 원수 중간관(52), 중간 원수 밸 브(34)와 제 2 원수 중간관(56)을 통하여 항균 필터에 공급되는 원수의 압력은 연수통(18)을 통해 공급되는 연수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제 2 공급선(50)의 압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 혼합 모드에서 연수에 비하여 원수가 많이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조절형 밸브(26)는 제 2 공급선(50), 제 1 원수 중간관(52)과 중간 원수 밸브(34)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절형 밸브(26)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형태의 감압 밸브로 치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에는 제어기(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는 수위 센서(16) 및 온도 센서(22, 32)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이러한 센서의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연수기(10)의 상기 각 밸브(24, 26, 28, 34, 36, 38)의 개폐는 물론 사용자에게 연수기(10)에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와 재생 소금의 충진이 필요한지 여부 등 각종 정보를 시각 표시 또는 신호음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제어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와 램(RAM)이나 롬(ROM)과 같은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의 기본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에서는 원수가 연수기로 유입될 때 유량계(24)로부터의 펄스 신호가 제어기로 출력되며, 사용자가 연수기를 사용하지 않아 원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유량계(24)로부터 펄스 신호가 제어기로 출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원수가 입수구(44)를 통하여 연수기(10)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기는 상기 밸브(36)를 폐쇄하고 드레인 밸브(66)를 개방하 여 연수통(18) 내의 물을 배출시킨다. 아울러, 중간 원수 밸브(34)를 개방하여 제 2 공급선(50)이 소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연수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연수통(18) 내에 물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이온교환수지에 정압이 작용하지 않아 이온교환수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기를 비롯한 전기 소자는 유량계(24)로부터 펄스 신호가 입력될 때에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제어기를 비롯한 전기 소자는 건전지로 작동하므로 빈번한 건전지의 교체를 피하기 위해서 필요할 때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상기 제어기를 비롯한 전기 소자에는 사용자가 연수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유량계(24)로부터 펄스 신호가 접수될 때에야 비로소 전원을 인가하여 건전지의 전원을 절약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구성이 유사하지만 재생통(112)으로 연수가 공급되는 대신 원수가 공급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 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입수관(144)을 통하여 복합전처리기(120)로 공급된다. 복합전처리기(120)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원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122)가 구비된다.
복합전처리기(120)를 통과한 원수는 중간 도관(146)을 거쳐 제 1 재생통 입수관(142)으로 분기된 후 밸브(128)와 제 2 재생통 입수관(180)을 경유하여 재생통(112)으로 유입된다. 재생통(112)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금(114)과 수 위 센서(116)가 구비되고, 재생 과정에 있어서 재생통(112)에 저장된 재생액은 재생배관(160, 162)과 체크밸브(140)를 통해 연수통(118)에 공급된 후 드레인관(164, 166)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나머지 원수는 유량계(124)를 통과한 다음, 제 1 공급선(148)과 제 2 공급선(150)으로 분기된다. 제 1 공급선(148)으로 공급된 원수는 밸브(136)를 통과한 뒤 연수통(118)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원수는 이온교환수지와 상호작용하여 연수로 전환되며 연수통 출수관(182)을 통하여 체크밸브(142)에 공급된다. 체크밸브(142)를 통과한 연수는 중간도관(168)을 통하여 항균필터(130)에 공급된다.
한편, 제 2 공급선(150)으로 분기된 원수는 조절형 밸브(126)와 중간 원수 밸브(134)를 통해 항균필터(130)에 공급된다.
제 2 실시예 역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재생모드에서도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연수기(100)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밸브(136)를 폐쇄하는 대신 중간 원수 밸브(134)를 개방한다. 따라서, 출수구(172)에는 원수만이 공급되고, 그동안 연수통(118)에는 재생통(112)으로부터 재생액이 공급되는 재생모드에 돌입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연수기(100)에서는 재생모드에서도 출수구(1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재생모드가 종료되면 다시 중간 원수 밸브(134)가 폐쇄되는 반면 밸브(136)가 개방되어 연수처리된 물이 출수구(1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제 2 실시예의 재생통(112), 제어기(도시되지 않음), 유량계(124)의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2 실시예에서도 원수가 입수구(144)를 통하여 연수기(100)로 유입되지 않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기는 상기 밸브(136)를 폐쇄하고 드레인 밸브(138)을 개방하여 연수통(118) 내의 물을 배출시킨다. 아울러, 중간 원수 밸브(134)를 개방하여 제 2 공급선(150)이 소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연수기(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연수통(118) 내에 물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이온교환수지에 정압이 작용하지 않아 이온교환수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서 연수통(18, 118)이 유량계(24, 124)의 작동에 따라 제어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유량계(24, 124)로부터 펄스가 제어기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20). 만약 유량계로부터 펄스가 수신되면 이는 사용자가 연수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연수기를 정상작동모드에서 작동시킨다(S32). 한편, 유량계로부터 펄스가 제어기로 수신되지 않으면 이는 사용자가 연수기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소정의 시간 Tsec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22), 만약 시간 Tsec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Tsec을 1 만큼 증가시키고(S24) 이를 다시 유량계의 펄스 수신을 확인하는 단계(S20)로 복귀시킨다. 반면, 시간 Tsec이 경과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당분간 연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연수통 보호모드에 진입한다(S26).
연수통 보호모드로 진입한 뒤 소정 시간 Tout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 여(S28)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Tout을 1 만큼 증가시킨(S30) 뒤 다신 유량계의 펄스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로 복귀하고, Tout 만큼의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연수기의 전원을 차단하는(S34) 절전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연수통 보호모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연수통(18, 118)의 전단에 구비된 밸브(36, 136)를 차단하여 연수통(18, 118)에 더 이상 원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연수통(18, 118)에 연결된 드레인 밸브(38, 138)를 개방하여 연수통(18, 118) 내의 물이 연수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통하여 연수통(18, 118)에 정압이 작용하지 않는 연수통 보호모드에 진입한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입수구(44, 144)로 원수가 공급되는 냉온 통합 연수기의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기술적 구성이 냉온 분리 연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냉온 분리 연수기의 경우에는 냉수와 온수의 공급을 위한 별도의 입수구, 복합전처리기, 연수통과 항균 필터 등을 구비한다. 즉, 냉수와 온수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출수구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냉온 통합 연수기와 차이점이 있다. 반면, 냉온 분리 연수기의 경우 입수구와 출수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는 연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연수통을 비우고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원수를 출수구에 공급하는 경로를 개방하여 원수의 압력에 의하여 연수통 내의 이온교환수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연수통 내에 물이 채워져 있지 않으므로 미생물의 번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연수기의 사용을 재개할 때 연수기에서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를 빨리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다른 효과는 연수기를 사용하는 동안 재생작업을 시작한 경우 원수가 연수 대신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출수구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13)

  1.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연수기에 있어서,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연수통;
    상기 연수통의 내부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출구;
    상기 원수를 연수통으로 공급하는 제 1 공급선;
    상기 제 1 공급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선의 소통 여부를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원수를 출수구에 제공하는 제 2 공급선;
    상기 제 2 공급선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공급선의 소통 여부를 조절하는 제 2 밸브;
    재생작업시 재생액을 연수통에 공급하기 위한 재생통;
    상기 연수기로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량계; 및
    상기 유량계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연수기로 원수가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드레인 출구를 통해 상기 연수통 내부의 물을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량계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연수기로 상기 원수가 소정 시간동안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연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는 입수구와 연결된 복합전처리기와, 상기 연수통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제공되는 항균필터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은 수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통을 통과한 상기 연수를 상기 출수구로 공급하던 중 상기 연수통의 재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연수통으로의 상기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재생통의 재생액을 상기 연수통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연수통을 경유하지 않은 원수가 상기 출수구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과 상기 연수통 사이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은 소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소금이 상기 재생통에 공급된 물에 녹아 상기 재생액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액이 상기 연수통으로 유입되어 유출되는 방향과 연수처리된 연수가 흐르는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은 3단 수위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소금은 상기 재생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이 3단까지 채워져야 상기 소금이 녹도록 상기 재생통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생작업은 상기 재생통의 3단까지 물이 채워져서 상기 재생통에 설치된 소금이 녹은 재생액을 상기 연수통에 통과시키는 후, 상기 재생통의 2단까지 물을 채워서 소금이 녹지 않은 물로 상기 연수통을 린스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1020060057236A 2006-06-26 2006-06-26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KR100773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236A KR100773805B1 (ko) 2006-06-26 2006-06-26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PCT/KR2007/003097 WO2008002062A1 (en) 2006-06-26 2007-06-26 Water softe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236A KR100773805B1 (ko) 2006-06-26 2006-06-26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805B1 true KR100773805B1 (ko) 2007-11-06

Family

ID=3906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236A KR100773805B1 (ko) 2006-06-26 2006-06-26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8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34B1 (ko) * 2009-11-09 2018-10-04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흡착방식의 연수장치 및 상기 연수장치의 구동 방법
WO2021153824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시온텍 복합 축전식 탈염 전극의 제조방법, 복합 축전식 탈염 전극 및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093A (ja) * 1995-03-31 1996-10-15 Samuson:Kk 硬度漏れを防止する軟化装置
KR20050044244A (ko) * 2003-11-07 2005-05-12 주식회사 승광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20060034018A (ko) * 2004-10-18 2006-04-21 신아에이티(주) 연수기용 재생시스템
KR20060111150A (ko) * 2005-04-22 2006-10-26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093A (ja) * 1995-03-31 1996-10-15 Samuson:Kk 硬度漏れを防止する軟化装置
KR20050044244A (ko) * 2003-11-07 2005-05-12 주식회사 승광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20060034018A (ko) * 2004-10-18 2006-04-21 신아에이티(주) 연수기용 재생시스템
KR20060111150A (ko) * 2005-04-22 2006-10-26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34B1 (ko) * 2009-11-09 2018-10-04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흡착방식의 연수장치 및 상기 연수장치의 구동 방법
WO2021153824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시온텍 복합 축전식 탈염 전극의 제조방법, 복합 축전식 탈염 전극 및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3666B2 (en) Water softening device and method for regeneration control thereof
US20110132818A1 (en) Retrofittable control unit for a softening apparatus
JP3443308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3896210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0773805B1 (ko)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EP184134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water flow to a coffee machine provided with a water softener device of ion exchange resin type, and coffee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773804B1 (ko) 출수구에서 온도 응답을 향상시킨 연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JP5083616B2 (ja) 軟水化装置、並びに、給湯システム
CN105776685B (zh) 净水器
JP4807193B2 (ja) 軟水装置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CN210420564U (zh) 一种具有除菌效果的洗衣机
KR100552582B1 (ko) 펌프를 이용한 일체형 자동재생 연수기
JP2009106184A (ja) 洗浄装置
KR200442324Y1 (ko) 수온 센서와 수위 센서가 장착된 재생통을 구비하는 연수기
CN211972803U (zh) 一种洗涤水回收系统及洗衣机
KR100658594B1 (ko) 연수기용 재생시스템
KR102592787B1 (ko)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CN218356148U (zh) 洗碗机的水路系统和洗碗机
KR100778775B1 (ko) 이중 연수통을 구비한 연수기
KR970001684A (ko) 세탁기의 연수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165615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03126002A (ja) 食器洗浄機
JP4629860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110011516U (ko)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수지 탱크를 포함하는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