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350B1 - 요소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요소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350B1
KR101879350B1 KR1020170097071A KR20170097071A KR101879350B1 KR 101879350 B1 KR101879350 B1 KR 101879350B1 KR 1020170097071 A KR1020170097071 A KR 1020170097071A KR 20170097071 A KR20170097071 A KR 20170097071A KR 101879350 B1 KR101879350 B1 KR 10187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urea water
impurities
con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우
김민우
Original Assignee
(주)한불아요수
김정우
김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불아요수, 김정우, 김민우 filed Critical (주)한불아요수
Priority to KR102017009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3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3/00Preparation of urea or its derivative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3/02Preparation of urea or its derivative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of urea, its salts, complexes or addition compounds
    • C07C273/1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02Salts; Complexes; Addition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요소수의 제조 방법은 50℃의 극초순수와 상기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만나게 하여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고순도의 요소수를 제조한다.

Description

요소수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Urea Solution}
본 발명은 요소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50℃의 극초순수와 상기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만나게 하여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고순도의 요소수를 제조하는 요소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소수는 액상의 화학물질로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요소비료의 원료인 요소(Urea)와 순수한 물(Water)을 혼합하여 만든 요소함량 32.5%의 화학물질이다. 이 요소수가 디젤엔진 자동차의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데 쓰인다.
요소수는 원료 중에 요소수에 용해되지 않아야 할 불순물(지방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요소수는 불순물(뷰렛, 트리우렛)들을 제거하지 않고 용해시키면 요소수 분사구 막힘, 연비 저하의 원인이 되는 배출가스 배출구 막힘, SCR의 고장 원인이 된다.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은, 암모니아(NH3)가 질소산화물(NOx)과 화학 반응함으로써 질소(N2)와 물(H2O)로 환원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지만, 암모니아를 직접 차량에 싣는 것은 안전상의 이유에서 곤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요소수가 사용되고 있다.
요소수는 하기의 선행기술과 같이, 요소수 원액을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한 후에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는 고순도 요소수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요소수 원액을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한 후에 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는 고순도 요소수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구아니딘 100ppm 이하, 뷰렛 2000ppm 이하, 탄화수소계 오일 50ppm 이하의 요소수 및 탈질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상기 특허문헌 2의 기술을 사용한 경우에도 저온 상태로 되면 요소수가 백탁한다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백탁의 원인은 요소 자체가 아닌 요소의 삼량체인 트리우렛이 석출한 것임을 밝혀냈다. 요소수가 백탁해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이온 교환 수지로 트리우렛을 제거할 수 없으며, 이온 교환 수지를 통과시켰다고 해도 요소수를 저온 상태에 두면 다시 백탁되어진다.
요소수는 단순히 이온 교환 수지를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고순도의 요소수를 얻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번호 특개2012-219040호 일본 공개특허번호 특개2007-145796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50℃의 극초순수와 상기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만나게 하여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고순도의 요소수를 제조하는 요소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요소수의 제조 방법은,
요소 원료를 극초순수에 용해하여 영하의 요소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하의 요소수에 50℃의 극초순수를 만나게 하여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은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서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하의 요소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요소 원료를 상기 극초순수와 만날 때 영하 -5℃를 유지하여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되는 단계는,
상기 50℃의 극초순수와 상기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혼합하여 상기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된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은 상기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서 불순물을 제거할 때 온도를 상기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이 용해되지 않도록 11℃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요소수로부터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을 효율적이고 간단한 공정으로 제거하여 고순도인 요소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배치 순서에 따라 요소수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요소수로부터 불순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NH2CONHCONH2,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것은 1수화물이며, 무수물의 융점은 196 내지 197℃(분해)이다. 알로판산의 아미드에 해당하며, 알로판산에스텔에 암모니아를 가하거나, 요소를 천천히 160℃ 정도로 가열하면 생성된다. 뷰렛을 알칼리에 용해시켜 황산동 수용액을 가하면 뷰렛 반응을 나타낸다.
요소의 원료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열을 가하면 나타나는 반응 현상이다. 뷰렛은 식물에 대하여 해작용이 있으며, 특히 발아 시기의 식생에 장애를 준다. 요소가 비료로 시판될 당시 뷰렛함량이 높으면 장애를 준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어 현재는 비료공정규격에 질소전량의 함유율 1%에 대하여 뷰렛성 질소 0.022%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뷰렛(Biuret)과 트리우렛(triuret)은 세 분자의 요소가 결합되어진 형태로 비단백태질소화합물로 이용되는 물질이다.
뷰렛과 트리우렛은 작은 조각 모양의 결정. 녹는점 23.1℃(분해). 뜨거운 물에 녹는다. 찬 물, 에탄올에 잘 안 녹는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이황화탄소에 녹지 않는다. 가열하면 암모니아를 방출하며 시아누르산이 된다.
요소수에는 불순물로서 트리우렛이 함유되어 있으며, 트리우렛은 요소의 삼량체를 말하며, 불순물이기 때문에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배치 순서에 따라 요소수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요소수로부터 불순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의 제조 장치(100)는 원수 공급 탱크(101), 연수기(102), 제1 저장탱크(103), RO 필터장치(104), 제2 저장탱크(105), 전기탈이온장치(106), 제3 저장탱크(107), 보일러(108), 믹서기(109), 마이크로 필터(110), 믹서탱크(111), 제1 요소수 탱크(112), 제2 요소수 탱크(113), 제3 요소수 탱크(114) 및 요소 공급 탱크(115)를 포함한다.
원수 공급 탱크(101)는 원수를 공급하는 일정량의 원수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연수기(102)는 원수 공급 탱크(101)에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받으며 물 속에 경도 유발 물질이 많이 포함된 경수를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연수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연수기(102)는 대부분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한다. 이온교환수지는 원하는 이온을 교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물질 즉, 선택적으로 이온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기본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이온을 교환시키기 때문에 전체 이온의 양에는 변함이 없다.
예를 들어, 물 속의 이온을 모두 제거하여 초순수를 만드는 공정에서는 양이온 교환수지 및 음이온 교환수지가 혼용된다. 여기서, 칼슘(Ca2+), 마그네슘(Mg2+) 등의 양이온은 양이온 교환수지에 의해 양이온(H+)으로 교환되고, 염소(Cl-) 등의 음이온은 음이온 교환수지에 의해 음이온(OH-)으로 교환된다. 이와 같이, 양이온 교환수지 및 음이온 교환수지에 의해 물 속의 이온들이 모두 양이온(H+)과 음이온(OH-)으로 교환되면, H+이온과 OH-이온은 서로 결합하여 다시 H2O를 형성함으로써 순수한 물만 존재하게 된다.
제1 저장탱크(103)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일정한 공간의 원통형 저장탱크로 제조되어 연수기(102)에 연결되어 연수기(102)를 통과한 원수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RO 필터장치(104)는 0.0001미크론의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져 있어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각종 병원균 등을 여과하게 위해 사용된다.
RO 필터장치(104)는 원수가 원통형의 역삼투막 시트의 양단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역삼투막 시트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역삼투막 시트의 표면과 접촉하는 원수의 체류시간이 짧게 된다.
RO 필터장치(104)는 복수의 여과부재(Membrane Sheet)(미도시) 사이에 원수 스페이서를 배치하고, 이들을 중앙관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하게 되며, 외주면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외막으로 둘러싸여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원수 스페이서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 중 여과부재의 표면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수는 여과부재의 중심을 따라 이동하여 중앙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중앙관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수 포트를 통하여 배출된다.
제2 저장탱크(105)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일정한 공간의 원통형 저장탱크로 제조되어 RO 필터장치(104)에 연결되어 RO 필터장치(104)를 통과한 원수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전기탈이온장치(Electro Deionization, EDI)(106)는 제2 저장탱크(105)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저장탱크(105)로부터 정수된 원수를 공급받아 전기탈이온을 이용하여 물의 이온물질을 제거하며, 10MΩ 내지 18MΩ의 저항치를 갖는 고순도의 초극소수의 물이 제조된다.
전기탈이온장치(106)는 농축실과 탈염실을 교대로 형성하도록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음이온 교환막들과 양이온 교환막들을 포함하고, 탈염실은 이온 교환용 섬유 또는 이와 유사한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가 혼합된 이온 교환 수지로 구성된 이온 교환체(Ion Exchanger)로 충전된다.
제3 저장탱크(107)는 전기탈이온장치(106)로부터 초극소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보일러(108)로 공급한다.
보일러(108)는 제3 저장탱크(107)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전기탈이온장치(106)로부터 극초순수를 공급받고, 상기 극초순수를 50℃의 온도로 올린다.
요소 공급 탱크(115)는 전기탈이온장치(106)에서 생성된 극초순수와 요소 원료를 용해하여 SCR이 요구하는 32.5 내지 60% 요소 함량으로 뷰렛과 트리우렛이 용해되지 않도록 함량을 두 배로 초과한다. 이때, 요소 공급 탱크(115)의 내부에 저장된 요소 원료는 -5℃로 유지한다. 트리우렛과 뷰렛은 영하에서 요소 원료에서 굳어진다.
요소 공급탱크는 극초순수 + 요소 원료 =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저장하게 된다.
믹서기(109)는 요소 공급탱크와 보일러(108)를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보일러(108)로부터 50℃의 극초순수를 공급받고, 요소 공급탱크로부터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공급받아 혼합한다.
믹서기(109)는 50℃의 극초순수와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가 만나게 되어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된다.
믹서기(109)는 저온의 요소수와 고온의 극초순수가 온도 충격으로 트리우렛과 뷰렛이 순간 분리되어 수면 위로 떠오른다.
떠오른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은 펌프(미도시)의 순환으로 한쪽으로 모이게 되고 마이크로 필터(110)를 거쳐서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때, 온도는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이 용해되지 않도록 11℃를 유지한다.
믹서탱크(111)는 마이크로 필터(110)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요소수(32.5% 요소 함량)를 믹서기(109)로 보내서 다시 입력받는다. 여기서, 32.5% 요소 함량의 요소수는 불순물(트리우렛과 뷰렛)이 제거된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와 저온의 극초순수가 혼합된 것이다.
믹서탱크(111)는 제1 요소수 탱크(112)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32.5% 요소 함량의 요소수를 5 마이크로 필터(111a)를 거쳐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1 요소수 탱크(112)에 저장한다.
제1 요소수 탱크(112)는 제2 요소수 탱크(113)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1 마이크로 필터(112a)를 거쳐 여과한 후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2 요소수 탱크(113)에 저장한다.
제2 요소수 탱크(113)는 제3 요소수 탱크(114)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0.45 마이크로 필터(113a)를 거쳐 여과한 후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3 요소수 탱크(114)에 저장한다. 제3 요소수 탱크(114)에 저장된 요소수를 최종 제품으로 출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로부터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을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 공정)
요소 공급 탱크(115)는 전기탈이온장치(106)에서 생성된 극초순수와 요소 원료를 용해하여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저장한다.
요소 원료를 극초순수와 만날 때 영하 -5℃를 유지하며 자동차(SCR)가 요구하는 32.5% 내지 60% 요소 함량으로 뷰렛과 트리우렛이 용해되지 않도록 함량을 두배로 초과한다. 이때, 트리우렛과 뷰렛은 영하에서 요소 원료에서 굳어진다.
극초순수+ 요소 원료=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
(제2 공정)
믹서기(109)는 50℃의 극초순수와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가 만나게 되어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된다.
50℃의 극초순수 +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 =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이 분리된다.
(제3 공정)
분리된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은 펌프(미도시)의 순환으로 한쪽으로 모이게 되고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서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때, 온도는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이 용해되지 않도록 11℃를 유지한다.
(제4 공정)
믹서탱크(111)는 32.5% 요소 함량의 요소수를 5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1 요소수 탱크(112)에 저장한다.
불순물(트리우렛과 뷰렛)이 제거된 요소수(60% 요소 함량) + 저온 극초순수 = 32.5% 요소 함량의 요소수
(제5 공정)
제1 요소수 탱크(112)는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1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여과한 후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2 요소수 탱크(113)에 저장한다.
(제6 공정)
제2 요소수 탱크(113)는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0.45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여과한 후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3 요소수 탱크(114)에 저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요소수의 제조 장치
101: 원수 공급 탱크
102: 연수기
103: 제1 저장탱크
104: RO 필터장치
105: 제2 저장탱크
106: 전기탈이온장치
107: 제3 저장탱크
108: 보일러
109: 믹서기
110: 마이크로 필터
111: 믹서탱크
112: 제1 요소수 탱크
113: 제2 요소수 탱크
114: 제3 요소수 탱크
115: 요소 공급 탱크

Claims (5)

  1. 요소 원료를 극초순수에 용해하여 영하의 요소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하의 요소수에 50℃의 극초순수를 만나게 하여 온도 충격으로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은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서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요소수(60% 요소 함량)와 저온 극초순수가 혼합되어 32.5% 요소 함량의 요소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2.5% 요소 함량의 요소수를 5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1 요소수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소수 탱크에 저장된 요소수를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1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여과한 후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2 요소수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요소수 탱크에 저장된 요소수를 강압펌프를 이용하여 0.45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 여과한 후 1만 리터의 3미터 높이의 제3 요소수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하의 요소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요소 원료를 상기 극초순수와 만날 때 영하 -5℃를 유지하여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되는 단계는,
    상기 50℃의 극초순수와 상기 60% 요소 함량의 요소수(영하 -5℃)를 혼합하여 상기 불순물(뷰렛과 트리우렛)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은 상기 마이크로 필터를 거쳐서 불순물을 제거할 때 온도를 상기 불순물(뷰렛, 트리우렛)이 용해되지 않도록 11℃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의 제조 방법.
  5. 삭제
KR1020170097071A 2017-07-31 2017-07-31 요소수의 제조 방법 Active KR10187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71A KR101879350B1 (ko) 2017-07-31 2017-07-31 요소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71A KR101879350B1 (ko) 2017-07-31 2017-07-31 요소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350B1 true KR101879350B1 (ko) 2018-07-17

Family

ID=6304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071A Active KR101879350B1 (ko) 2017-07-31 2017-07-31 요소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35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869B1 (ko) 2018-10-24 2019-02-20 (주)두원사이언스 알콜을 포함한 소독약 자동화 제조 시스템
KR102048012B1 (ko) 2018-09-10 2019-12-02 주식회사 블루텍 트리우렛 분리장치
KR20200012282A (ko) 2018-07-26 2020-02-05 정문성 요소수 자동화 제조 시스템
KR20200104690A (ko) * 2019-02-27 2020-09-04 서재광 요소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335823B1 (ko) * 2021-05-25 2021-12-03 박선주 요소수 제조방법
KR102428018B1 (ko) * 2021-12-07 2022-08-02 금성이엔씨 주식회사 고품질의 자동차용 요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28023B1 (ko) * 2022-01-07 2022-08-02 금성이엔씨 주식회사 고품질의 자동차용 요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42953B1 (ko) 2022-05-13 2022-09-14 대산철강공업 주식회사 요소수 제조장치
KR102558255B1 (ko) * 2022-10-06 2023-07-20 윤새길 요소수 백화현상 세정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638519B1 (ko) 2023-06-14 2024-02-20 주식회사 블루텍 차량용 요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642667B1 (ko) * 2023-03-03 2024-03-04 주식회사 코리아케미칼 고순도 요소수의 제조방법
KR102712413B1 (ko) 2023-06-20 2024-09-30 이정훈 요소수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796A (ja) 2005-03-17 2007-06-14 Mitsui Chemicals Inc 尿素水及びそれを用いた脱硝装置
US20090057230A1 (en) * 2007-08-29 2009-03-05 Colonial Chemical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inpurities from a urea solution
JP2012219040A (ja) 2011-04-06 2012-11-12 Nippon Kasei Chem Co Ltd 高純度尿素水の製造方法
CN104056550A (zh) * 2014-07-02 2014-09-24 南京集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车用尿素标准溶液生产提纯系统
KR20160025523A (ko) * 2013-06-29 2016-03-08 가부시키가이샤 오프티 요소수의 제조 방법 및 요소수로부터 트리유렛을 제거·회수하는 방법
KR101650399B1 (ko) * 2016-03-10 2016-08-25 (주)한일화학공사 공기 주입형 요소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796A (ja) 2005-03-17 2007-06-14 Mitsui Chemicals Inc 尿素水及びそれを用いた脱硝装置
US20090057230A1 (en) * 2007-08-29 2009-03-05 Colonial Chemical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inpurities from a urea solution
JP2012219040A (ja) 2011-04-06 2012-11-12 Nippon Kasei Chem Co Ltd 高純度尿素水の製造方法
KR20160025523A (ko) * 2013-06-29 2016-03-08 가부시키가이샤 오프티 요소수의 제조 방법 및 요소수로부터 트리유렛을 제거·회수하는 방법
CN104056550A (zh) * 2014-07-02 2014-09-24 南京集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车用尿素标准溶液生产提纯系统
KR101650399B1 (ko) * 2016-03-10 2016-08-25 (주)한일화학공사 공기 주입형 요소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특허공개공보 104056550(2014.09.24.) 1부. *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282A (ko) 2018-07-26 2020-02-05 정문성 요소수 자동화 제조 시스템
KR102048012B1 (ko) 2018-09-10 2019-12-02 주식회사 블루텍 트리우렛 분리장치
KR101949869B1 (ko) 2018-10-24 2019-02-20 (주)두원사이언스 알콜을 포함한 소독약 자동화 제조 시스템
KR20200104690A (ko) * 2019-02-27 2020-09-04 서재광 요소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280747B1 (ko) * 2019-02-27 2021-07-21 서재광 요소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335823B1 (ko) * 2021-05-25 2021-12-03 박선주 요소수 제조방법
KR102428018B1 (ko) * 2021-12-07 2022-08-02 금성이엔씨 주식회사 고품질의 자동차용 요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28023B1 (ko) * 2022-01-07 2022-08-02 금성이엔씨 주식회사 고품질의 자동차용 요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42953B1 (ko) 2022-05-13 2022-09-14 대산철강공업 주식회사 요소수 제조장치
KR102558255B1 (ko) * 2022-10-06 2023-07-20 윤새길 요소수 백화현상 세정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4075988A1 (ko) * 2022-10-06 2024-04-11 윤새길 요소수 백화현상 세정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642667B1 (ko) * 2023-03-03 2024-03-04 주식회사 코리아케미칼 고순도 요소수의 제조방법
KR102638519B1 (ko) 2023-06-14 2024-02-20 주식회사 블루텍 차량용 요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712413B1 (ko) 2023-06-20 2024-09-30 이정훈 요소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350B1 (ko) 요소수의 제조 방법
JP5910732B2 (ja) 坑井からの随伴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6398965B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process
US7186344B2 (en) Membrane based fluid treatment systems
CN104291511B (zh) 零排放处理含硫酸盐和高硬废水的方法及装置
US6878285B2 (en) Ion-exchange based fluid treatment systems
IT9021920A1 (it) Procedimento per la depurazione dell'acqua mediante una combinazione di unita' di separazione a membrane e relativo impianto
US20130112603A1 (en) Forward osmotic desalination device using membrane distillation method
PT1161981E (pt) Método de separação por osmose inversa em várias etapas
CN102046253A (zh) 海水脱盐的低能量系统和方法
CA28336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ter streams comprising ammonium
EA027334B1 (ru) Способы прямого осмотического разделения
CN104289106A (zh) 一种车用尿素溶液的制备方法
BR102014009951A2 (pt) eliminação do sulfato de sódio de água residual tratada biologicamente
Al-Alawy et al. Comparative study between nan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membranes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electroplating wastewater
EP2681158B1 (de) Aufbereitung von rohsolen aus entsalzungsanlagen
CN107261872A (zh) 一种车用尿素溶液生产系统
Gullinkala et al. Desalination: reverse osmosis and membrane distillation
EP3286144B1 (en) Scale removal system and method
JP5584043B2 (ja) 膜分離用前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膜分離方法
US20150158748A1 (en) Process for treating concentrated brine
KR101298724B1 (ko) 유도용액의 일부가 정삼투 분리기로 직접 재공급되는 막증류 방식의 정삼투 담수화 장치
WO2012138900A1 (en) Use of rhamnolipids in the water treatment industry
JPH09220564A (ja) 逆浸透法海水淡水化におけるホウ素の除去方法
Bodzek et al. Membrane techniques in the treatment of geothermal water for fresh and potable water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