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012B1 - 트리우렛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트리우렛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012B1
KR102048012B1 KR1020180108000A KR20180108000A KR102048012B1 KR 102048012 B1 KR102048012 B1 KR 102048012B1 KR 1020180108000 A KR1020180108000 A KR 1020180108000A KR 20180108000 A KR20180108000 A KR 20180108000A KR 102048012 B1 KR102048012 B1 KR 102048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ipe
water
contain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일
강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텍
Priority to KR1020180108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3/00Preparation of urea or its derivative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3/02Preparation of urea or its derivative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of urea, its salts, complexes or addition compounds
    • C07C273/1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273/16Separation; Pur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46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e.g. acylureas
    • C07C275/58Y being a hetero atom
    • C07C275/62Y being a nitrogen atom, e.g. biuret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냉각상태에서 연속 생산된 요소수의 트리우렛 분리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제1거름망(111)이 형성된 필터용기(110);, 상기 필터용기 일측에 형성되며, 관으로 형성된 제1공급관(130);, 상기 필터용기 타측에 형성되며, 관으로 형성된 제1배출관(15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트리우렛 분리장치 {triuret separator}
본 발명은 저온냉각상태에서 연속 생산된 요소수의 트리우렛 분리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요소수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며, 50℃의 극초순수와 상기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만나게 하여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을 분리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요소 원료를 극초순수에 용해하여 영하의 요소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하의 요소수에 50℃의 극초순수를 만나게 하여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은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서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요소수(60% 요소 함량)와 저온 극초순수가 혼합되어 32.5% 요소 함량의 요소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2.5% 요소 함량의 요소수를 5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1 요소수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소수 탱크에 저장된 요소수를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1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여과한 후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2 요소수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요소수 탱크에 저장된 요소수를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0.45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여과한 후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3 요소수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2는 요소수를 연속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이며, 요소와 초순수의 혼합 및 교반, 필터, 희석과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요소수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다공판을 형성하여 요소공간 및 반공간을 구분되는 교반용기, 상기 교반공간에 수용되는 교반기, 상기 교반공간과 연통되며, 침지막을 수용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요소수 생산장치를 나타낸다.
특허발명 003은 제균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재생용 세정액을 사용하여 제균필터를 재생하는 제균필터의 재생장치와 이를 구비한 정수기 및 제균필터의 재생방법을 개시한다. 특허발명 003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균필터 재생장치는 제균필터(300)에 연결되는 재생유로(410); 및 상기 재생유로(410)에 연결되어 상기 제균필터(300)의 재생시 상기 제균필터(300)에 재생용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재생용 세적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공급원(420); 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4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수기에서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표시와 이상온도를 케이스의 외부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연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온, 냉수 상태의 원수가 공급되어 설정된 온도의 혼합수로 조절되는 온도조절밸브와, 상기 온도조절밸브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공급되고,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어진 재생탱크와, 상기 재생탱크의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수성분이 포함된 혼합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관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관의 주위에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연수탱크와, 상기 연수탱크와 연수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연수를 단속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연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연수배출관 내에 설치되어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온도조절밸브, 재생탱크, 연수탱크 및 개폐밸브가 내장되어지며, 외부에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필터재생 표시램프부, 출수온도표시부, 온도눈금표시부, 이상온도 표시부가 형성된 것이다.
KR 10-1879350 B1 (등록일자 2018년07월11일) KR 10-1719134 B1 (등록일자 2017년03월17일) KR 10-2013-0071010 A (공개일자 2013년06월28일) KR 20-0365639 Y1 (등록일자 2004년10월12일)
본 발명은 저온냉각상태에서 연속 생산된 요소수의 트리우렛 분리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제1거름망(111)이 형성된 필터용기(110);, 상기 필터용기 일측에 형성되며, 관으로 형성된 제1공급관(130);, 상기 필터용기 타측에 형성되며, 관으로 형성된 제1배출관(1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필터입자(F) 및 물(W)이 공급 및 교반되는 혼합용기(210);, 교반된 혼합수(FW)가 상기 제1공급관에 연통되는 제2배출관(230);, 상기 제1배출관에 형성되며, 혼합수(FW)에서 분리된 물(W)을 상기 혼합용기로 순환시키는 제2순환관(2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밀폐된 용기형상의 분리용기(310);, 일측이 상기 분리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1공급관과 연통되는 제3공급관(330);, 일측이 상기 분리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는 제3배출관(350);, 상기 제3배출관 및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는 제3순환관(3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 제2배출관, 제3공급관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밸브(410);, 상기 제1배출관, 제2순환관, 제3순환관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밸브(420);,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제어하는 순환제어기(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트리우렛 분리방법에 있어서, 필터입자 및 물을 혼합 공급하여 필터용기 내부 메시망 상측에 거름망을 생성하는 거름망생성단계(S100);, 상기 거름망생성단계 후, 필터용기 내부에 요소수 및 트리우렛을 공급하며, 상기 거름망으로 트리우렛 및 요소수를 분리하는 분리단계(S300);, 상기 필터용기 내부로 요소수를 역세하여 거름망의 필터입자 및 트리우렛을 요소수와 함께 배출하는 필터제거단계(S500);, 상기 필터제거단계 후, 분리용기에 의해 트리우렛을 배출하는 배출단계(S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필터용기의 필터층을 주기적으로 재생하여 완전한 트리우렛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혼합용기에서 생성된 혼합수를 순환하여 필터용기내부에 필터층을 용이하게 생성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필터용기의 필터층을 용이하게 재생하며, 재생과정에서 사용된 요소수를 사용처로 재사용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계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거름망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용기내 필터층 생성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소수 및 트리우렛으로부터 트리우렛 필터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역세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트리우렛 및 필터입자 분리과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의 인용관계는 기술적 이해를 돕고자 제시한 번호에 불과할 뿐이며, 기타 인용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를 인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명시되지 않은 구성이어도 유사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 명시하지 않은 하위개념 구성이어도 명시된 것으로 간주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제1거름망(111)이 형성된 필터용기(110);, 상기 필터용기 일측에 형성되며, 관으로 형성된 제1공급관(130);, 상기 필터용기 타측에 형성되며, 관으로 형성된 제1배출관(1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저온연속생산으로 생산된 요소수는 생산성 향상의 장점이 있으나, 내부에 잔류 트리우렛을 포함하며, 트리우렛 분리공정이 추가로 요구된다. 상기 트리우렛 분리공정은 필터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필터는 장시간 사용시 축적된 트리우렛에 의해 필터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터재생이 요구된다. 필터재생은 역세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역세과정은 필터입자, 요소수, 트리우렛을 각각 분리하며, 분리된 결과물은 재활용 또는 폐기된다. 트리우렛을 포함하는 요소수가 제1공급관을 통해 필터용기 내부로 진입되며, 상기 제1거름망은 트리우렛만을 걸러낸다. 요소수는 필터를 관통하며, 제1배출관을통해 사용처로 공급된다. 이는 트리우렛 입경이 필터 입경보다 크기 때문이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거름망은 균일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된 메시망(111a);, 상기 메시망 상부에 필터입자가 적층 형성되는 필터층(111b);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은 규조토 및/또는 활성탄입자의 적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제1거름망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1거름망은 2개 층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층은 균일 크기의 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메시망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의 층은 상기 메시망 상부에 걸쳐지는 필터층을 형성한다. 상기 필터층 하부에는 입경이 큰 필터입자를 1차로 위치시킨다. 상부에는 입경이 작은 필터입자가 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입자는 규조토 또는 활성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균등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시망 및 필터층으로 이루어진 제1거름망은 복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필터입자(F) 및 물(W)이 공급 및 교반되는 혼합용기(210);, 교반된 혼합수(FW)가 상기 제1공급관에 연통되는 제2배출관(230);, 상기 제1배출관에 형성되며, 혼합수(FW)에서 분리된 물(W)을 상기 혼합용기로 순환시키는 제2순환관(2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거름망 형성을 위해, 혼합수(필터입자 및 물의 혼합)를 생성하고 공급하는 장치이다. 필터입자 및 물의 혼합을 위해, 혼합용기는 물 및 필터입자를 정해진 비율로 공급받으며 균질하게 혼합한다. 혼합수는 제2배출관을 통해 필터용기로 공급된다. 필터용기로 공급된 혼합수는 물 및 필터입자를 분리하며, 필터입자는 메시망에 안착되어 필터층을 형성하며, 물은 배출된다. 배출된 물은 제2순환관을 통해 혼합용기로 재순환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혼합용기와 연통되며, 내부에 필터입자를 수용하는 입자공급용기(211);, 상기 입자공급용기 및 상기 혼합용기 사이에 형성되는 입자균일공급기(212);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혼합용기와 연통되며,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관(213);, 상기 물공급관에 연결되는 유량제어기(214);를 포함한다.
혼합용기 내부로 진입되는 물 및 필터입자는 정해진 비율로 정확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입자공급용기는 필터입자를 수용하고 배출하며, 물공급관은 물을 공급한다. 입자공급용기는 입자균일공급기를 통해 일정량의 필터입자를 공급하며, 유량제어기는 물공급관에 설치되어 정해진 유량만을 정확하게 공급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 내부에 수용되며, 물 및 필터입자를 균질하게 혼합하는 교반기(270);를 포함한다.
교반기는 필터입자 및 물을 균질하게 혼합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혼합용기 내부에는 임펠러를 위치시키며, 임펠러 회전은 물 및 필터입자를 혼합한다. 임펠러는 혼합용기 내부 또는 외부의 회전수단으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수단은 전기모터를 사용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전기모터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 가능하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밀폐된 용기형상의 분리용기(310);, 일측이 상기 분리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1공급관과 연통되는 제3공급관(330);, 일측이 상기 분리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는 제3배출관(350);, 상기 제3배출관 및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는 제3순환관(370);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용기는 제1거름망에 축적된 트리우렛 제거장치이다. 트리우렛 제거를 위해, 요소수가 필터용기로 공급되며, 요소수는 제1배출관으로 공급된다. 즉, 역세과정이 이루어진다. 제1배출관으로 공급된 요소수는 트리우렛 및 필터입자를 배출시켜 분리용기로 공급한다. 분리용기는 요소수(U), 트리우렛(T), 필터입자(F)를 각각 분리한다. 제2거름망을 관통한 요소수 및 트리우렛은 밀도차이에 의해 층을 형성한다.트리우렛은 하부층에 위치하며, 요소수는 상부층에 위치한다. 제3배출관의 배출시기를 조절하여, 트리우렛만을 외부로 배출하여 폐기하며, 요소수는 제3배출관, 제3순환관 및 제1배출관을 통해 사용처로 공급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기 내부 상측에 형성되며, 균일 관통공이 복수로 형성된 제2거름망(311);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기 내외부를 관통하며, 상기 거름망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필터입자배출구(321);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필터입자배출구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혼합용기(입자공급용기)와 연통되는 필터입자순환관(322);을 포함한다.
필터용기로부터 역세되어 공급된 물질(요소수, 트리우렛, 필터입자)은 제2거름망을 통과하며, 제2거름망은 필터입자만을 분리한다. 제2거름망에 걸러진 필터입자는 필터입자배출구를 통해 분리용기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필터입자는 다시 입자공급용기 또는 혼합용기로 공급되어 재사용 된다. 필터입자는 컨베이어를 이용해 이송됨이 바람직하며, 이송과정 중 증발기는 수분을 증발시킨다. 상기 필터입자배출구 개방시에는 제3공급관을 폐쇄하며, 이는 분리용기 외부로 배출물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필터입자배출구에는 실링장치를 형성하며, 이는 필터입자배출구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3순환관과 연통되며, 타측이 제1배출관과 연통되며, 요소수를 저장하는 임시저장용기(323);를 포함한다.
상기 임시저장용기는 제3순환관으로 배출되는 요소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임시저장용기에 수용된 요소수는 필터용기로 요소수를 공급하여 역세용으로 활용된다. 필요에 따라 제3순환관의 요소수는 직접 제1배출관과 연통될 수 있으며, 또는 임시저장용기를 통해 제1배출관에 연통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 제2배출관, 제3공급관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밸브(410);, 상기 제1배출관, 제2순환관, 제3순환관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밸브(420);,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제어하는 순환제어기(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공급관은 필터용기, 혼합용기 및 분리용기와 연통되며, 제1배출관은 제3순환관 및 제2순환관과 연통된다. 필터생성과정, 트리우렛분리과정 및 역세과정은 각각 독립된 절차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절차에 따라, 제1공급관 및 제2배출관의 유체유동 경로가 변경된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제1공급관, 제2배출관 및 제3공급관은 제1밸브로 연통되며, 제1배출관, 제2순환관 및 제3순환관은 제2밸브로 연통된다. 순환제어기는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작동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에 형성된 제1펌프(510);, 상기 제2배출관에 형성된 제2펌프(520);, 상기 제3순환관에 형성된 제3펌프(5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유체유동관을 형성한다. 상기 유체유동관은 유체를 이송하며, 이송유체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제1펌프 내지 제3펌프를 장착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트리우렛 분리방법에 있어서,
필터입자 및 물을 혼합 공급하여 필터용기 내부 메시망 상측에 거름망을 생성하는 거름망생성단계(S100);, 상기 거름망생성단계 후, 필터용기 내부에 요소수 및 트리우렛을 공급하며, 상기 거름망으로 트리우렛 및 요소수를 분리하는 분리단계(S300);, 상기 필터용기 내부로 요소수를 역세하여 거름망의 필터입자 및 트리우렛을 요소수와 함께 배출하는 필터제거단계(S500);, 상기 필터제거단계 후, 분리용기에 의해 트리우렛을 배출하는 배출단계(S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생성단계는 필터입자를 입자공급용기(211)로부터 공급하는 입자공급단계(S110);, 물을 물공급관(213)으로 공급하는 물공급단계(S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입자공급단계 후, 입자의 공급량을 정량으로 계측하여 공급하는 입자계측단계(S111);, 상기 물공급단계 후, 물의 유입량을 정량으로 계측하여 공급하는 물투입량 계측단계(S121);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필터제거단계 후, 필터입자, 트리우렛, 요소수 중 트리우렛을 추출하는 트리우렛 추출단계(S710);, 상기 필터제거단계 후, 필터입자, 트리우렛, 요소수 중 요소수를 추출하는 요소수 추출단계(S7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트리우렛 분리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추출단계 후, 추출된 요소수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730);, 상기 저장단계 후, 저장된 요소수를 필터용기로 송출하는 송출단계(S740);를 포함한다.
110 : 필터용기 111 : 제1거름망
130 : 제1공급관 150 : 제1배출관
210 : 혼합용기 211:입자공급용기
212 : 입자균일공급기 213 : 물공급관
214 : 유량제어기 230 : 제2배출관
250 : 제2순환관 270 : 교반기
310 : 분리용기 311 : 제2거름망
321 : 필터입자배출구 322:필터입자순환관
330 : 제3공급관 350 : 제3배출관
370 : 제3순환관 410 : 제1밸브
420 : 제2밸브 430 :순환제어기
510 : 제1펌프 520 : 제2펌프
530 : 제3펌프

Claims (5)

  1. 트리우렛 분리장치에 있어서,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제1거름망(111)이 형성된 필터용기(110);,
    상기 필터용기 일측에 형성되며, 관으로 형성된 제1공급관(130);,
    상기 필터용기 타측에 형성되며, 관으로 형성된 제1배출관(150);,
    필터입자(F) 및 물(W)이 공급 및 교반되는 혼합용기(210);,
    교반된 혼합수(FW)가 상기 제1공급관에 연통되는 제2배출관(230);,
    상기 제1배출관에 형성되며, 혼합수(FW)에서 분리된 물(W)을 상기 혼합용기로 순환시키는 제2순환관(250);을 포함하는 트리우렛 분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된 용기형상의 분리용기(310);,
    일측이 상기 분리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1공급관과 연통되는 제3공급관(330);,
    일측이 상기 분리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는 제3배출관(350);,
    상기 제3배출관 및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는 제3순환관(370);을 포함하는 트리우렛 분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 제2배출관, 제3공급관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밸브(410);,
    상기 제1배출관, 제2순환관, 제3순환관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밸브(420);,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제어하는 순환제어기(430);를 포함하는 트리우렛 분리장치.
  5. 트리우렛 분리방법에 있어서,
    필터입자 및 물을 혼합 공급하여 필터용기 내부 메시망 상측에 거름망을 생성하는 거름망생성단계(S100);,
    상기 거름망생성단계 후, 필터용기 내부에 요소수 및 트리우렛을 공급하며, 상기 거름망으로 트리우렛 및 요소수를 분리하는 분리단계(S300);,
    상기 필터용기 내부로 요소수를 역세하여 거름망의 필터입자 및 트리우렛을 요소수와 함께 배출하는 필터제거단계(S500);,
    상기 필터제거단계 후, 분리용기에 의해 트리우렛을 배출하는 배출단계(S700);를 포함하는 트리우렛 분리방법.
KR1020180108000A 2018-09-10 2018-09-10 트리우렛 분리장치 KR102048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00A KR102048012B1 (ko) 2018-09-10 2018-09-10 트리우렛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00A KR102048012B1 (ko) 2018-09-10 2018-09-10 트리우렛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012B1 true KR102048012B1 (ko) 2019-12-02

Family

ID=6884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00A KR102048012B1 (ko) 2018-09-10 2018-09-10 트리우렛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0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639Y1 (ko) 2004-08-10 2004-10-25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연수기
KR20130071010A (ko) 2011-12-20 2013-06-28 코웨이 주식회사 제균필터 재생장치와 이를 구비한 정수기 및 제균필터의 재생방법
KR101719134B1 (ko) 2016-12-30 2017-03-23 (주) 시온텍 요소수 연속 생산 장치 및 방법
WO2018080007A1 (ko) * 2016-10-25 2018-05-03 주식회사 소울테크 요소수에서 탁도를 일으키는 트리우렛을 제거하는 제조 방법
KR101879350B1 (ko) 2017-07-31 2018-07-17 (주)한불아요수 요소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639Y1 (ko) 2004-08-10 2004-10-25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연수기
KR20130071010A (ko) 2011-12-20 2013-06-28 코웨이 주식회사 제균필터 재생장치와 이를 구비한 정수기 및 제균필터의 재생방법
WO2018080007A1 (ko) * 2016-10-25 2018-05-03 주식회사 소울테크 요소수에서 탁도를 일으키는 트리우렛을 제거하는 제조 방법
KR101719134B1 (ko) 2016-12-30 2017-03-23 (주) 시온텍 요소수 연속 생산 장치 및 방법
KR101879350B1 (ko) 2017-07-31 2018-07-17 (주)한불아요수 요소수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4527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water
CA2626941A1 (en) Combination membrane/biolytic filtration
CN105833578A (zh) 水处理设备和系统
JP2011528615A (ja) 飲料製造装置用水処理ユニット
GB21906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rifying beer
JP6000119B2 (ja) 加工廃液処理装置
KR102048012B1 (ko) 트리우렛 분리장치
JP4071364B2 (ja) 逆浸透膜分離装置の前処理装置
CN213680485U (zh) 聚甘油脱色装置
JPH02237693A (ja) 汚水処理装置
US2736698A (en) Regeneration of service demineralizers
US6228257B1 (en) Apparatus for contacting fluids and solids
KR20130125975A (ko) 막결합형 혐기성 소화공정 중 막분리 농축장치의 세정시스템
CN104961139A (zh) 一种双极膜电渗析再生钠型分子筛系统及其使用方法
CN115364536A (zh) 一种滤池反冲洗系统、滤池系统以及反冲洗方法
CN210885551U (zh) 一种电极箔的废液回收装置
CN208378619U (zh) 一种自清洗废水处理系统
JP2001259384A (ja) 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JP2019162035A (ja) 細胞処理装置
KR101614077B1 (ko)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CN216755992U (zh) 混合稀土碱分解工艺废水处理装置
CN218784674U (zh) 保安过滤器滤芯清洗装置
CN217051813U (zh) 一种化工用活性炭过滤器
CN208852713U (zh) 一种高温陶瓷膜过滤系统
CN220887140U (zh) 大流量高温edi离子交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